KR101578855B1 -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 Google Patents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855B1 KR101578855B1 KR1020150058805A KR20150058805A KR101578855B1 KR 101578855 B1 KR101578855 B1 KR 101578855B1 KR 1020150058805 A KR1020150058805 A KR 1020150058805A KR 20150058805 A KR20150058805 A KR 20150058805A KR 101578855 B1 KR101578855 B1 KR 101578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hole
- height adjusting
- extending
- transmission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스페이서 연결구조,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철탑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송전을 위한 송전선에 설치되어 외부 요인에 의한 송전선의 진동 발생시 각 도선간의 접촉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송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스페이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connection structure of a steel tower for supporting a transmission line, more particularly, to a transmission tower for transmission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a steel tow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connecting structure of a steel tower that supports a working transmission line that maintains a constant interval of transmission lines so a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power transmission lin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스페이서 연결구조,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철탑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송전을 위한 송전선에 설치되어 외부 요인에 의한 송전선의 진동 발생시 각 도선간의 접촉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송전선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스페이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connection structure of a steel tower for supporting a transmission line, more particularly, to a transmission tower for transmission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a steel tow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connecting structure of a steel tower that supports a working transmission line that maintains a constant interval of transmission lines so a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power transmission line.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의 송전전력·전압·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Generally, the shape of a steel tower used as a support of a transmission line varies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power, voltage, and topography of the line, and may be 60 meters in height.
주재료는 단면이 L형인 강재이며, 수평단면이 정사각형인 것이 많고, 따라서 기초도 정사각형의 정점에 콘크리트로 굳혀서 만든다. The main material is a steel material with an L-section in cross-section, and many horizontal cross-sections are square, and thus the foundation is also made of concrete at the apex of a square.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The pylon of the transmission line usually supports three phases, two lines, ie six wires.
통상, 상기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 m이다.Gener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pylons is 20 to 30 m, and the minimum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pylon installed on the pylon is determined by the electric equipment technology, for example, 6 m for a 150,000 V line.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Generally, a strong structure is required when a railway crosses a wide river or a deep valley, because the span is long and therefore the tension of the wire increases.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Even the transmission line is small or there is a pillar built on a single foundation as a support for power lines or telephone lines.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The steel towers for transmission lines connect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to each other. These transmission lines are installed under conditions where vibration or amplitude is likely to occur due to the influence of climatic influences such as wind or snow boiling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being installed at high altitudes.
특히,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빗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것은 합선이나 단전 유발등 대형 안전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Especially, when strong winds are blown, the transmission lines are shaken up and down so that fri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lines may be intertwined. This causes a large safety accident such as short-circuit or short-circuit.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송전선의 일정간격마다 구형상의 웨이트, 즉 무게 추를 설치하여 기후의 영향으로 송전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 spherical weight, i.e., a weight,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f transmission lines to prevent the transmission line from shak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limate.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설치의 간편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임에는 분명하나 이는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전선마다 개별적으로 웨이트를 매달아 구성함에 따라 송전선 상호간의 상,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conventional technique described above can be expected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weights are individually suspended for each transmission line, there is a limit to effectively prevent the upside and downside of the transmission lines.
이에 따라 최근에는 송전선들에 연결되는 클램프와, 클램프 사이에 연결 지지되는 봉체와, 봉체에 부착되는 절연관 및 다수개의 날개판들로 구성된 상간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송전선들간의 접촉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event the contact phenomena between the transmission lines by using a space between the clamp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s, the loops connected and held between the clamps, the insulation between the loops, and the plurality of vanes.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발명은 외형 구조상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심한 흔들림 현상을 초래하고, 다소 고하중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송전선의 장력 변화를 초래하여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야기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us constructed is designed to receive a large wind resistance in the outer structure, causing severe shaking phenomenon and a structure of a relatively heavy load, which causes a change in the tension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causes a sagging of the transmission line.
또한, 송전선의 상하 간격은 유지할 수 있지만, 동일 높이에 설치된 송전선 간의 수평상의 간격 유지는 어려웠으며, 바람에 의한 흔들림이 발생할 때, 충격을 외력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송전선 간의 간격유지는 이루어지지만, 송전선에 가해지는 외력의 감소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upper and lower intervals of the power transmission lines can be maintaine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horizontal spacing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line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When the wind swings occur, the gap between the power transmission lines can be maintained because the impact can not be absorb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line could not be expected.
아울러,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0861132호(2008.09.24)가 있다.
In addition, related prior art is the registered patent No. 0861132 (2008.09.2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송전선 간의 상하좌우 간격의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송전선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완충수단이 구비된 송전선의 스페이서, 즉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스페이서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mission line capable of maintaining vertical and horizontal spacing between transmission lines and capable of reduc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ransmission lines. A spacer connecting structure of a steel tower for supporting a working transmission line is provided.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송전선(1)의 이격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에 있어서, 육각형이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각 모서리 부분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홀(12)이 마련된 보스(11)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보스(11)에 각각 상기 슬라이딩홀(12)을 따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21)와, 상기 로드(21)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홀(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결합부재(25)와, 상기 로드(21)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이 상기 보스(11)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25)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스프링(26)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유니트(20); 및 상기 로드(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클램핑유니트(30);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유니트(30)는 송전선(1)을 일정길이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걸림홀(37)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결합부(36)를 구비하는 하부부재(35)와, 상기 하부부재(35)와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1 결합부(36)의 걸림홀(37)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제2 결합부(32)를 가지는 상부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21)의 승강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보스(11)의 내측면에는 상단부로부터 상기 보스(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홈(13)이 마련되고, 상기 로드(21)에는 상기 가이드홈(1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23)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유니트(30)는 결합되는 송전선(1)의 외주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부재(31) 및 하부부재(35)에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통과홀(39)과, 상기 상부부재(31) 및 하부부재(35)의 내주면을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그루브(40)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21)에는 길이조절수단(50)이 더 포함되되, 상기 길이조절수단(50) 설치를 위해 상기 로드(21)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일부가 절단되어 상부로드(21a)와 하부로드(21b)로 분할되며, 상기 상부로드(21a)의 길이 일부 둘레에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한 쌍의 작동공(52)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52)의 하부는 단차를 두고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높이조절부(54)를 이루며, 상기 높이조절부(54)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이조절공(5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로드(21b)는 상기 높이조절부(54)에 끼워지도록 단차를 갖고 구성되는데, 상부로드(21a)의 하단인 높이조절부(54)에 끼워졌을 때 외주면이 서로 일치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로드(21b)의 상단 길이 일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공(56)과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공(58)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로드(21a)의 높이조절공(56)에는 높이조절부재(60)가 끼워지며, 상기 높이조절부재(60)는 상기 높이조절공(56)에 끼워지는 '╋'형상의 끼움구(62)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구(62)는 선단이 상기 높이조절공(56)에 끼워져 외부로 일부 노출되고, 그와 대향되는 후단에는 상부스프링(SP1)이 끼워지면, 그와 직교되는 상단과 하단은 상기 높이조절공(56)의 내측에 걸림되어 상기 끼움구(62)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상부스프링(SP1)은 직경방향으로 대향설치되는 한 쌍의 끼움구(62) 후단에 걸림되어 이들 상호간을 탄성적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끼움구(62)의 선단면에는 누름노브(64)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끼움구(62)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로드(21a)의 내경 중심을 향해 경사연장된 제1연장부(66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66a)의 하단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66b)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66b)의 하단에는 상기 제1연장부(66a)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연장된 제3연장부(66c)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장부(66c)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62)와 평행하게 연장된 걸림구(68)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62) 및 걸림구(68)의 동작 원활성을 위해 상기 제2연장부(66b)들 사이에는 하부스프링(SP2)이 걸림 고정되고, 상기 하부스프링(SP2)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제2연장부(66b) 상에는 대향하는 한 쌍이 서로 어긋나게 안내공(H)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안내공(H)에는 각각 안내바(G)가 끼워지는데, 상기 안내바(G)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연장부(66b)의 대향면에 서로 어긋난 채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스페이서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cer for maintaining a spacing distance between transmission lines (1), the spacer being hexagonal and having a hollow inside, and each corner por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선의 스페이스는 송전선의 상하 좌우 간격의 유지가 용이하며, 외력에 의한 송전선의 흔들림이 발생할 때, 외력을 충격흡수 유니트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of the transmission line can be easily maintained at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intervals of the transmission line, and the external force can be reduced by the shock absorbing unit when the transmission line is shaken by the external for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스페이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보스와 충격흡수 유니트 및 클램핑유니트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충격흡수 유니트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클램핑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로드 길이조절수단을 보인 예시적인 부분 단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transmission line spa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ss, the shock absorbing unit and the clamp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FIG. 1,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amping unit of the embodiment of Fig.
5 is an exemplary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d length adjusting means of the embodiment of FIG.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861132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861132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bove-mentioned prior-art patent No. 0861132 as it is. Therefore, all of the features of the device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are thos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0861132. [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86113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However,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is improv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100)는 육각형의 본체(10)와, 본체(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 및 감소시키는 완충역할을 하는 충격흡수 유니트(20)와, 충격흡수 유니트(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송전선(1)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램핑유니트(30)를 포함한다.1, a
상기 본체(10)는 가장자리가 육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관통홀은 본체(10)의 가장자리와 동일하게 육각형이며 관통홀이 형성된 내측면의 여섯개의 가장자리는 각각 본체(10) 외주면의 가장자리에 대응되어 평행하게 연장된다. The through holes are hexagonal like the edges of the
상기 본체(10)는 송전선(1)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송전선(1)에 높은 하중을 가해 송전선(1)의 늘어짐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상기 본체(10)에는 또한 여섯 개의 각 모서리에 보스(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스(11)는 상기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상기 방사상의 방향과 동일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홀(12)이 마련되어 있다.The
상기 슬라이딩홀(12)은 보스(11)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충격흡수 유니트(20)의 로드(21)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슬라이딩홀(12)이 형성된 보스(11)의 내측면에는 상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하방으로 보스(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홈(13)이 마련되어 있다. In addition, two
상기 가이드홈(13)은 보스(11)의 하단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상방으로 이격된 지점까지만 연장된다.The
상기 충격흡수 유니트(20)는 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송전선(1)이 외력에 의해 흔들릴 때, 외력이 본체(10)의 타측에 결합된 다른 송전선(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스(11)의 슬라이딩홀(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21)와, 로드(21)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5)와, 로드(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스프링(26)을 포함한다.The
상기 로드(21)는 상부에 후술하는 클램핑유니트(30)가 설치되며 하단부에는 결합부재(25)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The
로드(21)는 상기 슬라이딩홀(12)에 삽입결합되는데, 로드(21)가 슬라이딩홀(12)과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슬라이딩홀(12)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기 때문에 슬라이딩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로드(21)의 측면에는 로드(2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가이드돌기(23)가 마련되어 있다. The
로드(21)는 상기 보스(11)에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23)가 보스(11)의 내측면에 마련된 가이드홈(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The
가이드돌기(23)가 가이드홈(13)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하게 되므로, 로드(21)는 보스(11)의 슬라이딩홀(12)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할 때, 보스(11)의 내부에서 회전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로드(21)의 상부 일측에는 로드(21)가 슬라이딩홀(12)을 통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스(11)의 슬라이딩홀(12)보다 직경이 큰 걸림턱(24)이 마련되어 있다.When the
상기 결합부재(25)는 본체(10)의 내측에서 상기 로드(21)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로드(21)의 단부에 마련된 나사산부(22)와 나사결합된다. The
결합부재(25)는 로드(21)와 결합했을 때, 로드(21)가 슬라이딩홀(12)을 통해 상방으로 보스(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1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결합부재(25)의 외주면은 스패너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결합부재(25)와 로드(21)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육각 너트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engaging
스프링(26)은 상기 로드(21)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보스(11)의 하단면과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25)의 상단면과 접촉하며 보스(11)의 하측에서 상기 로드(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One end of the
외력에 의해 송전선(1)이 본체(10)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는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면, 로드(21)가 보스(11)의 슬라이딩홀(12)을 따라 외측으로 일정길이 승강함으로써 해당 송전선(1)의 흔들림이 나머지 송전선(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한다. The
외력이 사라지면 로드(21)는 상기 스프링(26)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rod (2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spring (26).
상기 클램핑유니트(30)는 송전선(1)을 본체(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송전선(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부재(31)와 하부부재(35)를 구비한다.The clamping
하부부재(35)는 상기 로드(2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송전선(1)의 하부 일정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하방으로 인입된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결합되는 송전선(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연장된다. The
하부부재(35)의 일측에는 상부부재(3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힌지축(38)이 삽입될 수 있는 힌지홀이 마련되어 있다. A hinge hole through which the
또한 하부부재(35)의 타측에는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부재(3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걸림홀(37)이 마련된 복수개의 제1 결합부(36)가 하부부재(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상부부재(31)는 상기 하부부재(35)와 결합되어 송전선(1)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상기 하부부재(35)와 마찬가지로 힌지축(38)이 삽입될 수 있는 힌지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힌지축(38)에 의해 하부부재(35)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결합부(36)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32)가 마련되어 있다. The
상부부재(31)는 송전선(1)의 상부 일정 영역을 감쌀 수 있도록 상방으로 인입된 반원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하부부재(35)와의 결합 후 제1,제2 결합부(36,32)를 체결하면 상부부재(31)와 하부부재(35)의 내부에는 송전선(1)이 위치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다. The
상기 제2 결합부(32)는 제1 결합부(36)의 걸림홀(37)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제1 결합부(36)의 일측에는 제1 결합부(36)가 걸림홀(37)을 통과하여 제2 결합부(32)와 결합되었을 때, 제2 결합부(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턱(33)이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engaging
상기 고정턱(33)에 의해 제1 결합부(36)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제2 결합부(32)와 분리되지 않는다.The first engaging
또한 상부부재(31)의 내측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가압돌기(34)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돌기(34)는 상부부재(31)를 외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부재(31)와 하부부재(35)가 송전선(1)을 감싸도록 결합될 때, 가압돌기(34)가 송전선(1)의 외주면과 접촉하며, 가압돌기(34)가 상부부재(31)의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돌기(34)에 의해 상부부재(31)는 송전선(1)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된다. Further, a
상부부재(31)와 하부부재(35)가 제1,제2 결합부(36,32)에 의해 결합되면, 상부부재(31)가 가압부재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제1 결합부(36)가 제2 결합부(32)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된다.When the
상부부재(31)와 하부부재(35)에는 각각 결합되는 송전선(1)의 외주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통과홀(39)과 그루브(40)가 마련되어있다. The
상부부재(31)와 하부부재(35)의 일측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공기통과홀(39)에 의해 외부 공기가 클램핑유니트(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용이해지며, 상부부재(31)와 하부부재(35)의 내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그리고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개의 그루브(40)에 의해서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클램핑유니트(3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External air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lamping
상기 공기통과홀(39)과 그루브(40)에 의해 송전선(1)의 외주면에 공기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송전선(1)의 외주면에 습기가 차는 것이 방지되며, 습기에 의한 누전 등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ir circulation is smoothly per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덧붙여,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길이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means 50.
여기에서, 상기 길이조절수단(50)의 설치를 위해 상기 로드(21)는 내부가 빈 중공체, 다시 말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4)의 하측 로드(21)의 길이 일부가 절단 분리되어 상부로드(21a)와 하부로드(21b)로 나뉜다.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이때, 상기 상부로드(21a)의 길이 일부 둘레에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한 쌍의 작동공(52)이 천공 형성된다.At this time, a pair of operation holes (52) are formed peripherally around the length of the upper rod (21a) so as to oppose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작동공(52)의 하부는 단차를 두고 얇은 두께를 가진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높이조절부(54)를 이룬다.The lower portion of the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부(54)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이조절공(56)이 관통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 경우, 상기 높이조절공(56)은 상기 작동공(52)과 마찬가지로 상기 높이조절부(54)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하부로드(21b)는 상기 높이조절부(54)에 끼워지도록 단차를 갖고 구성되는데, 상부로드(21a)의 하단인 높이조절부(54)에 끼워졌을 때 외주면이 서로 일치되게 이루어진다.The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로드(21b)의 상단 길이 일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공(56)과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공(58)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끼움공(58)도 상기 높이조절공(56)과 마찬가지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쌍을 이룬 채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tting holes 58 are also formed in pairs facing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like the height adjusting holes 56.
한편, 상기 상부로드(21a)의 높이조절공(56)에는 높이조절부재(60)가 끼워진다.A
상기 높이조절부재(60)는 상기 높이조절공(56)에 끼워지는 '╋'형상의 끼움구(62)를 포함한다.The
상기 끼움구(62)는 선단이 상기 높이조절공(56)에 끼워져 외부로 일부 노출되고, 그와 대향되는 후단에는 상부스프링(SP1)이 끼워지면, 그와 직교되는 상단과 하단은 상기 높이조절공(56)의 내측에 걸림되어 상기 끼움구(62)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는 기능을 담당한다.When the upper spring SP1 is fitted to the rear end of the
이때, 상기 상부스프링(SP1)은 직경방향으로 대향설치되는 한 쌍의 끼움구(62) 후단에 걸림되어 이들 상호간을 탄성적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prings SP1 are hooked to the rear ends of a pair of
아울러, 상기 끼움구(62)의 선단면, 즉 상기 높이조절공(56)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단면에는 누름노브(64)가 나사체결된다.In addition, the pushing
상기 누름노브(64)는 나사체결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끼움구(62)를 먼저 끼운 상태에서 나중에 조립된다.Since the pushing
이것은 상부로드(21a)의 내경과 같이 협소공간 내에서 상기 끼움구(6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facilitate installation of the fitting 62 in a narrow space such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또한, 상기 끼움구(62)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로드(21a)의 내경 중심을 향해 경사연장된 제1연장부(66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66a)의 하단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66b)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66b)의 하단에는 상기 제1연장부(66a)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연장된 제3연장부(66c)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장부(66c)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62)와 평행하게 연장된 걸림구(68)가 형성된다.A first extension 66a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이때, 상기 제1,3연장부(66a,66c)를 경사 연장한 이유는 상기 누름노브(64)를 눌렀을 때, 상기 걸림구(68)가 충분한 강도를 갖고 높이조절공(56) 중 어느 하나로 인출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first and
즉, 상기 걸림구(68)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That is, it i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he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구(68)는 상기 높이조절공(56)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로드(21a) 두께의 2배 길이로 형성하도록 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높이조절공(56)을 관통하여 항상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누름노브(64)는 반드시 상기 걸림구(68)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pushing
그래야, 상기 누름노브(64)를 눌렀을 때 상기 걸림구(68)가 상기 높이조절공(56) 내부로 쏙 들어갈 수 있고, 높이조절공(56) 내부로 완전히 들어 가야만 상기 하부로드(21b)를 높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Thus, when the pushing
또한, 상기 끼움구(62) 및 걸림구(68)의 동작 원활성을 위해 상기 제2연장부(66b)들 사이에는 하부스프링(SP2)이 걸림 고정된다.Further, a lower spring SP2 is engaged and fixed between the
뿐만 아니라, 상기 하부스프링(SP2)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제2연장부(66b) 상에는 대향하는 한 쌍이 서로 어긋나게 안내공(H)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안내공(H)에는 각각 안내바(G)가 끼워지는데, 상기 안내바(G)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연장부(66b)의 대향면에 서로 어긋난 채 고정된다.A guide hole H is formed on the second
따라서, 송전선(1)들 사이의 간격 조절이 필요할 경우, 상기 누름노브(64)를 누른다.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러면, 끼움구(62)가 상부로드(21a)의 내경 중심을 향해 이동하고, 이때 상부스프링(SP1) 및 하부스프링(SP2)은 압축된다.Then, the
동시에, 걸림구(68)는 높이조절공(56) 속으로 들어간다.At the same time, the latching opening (68) enters into the height adjusting hole (56).
때문에, 상기 걸림구(68)에 걸려 있던 하부로드(21b)는 걸림이 해제되므로 상기 하부로드(21b)의 위치, 즉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lower rod (21b), that is, the height of the lower rod (21b) can be adjusted because the lower rod (21b) hung on the hooking hole (68)
이렇게 하여, 높이를 조절한 다음 눌렀던 누름노브(64)를 놓게 되면 상부스프링(SP1) 및 하부스프링(SP2)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끼움구(62)와 걸림구(68)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부로드(21a) 및 하부로드(21b)의 각 높이조절공(56)에 끼워져 상호 걸림되게 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한 상태로 위치고정할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pushing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좀 더 원활하고 쉬운 스페이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install a more smooth and easy spacer.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송전선(1)의 스페이스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pace of the
먼저 지상에서 결합시킬 송전선(1)의 숫자에 따라 클램핑유니트(30)와 충격흡수 유니트(20)를 본체(10)에 체결시킨다. First, the clamping
만약 송전선(1)의 숫자가 세 개라면 본체(10)에 마련된 여섯 개의 보스(11) 중 세 개를 등간격을 갖도록 선택하고 각각의 보스(11)에 충격흡수 유니트(20)를 체결한다. If the number of
로드(21)를 보스(11)의 상부로부터 슬라이딩홀(12)에 삽입시키고, 보스(11)의 하부에 연장된 로드(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스프링(26)을 위치시킨다.The
그 후, 로드(21)의 하단부를 결합부재(25)를 통해 결합시키면 스프링(26)은 일측이 보스(11)의 하면과 접촉하고 타측이 결합부재(25)와 접촉하게되어 로드(21)의 승,하강시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lower end of the
충격흡수 유니트(20)의 설치가 완성되면 설치된 로드(21)의 상부에 클램핑유니트(30)를 각각 결합시킨다. When the shock-absorbing
클램핑유니트(30)의 설치가 완성되면 작업자는 송전선(1)과 인접한 위치로 올라가 송전선(1)에 클램핑유니트(30)를 결합시킴으로써 송전선의 스페이서(100)의 설치를 마무리한다.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clamping
10: 본체 20: 충격흡수 유니트
30: 클램핑유니트10: Main body 20: Shock absorption unit
30: Clamping unit
Claims (1)
육각형이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각 모서리 부분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홀(12)이 마련된 보스(11)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보스(11)에 각각 상기 슬라이딩홀(12)을 따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21)와, 상기 로드(21)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홀(12)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결합부재(25)와, 상기 로드(21)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측이 상기 보스(11)의 하단부에 접촉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25)의 상단부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스프링(26)을 포함하는 충격흡수 유니트(20); 및 상기 로드(2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클램핑유니트(30);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유니트(30)는 송전선(1)을 일정길이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하면을 관통하는 걸림홀(37)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1 결합부(36)를 구비하는 하부부재(35)와, 상기 하부부재(35)와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1 결합부(36)의 걸림홀(37)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제2 결합부(32)를 가지는 상부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21)의 승강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보스(11)의 내측면에는 상단부로부터 상기 보스(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하방으로 연장된 두 개의 가이드홈(13)이 마련되고, 상기 로드(21)에는 상기 가이드홈(1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23)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유니트(30)는 결합되는 송전선(1)의 외주면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부재(31) 및 하부부재(35)에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통과홀(39)과, 상기 상부부재(31) 및 하부부재(35)의 내주면을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그루브(40)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21)에는 길이조절수단(50)이 더 포함되되, 상기 길이조절수단(50) 설치를 위해 상기 로드(21)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 일부가 절단되어 상부로드(21a)와 하부로드(21b)로 분할되며, 상기 상부로드(21a)의 길이 일부 둘레에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게 한 쌍의 작동공(52)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52)의 하부는 단차를 두고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높이조절부(54)를 이루며, 상기 높이조절부(54)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높이조절공(5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로드(21b)는 상기 높이조절부(54)에 끼워지도록 단차를 갖고 구성되는데, 상부로드(21a)의 하단인 높이조절부(54)에 끼워졌을 때 외주면이 서로 일치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로드(21b)의 상단 길이 일부에는 상기 높이조절공(56)과 대응되는 다수의 끼움공(58)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로드(21a)의 높이조절공(56)에는 높이조절부재(60)가 끼워지며, 상기 높이조절부재(60)는 상기 작동공(52)에 끼워지는 '╋'형상의 끼움구(62)를 포함하되, 상기 끼움구(62)는 선단이 상기 작동공(52)에 끼워져 외부로 일부 노출되고, 그와 대향되는 후단에는 상부스프링(SP1)이 끼워지면, 그와 직교되는 상단과 하단은 상기 작동공(52)의 내측에 걸림되어 상기 끼움구(62)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상부스프링(SP1)은 직경방향으로 대향설치되는 한 쌍의 끼움구(62) 후단에 걸림되어 이들 상호간을 탄성적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되고, 상기 끼움구(62)의 선단면에는 누름노브(64)가 나사체결되며, 상기 끼움구(62)의 하단에는 상기 상부로드(21a)의 내경 중심을 향해 경사연장된 제1연장부(66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66a)의 하단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66b)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장부(66b)의 하단에는 상기 제1연장부(66a)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연장된 제3연장부(66c)가 형성되고, 상기 제3연장부(66c)의 단부에는 상기 끼움구(62)와 평행하게 연장된 걸림구(68)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62) 및 걸림구(68)의 동작 원활성을 위해 상기 제2연장부(66b)들 사이에는 하부스프링(SP2)이 걸림 고정되고, 상기 하부스프링(SP2)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의 상기 제2연장부(66b) 상에는 대향하는 한 쌍이 서로 어긋나게 안내공(H)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안내공(H)에는 각각 안내바(G)가 끼워지는데, 상기 안내바(G)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2연장부(66b)의 대향면에 서로 어긋난 채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의 스페이서 연결구조.In the spacer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transmission line 1,
A body 10 including a boss 11 having a hexagonal shape and a hollow formed therein and having sliding holes 12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A rod 21 which is coupled to the boss 11 so as to be pulled in and pulled out along the sliding hole 12 and a rod 21 which is screwed to the end of the rod 21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liding hole 12 And a spring 26 which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21 and has one side abutting against the lower end of the boss 11 and the other abutting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member 25, A shock absorber unit (20) comprising; And a clamping unit 3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rod 21. The clamping unit 30 is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transmission line 1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trudes outward on one side, A lower member 35 having a plurality of first engaging portions 36 formed with an engaging hole 37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member 35 and a lower member 35 hinged to one side of the lower member 35 in a rotatable manner, And an upper member (31) having a second engaging portion (32)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so a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hole (37)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6) Two guide grooves 13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ss 11 from the upper end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ss 11 so as to guide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boss 11, 21 are formed with guide projections 23 which move along the guide grooves 13, The clamping unit 30 includes an air passage hole 39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with the upper member 31 and the lower member 35 so as to prevent moisture from being caugh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mission line 1 to be coupled, And a groove (40)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mber (31) and the lower member (35) can move; The rod 21 further includes a length adjusting means 50. In order to install the length adjusting means 50, the rod 21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 pair of operating holes 52 are formed in a part of the length of the upper rod 21a so as to be diametrically opposed to each oth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52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56 are formed through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54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rod 21a has a stepped portion to be fitted 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54. When the upper rod 21a is fitted in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54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upper rod 21a, 21b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djusting holes 56, And a height adjusting member 60 is fitted to the height adjusting hole 56 of the upper rod 21a and the height adjusting member 6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rod 21a, And the upper end of the fitting hole 62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rating hole 52 and the upper spring SP1 is fitted to the opposite end thereof And upper and lower ends orthogonal to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hooked to the inside of the operating hole 52 to stop the fitting opening 62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And a pushing knob (64) is screwed to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fitting member (62), and the fitting member 62 is formed with a first extended portion 66a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rod 21a, A second extending portion 66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extending portion 66a and a second extending portion 66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xtending portion 66b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extending portion 66a And a third extension 66c extending obliquely to the second extension 66c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extension 66c and a hook 68 extending parallel to the insertion hole 6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third extension 66c, A lower spring SP2 is engaged and fixed between the second extended portions 66b for activating an operating source of the lower spring SP2 and the second spring SP2, A guide hole H is formed on the extended portion 66b such that a pair of opposing pairs of the guide holes G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and a guide bar G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H, Is fix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extended portion (66b) of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66b).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8805A KR101578855B1 (en) | 2015-04-27 | 2015-04-27 |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8805A KR101578855B1 (en) | 2015-04-27 | 2015-04-27 |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8855B1 true KR101578855B1 (en) | 2015-12-18 |
Family
ID=5508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8805A Active KR101578855B1 (en) | 2015-04-27 | 2015-04-27 |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8855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1219B1 (en) * | 2016-02-12 | 2016-07-20 | (주)자비오씨엔씨 |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
CN111371053A (en) * | 2020-04-27 | 2020-07-03 |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 High-voltage transmission interphase plate |
CN115051304A (en) * | 2022-07-13 | 2022-09-13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Electric power fitting with adjustable spacing |
KR102536064B1 (en) | 2022-11-30 | 2023-05-26 |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 Installation method of utility pole connection device of distribution line |
KR102546489B1 (en) | 2022-11-30 | 2023-06-23 |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 Spacer fall prevention device of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CN117833135A (en) * | 2024-02-29 | 2024-04-05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长丰县供电公司 | Anti-tripping adjustable insulating stay bar |
KR102762773B1 (en) | 2023-12-15 | 2025-02-05 | 주식회사 대성기술단 | Fixing device between utility poles and distribution lin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4999B1 (en) | 2006-11-15 | 2007-05-09 | 미래컨설턴트(주) | Telephone pole for position control of distribution line |
KR100861132B1 (en) | 2007-03-27 | 2008-09-30 | (주)세광 | Spacer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
KR100959114B1 (en) | 2009-11-12 | 2010-05-25 |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 Hight control device for bicycle saddle or steering handle |
-
2015
- 2015-04-27 KR KR1020150058805A patent/KR1015788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4999B1 (en) | 2006-11-15 | 2007-05-09 | 미래컨설턴트(주) | Telephone pole for position control of distribution line |
KR100861132B1 (en) | 2007-03-27 | 2008-09-30 | (주)세광 | Spacer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
KR100959114B1 (en) | 2009-11-12 | 2010-05-25 |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 Hight control device for bicycle saddle or steering handl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1219B1 (en) * | 2016-02-12 | 2016-07-20 | (주)자비오씨엔씨 | Height adjusting apparatus of monitor |
CN111371053A (en) * | 2020-04-27 | 2020-07-03 |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 High-voltage transmission interphase plate |
CN115051304A (en) * | 2022-07-13 | 2022-09-13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Electric power fitting with adjustable spacing |
CN115051304B (en) * | 2022-07-13 | 2024-04-16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 Electric power fitting with adjustable distance |
KR102536064B1 (en) | 2022-11-30 | 2023-05-26 |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 Installation method of utility pole connection device of distribution line |
KR102546489B1 (en) | 2022-11-30 | 2023-06-23 | 주식회사 태화이엔씨 | Spacer fall prevention device of overhead power distribution lin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KR102762773B1 (en) | 2023-12-15 | 2025-02-05 | 주식회사 대성기술단 | Fixing device between utility poles and distribution lines |
CN117833135A (en) * | 2024-02-29 | 2024-04-05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长丰县供电公司 | Anti-tripping adjustable insulating stay bar |
CN117833135B (en) * | 2024-02-29 | 2024-05-14 |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长丰县供电公司 | An anti-trip adjustable insulating support r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8855B1 (en) | Spacer tower link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onnection to overhead power lines | |
KR100899184B1 (en) | Power Transmission Line Type Interphase Spacer | |
KR100851432B1 (en) | Suspension insulator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teel tower | |
WO2017181406A1 (en) | Vibration-damping structure for dropped ceiling system | |
US6026545A (en) | Universal restraint clip fitting | |
KR101635175B1 (en) | Cable support device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in telegraph pole | |
CN209619825U (en) | Suspension Bridge Vibration Damping Cables | |
KR20100022881A (en) | Fixing equipment of ceiling pipe arrangement with vibration proof | |
KR100783808B1 (en) | Suspension insulator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teel tower | |
EP3487724B1 (en) | An improved hanger for a suspended contact wire of a railway line and a power line comprising said hanger | |
KR101371339B1 (en) | Brace friction damper using the viscoelastic substance | |
KR101370820B1 (en) | Bridge bearing | |
KR101550287B1 (en) | Dry hanger for laundary | |
CN107605394B (en) | A kind of single pendulum adjustment type soft ladder head device for live work and using method thereof | |
CN119021531A (en) | A transmission tower for power transmission | |
KR100861132B1 (en) | Spacer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 |
UA125603C2 (en) | Safety climb attenuation apparatus | |
KR100514720B1 (en) | A power cable space for power transmission tower | |
KR100865074B1 (en) | Interphase space for transmission line | |
KR100926647B1 (en) | Transmission line sag prevention device | |
CN114575653B (en) | Communication pole tower with damper | |
KR100985799B1 (en) | Speed reducing apparatus against falling rock | |
CN105406429B (en) | A kind of overhead transmission line Vibration damping balance system | |
CN205070363U (en) | Overhead transmission line damping balanced system | |
CN212688720U (en) | Protection canopy frame suitable for existing line construction is striden to continuous be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