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556B1 - Method For Taking Picture Of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Taking Picture Of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556B1 KR101578556B1 KR1020090019585A KR20090019585A KR101578556B1 KR 101578556 B1 KR101578556 B1 KR 101578556B1 KR 1020090019585 A KR1020090019585 A KR 1020090019585A KR 20090019585 A KR20090019585 A KR 20090019585A KR 101578556 B1 KR101578556 B1 KR 1015785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focus
- image
- portable terminal
- adjus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 초점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사진 촬영 모드가 활성화 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2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후,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이하게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초점을 재조절함으로써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A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which can easily confirm whether or not a focus is achieved when taking a picture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can take a clear picture.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ctivated,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 image picked up in the first area is displayed, and an area selected from the user is enlarged in the image picked up in the second area And then re-adjusting the focus of the imaged image so that the focused area is focused when an event indicating focus adjustment occur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focus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to shoot a clear image by re-adjusting the focus through it.
촬상된 이미지, 구분, 확대, 영역, 초점, 조절 Captured image, segmentation, enlargement, area, focus, adjust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uilt-in camera, and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method.
휴대용 단말기에는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등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다.Portable terminals include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UMPCs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s), etc. The portable terminals gradually become smaller in size and light in weight.
최근에는 복합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예를들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캠코더 기능, 게임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기능 등을 더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portable terminals that can use multiple functions. For example,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a camera / camcorder function, a game function, an MP3 player function, and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unction.
특히,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동영상 촬영 등 의 편의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카메라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화상 품질이 일반 디지털 카메라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In particular, a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is widely used because of convenience of photographing or video shooting, and the image quality is approaching the level of a general digital camera due to the development of camera technology.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중에서, 카메라 기능은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하여 부가되는 것으로, 통신에 이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카메라로 사용된다.Of the additional services of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function is added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and is used as a general camera in a state where it is not used for communication.
상기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에서 영상이 이미지 센서에 정확하게 맺히도록 하기 위하여 초점을 맞추고, 초점 거리 측정을 측거라고 하며, 촬영 대상에 초점을 일치시키고 배경은 초점이 맞지 않도록 하여 촬영 대상을 부각하는 방식을 아웃포커싱(OUT OF FOCUSING)이라고 한다.In order to accurately focus the image on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of the portable terminal with the built-in camera, the focus is measured, the focal distance is measured, the focus is adjusted to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OUT OF FOCUSING).
일반적인 카메라 촬영의 경우, 촬영 영상이 형성하는 구도의 중앙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고 있으나, 촬영대상 또는 목적물이 중앙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수동으로 촬영대상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 촬영구도를 다시 선정하여 촬영한다.In the case of a general camera photographing, although the focus is set at the center of the composition formed by the photographed image,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photographed object or the object is not located at the center. In such a case, The composition is selected again and shot.
초점을 자동으로 선정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촬영 영상이 형성하는 구도의 중앙에 초점이 형성되도록 하는 1점 측거 방식과 고가의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다수의 영역으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다점 측거 방식이 사용된다.In the case of a digital camera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focus, a one-point type frame system in which a focus is formed at the center of a composition formed by a photographed image and a multi-point type frame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areas, Is used.
하지만,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아서 촬영시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물 또는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졌는지 확인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object or the subject is focused by the user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because the display device is small.
또한, 상기와 같은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는 촬영시 자동으로 초점 을 조절할뿐 사용자가 원하는 대상물 또는 피사체에 맞추어 초점을 맞출수 없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focus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but can not focus on the object or the subject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 초점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easi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focus is coincident when taking a picture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can take a clear picture.
또한, 본 발명의 제2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시 초점 일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사진 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whether or not a photograph is photographed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photographing a clear photograph.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은, 사진 촬영 모드가 활성화 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영역의 좌표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좌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되는 확대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점 조절을 지 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할 수 있다. 상기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선예도(Sharpness)값을 조절하여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할 수 있다. 상기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의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피사체의 심도를 깊게하여 초점을 재조절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은 상기 선정된 영역의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의 확대된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화각을 재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when a photographing mode is activated, dividing a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Displaying an image picked up in the first area, enlarging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user in the picked-up image in the second area, and, when an event instructing focus adjustment occurs, And re-adjusting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focused area is focused. Wherein the step of enlarging and displaying a region selected by the user in the captured image in the second region includes the steps of obtain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predetermined region, calculating a coordinate value of the selected region in the second region on the basis of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ing an enlargement ratio to be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and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predetermined area in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enlargement ratio. Wherein the step of re-adjusting the focus of the picked-up image so as to focus on the predetermined region when an event to cause the focus adjustment occurs is performed by adjusting a focus distance of the camera lens,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can be adjusted so as to fit the image. Wherein the step of re-adjusting the focus of the picked-up image so as to focus on the predetermined area when an event indicating the focus adjustment occurs is performed by adjusting a sharpness value of the camera,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can be adjusted so as to fit the image. The step of re-adjusting the focus of the picked-up image so as to focus on the predetermined area when the event instructing the focus adjustment occurs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the aperture value of the camera to deepen the depth of the object, Can be adjusted. The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as set forth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an event instructing to shoot an enlarged image of the selected area; and, when an event instructing shooting of the enlarged image of the selected area is generated, And adjusting the angle of view for photographing the enlarged image of the imag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진 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 촬영 모드가 활성화 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한 후,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촬영된 이미지 및/또는 상기 확대된 선정 영역에 상응하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선예도(Sharpness)값을 조절하여 상기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피사체의 심도를 깊게하여 초점을 재조절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정된 영역의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를 판단하고, 상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선정된 영역의 확대된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화각을 재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wherein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ctivated, a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displays an image picked up in the first area, enlarges and displays a region selected from the user in the picked-up image in the second area, and then when an event for instructing focus adjustment occurs A control unit for re-adjusting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so as to focus on the selected are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and /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hotographed image.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focus distance of the camera lens to readjust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selected area is in focus.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sharpness value of the camera to readjust the focus of the sensed image so as to focus on the predetermined area.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aperture value of the camera to deepen the depth of the subject to readjust the focus. Wherein the control unit judges an event instructing shooting of an enlarged image of the selected area and, when an event instructing shooting of the enlarged image of the selected area is generated, It is possible to readjust the angle of view.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표시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제2 영역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제2 영역을 확인한 후 초점을 조절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는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한다.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ctivated, the portable terminal divides the display area in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the sensed image in the first area And enlarges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user in the captured image and displays it on the second area. Thereafter, when the user adjusts the focus after confirming the second area, the portable terminal adjusts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so as to focus on the selected area.
따라서, 용이하게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초점을 재조절함으로써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focus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to shoot a clear image by re-adjusting the focus through i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 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 촬영 모드가 실행 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101), 사진 촬영 모드가 실행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 영역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단계 103). 상기 표시 영역은 카메라를 통해서 촬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 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a photograph photographing mode has been executed (step 10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 photographing mode has been executed, the portable terminal classifies the display area into two areas (step 103). The display are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in which an image sensed through a camera is displayed and a second area in which an area selected from the user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sensed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상기 촬상된 이미지는 사진 촬영시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미리 보여 주는 것이며, 이를 통해서 피사체의 구조 및 배경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 captured image shows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in photographing in advance, and the structure and background of the subjec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또한, 도 1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카메라를 통해서 촬상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선정된 영역이 확대되어 표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FIG. 1, the display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into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rea may be configured to be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two display devices. For example, an image captured through a camera can be displayed on a first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two display devices, and a second display device can display a selected area on a capture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device May be enlarged and displayed.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구분된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한다(단계 105).The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image photographed in the first divided area (step 105).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촬상된 이미지에서 확대를 위한 소정 영역을 선정 받고, 선정된 영역의 좌표값을 획득한다(단계 107).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선정된 영역의 좌표값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등을 획득할 수 있다.Next, the portable terminal selects a predetermined area for enlargement in the image picked up by the user, and obtains the coordinate value of the selected area (step 107). Here, the portable terminal can acquir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elected region from the user through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selected region.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획득한 좌표값에 기초하여 선정 영역의 확대 비율을 계산한다(단계 109).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를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영역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에 기초하여 선정 영역의 확대 비율을 계 산할 수 있다.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calculates an enlargement ratio of the selected area based on the obtained coordinate values (step 109). Here, the portable terminal obtains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selected region from the user in the captured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region, and obtains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selected region based on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predetermined second region. The magnification ratio can be calculated.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계산된 확대 비율에 기초하여 선정 영역을 확대하여 제2 영역에 표시한다(단계 111). 여기서, 사용자는 제2 영역에 확대되어 표시된 선정된 영역을 확인하여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가 선명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제2 영역에 확대된 선정된 영역을 확인하여 초점이 맞지 않은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초점 조절을 위한 메뉴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 키를 이용하여 초점 재조절을 위한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Next, the portable terminal enlarges the selection area based on the calculated enlargement ratio and displays it on the second area (step 111). Here,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the image captured in the first area is clear by checking the selected area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If the user does not focus on the selected area enlarged in the second area, the user generates an event for focus adjustment using a menu for focus adjustment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portable terminal or a preset key .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제공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13). 여기서, 상기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는 초점이 맞지 않은 경우, 초점을 조절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것이다.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vent instructing focus adjustment is provided from the user (step 113). Here, the event for instructing the focus adjustment is for shooting a clear image by adjusting the focus when the focus is not in focus.
단계 113에서, 사용자로부터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제공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한다(단계 115). 여기서, 광학적으로 초점 조절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제1 영역에 표시된 프리뷰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또한, 광학적으로 초점 조절 기능이 없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파라미터 값을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촬영에 관련된 파라미터 중 선예도(Sharpness)값을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사진 촬영에 관련된 파라미터 중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피사체의 심도를 깊게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no optical focus adjustment function, the focus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a parameter value necessary for camera photographing.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cus by adjusting the sharpness value among the parameters related to photographing, and by adjusting the aperture value among parameters related to photographing, the depth of the subject can be deepened to adjust the focus.
또는, 단계 113에서 사용자로부터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는 단계 115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 117로 진행하여 이후의 단계들을 수행한다.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in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단계 117),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피사체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단계 119). 즉,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여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T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vent for instructing photographing has been generated (step 117). If an event for instructing photographing is generated, the portable terminal records the photographed subject and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step 119). That is,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is adjusted again, and then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2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displayed in the photograph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는 휴대용 단말기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즉,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제2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디스플레이 장치(201)에 촬상된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촬상된 이미지에서 확대하고자 하는 소정 선정 영역(202)을 선택하면, 선택된 선정 영역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3)에 확대하여 표시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FIG. 2 (a)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display devices (i.e., a first display device and a second display device) are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n image picked up by the
따라서, 사용자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3)을 확인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초점이 맞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도 2의 (b)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두 개의 표시 영역(즉, 제1 영역, 제2 영역)으로 구분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영역(205)에 촬상된 이미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촬상된 이미지에서 확대하고자 하는 소정 선정 영역(206)을 선택하면, 선택된 선정 영역을 제2 영역(207)에 확대 하여 표시하게 된다.2B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into two display areas (i.e.,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The image picked up in the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영역(207)을 확인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초점이 맞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is in focus by check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 중 단계 101 내지 단계 11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 중 단계 101 내지 단계 115의 동일한 부호를 가지는 단계와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hotograph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3,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115에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이 재조절 된 후, 휴대용 단말기는 촬상된 이미지와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제공 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118).Referring to FIG. 3, after the focus of the image captured in
여기서,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메뉴 또는 미리 정해진 키를 누름으로써 촬영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Here, the user can select an image to be photographed by pressing a menu or a predetermined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단계 118에서,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와 동일한 화각으로 촬영될 이미지를 결정한다(단계 120).If it is determined at
또는, 단계 118에서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제공된 것으로 판단되면, 휴대용 단말기는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정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즉, 제2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화각으로 촬영될 이미지를 결정하고(단계 126), 확대된 선정된 영역의 촬영을 위한 화각을 재조절한다(단계 128).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in
이후,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단계 122),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 촬상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피사체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단계 124). 즉,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여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Then,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n event is instructed to take a picture (step 122), and if an event instructing taking a picture is taken, the portable terminal captures a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and stores the taken image (step 124 ). That is, the focus of the captured image is adjusted again, and then the captured image is stor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을 통해 촬영된 결과를 나타낸다.FIG. 4 shows a photograph taken through a photograph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는 휴대용 단말기의 제1 영역(401)에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에의해 선정된 영역(402)을 제2 영역(403)에 확대한 결과 초점이 맞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고 메뉴 또는 키를 조작하여 선정된 영역(403)이 선명하도록 초점을 재조절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정된 영역(407)에 초점이 맞게된다.4 (a) is an enlarged view of a
이후,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는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takes a picture, a clear picture that focuses on the selected area can be obtained as shown in Fig. 4 (c).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는 사진 촬영 모드가 활성화되면 표시 영역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촬상된 이미지에서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제2 영역을 확인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경우, 휴대용 단 말기는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제1 영역에 표시된 프리뷰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하여 사진을 촬영한다.As shown in FIGS. 1 to 4, according to the method of photograph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activated, the portable terminal divides the display area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Displays an image picked up in the separated first area, enlarge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picked-up image, and displays the enlarged area in the second area. Thereafter, when the user checks the second area and adjusts the focus, the portable terminal captures a picture by adjusting the focus of the preview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so that the selected area is in focus.
따라서, 용이하게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초점을 재조절함으로써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focus of an image to be photographed, and to shoot a clear image by re-adjusting the focus through i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부(510), 제어부(520), 디스플레이부(531), 키입력부(532), 저장부(540), 무선 송수신부(550), 마이크(560) 및 스피커(570)를 포함할 수 있다.5,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카메라부(510)는 렌즈(미도시), CCD 이미지 센서(또는 CMOS 이미지 센서)(미도시), 영상 처리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처리를 거쳐서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 후 제어부(520)에 제공한다.The
여기서, 카메라부(51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렌즈(미도시)의 초점 거리를 조절한다.Here, the
제어부(520)는 키 입력부(532)로부터 사진 촬영 모드 실행 신호가 입력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사진 촬영 모드 실행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531)의 표시 영역을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The
제어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1)를 촬상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 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다.The
제어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1)의 제1 영역에 촬상된 이미지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1)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확대를 위한 소정 영역을 선정 받고, 선정된 영역의 좌표값을 획득한다. 여기서, 제어부(520)는 상기 선정된 영역의 좌표값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의 크기 및 위치 등을 획득할 수 있다.The
이후, 제어부(520)는 획득한 좌표값에 기초하여 선정된 영역의 확대 비율을 계산한다. Then, the
여기서, 제어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1)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를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제2 영역의 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에 기초하여 선정된 영역의 확대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Here, the
다음으로, 제어부(520)는 계산된 확대 비율에 기초하여 선정된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531)의 제2 영역에 표시한다.Next, the
제어부(520)는 키 입력부(532)로부터 초점 조절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디스플레이부(531)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한다. 여기서, 제어부(520)는 카메라부(510)에 포함된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여 선정된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디스플레이부(531)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The
또는, 제어부(520)는 카메라 촬영에 필요한 파라미터 값을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사진 촬영에 관련된 파라미터 중 선예도(Sharpness)값을 조절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사진 촬영에 관련된 파라미터 중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피사체의 심도를 깊게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그리고, 제어부(520)는 키 입력부(532)로부터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피사체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부(540)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1)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여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부(540)에 저장한다.When an event signal for instructing photographing is provided from the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1)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이 재조절 된 후, 키 입력부(532)로부터 촬상된 이미지와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 중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 되었는지를 판단한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제어부(520)는 키 입력부(532)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531)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와 동일한 화각으로 촬영될 이미지를 결정한다.If an event signal for instructing shooting of an image enlarged in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또는, 제어부(520)는 키 입력부(532)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의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부(531)의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정한 영역을 확대한 이미지(즉, 제2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에 상응하는 화각으로 촬영될 이미지를 결정하고, 확대된 선정 영역의 촬영을 위한 화각을 재조절한다.Alternatively, if an event signal for instructing shooting of an image enlarged by a predetermined area is provided from the
이후, 제어부(520)는 키 입력부(532)로부터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 호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사진 촬영을 지시하는 이벤트 신호가 제공되면 디스플레이부(531)의 촬상된 이미지에 해당하는 피사체를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부(540)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520)는 디스플레이부(531)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재조절하여 촬영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부(540)에 저장한다.Then, the
상기와 같은 제어부(520)의 기능은 그래픽 처리 모듈(521)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처리 모듈(521)은 키 입력부(532)로부터 사진 촬영 모드 실행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531)를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디스플레이부(531)의 제2 영역에 확대된 선정 영역의 초점을 재조절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들을 조절하여 확대된 선정 영역에 초점이 맞도록 촬상된 이미지의 초점을 조절한다.The function of the
디스플레이부(531)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입력된 키 이벤트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531 displays a user interfac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event based on the control of the
여기서, 디스플레이부(531)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선정된 영역을 제2 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531)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서 선정된 영역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대하여 표시한다.Here, the display unit 531 enlarges and displays the area selected by the user in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control of the
키 입력부(533)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키가 조작되면 조작된 키에 상응하는 키 코드로 변환한 후, 상기 변환된 키 코드를 제어 부(520)에 제공한다.The key input unit 533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When a predetermined key is operated by the user, the key input unit 533 converts the key code into a key code corresponding to the operated key, and provides the converted key code to the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서는 디스플레이부(531) 및 키 입력부(533)가 서로 독립된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531)의 표시기능과 키 입력부(533)의 입력기능을 동시에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530)이 적용될 수도 있다.5, the display unit 531 and the key input unit 533 are shown as being independent from each other. However,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531 and the key input unit 533 may be applied to the
저장부(540)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기본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예를 들면 운영체제)과 기타 응용프로그램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The
특히, 저장부(54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531)의 제1 영역에 표시된 촬상된 이미지에 해당되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는, 저장부(540)는 제어부(520)의 제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531)의 제2 영역에 표시된 확대된 선정 영역에 해당되는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In particular, the
무선 송수신부(550)는 듀플렉서, 고주파 처리부 및 중간 주파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ANT)에 유기된 무선 고주파 신호(RF: Radio Frequency)를 듀플렉서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한 후 다시 베이스 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20)에 제공하고, 제어부(520)로부터 제공되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중간 주파수의 신호를 다시 무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듀플렉서를 통해 안테나(ANT)에 제공할 수 있다.The
또는, 무선 송수신부(550)는 상기와 같은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 변환을 거쳐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헤테로다인 수신 방식 대신 주파수 변환 없이 수신된 고주파 신호에서 직접 신호를 복조하는 직접 변환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마이크(560)는 음성 통화시 사용자 즉, 발신자의 음성을 입력 받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제어부(520)에 제공한다. 스피커(570)는 음성 코덱(미도시)으로부터 디코딩된 음성 통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공받고 이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출력한다.The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2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displayed in the photographing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진 촬영 방법을 통해 촬영된 결과를 나타낸다.FIG. 4 shows a photograph taken through a photograph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510 : 카메라부 520 : 제어부510: camera unit 520:
521 : 그래픽 처리 모듈 530 : 터치 스크린521: Graphic processing module 530: Touch screen
531 : 디스플레이부 532 : 키 입력부531: Display section 532: Key input section
550 : 무선 송수신부 560 : 마이크550: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560: microphone
570 : 스피커 570: Speaker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9585A KR101578556B1 (en) | 2009-03-09 | 2009-03-09 | Method For Taking Picture Of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9585A KR101578556B1 (en) | 2009-03-09 | 2009-03-09 | Method For Taking Picture Of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1219A KR20100101219A (en) | 2010-09-17 |
KR101578556B1 true KR101578556B1 (en) | 2015-12-17 |
Family
ID=4300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9585A Active KR101578556B1 (en) | 2009-03-09 | 2009-03-09 | Method For Taking Picture Of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855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05028A1 (en) * | 2023-03-28 | 2024-10-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mage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244736B (en) * | 2011-07-08 | 2013-11-13 | 翔德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 Focal length positioning method for fixed-focus camera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8445A (en) * | 1998-06-16 | 2000-03-14 | Ricoh Co Ltd | Digital camera |
KR100714583B1 (en) | 2006-03-30 | 2007-05-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Auto Focusing System |
-
2009
- 2009-03-09 KR KR1020090019585A patent/KR1015785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8445A (en) * | 1998-06-16 | 2000-03-14 | Ricoh Co Ltd | Digital camera |
KR100714583B1 (en) | 2006-03-30 | 2007-05-07 | 삼성전기주식회사 | Camera Auto Focusing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205028A1 (en) * | 2023-03-28 | 2024-10-0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mage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1219A (en) | 2010-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69383B2 (en) | Capture and user interface using night mode processing | |
JP519011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photos with variable image quality | |
KR100762640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shooting mode | |
US9389758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 |
KR101725533B1 (en) | Method and terminal for acquiring panoramic image | |
US2009012864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hotograph | |
CN110113515B (en) |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related product | |
KR20190073518A (en) | Optical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 |
CN111050062B (en) | Shoo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08462833B (en) | Photographing method, photograph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JP5407380B2 (en) | Mobile terminal with imaging function | |
JPWO2008149709A1 (en) |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portable terminal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 |
JP4718950B2 (en) | Image output apparatus and program | |
EP2429175B1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 |
US2009012969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hotograph with variable image quality | |
KR101578556B1 (en) | Method For Taking Picture Of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The Same | |
CN114422687B (en) | Preview imag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05262952A (en) | Mobile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 |
JP2005109623A (en) | Multiple-lens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5306829A (en) | Method and device for taking pictures | |
JP2007088959A (en) | Image output apparatus and program | |
CN115633249A (en) | Shoot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1698414B (en) |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KR100722435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bject size measurement function | |
CN114339017B (en) | Distant view focus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3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