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213B1 - Multi direction changeover valve - Google Patents
Multi direction changeover val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7213B1 KR101577213B1 KR1020150095812A KR20150095812A KR101577213B1 KR 101577213 B1 KR101577213 B1 KR 101577213B1 KR 1020150095812 A KR1020150095812 A KR 1020150095812A KR 20150095812 A KR20150095812 A KR 20150095812A KR 101577213 B1 KR101577213 B1 KR 101577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port
- valve housing
- valve
- cylin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9 multiway swi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one actuating member, e.g. a hand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F16K31/52416—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comprising a multiple-way lift val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 전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외부의 각 냉각요소로 배출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중심부 공간에 설치되며 그 외면으로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캠이 제각기 형성된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과 연동하여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comprising a valve housing formed with a hollow pipe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 discharg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space to respective external cooling elements, A valve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alve housing to interlock with the cam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open and close the port,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rive unit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a shaf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방향 전환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축으로 여러개의 포트를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는 다방향 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plurality of ports individually on one axis to control the flow of fluid.
일반적으로 차량은 냉각수에 의해 엔진이 과냉되거나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냉각수는 엔진에 의해 가열되거나 라디에이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최상의 엔진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엔진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Generally, the vehicle prevents the engine from being sub-cooled or overheated by the cooling water, which is heated by the engine or cooled by the radiator, thereby controlling the engine temperature to obtain the best engine output.
이를 위해 차량에는 냉각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다방향 전환밸브가 사용된다. 즉, 다방향 전환밸브는 엔진, 라디에이터 등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엔진 냉각시스템의 유량을 최적화하여 워밍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엔진의 마찰손실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다방향 전환밸브의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 등록특허 제10-1210208호의 다방향 전환밸브가 있다.To this end,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is used to control the flow of cooling water to the vehicle. That is,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djusts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engine, the radiator, etc. to optimize the flow rate of the engine cooling system, thereby shortening the warm-up time and minimizing the frictional loss of the engine. Prior art of such a multi-way selector valve is the multi-way selector valve of Korean Patent No. 10-1210208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선행기술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는 하우징, 스풀, 구동부로 구성되는데, 하우징은 차폐된 원통의 형상을 갖고, 유체가 소통하는 구멍이 외주면을 따라 행과 열로 형성되어 외주면의 상부 및 하부에 복수의 상부공 및 하부공을 가지며, 내부에 유체가 소통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다.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mposed of a housing, a spool, and a driving unit. The housing has a shape of a shielded cylinder,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communicates is formed in rows and column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an inner space in which fluid is communicated is provided.
또한, 스풀은 하우징의 내부 중간 부분을 차폐하는 판상의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상부공 및 하부공을 분할하고,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상부공 및 하부공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부는 상기 스풀과 축 연결되어 스풀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Further, the spool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member for shielding the inner middle portion of the housing, and divides the upper and lower holes, and rotates inside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lower holes. The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spool to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spool.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풀에 의해 하우징의 상부공 및 하부공이 분할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부공과 하부공에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 이종의 유체가 유입된 후 스풀의 회전에 따라 정해진 유로를 따라 흐르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단일의 유체가 하우징으로 유입된 후 차량의 상태에 맞게 여러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the multi-way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holes of the housing are divided by the spool installed in the housing, the multi- And has a structure that flows along a predetermined flow pat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ool after the fluid is introduce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control so that a single fluid flows into the housing and then supplied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vehicle.
또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스풀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유로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장시간 스풀이 작동하는 경우 스풀의 외주면과 하우징 내주면 간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어 틈새를 형성하게 될 우려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spool rotates inside the housing by the driving unit and has a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ow path, when the spool is operated for a long time, wear occurs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ool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There is a concern.
특히, 선행기술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는 스풀의 외주면과 하우징의 내주면이 항상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스풀과 하우징의 접촉면적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어 그만큼 마모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스풀과 하우징 간의 틈새가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ool rotate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t all tim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pool and the housing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risk of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increases.
이렇게 마모가 발생하여 스풀과 하우징 간에 틈새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틈새를 통해 유체가 원치않게 다른 유로를 유입되는 교란이 일어나 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고, 따라서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When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spool and the housing due to the wear, the flow of the fluid can not be precisely controlled due to disturbanc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gap unintentionally through the gap, have.
또한, 상기와 같은 스풀의 회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게 되는 선행기술은 유체가 소통하는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의 상부공 및 하부공에 대한 개별적인 실링구조를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in which the flow of the fluid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pool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a separate sealing structure to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holes formed in the housing in which the fluid communicat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가 소통하는 다수의 포트를 개별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다방향 전환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capable of individu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ports through which a fluid communicates, thereby precisely controlling the flow of the fluid.
또한, 유체가 소통하는 포트와 이를 개폐하는 밸브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부품의 마모에 따른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다방향 전환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that minimizes a contact area between a port through which a fluid is communicated and a valve body that opens and closes, thereby preventing leakage due to wear of parts.
또한, 포트와 밸브체가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압력을 발생시켜 원치않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다방향 전환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capable of preventing undesired fluid leakage by generating pressure so that the port and the valve body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중공의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외부의 각 냉각요소로 배출하는 다수의 포트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중심부 공간에 설치되며 그 외면으로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캠이 제각기 형성된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과 연동하여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alve housing formed with a hollow pipe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 discharg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space to respective cooling elements; A drive shaft provided in a central space of the valve housing and formed with cams corresponding to the ports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a valve unit interlocked with the cam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open and close the port,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driving shaft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shaft.
여기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밸브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타단을 축받이 하는 하우징 서포터와, 상기 하우징 서포터와 대향하는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이 장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폐쇄하며 구동유닛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커넥터가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alve housing includes a housing support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valve housing and having cooling water introduced thereinto and bearing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shaft, a seat formed at one end of the valve housing facing the housing supporter, And a cover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closing the seat portion and supplying electric energy to the drive unit.
또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캠과 포트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직선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기단에 설치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와,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서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포트를 향해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포트를 개폐하는 누르개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상기 캠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alve unit includes a cylinder supported by the valve housing and positioned between the cam and the port, a piston installed in the cylinder and linearly moving, and a piston installed at a base end of the piston, A rod that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rod and opens and closes the por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and a rod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And a first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m.
또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캠과 포트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직선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기단에 그 일부가 매립되고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구름 운동하는 구름 볼과,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서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포트를 향해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포트를 개폐하는 누르개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름 볼이 상기 캠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alve unit includes a cylinder supported by the valve housing and positioned between the cam and the port, a piston installed in the cylinder and moving linearly, a part of the piston is embedded in the base end of the piston, A rod which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rod and which opens and closes the por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And a first elastic member install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rolling bal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
이때, 상기 누르개는 그 외면 둘레에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er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around its outer surface.
또한,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누르개가 상기 포트를 폐쇄하였을 때 누르개가 포트에 밀착되는 압력을 더하도록 상기 실린더 외측 선단과 누르개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alv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cylinder and the pusher so that the pusher applies pressure to the port when the pusher closes the port.
또한, 상기 로드는 상기 누르개를 관통하여 상기 포트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에 스냅링이 설치되어 누르개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od penetrates through the pusher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port, and a snap ring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rod to fix the pusher.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캠 샤프트와 축 결합하는 웜기어 및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를 축받이 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브라켓에 구동모터, 피니언, 스크류, 웜기어가 조립된 상태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안착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pinion provided on a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 screw rot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pinion, a worm gear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screw and axially coupled with the cam shaft, and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unit is mounted to the seat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in a state where the drive motor, the pinion, the screw, and the worm gear are assembled to the bracket.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에 의하면, 밸브 하우징에 형성된 다수의 포트를 하나의 구동 샤프트에 의해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어 밸브유닛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전달 계통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포트를 개별적으로 단속할 수 있어 냉각수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ports formed in the valve housing can be opened or closed by one drive shaft,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operating the valve unit is simplified, So that the flow of the cooling water can be precisely controlled.
또한, 구동 샤프트에 형성된 캠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유닛이 캠과 구름 운동하기 때문에 부품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부품의 마모에 따른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valve unit that converts the rotation of the cam formed in the drive shaft into linear motion and the valve unit that opens and closes the port moves with the cam and rolls, the wear of the parts can be minimized, Thereby increasing the lifetime of the battery.
또한, 구동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이 반조립 상태로 모듈화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동유닛을 안착부에 설치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e unit that provide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shaft is modularized into a semi-assembled state, so that the drive unit can be installed quickly and easily on the seat,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과 구동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구동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lve unit and a driving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lve unit among the multi-directional change-over val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alve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alve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는 다수의 포트(150)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100), 밸브 하우징(100)에 형성된 포트(150)에 대응하는 캠(210)이 형성된 구동 샤프트(200), 구동 샤프트(200)의 회전에 따라 캠(210)과 연동하여 포트(150)를 개폐하는 밸브유닛(300), 구동 샤프트(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400)으로 구성된다.The multi-directional switch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부연하자면, 밸브 하우징(100)은 중공의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외부의 각 냉각요소로 배출하는 다수의 포트(150)가 형성된다.In detail, the
이러한 밸브 하우징(100)은 냉각수가 유입되며 구동 샤프트(200)를 축받이 하는 하우징 서포터(110), 구동유닛(400)이 장착되는 안착부(120), 안착부(120)를 폐쇄하는 커버(130)로 구성된다.The
하우징 서포터(110)는 밸브 하우징(100)의 타단에 형성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서포터(110)는 밸브 하우징(100)의 타단 내경에 밀착되는 외경을 갖는 중공된 원판의 형상을 갖되 그 중심에 구동 샤프트(200)의 타단을 축받이 하는 지지 홀(114)이 형성되며, 지지 홀(114)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리브(116)가 형성된다.The
이렇게 지지 홀(114)을 중심으로 리브(116)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면 리브(116)와 리브(116) 사이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수가 유입되는 유입 홀(11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구동 샤프트(200)의 타단을 축받이 하는 지지 홀(114)의 내부에는 구동 샤프트(2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되어 구동 샤프트(200)가 구동유닛(400)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설정된 각도 내에서만 회동될 수 있다.When the
즉, 구동 샤프트(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400)의 구동모터(410)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로 구성되어 구동 샤프트(200)가 360도를 넘어 회전하지 않고 일정 범위(예를 들어, 0도에서 320도) 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지지 홀(114)에 형성된 스토퍼는 구동 샤프트(200)가 일정 범위를 넘어서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That is, the
안착부(120)는 밸브 하우징(100)의 타단에 형성된 하우징 서포터(110)와 대향하는 밸브 하우징(100)의 일단에 형성되어 구동유닛(400)이 장착된다. 이러한 안착부(120)는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00)의 일단에서 일측이 개방된 박스의 형상을 갖고 구동 샤프트(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400)이 장착된다.The
이때, 안착부(120)는 밸브 하우징(100)의 축선과 동일한 관통 홀(122)이 형성되어 구동 샤프트(200)가 밸브 하우징(100)에 위치하게 될 때 구동 샤프트(200)의 일단이 안착부(120)의 관통 홀(122)을 통해 돌출되어 구동유닛(400)과 축 결합하게 된다. 이때, 안착부(120)의 관통 홀(122)에는 베어링(미도시)과 같은 축받이 부재가 설치되어 구동 샤프트(200)가 회전할 때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커버(130)는 일측이 개방된 안착부(120)를 폐쇄하여 안착부(120)에 장착된 구동유닛(4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안착부(120)를 개방할 수 있게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안착부(120)의 일측에 조립된다. 이때 커버(130)와 안착부(120) 사이에는 가스켓(140)이 설치되어 안착부(120)에 커버(130)가 조립되었을 때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수분이 안착부(1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The
또한, 커버(130)는 구동유닛(4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구동모터(4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커넥터(132)가 마련되는데, 커넥터(132)는 안착부(120)에 구동유닛(400)이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선이 형성된다.The
한편, 구동 샤프트(200)는 밸브 하우징(100)의 중심부 공간에 설치되며 그 외면으로 밸브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포트(150)에 제각기 대응하는 캠(210)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 샤프트(200)는 일단이 앞서 설명한 밸브 하우징(100)의 일단에 마련되는 안착부(120)의 관통 홀(122)을 관통하여 구동유닛(400)과 축 결합하게 되며 타단이 하우징 서포터(110)에 형성된 지지 홀(114)에 조립되어 구동유닛(400)의 작동에 따라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이렇게, 구동 샤프트(200)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밸브 하우징(100)에 형성된 포트(150)에 대응하는 캠(210)이 구동 샤프트(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포트(15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밸브유닛(300)으로 포트(15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밸브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수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밸브유닛(300)의 구조를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As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과 구동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lve unit and a driving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lve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유닛(300)은 캠(210)과 포트(150)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310), 실린더(310) 내부에 설치되는 피스톤(320), 캠(210)과 접촉한 상태로 구름 운동하는 롤러(330), 피스톤(320)으로부터 연장되어 실린더(310)를 관통하는 로드(340), 로드(340)의 선단에 마련되어 포트(150)를 개폐하는 누르개(350), 롤러(330)가 캠(210)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360)로 구성된다.The
실린더(310)는 밸브 하우징(100)에 지지되는 것으로 구동 샤프트(200)의 캠(210)과 밸브 하우징(100)에 형성된 포트(15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310)는 피스톤(320)이 직선이동할 수 있게 그 내부가 중공된 관의 형상을 갖고 구동 샤프트(200)를 향하는 기단이 개방된다. 또한, 실린더(310)의 외측 선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밸브 하우징(100)에 고정된다.The
피스톤(320)은 앞서 설명한 실린더(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린더(310)를 따라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320)은 포트(150)를 향하는 선단에 로드(340)가 일체로 형성되고, 구동 샤프트(200)의 캠(210)을 향하는 기단에 롤러(330)가 마련된다.The
이렇게 피스톤(320)의 기단에 마련되는 롤러(330)는 구동 샤프트(200)의 캠(210)과 접촉한 상태에서 구름 운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데, 롤러(330)는 피스톤(320)의 기단과 일체로 한 쌍의 지지대(321)가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대(321)를 가로질러 핀(322)이 구비되어 상기 핀(322)에 롤러(3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이에 따라 롤러(330)는 구동 샤프트(200)의 회전에 따라 캠(210)의 외면과 접촉한 상태로 구름 운동하면서 피스톤(320)을 실린더(310) 내에서 직선이동시키게 된다.The
이때, 롤러(330)는 구동 샤프트(200)에 형성된 캠(210)과 접촉하여 구름 운동하게 될 때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롤러(330)에 윤활제가 흡습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로드(340)는 피스톤(320)의 선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실린더(310)를 관통하여 밸브 하우징(100)의 포트(150)를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로드(340)의 선단에는 구동 샤프트(200)에 형성된 캠(210)의 회전에 따라 포트(150)를 개방하는 누르개(350)가 마련되는데, 누르개(35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의 형상을 갖고 그 외면 둘레에 실링부재(370)가 구비된다.The
누르개(350)는 로드(340)의 선단과 마주하는 면에 로드(340)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구멍을 형성하여 누르개(350)와 로드(340)가 억지끼움에 의해 고정되거나 또는 로드(340)의 선단과 마주하는 면에 나사 홀을 형성하고, 로드의 선단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로드(340)와 누르개(350)가 나사산 체결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누르개(350)에 구비되는 실링부재(370)는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우레탄,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져 누르개(350)가 포트(150)를 폐쇄하였을 때 누르개(350)와 포트(150) 사이를 밀봉하여 누르개(350)와 포트(150) 사이로 냉각수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sealing
이러한 실링부재(370)는 누르개(350)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실링부재(370)를 교체할 수 있게 누르개(350)로부터 착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한편, 상기 누르개(3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추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의 형태, 원기둥의 형태를 갖되 포트(150)와 접하게 되는 외면의 지름이 포트(15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포트를 긴밀하게 폐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르개(35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제1탄성부재(360)는 실린더(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롤러(330)가 구동 샤프트(200)에 형성된 캠(210)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제1탄성부재(36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실린더(310)의 내부 중 로드(340)에 개재된 상태로 피스톤(320)의 선단에 위치하여 롤러(330)를 캠(210)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first
한편, 구동유닛(400)은 밸브 하우징(100)의 일단에 마련된 안착부(120)에 장착되어 구동 샤프트(200)가 회전될 수 있게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drivin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구동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유닛(400)은 전기 에너지를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구동모터(410), 구동모터(41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420), 피니언(420)과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430), 스크류(430)와 맞물려 회전하며 구동 샤프트(200)와 축 결합하는 웜기어(440)로 구성된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특히, 구동유닛(400)은 안착부(120)에 구동유닛(400)이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게 브라켓(450)을 포함하는데, 브라켓(450)은 평탄면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브라켓(450)에 구동유닛(400)과 피니언(420), 스크류(430), 웜기어(440)가 조립됨으로써, 구동유닛(400)이 반조립 상태로 모듈화되어 반조립 상태의 구동유닛(400)을 안착부(120)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구동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렇게, 구동모터(410), 피니언(420), 스크류(430), 웜기어(440)를 반조립 상태로 모듈화시키는 브라켓(450)은 스크류(430)를 축받이 할 수 있게 아이들 샤프트(452)가 마련되는데, 스크류(430)는 그 중심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아이들 샤프트(452)가 스크류(430)를 관통하여 지지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의 작동을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Operation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는 밸브 하우징(100)의 하우징 서포터(110)에 형성된 유입 홀(112)을 통해 냉각수가 유입된다. 그리고, 냉각수를 필요로 하는 각 냉각요소에 냉각수가 공급될 수 있게 밸브유닛(300)이 작동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oling water flowing through an
이때, 밸브유닛(300)의 작동을 위해 구동유닛(400)으로부터 회전력이 구동 샤프트(200)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구동 샤프트(200)의 캠(210)이 구동 샤프트(20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t this time, rotational force from the
이렇게, 구동 샤프트(200)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캠(210)에 밀착된 롤러(330)가 캠(210)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면서 밸브 하우징(100)에 형성된 포트(150)를 개폐시켜 냉각수의 흐름을 단속하게 된다. As the
이때, 구동 샤프트(200)는 밸브 하우징(100)에 형성된 포트(150)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캠(210)이 형성되고, 각 캠(210)은 밸브유닛(300)이 제각기 설치되어 구동 샤프트(200)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어느 한 포트(150)는 개방되어 냉각수가 공급되고 또 다른 포트(150)는 폐쇄되어 냉각수의 공급이 차단되는 일렬의 행정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전환밸브에 의하면, 밸브 하우징(100)에 형성된 다수의 포트(150)를 하나의 구동 샤프트(200)에 의해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어 밸브유닛(30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전달 계통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포트(150)를 개별적으로 단속할 수 있어 냉각수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A plurality of
또한, 구동 샤프트(200)에 형성된 캠(210)의 회전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포트(150)를 개폐하는 밸브유닛(300)이 캠(210)과 구름 운동하기 때문에 부품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부품의 마모에 따른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수명을 증가시키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또한, 구동 샤프트(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400)이 반조립 상태로 모듈화되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구동유닛(400)을 안착부(120)에 설치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는 밸브유닛이 도 4 및 도 5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탄성부재(380)가 마련되거나 로드(340)가 누르개(350)를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valve unit has the structure as shown in FIGS. 4 and 5, but in some cases, the secon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유닛(300)은 누르개(350)가 포트(150)를 폐쇄하였을 때 누르개(350)가 포트(150)에 밀착되는 압력을 더하도록 실린더(310) 외측 선단과 누르개(350) 사이에 제2탄성부재(38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3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alve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누르개(350)와 로드(340)가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로드(340)의 선단은 누르개(350)를 관통하여 포트(15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로드(340)의 선단에 스냅링(390)이 설치되어 누르개(350)와 로드(340)가 고정될 수 있다.The tip of the
상기와 같이 로드(340)가 누르개(350)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게 되면, 로드(340)와 누르개(350)의 조립 시 로드(340)의 선단을 누르개(350)를 관통시킨 후 로드(340)의 선단에 스냅링(390)을 설치하는 것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로드(340)에 누르개(350)를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한편, 밸브유닛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210)과 접촉한 상태로 구름 운동하는 롤러(330)가 피스톤(320)의 기단에 마련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롤러를 대신하여 구름 볼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unit may be provided at the base end of th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전환밸브 중 밸브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유닛(300)은 피스톤(320)의 기단에 구의 형태를 갖는 구름 볼(330a)이 설치되어 캠(210)의 회전에 따라 구름 볼(330a)이 구름 운동하게 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alve uni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ing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를 위해 피스톤(320)의 기단에는 구름 볼(330a)이 매립되는 매립 홈(323)이 형성되고, 상기 매립 홈(323)에 구의 형태를 갖는 구름 볼(330a)이 장착된다. 이때, 구름 볼(330a)은 그 일부가 피스톤(320)의 기단을 통해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360)로부터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구동 샤프트(200)의 캠(210)과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 샤프트(200)의 회전에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된다.To this end, the base of the
이와 같이 피스톤(320)의 기단에 구름 볼이 마련되면 캠(210)이 회전하게 될 때 구름 볼(330a)이 전면적에 걸쳐 구름 운동하게 됨으로써 구름 볼(330a)은 캠(210)의 접촉에 따른 특정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정밀하게 포트(150)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다.When the rolling ball is provided at the base end of the
즉,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20)의 기단에 롤러(330)가 마련되는 경우 캠(210)과 롤러(330)의 접촉 부위가 롤러(330)의 원주방향에 국한되어 편마모가 발생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20)의 기단에 구 형태의 구름 볼(330a)이 마련되는 경우 캠(210)과 구름 볼(330a)에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구름 볼(330a)과 캠(210)의 접촉 부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마모가 발생하는 부분이 구름 볼(330a)의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발생하기 때문에 편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포트(150)의 개폐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5 and 8, when the
100 : 밸브 하우징 110 : 하우징 서포터
112 : 유입 홀 114 : 지지 홀
116 : 리브 120 : 안착부
122 : 관통 홀 130 : 커버
132 : 커넥터 140 : 가스켓
150 : 포트 200 : 구동 샤프트
210 : 캠 300 : 밸브유닛
310 : 실린더 320 : 피스톤
321 : 지지대 322 : 핀
323 : 매립 홈 330 : 롤러
330a : 구름 볼 340 : 로드
350 : 누르개 360 : 제1탄성부재
370 : 실링부재 380 : 제2탄성부재
390 : 스냅링 400 : 구동유닛
410 : 구동모터 420 : 피니언
430 : 스크류 440 : 웜기어
450 : 브라켓 452 : 아이들 샤프트100: valve housing 110: housing supporter
112: inlet hole 114: support hole
116: rib 120:
122: through hole 130: cover
132: connector 140: gasket
150: Port 200: Drive shaft
210: cam 300: valve unit
310: cylinder 320: piston
321: Support 322: Pin
323: buried groove 330: roller
330a: cloud ball 340: rod
350: pusher 360: first elastic member
370: sealing member 380: second elastic member
390: snap ring 400: drive unit
410: drive motor 420: pinion
430: screw 440: worm gear
450: Bracket 452: Idle shaft
Claims (8)
상기 밸브 하우징의 중심부 공간에 설치되며 그 외면으로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캠이 제각기 형성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과 연동하여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캠과 포트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직선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기단에 설치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구름 운동하는 롤러;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서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포트를 향해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포트를 개폐하는 누르개;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가 상기 캠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
A valve housing formed with a hollow pipe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 discharg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space to respective external cooling elements;
A drive shaft installed in a central space of the valve housing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ormed with cams corresponding to the ports, respectively;
A valve unit interlocked with the cam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open and close the port; And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alve housing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shaft,
The valve unit
A cylinder supported in the valve housing and positioned between the cam and the port;
A piston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and moving linearly;
A roller installed at a base end of the piston and roll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A rod extending through the cylinder at the tip of the piston and extending toward the port;
A pushbutton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ro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rt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cam; And
And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bring the roller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밸브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의 타단을 축받이 하는 하우징 서포터;
상기 하우징 서포터와 대향하는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유닛이 장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를 폐쇄하며 구동유닛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커넥터가 마련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alve housing
A housing support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valve housing to receive cooling water and bear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shaft;
A seat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a valve housing facing the housing supporter and mounted with the driving unit; And
And a cover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closing the seat portion and supplying electric energy to the drive unit.
상기 밸브 하우징의 중심부 공간에 설치되며 그 외면으로 상기 포트에 대응하는 캠이 제각기 형성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과 연동하여 상기 포트를 개폐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캠과 포트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직선이동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기단에 그 일부가 매립되고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구름 운동하는 구름 볼;
상기 피스톤의 선단에서 실린더를 관통하여 상기 포트를 향해 연장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선단에 마련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포트를 개폐하는 누르개; 및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름 볼이 상기 캠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
A valve housing formed with a hollow pipe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ports for discharging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entral space to respective external cooling elements;
A drive shaft installed in a central space of the valve housing and having an outer surface formed with cams corresponding to the ports, respectively;
A valve unit interlocked with the cam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o open and close the port; And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valve housing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shaft,
The valve unit
A cylinder supported in the valve housing and positioned between the cam and the port;
A piston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and moving linearly;
A cloud ball in which a part of the piston is embedded at a base end thereof and roll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A rod extending through the cylinder at the tip of the piston and extending toward the port;
A pushbutton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ro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ort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cam; And
And a first elastic member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bring the rolling ball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am.
상기 누르개는 그 외면 둘레에 실링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pushbutton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around its outer surface.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누르개가 상기 포트를 폐쇄하였을 때 누르개가 포트에 밀착되는 압력을 더하도록 상기 실린더 외측 선단과 누르개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valve uni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resilient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end of the cylinder and the pusher so that when the pushbutton closes the port, the pusher presses against the port.
상기 로드는
상기 누르개를 관통하여 상기 포트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드의 선단에 스냅링이 설치되어 누르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rod
And a snap ring is provided at a tip end of the rod so as to fix the pusher.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캠 샤프트와 축 결합하는 웜기어; 및
상기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를 축받이 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브라켓에 구동모터, 피니언, 스크류, 웜기어가 조립된 상태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안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전환밸브.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e unit
A pinion provided on a rotary shaft of the drive motor;
A screw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pinion;
A worm gear rotatably engaged with the screw and axially engaged with the cam shaft; And
And a bracket provided with the driving motor and bearing the screw,
Wherein the drive unit is mounted to a seat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in a state where a driving motor, a pinion, a screw, and a worm gear are assembled to the bracket.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812A KR101577213B1 (en) | 2015-07-06 | 2015-07-06 | Multi direction changeover valve |
CN201580081506.2A CN107849966A (en) | 2015-07-06 | 2015-08-03 | Multi-way reversing valve |
PCT/KR2015/008085 WO2017007063A1 (en) | 2015-07-06 | 2015-08-03 | Multiway switch val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812A KR101577213B1 (en) | 2015-07-06 | 2015-07-06 | Multi direction changeover valv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7213B1 true KR101577213B1 (en) | 2015-12-15 |
Family
ID=55021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5812A Active KR101577213B1 (en) | 2015-07-06 | 2015-07-06 | Multi direction changeover valv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7213B1 (en) |
CN (1) | CN107849966A (en) |
WO (1) | WO2017007063A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3441A (en) | 2016-07-29 | 2018-02-07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Valve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KR101875650B1 (en) * | 2016-10-21 | 2018-07-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olant control valve unit and engien system having this |
KR20190029958A (en) * | 2017-09-13 | 2019-03-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trol system of coolant control valve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90029955A (en) * | 2017-09-13 | 2019-03-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olant control valve unit having holder |
KR20190056029A (en) | 2017-11-16 | 2019-05-24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Integral multi valve device with a water pump for vehicle |
WO2024035022A1 (en) * | 2022-08-08 | 2024-02-15 | Hanon Systems | Electronic fluid valve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12322A (en) * | 2019-01-07 | 2020-07-14 |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 Motor fixing structure of electronic valve |
CN111412321A (en) * | 2019-01-07 | 2020-07-14 |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 An electronic valve and its valve body structure |
CN109538818A (en) * | 2019-01-08 | 2019-03-29 |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double sealing structure of electronic valve |
CN114246475A (en) * | 2020-09-22 | 2022-03-29 |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 Water outlet device and automatic water supply machine with said water outlet device |
WO2025052282A1 (en) * | 2023-09-06 | 2025-03-13 | Biar Sa | Sampling device in a fluidic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8245A (en) | 2000-09-21 | 2002-04-05 | Denso Corp | Flow control valve, and cool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the same |
JP2008504504A (en) * | 2004-06-28 | 2008-02-14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Control valves for fluid circuits, especially engine cooling circuits |
JP2008279372A (en) * | 2007-05-11 | 2008-11-20 | Techno Excel Co Ltd | Mechanism of opening and closing cam driving valve for water purifier selector valve |
JP2009243475A (en) | 2008-03-28 | 2009-10-22 | Denso Corp | Fluid control valv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74945U (en) * | 1986-10-28 | 1988-05-18 | ||
EP1660807A4 (en) * | 2003-09-02 | 2012-01-18 | Airsep Corp | Rotary cam valve |
CN100365334C (en) * | 2004-03-16 | 2008-01-30 | 曹建钢 | Plane sealed 3-way valve |
FR2955168B1 (en) * | 2010-01-14 | 2012-02-10 | Mann & Hummel Gmbh | CONTROL VALVE FOR LIQUID CIRCULATION CIRCUIT |
CN202441922U (en) * | 2012-03-07 | 2012-09-19 | 常州市华立液压润滑设备有限公司 | Continuous flow three-way switching valve |
JP5811132B2 (en) * | 2013-04-18 | 2015-11-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Exhaus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DE102013107293B4 (en) * | 2013-07-10 | 2020-02-20 | Pierburg Gmbh | Control valve unit for cooling circuits of a motor vehicle |
-
2015
- 2015-07-06 KR KR1020150095812A patent/KR101577213B1/en active Active
- 2015-08-03 WO PCT/KR2015/008085 patent/WO201700706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03 CN CN201580081506.2A patent/CN10784996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8245A (en) | 2000-09-21 | 2002-04-05 | Denso Corp | Flow control valve, and cool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the same |
JP2008504504A (en) * | 2004-06-28 | 2008-02-14 |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 Control valves for fluid circuits, especially engine cooling circuits |
JP2008279372A (en) * | 2007-05-11 | 2008-11-20 | Techno Excel Co Ltd | Mechanism of opening and closing cam driving valve for water purifier selector valve |
JP2009243475A (en) | 2008-03-28 | 2009-10-22 | Denso Corp | Fluid control valve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3441A (en) | 2016-07-29 | 2018-02-07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Valve devi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KR101875650B1 (en) * | 2016-10-21 | 2018-07-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olant control valve unit and engien system having this |
US10161536B2 (en) | 2016-10-21 | 2018-12-25 | Hyundai Motor Company | Coolant control valve unit |
KR20190029958A (en) * | 2017-09-13 | 2019-03-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ntrol system of coolant control valve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90029955A (en) * | 2017-09-13 | 2019-03-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Coolant control valve unit having holder |
KR102359939B1 (en) | 2017-09-13 | 2022-02-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olant control valve unit having holder |
KR102371254B1 (en) | 2017-09-13 | 2022-03-04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ontrol system of coolant control valve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KR20190056029A (en) | 2017-11-16 | 2019-05-24 |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 Integral multi valve device with a water pump for vehicle |
WO2024035022A1 (en) * | 2022-08-08 | 2024-02-15 | Hanon Systems | Electronic fluid valv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849966A (en) | 2018-03-27 |
WO2017007063A1 (en) | 2017-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7213B1 (en) | Multi direction changeover valve | |
CN110651144B (en) | Flow control three-way valve a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 |
US20150316156A1 (en) | Flow passage switching valve | |
US9115812B2 (en) | Plug valve with a spring biased plug | |
KR20150088234A (en) | Refrigerant valve device | |
US20080314463A1 (en) | Control valve with integrated insert providing valve seat and plug guides | |
JP2023527532A (en) | Actuating member and switching valve | |
KR20170135285A (en) | Flow switching valve selectively distribuiting fluid to multiple outlets | |
CN104350313A (en) | Shut-off valve | |
JP2019027556A (en) | Flow control valve | |
KR101861424B1 (en) | Rotary fluid regulator | |
JP2013199975A (en) | Piston-type working fluid pressure actuator and control valve | |
JP6907086B2 (en) | Check valve and steam turbine | |
KR100568665B1 (en) | Disc Moveable Butterfly Valve | |
EP2676056A1 (en) | Valve assembly | |
KR101787971B1 (en) | Water valve assembly for vehicle | |
KR101845250B1 (en) | Flow switching valve selectively distribuiting fluid to multiple outlets | |
JP2011202707A (en) | Flow passage opening and closing valve | |
KR101826924B1 (en) | Flow control valve and flow control valve apparatus | |
CN219510180U (en) | Integrated multi-pass water valve | |
US20130026405A1 (en) | Rotary valve and rotary valve seal | |
KR101168918B1 (en) | Butterfly valve having control function of sealing performance | |
GB2542551A (en) | Valve | |
US20140326343A1 (en) | Electrically drivable valve for regulating volume flows in a heating and/or cool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 |
KR101562497B1 (en) | Valve with structure having improving operating performance of opening and shutting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