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170B1 -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7170B1 KR101577170B1 KR1020150095093A KR20150095093A KR101577170B1 KR 101577170 B1 KR101577170 B1 KR 101577170B1 KR 1020150095093 A KR1020150095093 A KR 1020150095093A KR 20150095093 A KR20150095093 A KR 20150095093A KR 101577170 B1 KR101577170 B1 KR 1015771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fmc
- telephone number
- user terminal
- vo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46—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ubscriber uses a multi-mode terminal which moves and accesses different networks with at least one network having a wireline access including cordless PBX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44—Least cost rou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44—Least cost routing
- H04M15/8055—Selecting cheaper transport technology for a give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44—Least cost routing
- H04M15/8061—Selecting least cost route depending on origin or type of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0—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 H04M15/8088—Rating or billing plans; Tariff determination aspects involving increased rates, e.g. spam messaging billing differenti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27—Collaboration services where a computer is used for data transfer and the telephone is used for telephonic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3: 데이터망
200: FMC 서버
210: 발신제어장치
211: 제1통화로형성부
213: 착발신정보수신부
215: 제2통화로형성부
217: 통화로연결부
230: 착신제어장치
231: 제2통화로형성부
233: 착발신정보통지부
235: 제1통화로형성부
237: 통화로연결부
300: FMC 단말
310: 발신제어장치
311: 제1통화로형성부
313: 착발신정보통지부
315: 통화부
330: 착신제어장치
331: 제1통화로형성부
333: 착발신정보수신부
335: 통화부
Claims (41)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FMC 내선 전화번호를 기초로 한 음성 발신 이벤트의 발생 시,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로부터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로 발신된 음성(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통화로형성부;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발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 FMC 내선 전화번호 및 상기 착신 상대방 단말의 착신 전화번호를 수신하기 위한 착발신정보수신부;
상기 수신된 발신 FMC 내선 전화번호 및 착신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 간의 제2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통화로형성부; 및
상기 제1 통화로와 상기 제2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 간에 통화하도록 하기 위한 통화로연결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화로형성부는 상기 FMC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대방 착신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상기 제2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화로에 대한 발신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이고 착신번호는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화로형성부는,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부터 호출이 있음을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로 통지하고, 상기 통지 결과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제2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발신 단말 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로부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착신지로 하는 음성(착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2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2통화로형성부;
상기 수신된 음성 호의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로서의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착발신정보통지부;
상기 통지된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 번호 및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통화로형성부; 및
상기 제1 통화로와 상기 제2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에 통화하도록 하는 통화로연결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정보통지부는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 전화가 왔음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제1통화로형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화로에 대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는 각각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 및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화로형성부는 상기 FMC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화하여 상기 제1 통화로를 형성하고, 상기 착발신정보통지부는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호출이 있음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화로에 대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는 각각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기초로 음성 발신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고 FMC 서버의 전화번호를 착신 번호로 하는 음성(발신) 호를 음성전화망을 통해 발신하여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통화로형성부;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음성 발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로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 및 상대방 착신 단말의 착신 전화번호를 상기 FMC 서버로 통지하기 위한 착발신정보통지부; 및
상기 형성된 제1 통화로 및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 간에 상기 통지된 전화번호를 기초로 음성전화망을 통해 형성된 제2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과 통화하기 위한 통화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의 음성 착신 이벤트의 발생 시, 음성전화망을 통해 FMC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통화로형성부;
상기 음성 착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대방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성 착신 이벤트의 착발신 정보를 인지하기 위한 착발신정보수신부; 및
상기 형성된 제1 통화로 및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 간에 음성전화망을 통해 형성된 제2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통화하기 위한 통화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 포함되는 장치로서,
데이터망을 통해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의 착신 이벤트가 있음을 FMC 서버로부터 통지 받아 인지하기 위한 착발신정보수신부;
상기 착신 이벤트의 인지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로부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제1통화로형성부; 및
상기 형성된 제1 통화로 및 상기 착신 이벤트에 따라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 간에 음성전화망을 통해 형성된 제2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통화하기 위한 통화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착신 단말 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FMC 내선 전화번호를 기초로 한 음성 발신 이벤트의 발생 시,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로부터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로 발신된 음성(발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b)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 발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 FMC 내선 전화번호 및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의 착신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발신 FMC 내선 전화번호 및 착신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단말 간의 제2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통화로와 상기 제2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 간에 통화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삭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FMC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대방 착신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상기 제2 통화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화로에 대한 발신번호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이고 착신번호는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부터 호출이 있음을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로 통지하는 단계; 및
(c-2)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제2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발신 단말 간의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FMC(Fixed Mobile Convergence)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로부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착신지로 하는 음성(착신) 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2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음성 호의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로서의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통지된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 번호 및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를 기초로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통화로와 상기 제2 통화로를 연결하여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에 통화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삭제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 전화가 왔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통지하는 단계; 및
(b-2)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제1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화로에 대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는 각각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 및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FMC 서버로부터 상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화하여 상기 제1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b-2)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호출이 있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화로에 대한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는 각각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기초로 음성 발신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를 발신 번호로 하고 FMC 서버의 전화번호를 착신 번호로 하는 음성(발신) 호를 음성전화망을 통해 발신하여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단계;
(b)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음성 발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발신번호 및 착신번호로서의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 및 상대방 착신 단말의 착신 전화번호를 상기 FMC 서버로 통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형성된 제1 통화로 및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 간에 상기 통지된 전화번호를 기초로 음성전화망을 통해 형성된 제2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착신 단말과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의 음성 착신 이벤트의 발생 시, 음성전화망을 통해 FMC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하여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음성 착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대방 발신 단말의 전화번호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를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음성 착신 이벤트에 대응하는 착발신 정보를 인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형성된 제1 통화로 및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 간에 음성전화망을 통해 형성된 제2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Native 전화번호와 FMC 내선 전화번호를 가진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데이터망을 통해 상대방 발신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FMC 내선 전화번호로의 착신 이벤트가 있음을 FMC 서버로부터 통지 받아 인지하는 단계;
(b) 상기 착신 이벤트의 인지 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Native 전화번호로부터 음성전화망을 통해 상기 FMC 서버의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FMC 서버 간의 제1 통화로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형성된 제1 통화로 및 상기 착신 이벤트에 따라 상기 FMC 서버와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 간에 음성전화망을 통해 형성된 제2 통화로를 통해 상기 상대방 발신 단말과 통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화망은 VoLTE, 3G, 인터넷 전화망, 및 PST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망은 WiFi, 인터넷, 및 L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 - 제20항 내지 제21항, 제23항 내지 제27항, 및 제29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제20항 내지 제21항, 제23항 내지 제27항, 및 제29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 제20항 내지 제21항, 제23항 내지 제27항, 및 제29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093A KR101577170B1 (ko) | 2015-07-03 | 2015-07-03 |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PCT/KR2016/006022 WO2017007134A1 (ko) | 2015-07-03 | 2016-06-08 |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JP2018519661A JP6541876B2 (ja) | 2015-07-03 | 2016-06-08 | 有無線融合システムにおける音声通信制御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
US15/739,585 US10334102B2 (en) | 2015-07-03 | 2016-06-08 |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control in fixed-mobile convergenc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5093A KR101577170B1 (ko) | 2015-07-03 | 2015-07-03 |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7170B1 true KR101577170B1 (ko) | 2015-12-11 |
Family
ID=5502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5093A Active KR101577170B1 (ko) | 2015-07-03 | 2015-07-03 |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334102B2 (ko) |
JP (1) | JP6541876B2 (ko) |
KR (1) | KR101577170B1 (ko) |
WO (1) | WO201700713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8944B1 (ko) * | 2021-04-06 | 2021-08-12 | 박철우 | Mqtt 기능을 활용한 유무선 음성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3030B1 (ko) * | 2017-12-18 | 2020-07-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올레핀 중합체,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필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5145B1 (ko) | 2012-05-13 | 2014-02-20 | 넥스트엠솔루션 주식회사 | 유무선 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084128A2 (en) * | 2004-03-04 | 2005-09-15 | Outsmart Ltd. | Integration of packet and cellular telephone networks |
US9537704B2 (en) * | 2006-05-24 | 2017-01-03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Method and apparatus for migrating active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erminals |
JP4713434B2 (ja) * | 2006-09-29 | 2011-06-29 | 京セラ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管理装置 |
KR100892114B1 (ko) * | 2006-10-26 | 2009-04-08 | 유엔젤주식회사 | 호 전환 플러스 서비스 방법 |
US20080123834A1 (en) * | 2006-11-26 | 2008-05-29 | Sam Brown | Automatic Foreign Exchange Consolidation |
KR20080095421A (ko) * | 2007-04-24 | 2008-10-29 | 신하철 |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콜백 방식의 통화 시스템 및 통화방법 |
EP2191386A4 (en) * | 2007-08-24 | 2014-01-22 | Cisco Tech Inc | PROVIDING VIRTUAL SERVICES WITH A BUSINESS ACCESS GATEWAY |
KR20080064774A (ko) * | 2008-05-30 | 2008-07-09 | 주식회사 케이티 |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
JP5353110B2 (ja) * | 2008-08-18 | 2013-11-27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発信元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通信網内サーバ |
US8521137B2 (en) * | 2008-08-21 | 2013-08-27 | Shoretel, Inc. | System and method for voicemail service mobility |
JP5212071B2 (ja) * | 2008-12-15 | 2013-06-19 | 富士通株式会社 | 通信装置および移動端末 |
US8078151B2 (en) * | 2009-02-23 | 2011-12-13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park a voice call for data transfer |
US8208931B2 (en) * | 2009-02-26 | 2012-06-26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PBX mobility system with multiple call legs |
CA2726036C (en) * | 2010-04-01 | 2014-08-19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Third party call control & status signaling |
JP5334215B2 (ja) * | 2011-07-21 | 2013-11-06 |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電話交換機、その代理応答方法、その代理応答用プログラム、及び電話システム |
US10973059B2 (en) * | 2011-07-27 | 2021-04-06 | Vonage America, Llc |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
US8934882B2 (en) * | 2011-12-22 | 2015-01-13 | Vonage Network,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terminating telephony communications to mobile telephony devices |
US9894501B2 (en) * | 2012-03-30 | 2018-02-13 | Arris Enterprises Llc | Handover of on-hold session between fixed packet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
JP2013251861A (ja) * | 2012-06-04 | 2013-12-12 | Ricoh Co Ltd | 音声通話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
KR20140051596A (ko) * | 2012-10-23 | 2014-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내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호 착신 시 발신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JP5466750B1 (ja) * | 2012-11-16 | 2014-04-09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Pbx加入者データ登録方法およびpbxシステム |
US20160066365A1 (en) * | 2014-08-28 | 2016-03-03 | Vonage Network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terminating telephony communications to mobile telephony devices |
-
2015
- 2015-07-03 KR KR1020150095093A patent/KR101577170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6-08 US US15/739,585 patent/US103341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6-08 JP JP2018519661A patent/JP654187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6-08 WO PCT/KR2016/006022 patent/WO201700713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5145B1 (ko) | 2012-05-13 | 2014-02-20 | 넥스트엠솔루션 주식회사 | 유무선 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8944B1 (ko) * | 2021-04-06 | 2021-08-12 | 박철우 | Mqtt 기능을 활용한 유무선 음성통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07134A1 (ko) | 2017-01-12 |
US10334102B2 (en) | 2019-06-25 |
JP2018524955A (ja) | 2018-08-30 |
JP6541876B2 (ja) | 2019-07-10 |
US20180316790A1 (en) | 2018-11-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7170B1 (ko) |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1796649B1 (ko) |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로 제어 장치 및 방법 | |
CN102340604A (zh) | 用于通信转发的方法和系统 | |
US20170111402A1 (en) | Call method, call apparatus, voip server, and call system | |
EP3185617B1 (en) | Meeting management system, meeting management device, wireless terminal, meeting management method, and meeting management program | |
KR101463947B1 (ko) | 유무선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 |
CN113382483B (zh) | 一种呼叫建立方法、基站及网络设备 | |
KR101668405B1 (ko) | 유무선 융합 서비스 시 fmc 단말의 통신 제어 장치 및 방법 | |
CN108616492A (zh) | 实现多方通话的方法、装置及多通终端 | |
KR101401843B1 (ko) | Mim 메시지 통신을 위한 방법, 서버, 및 기록 매체 | |
JP5644185B2 (ja) | 通信システム | |
KR20170013657A (ko) | 페이징 콜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1590542B1 (ko) |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EP4418794A1 (en) | Method of data exchange for maintainace of artificial intellegence or machine learning models in wireless communication | |
KR101793783B1 (ko) | 가상 리오더톤의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0640288B1 (ko) | 콜러 아이디를 이용한 원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억세스포인트 및 그 방법 | |
KR100634416B1 (ko) | 유무선 착신호 스위칭 장치 및 방법 | |
CN105933293A (zh) | 一种呼叫准入控制的方法和系统 | |
US20230269773A1 (en) |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101605688B1 (ko) | 무료통화기능이 포함된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 |
KR20160056385A (ko) | 사용자 프레즌스에 따른 발착신 제어를 위한 단말 및 방법 | |
JP5551493B2 (ja) | サービス制御装置、ガイダンス制御システム、及びガイダンス制御方法 | |
JP5618927B2 (ja) | ユーザ端末及び通信方法 | |
KR20100094813A (ko) |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내선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US20170201626A1 (en) | Altering voicemail greetings based on communication st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