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5903B1 -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903B1
KR101575903B1 KR1020080137868A KR20080137868A KR101575903B1 KR 101575903 B1 KR101575903 B1 KR 101575903B1 KR 1020080137868 A KR1020080137868 A KR 1020080137868A KR 20080137868 A KR20080137868 A KR 20080137868A KR 101575903 B1 KR101575903 B1 KR 10157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emiconductor substrate
active
source plate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396A (ko
Inventor
심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137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903B1/ko
Priority to US12/633,616 priority patent/US8217447B2/en
Priority to TW098142614A priority patent/TW201025578A/zh
Priority to CN200910265541A priority patent/CN101771055A/zh
Publication of KR2010007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9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3Manufacturing their source or drain regions, e.g. silicided source or drain regions
    • H10D84/0133Manufacturing common source or drain regions between multiple IGF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49Manufacturing their interconnections or electrodes, e.g. source or dr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9/00Aspects of integrated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10D84/00 - H10D88/00
    • H10D89/10Integrated device layouts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소자분리막 및 활성영역(active area); 상기 활성영역 상에 형성된 메모리 게이트; 상기 메모리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및 상기 제어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공통 소스라인 컨택을 포함하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활성영역인 소스 플레이트는 비트라인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은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Flash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실시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는 비휘발성 기억매체이면서도 데이터의 기록, 읽기, 삭제 등의 처리 속도가 비교적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PC의 Bios용, 셋탑 박스, 프린터 및 네트워크 서버 등의 데이터 저장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폰 등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를 사용하는 스택 게이트 타입(stack gate type)과 SONOS(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구조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좁은 영역에 단위 셀을 밀집시켜야 경쟁력을 얻을 수 있어, 소스(source)에 각각 컨택(contact)을 형성하기 보다는 공통 소스 라인(common source line)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이때, 공통 소스 라인은 비트라인(bit line)보다 크게 형성하고 있으나, 불규칙한 크기를 가지는 라인으로 인해 인접한 비트라인의 형성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균일한 패턴 형성이 어려워진다.
실시예는 비트라인과 동일한 간격으로 공통소스라인을 형성하여 메모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소자분리막 및 활성영역(active area); 상기 활성영역 상에 형성된 메모리 게이트; 상기 메모리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및 상기 제어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공통 소스라인 컨택을 포함하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활성영역인 소스 플레이트는 비트라인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은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확장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영역은 이웃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웃하는 소스 플레이트의 확장영역은 상호간에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여 활성영역(active area)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메모리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공통 소스라인 컨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활성영역인 소스 플레이트는 비트라인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공 통 소스라인 컨택은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스 컨택이 형성되는 소스 플레이트(source plate)도 비트라인 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활성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소스 플레이트와 인접한 비트 라인의 변동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스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소스 플레이트에 확장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확장영역을 포함하는 소스 플레이트에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을 형성하여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플레이트의 활성영역과 비트라인 영역의 활성영역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마스크(mask)의 제작이 간단해지며, 소자분리막 형성을 위한 절연물질의 갭필(gap-fill)에 용이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공정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에 소자분리막(5)을 형성하여 활성영역(10)을 정의한다.
소자분리막(5)은 반도체 기판(100)에 트렌치를 형성한 후, 절연물질을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통 소스 라인 컨택(common source line contact)이 형성되는 활성영역(10)인 소스 플레이트(15)는 비트 라인(bit line)의 활성 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의 활성영역과 비트라인 영역의 활성영역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마스크(mask)의 제작이 간단해지며, 소자분리막 형성을 위한 절연물질의 매립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상기 소스 플레이트(15)가 상기 비트 라인 컨택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소스 플레이트(15)는 복수개의 활성영역(10)으로 형성된다.
상기 확장영역(25)은 소자분리막(5) 형성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자분리막(5)의 트렌치 형성을 위한 포토 공정시, 트렌치를 비트라인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확장영역(25)을 포함하는 활성영역(10) 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00)에 메모리 게이트(memory gate)를 형성할 수 있다.
메모리 게이트는 스택 게이트 타입(stack gate type)일 때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게이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SONOS(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타입의 메모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제어게이트(control gate, 20)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게이트(20)는 폴리실리콘(polysilico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영역(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 등의 공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에 형성된 공통 소스라인(40)에 공통 소스라인 컨택(30)을 형성한다.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30)은 X축 방향인, 상기 활성영역(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의 활성영역(10)도 상기 비트라인의 활성영역(10)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소스 플레이트(15)를 연결시키기 위해, 가로축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팅 컨택으로 형성한다.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30)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컨택 형성 공정을 진행하여, 공통 소스라인 컨택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에 형성된 상기 소스라인 컨택(30)은 N개의 비트 라인(bit line) 단위 별로 공통 소스라인(40)에 공통으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공정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0)에 소자분리막(5)을 형성하여 활성영역(10)을 정의한다.
소자분리막(5)은 반도체 기판(100)에 트렌치를 형성한 후, 절연물질을 매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통 소스 라인 컨택(common source line contact)이 형성되는 활성영역(10)인 소스 플레이트(15)는 비트 라인(bit line)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통 소스 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에는 상기 활성영역(10)이 돌출된 확장영역(25)이 형성된다.
상기 확장영역(25)은 상기 소스 플레이트(15) 사이의 거리가 더욱 가까워지도록 서로 이웃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15)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확장영역(25)은 소자분리막(5) 형성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자분리막(5)의 트렌치 형성을 위한 포토 공정시, 트렌치를 비트라인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하되,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될 영역은 이웃하는 활성영역(10) 사이에 상기 확장영역(25)이 형성되도록 남겨둠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확장영역(25)은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시 소스 플레이트(15) 사이에 상기 확장영역(25)이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또한, 확장영역(25)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웃하는 활성영역(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확장영역(25)을 포함하는 활성영역(10)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00)에 메모리 게이트(memory gate)를 형성할 수 있다.
메모리 게이트는 스택 게이트 타입(stack gate type)일 때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메모리 게이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SONOS(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타입의 메모리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게이트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제어게이트(control gate, 20)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게이트(20)는 폴리실리콘(polysilicon)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영역(10)과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 등의 공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에 형성된 상기 확장영역(25)에 공통 소스라인 컨택(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확장영역(25)은 공통 소스라인(40)의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30)은 X축 방향인, 상기 활성영역(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의 활성영역(10)도 상기 비트라인의 활성영역(10)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소스 플레이트(15)를 연결시키기 위해, 가로축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팅 컨택으로 형성한다.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30)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한 후, 컨택 형성 공정을 진행하여, 공통 소스라인 컨택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영역(25)을 포함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15)에 형성된 상기 소스라인 컨택(30)은 N개의 비트 라인(bit line) 단위 별로 공통 소스라인(40)에 공통으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스 컨택이 형성되는 소스 플레이트(source plate)도 비트라인 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활성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소스 플레이트와 인접한 비트 라인의 변동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스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소스 플레이트에 확장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확장영역을 포함하는 소스 플레이트에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을 형성하여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플레이트의 활성영역과 비트라인 영역의 활성영역의 간격이 동일하므로, 마스크(mask)의 제작이 간단해지며, 소자분리막 형성을 위한 절연물질 의 갭필(gap-fill)에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공정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공정 평면도이다.

Claims (12)

  1.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소자분리막 및 활성영역(active area);
    상기 활성영역 상에 형성된 메모리 게이트;
    상기 메모리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및
    상기 제어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공통 소스라인 컨택을 포함하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활성영역인 소스 플레이트는 비트라인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은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확장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영역은 이웃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웃하는 소스 플레이트의 확장영역은 상호간에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컨택은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활성영역을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은 상기 소자분리막 형성과 동시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컨택은 이웃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서로 인접한 상기 확장영역과 동시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
  7. 반도체 기판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여 활성영역(active area)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활성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메모리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제어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게이트를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공통 소스라인 컨택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영역의 활성영역인 소스 플레이트는 비트라인의 활성영역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은 상기 활성영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부팅 컨택(butting contact)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 소스라인 컨택이 형성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확장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영역은 이웃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웃하는 소스 플레이트의 확장영역은 상호간에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컨택은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활성영역을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영역은 상기 소자분리막 형성과 동시에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컨택은 이웃하는 상기 소스 플레이트에 형성된 서로 인접한 상기 확장영역과 동시에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80137868A 2008-12-31 2008-12-31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868A KR101575903B1 (ko) 2008-12-31 2008-12-31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2/633,616 US8217447B2 (en) 2008-12-31 2009-12-08 Flash memory device with a plurality of source plates
TW098142614A TW201025578A (en) 2008-12-31 2009-12-11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0910265541A CN101771055A (zh) 2008-12-31 2009-12-25 快闪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868A KR101575903B1 (ko) 2008-12-31 2008-12-31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396A KR20100079396A (ko) 2010-07-08
KR101575903B1 true KR101575903B1 (ko) 2015-12-08

Family

ID=4228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8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903B1 (ko) 2008-12-31 2008-12-31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17447B2 (ko)
KR (1) KR101575903B1 (ko)
CN (1) CN101771055A (ko)
TW (1) TW2010255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7851A (ko) * 2011-11-01 201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079A1 (en) * 2004-02-18 2005-08-18 Koucheng Wu Nor-type channel-program channel-erase contactless flash memory on SOI
US20070181933A1 (en) * 2005-12-30 2007-08-09 Stmicroelectronics S.R.I. Non-volatile memory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4545B1 (en) * 2000-12-19 2002-09-03 Motorola, Inc. Device structure for storing charge and method therefore
JP2003068878A (ja) * 2001-08-23 2003-03-07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33774A (ko) * 2002-10-16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의 전기적 연결 배선 및 그 제조방법
US7052947B2 (en) * 2003-07-30 2006-05-30 Promos Technologies Inc. Fabrication of gate dielectric in nonvolatile memories in which a memory cell has multiple floating ga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9079A1 (en) * 2004-02-18 2005-08-18 Koucheng Wu Nor-type channel-program channel-erase contactless flash memory on SOI
US20070181933A1 (en) * 2005-12-30 2007-08-09 Stmicroelectronics S.R.I. Non-volatile memory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25578A (en) 2010-07-01
CN101771055A (zh) 2010-07-07
KR20100079396A (ko) 2010-07-08
US8217447B2 (en) 2012-07-10
US20100163969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4470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vertical memory cell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07003309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N100466293C (zh) 闪存器件及其制造方法
CN102969337A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1992235A (zh) Nor型闪存单元阵列及其制造方法
US20120241867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52150B1 (en) High endurance non-volatile memory cell
US7394696B2 (en)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157590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5741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4290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80237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9834B1 (ko) 반도체 퓨즈 회로, 상기 반도체 퓨즈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상기 반도체 장치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
US9825045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KR20100080226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59959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51048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355243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383515B2 (en) Methodology for wordline short reduction
KR100884979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20110079840A1 (en) Memory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emory structure
KR100789610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20060113610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8012194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917816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