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570B1 - The structure of assembly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The structure of assembly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5570B1 KR101575570B1 KR1020150052947A KR20150052947A KR101575570B1 KR 101575570 B1 KR101575570 B1 KR 101575570B1 KR 1020150052947 A KR1020150052947 A KR 1020150052947A KR 20150052947 A KR20150052947 A KR 20150052947A KR 101575570 B1 KR101575570 B1 KR 101575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piece
- frame member
- piece
- curved
- bolt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의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하고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면의 자유로운 형태 변화와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건물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는 조립식 건물의 기둥 및 보로 사용되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틀부재는, 중앙에 볼트 체결공을 형성하고 둘레 면이 사각형태를 이루는 본체와, 이 본체의 둘레 면 일측에 돌출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1 연결편과, 이 제1 연결편에 상호 결합되도록 대응하거나 직교하는 본체의 둘레 면에 각각 돌출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2 연결편과, 본체의 나머지 둘레 면에 형성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3 연결편 및 이 제3 연결편의 내측에 돌출되면서 선단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4 연결편으로 이루어지고; 이 틀부재에 일단이 결합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는, 이격된 지지편의 상하부 중앙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하고 이 볼트 체결공 외측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체결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틀부재과 차기 지지틀이 연속 결합되어 직선 및 곡선 벽체를 구성하며, 상기 틀부재의 제3 연결편에 상기 지지부재의 체결편 일단 또는 양단을 끼워서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in which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each component are simple and the shape and extension of a straight line or a curved surface can be freely changed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a body having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extending frame members for use as pillars and beams of a prefabricated building comprising a body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formed at its center and a peripheral face having a square shape, A second connecting piece projecting from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or orthogonal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and having a hook at the tip thereof, A third connecting piece formed on the oth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connecting piece and having a hoo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distal end thereof and a fourth connect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third connecting piece, The support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at one end thereof and maintains the gap, is formed with bolt fastening hole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paced apart support members. The bolt fastening holes protrude up and down outside the bolt fastening holes, And a fastening piece formed thereon; The frame member and the next support frame are continuously joined to form a straight and curved wall, and one end or both ends of the fastener of the support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third connection piece of the frame member to maintain the shape there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건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구성요소의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하고 길이 및 폭 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면의 자유로운 형태 변화와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조립식 건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일반적인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조립식 건물 구조체는 외부와 차단하면서 방음과 보온의 갖도록 절곡 형성된 강판제 또는 단열용 판넬 등을 길이 및 폭 방향으로의 직선 또는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Th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for constituting a general wall body is made of a steel plate or a heat insulating panel which is bent to have a sound insulation and a heat insulation while being shielded from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straight or curved shape in the length and width directions.
예컨대 아래의 특허문헌 1의 "조립형 블록"은 건축용 내,외장재에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 소재의 블록으로서, 불규칙한 굴곡부가 형성된 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의 외측에 다른 조립체와 끼움 결합되는 외측 결합부와 내측결합부가 각각 "ㄱ"자 형상 또는 "ㄴ"자 형상을 지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조립형 블록은 외장 벽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외측 결합부와 차기 본체의 내측결합부를 상호 결합하는 것으로 평면(직선) 벽체만을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the "assembling block" of the following
또한, 특허문헌 2의 "단열벽 구조물"은 복수의 외측 벽 패널과 내측 벽 패널을 포함하면서, 외측 벽 패널과 인접한 내측 벽 패널 사이를 패널 커넥터로 연결하고 그 사이에 하중 지탱 재료(발포성 폴리머 발포체)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단열벽 구조물은 건축물의 외측 벽뿐만 아니라 경계벽 또는 옹벽과 같은 독립식 벽일 수고 있고 바닥, 지붕, 천장 또는 다른 수평형 또는 경사진 구조물 부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단열벽 구조물은 복수의 외측 벽 패널과 내측 벽 패널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벽체를 구성하고 그 사이에 충진 재료를 발포하는 것으로 역시 평면(직선) 벽체만을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heat insulating wall structure" of
또한, 특허문헌 3의 "가변형 방음판'은 이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가진 하나 이상의 패널; 상기 패널의 가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패널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가로부재; 상기 패널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로부재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부재; 상기 패널의 상단 및 하단에 개별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세로부재를 지지하는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 및 상기 패널, 가로부재, 세로부재,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흡음재를 포함하면서, 상기 패널은 높이방향으로 상호 적층되는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의 상호 접촉하는 단부에는 조립돌기 및 조립홈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가변형 방음판은 가변형 방음판의 높이, 폭, 길이 등과 같은 치수 조절이 자유롭고, 각종 시각 이미지의 표출을 더욱 선명하게 할 수 있으나, 역시 평면(직선) 벽체만을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variable soundproofing plate" of
또한, 특허문헌 4의 "가변형 방음패널 조립체"는 상하로 연결되는 복수의 패널들과; 상기 패널들의 이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로부재들과; 상기 가로부재들의 이면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세로부재들과; 상기 패널들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부재와; 상기 패널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가변형 방음패널 조립체는 방음벽의 높이, 폭, 길이 등과 같은 치수 조절이 자유로움과 동시에, 패널들의 상하 연결에 따른 구조 및 작업이 간단한 것이나, 역시 평면(직선) 벽체만을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the "variable soundproof panel assembly" of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끼움 결합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결합부분이 출몰 또는 회전하면서 용도 및 미감에 적합하게 외형의 형성을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조립 가능하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표출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물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in the form of a sidewall, so that a beautiful appearance can be expressed and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건물 구조체는 조립식 건물의 기둥 및 보로 사용되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틀부재와, 이 틀부재에 일단이 결합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져 벽체를 구성하되; 상기 틀부재는, 중앙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하고 둘레 면이 사각형태를 이루는 본체와, 이 본체의 둘레 면 일측 양단에 돌출 형성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양단에 형성한 제1 연결편과, 이 제1 연결편에 상호 결합되도록 대응하거나 직교하는 본체의 둘레 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양단에 형성한 제2 연결편과, 본체의 나머지 둘레 면 양단에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이 상호 결합되도록 선단 내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3 연결편 및 이 제3 연결편의 내측 중앙부분인 본체의 둘레 면에 돌출형성되면서 선단에 나사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4 연결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편의 상하부를 연결하면서 중앙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을 형성하고 이 볼트 체결공 외측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선단 외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체결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틀부재의 제2 연결편에 차기 틀부재의 제1 연결편을 끼워 연속 결합시키거나 틀부재의 제4 연결편에 차기 틀부재의 제2 연결편을 끼워 연속 결합시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결한 직선 및 곡선 벽체를 구성하며, 상기 직선 및 곡선 벽체를 구성하는 틀부재의 제3 연결편에 상기 지지부재의 체결편 일단 또는 양단을 끼워서 직선 및 곡선 벽체의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a frame member installed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so as to be used as a column and a beam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nd a support member, Lt; / RTI > The frame memb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bolt fastening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quadrangular shape, a protrus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 second connecting piece protruding from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ody corresponding to or orthogonal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hook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ends thereof at both ends thereof, A third connecting piece having an engaging step formed on an inner side of its tip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is mutually engaged and a third engaging piece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connecting piece and having a screw hole formed at the tip thereof, A fourth connecting piece; The support member includes bolt fastening holes which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ieces and whic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ieces. The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bolt fastening holes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downward, ≪ / RTI > A first connecting piece of the frame member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of the frame member, or a second connecting piece of the frame member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ing piece of the frame member, And one end or both ends of the fastening piece of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nnecting piece of the frame member constituting the straight and curved wall so a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wall. .
본 발명의 조립식 건물 구조체에 따르면, 틀부재의 상호 끼움 결합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들 결합부분이 출몰 또는 회전하면서 용도 및 미감에 적합하게 외형의 형성을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조립 가능하여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벽체의 외관을 더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면서 심미감을 갖도록 미려하게 표출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결합으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외부에 미장되는 몰탈은 틀부재의 제1 연결편 및 제2 연결편 및 이들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의 지지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the frame members with each other by a mutual fitting method, and the shape of the outer frame can be assembled in a straight line or a curved shape suitable for use and aesthetics,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made of a curved surface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can be displayed so as to have an aesthetical feel. The durability can be maintained by the engagement of the support members, And by the support of the latching jaws formed at the ends of the latche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achment,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가 직선 벽체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가 곡선 벽체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가 내측 및 외측으로 배치되면서 직선 벽체를 구성하는 상태를 나타낸 결합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가 내측 및 외측으로 배치되면서 직선 벽체를 구성하고 외측에 몰탈을 미장한 상태를 나타낸 결합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의 틀부재를 곡면으로 절곡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곡면으로 절곡한 틀부재를 연결하여 땅콩형 곡선 벽체를 형성하는 상태를 나낸 사시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물 구조체로 이루어진 땅콩형 및 계란형의 곡선 벽체를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 입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a combin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aight wall is formed.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a combin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ved wall is formed. FIG.
FIG. 5 is a front view of a combin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raight wall is formed while being disposed inside and outside. FIG.
FIG. 6 is a front view of a combin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rranged inward and outward to form a straight wall, and a mortar is formed on the outsid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rame member of the assembl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a curved surfac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ame member curved to a curved surface of FIG. 7 is connected to form a peanut-shaped curved wall.
FIGS. 9A and 9B are three-dimensional views showing a peanut-shaped and egg-shaped curved wall constituted by th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립식 건물의 기둥 및 보로 사용되도록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틀부재(2)와, 이 틀부재(2)에 일단이 결합되어 간격을 유지시키는 지지부재(3)로 이루어져 벽체(1)를 구성하는 기본 구성을 이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본 발명의 핵심기술은 틀부재(2)가 상호 연이어 용이하게 결합되면서 단일 또는 복수의 직선 및 곡선 벽체(1a, 1b)를 구성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량하고, 상기 틀부재(2)의 설정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3)의 마련과 이들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개량한 것이다.The key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즉, 상기 틀부재(2)는 도 2에서와 같이 미 도시된 고정용 볼트가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볼트 체결공(21)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 체결공(21)의 둘레 면이 사각형태를 이는 본체(20)가 마련된다.That is, the
또한, 이 본체(20)의 둘레면 일측 양단으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양단에 형성한 제1 연결편(22)을 마련하게 되고, 이 제1 연결편(22)에 끼워져 상호 결합되도록 대응하거나 직교하는 본체(20)의 둘레 면에 각각 연장 돌출형성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양단에 형성한 제2 연결편(23)을 마련하게 되며, 본체(20)의 나머지 둘레 면 양단에 연장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부재(3)의 일단이 상호 결합되도록 선단 내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3 연결편(24)을 마련하게 되고, 이 제3 연결편(24)의 내측 중앙부분인 본체(20)의 둘레 면에 돌출형성되면서 선단에 나사 체결공(25')이 형성되고 외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4 연결편(25)을 마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connecting
그리고 상기 틀부재(2)의 제1 연결편(22) 및 제3 연결편에 차기 틀부재(2)의 제2 연결편(23)이 상호 끼워져 연결되어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직선 벽체(1a)를 구성할 수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틀부재(2)의 제1 연결편(22)에 차기 틀부재(2)의 제2 연결편(23)이 상호 끼워져 연결되어 곡선 벽체(1b)를 구성하게 된다.3 and 6, the first connecting
또한, 상기 틀부재(2)은 도 7 및 8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곡선부(2a)를 이루도록 절곡한 후 상호 연결하여 도 9a 및 9b에서와 같이 돔 형상의 계란형 및 땅콩형 등 곡면 벽체(1b)를 구성할 수 있다.7 and 8, the
한편, 지지부재(3)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단일 틀부재(2) 또는 내외측에 배치되는 틀부재(2)에 결합되어 그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운데가 공간이 되도록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편(31)이 마련되고, 이 지지편(31)의 상하부를 연결하면서 중앙에 미 도시된 고정용 볼트가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32)이 형성되며, 이 볼트 체결공(32) 외측 상하방향으로 연장 돌출형성되면서 선단 외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체결편(33)이 마련되어 이루어진다.2 and 5, 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는 도 6에서와 같이 틀부재(2)의 상호 결합으로 내측벽과 외측벽을 구성할 때 내측벽과 외측벽의 간격이 변화될 때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3)의 지지편(31)을 절단하여 분할 형성하게 되고, 이 분할된 지지편(31) 사이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편(4)을 마련하여 내측벽과 외측벽의 간격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6, the supporting
상기 지지부재(3)의 지지편(31)에 끼워지는 연결편(4)은 미 도시된 통상적인 나사못 등으로 체결됨을 밝혀둔다.It is noted that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틀부재(2) 및 지지부재(3)는 내구성 유지 및 곡선 절곡이 가능하도록 알루미늄 소재로 압출 성형하여 만들어진다.Further,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틀부재(2)의 제2 연결편(23)에 차기 틀부재(2)의 제1 연결편(22)을 끼워 연속 결합시키거나, 도 6에서와 같이 틀부재(2)의 제4 연결편(25)에 차기 틀부재(2)의 제2 연결편(23)을 끼우고 이어서 틀부재(2)의 제1 연결편(22)에 차기 틀부재(2)의 제2 연결편(23)을 연속 결합시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결한 직선 벽체(1a)를 단일 또는 이중으로 구성하게 된다.3, the
또한, 도 4에서와 곡선 벽체(1b)를 구성하는 틀부재(2)의 제3 연결편(23)에 상기 지지부재(3)의 체결편(33)의 일단을 끼워서 곡선 벽체(1b)를 이루는 형태를 유지시키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3)의 체결편(33)의 타단에도 도 6에서와 같이 틀부재(2)를 결합시켜 이중 벽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4 and the third connecting
그리고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호 직선 벽체(1a)를 구성하는 틀부재(2)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제1, 제2, 제3 연결편(22, 23, 24)으로 몰탈(5)을 미장하면 몰탈(5)이 제1, 제2, 제3 연결편(22, 23, 24) 자체 및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의 지지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어 수명이 연장되고, 직선 벽체(1a) 내부는 밀폐된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6, the
또한, 도 7과 같이 틀부재(2)의 길이방향으로 곡선부(2a)를 이루도록 절곡한 후 상호 연결하게 되면 도 8 및 도 9a, 9b에서와 같이 돔형, 계란형 및 땅콩형 등 다양한 수직벽 및 천장 등에 사용되는 곡면 벽체(1b)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독특한 미감을 표출하는 벽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1: 벽체 1a: 직선 본체
1b: 곡선 본체
2: 틀부재 21: 볼트 체결공
22: 제1 연결편 23: 제2 연결편
24: 제3 연결편 25: 제4 연결편
25': 나사 체결공
3: 지지부재 31: 지지편
32: 볼트 체결공 33: 체결편
4: 연결편 5: 몰탈1:
1b: Curved body
2: frame member 21: bolt fastening hole
22: first connecting piece 23: second connecting piece
24: third connecting piece 25: fourth connecting piece
25 ': Screw fastener
3: Support member 31: Support piece
32: bolt fastening hole 33: fastening piece
4: Connection 5: mortar
Claims (3)
상기 틀부재(2)는, 중앙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21)을 형성하고 둘레 면이 사각형태를 이루는 본체(20)와, 이 본체(20)의 둘레 면 일측 양단에 돌출 형성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양단에 형성한 제1 연결편(22)과, 이 제1 연결편(22)에 상호 결합되도록 대응하거나 직교하는 본체(20)의 둘레 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면서 선단에 걸림턱을 양단에 형성한 제2 연결편(23)과, 본체(20)의 나머지 둘레 면 양단에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지지부재(3)의 일단이 상호 결합되도록 선단 내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3 연결편(24) 및 이 제3 연결편(24)의 내측 중앙부분인 본체(20)의 둘레 면에 돌출형성되면서 선단에 나사 체결공(25')이 형성되고 외측에 걸림턱을 형성한 제4 연결편(2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3)는, 양측에 배치되는 지지편(31)의 상하부를 연결하면서 중앙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볼트 체결공(32)을 형성하고 이 볼트 체결공(32) 외측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선단 외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체결편(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틀부재(2)의 제2 연결편(23)에 차기 틀부재(2)의 제1 연결편(22)을 끼워 연속 결합시키거나 틀부재(2)의 제4 연결편(25)에 차기 틀부재(2)의 제2 연결편(23)을 끼워 연속 결합시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결한 직선 및 곡선 벽체(1a, 1b)를 구성하며, 상기 직선 및 곡선 벽체(1a, 1b)를 구성하는 틀부재(2)의 제3 연결편(23)에 상기 지지부재(3)의 체결편(33) 일단 또는 양단을 끼워서 직선 및 곡선 벽체(1a, 1b)의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물 구조체.
A frame member 2 installed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so as to be used as a column and a beam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nd a support member 3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frame member 2 to maintain a gap, In the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The frame member 2 includes a main body 20 formed with a bolt fastening hole 21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having a peripheral surface in a quadrangular shape, A first connecting piece 22 formed at both ends with a hook at its tip and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ody 20 corresponding to or orthogonal to the first connecting piece 22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 second connecting piece 23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20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23 formed on both ends of the remaining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nd having a hooking step formed inside the tip end, And a fourth connecting piece 25 'which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0 which is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third connecting piece 24 and has a screw hole 25');
The support member 3 is formed with bolt fastening holes 32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pieces 31 disposed on both sides thereof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fastening piece (33)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forming a fastening protrusion outside the tip thereof;
The first connecting piece 22 of the frame member 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piece 23 of the frame member 2 continuously or the fourth connecting piece 25 of the frame member 2 is inserted into the frame member 1b constituting straight and curved walls 1a and 1b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eces 23 of the first and second curved walls 1a and 1b, And one end or both ends of the fastening piece (33) of the supporting member (3) are fitted to the third connecting piece (23) of the second member (2) so a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traight and curved walls Structure.
2. The assembly building of claim 1, wherein the frame member (2) is curved to form a curved portion (2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2)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urved wall (1b)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2947A KR101575570B1 (en) | 2015-04-15 | 2015-04-15 | The structure of assembly construction |
PCT/KR2016/003623 WO2016167512A1 (en) | 2015-04-15 | 2016-04-07 | Assembly-type building structure |
CN201610230848.2A CN106049706B (en) | 2015-04-15 | 2016-04-14 | Assembly type build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2947A KR101575570B1 (en) | 2015-04-15 | 2015-04-15 | The structure of assembly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5570B1 true KR101575570B1 (en) | 2015-12-08 |
Family
ID=5487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29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5570B1 (en) | 2015-04-15 | 2015-04-15 | The structure of assembly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5570B1 (en) |
CN (1) | CN106049706B (en) |
WO (1) | WO2016167512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0225B1 (en) * | 2020-12-16 | 2021-06-28 | (주)팁페어스 | Frame structure for exhibition booth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hibition booth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1725B2 (en) * | 1990-06-08 | 1997-04-16 | 株式会社アールシーコア | Lightweight dome and connector therefor |
CN2391936Y (en) * | 1999-06-08 | 2000-08-16 | 梁志强 | Combined partition section bar |
JP2005291242A (en) * | 2004-03-31 | 2005-10-20 | Shinshu Tlo:Kk | Joint member |
US20060042178A1 (en) * | 2004-08-27 | 2006-03-02 | Karl Hetzel | Garden window sub frame assemblies |
DE202004014175U1 (en) * | 2004-09-11 | 2004-12-09 | Klughardt, Roland | System for assembly of cabins, housings and walls has supporting framework constructed from profiles which have one or more plates, and plates form wide slot to accommodate panel elements |
KR101354891B1 (en) * | 2005-11-11 | 2014-01-22 |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 Space structure body |
KR20090037222A (en) * | 2007-10-11 | 2009-04-15 | (주)다우텍 | Panel fixing device |
KR20100013913A (en) * | 2008-08-01 | 2010-02-10 | (주)동신캐노피 | Easy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steel-frame structure for arcade |
CN203977633U (en) * | 2014-06-18 | 2014-12-03 | 武汉理工大学 | Wood-plastic material partition wall |
-
2015
- 2015-04-15 KR KR1020150052947A patent/KR1015755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4-07 WO PCT/KR2016/003623 patent/WO201616751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4-14 CN CN201610230848.2A patent/CN106049706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0225B1 (en) * | 2020-12-16 | 2021-06-28 | (주)팁페어스 | Frame structure for exhibition booth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hibition booth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049706B (en) | 2019-07-23 |
CN106049706A (en) | 2016-10-26 |
WO2016167512A1 (en) | 2016-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46199B2 (en) | Steel house structural members | |
US8776468B2 (en) | Insulation roof or floor panels with deformation resistant elements for composite insulated concrete roof or floor system and such system | |
JP2018003300A (en) | External heat insulation structure of building | |
JP5203101B2 (en) | Wooden bracing corner mounting structure | |
KR101663035B1 (en) | A self-assembly house building it myself using block of cube type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 |
KR101409796B1 (en) | Unit modular house connection structure using bent column for unit modular house | |
KR101575570B1 (en) | The structure of assembly construction | |
JP4625528B2 (en) | Building unit structural member and floor structure using the unit structural member | |
KR101980663B1 (en) | Modular unit for container | |
JP2020133262A (en) | Wooden building | |
JP5758607B2 (en) | Handrail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handrail wall | |
KR101421634B1 (en) | Assembling structure | |
JP6096659B2 (en) | Wooden frame building | |
KR102787561B1 (en) | A materials for decoration of building outer wall to provide choosingly fanciness of wave shape or straight line shape | |
JP2005068763A (en) | Interval holding member for forming concrete placing space | |
KR100252640B1 (en) | Wall assembly of a building | |
JP7075732B2 (en) | Workframe | |
JP3974994B2 (en) | Interior wall and its support | |
JP2018115491A (en) | Building structure | |
JP5133801B2 (en) | Wall panels | |
JP2011162955A (en) | Partition wall | |
JP2016044442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deck | |
JP2024158201A (en) | A connection structure for concrete forms that build two different sides | |
JP2017002636A (en) | Outer wall part heat insulation structure | |
JP2004316274A (en) | Building structure and building with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9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