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3538B1 - 냉장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538B1
KR101573538B1 KR1020090010936A KR20090010936A KR101573538B1 KR 101573538 B1 KR101573538 B1 KR 101573538B1 KR 1020090010936 A KR1020090010936 A KR 1020090010936A KR 20090010936 A KR20090010936 A KR 20090010936A KR 101573538 B1 KR101573538 B1 KR 10157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mperature
defrost
defrosting
defrosting ope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644A (ko
Inventor
박용주
김수청
이수원
신규원
김영글
최봉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538B1/ko
Priority to US13/147,924 priority patent/US20110289945A1/en
Priority to PCT/KR2010/000515 priority patent/WO2010093132A2/en
Priority to CN201080007546XA priority patent/CN102317724B/zh
Publication of KR2010009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5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3Control of the air flow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며 통상적인 냉동운전을 수행하는 통상운전 단계;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기 전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일 경우, 제1설정시간동안 상기 압축기는 구동시키고 상기 압축기를 냉각하는 송풍팬은 정지시켜 압축기 출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키는 제상 전 운전단계; 제상운전 시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절환밸브가 동작되어 상기 압축기의 토출 냉매가 증발기측으로 직접 안내되어 제상을 실시하는 제상운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상운전 단계의 완료 후에는 상기 통상운전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저온에서의 제상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제상, 외기온도, 저온

Description

냉장고 제어방법 {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냉장고에 구비되는 증발기에는 수분의 착상 및 결빙에 의해 서리가 발생하게 된다. 증발기에 서리가 발생하게 되면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효율이 저하되어 소비전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통상의 증발기에는 서리의 제거(이하 '제상'이라 함)를 위한 제상히터가 구비된다.
또한, 제상을 위해서는 제상히터가 가동되고, 압축기와 송풍팬 등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동작을 정지하게 되는 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되며, 상기 제상운전은 설정시간 또는 고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될 때까지 지속된다.
상기 제상운전은 통상적으로 설정된 시간마다 실시되며, 필요에 따라서 도어 의 개폐횟수 또는 도어의 개폐누적시간과 압축기의 운전률 등을 고려하여 반복적으로 실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상운전은 통상 제상히터에 의한 가열 방식 또는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냉매를 절환밸브에 의해 증발기 측으로 바이패스시켜 핫가스(Hot gas)로 가열하는 방식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두가지 방식이 한꺼번에 채택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상운전의 시작 전 일정시간 동안 송풍팬을 정지시킨 상태로 압축기를 가동하여 제상운전시 보다 고온의 상태가 된 핫가스를 증발기로 공급하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상운전의 시작 전 일정시간 동안 송풍팬을 정지시킨 상태로 압축기를 가동하여 제상운전시 보다 고온의 상태가 된 핫가스를 증발기로 공급하고, 제상운전시 외기의 온도에 따라서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가변하는 냉장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며 통상적인 냉동운전을 수행하는 통상운전 단계;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기 전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 이하일 경우, 제1설정시간동안 상기 압축기는 구동시키고 상기 압축기를 냉각하는 송풍팬은 정지시켜 압축기 출구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키는 제상 전 운전단계; 제상운전 시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절환밸브가 동작되어 상기 압축기의 토출 냉매가 증발기측으로 직접 안내되어 제상을 실시하는 제상운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상운전 단계의 완료 후에는 상기 통상운전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은, 압축기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며 통상적인 냉동운전을 수행하는 통상운전 단계; 제상운전 시작신 호가 입력되기 설정시간 만큼의 이전에 도달 되었을 때,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D1)보다 낮을 경우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송풍팬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제상전 운전 단계; 제상운전 시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절환밸브가 동작되어 압축기 출구의 고온고압 냉매가 증발기측으로 직접 안내되는 제상운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상운전 단계에서는,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 보다 낮을 때에는 상기 압축기를 고속 회전하는 저온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되고,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 이상일 때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상기 압축기를 회전시키는 고온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상운전의 직전에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압축기를 냉각 시키는 송풍팬을 설정시간동안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어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에 의해, 제상운전 전에 고내에 냉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제상운전 중 고내 온도가 급속하게 상승되어 음식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보다 고온의 상태가 될 수 있게 되어 제상운전시 증발기로 공급되는 핫가스(Hot gas)의 온도가 더 높아지게 되어 제상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잇다.
또한, 제상운전시에 외기온도에 따라서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가변하게 된다. 즉, 외기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외기에 의한 영향으로 제상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나,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제상운전시의 압축기 회전속도보다 더 빠르게 압축기를 회전시켜 보다 고온의 핫가스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기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에도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보다 고온의 핫가스에 의해 상기 증발기에 착상된 서리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제상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을 보인 사이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0)와 응축기(20), 모세관(30), 증발기(40), 액냉매 탱크(50)가 차례로 직렬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되면서 냉동사이클이 구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 및 응축기(20)를 서로 연결하는 배관과, 상기 모세관(30) 및 상기 증발기(40)를 서로 연결하는 배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배관(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바이패스배관(60)의 일단에는 상기 압축기(10)와 응축기(20)를 연결하는 배관에 연결된 절환밸브(70)가 구비된다. 상기 절환밸브(70)는 상기 압축기(10) 의 출구측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상기 응축기(20) 또는 증발기(40) 측으로 선택적으로 분지하는 것으로, 각각 상기 압축기(10)와 응축기(20) 그리고 바이패스배관(60)측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10)를 냉각하는 송풍팬(11)이 제공된다. 상기 송풍팬(11)은 냉장고의 통상운전시 상기 압축기(10)구동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기(10)를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40)의 일측에는 상기 증발기(40) 내부의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를 고내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냉각팬(4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40)의 일측에는 냉장고의 제상운전시 발열되어 증발기(40)에 착상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히터(80)가 구비된다. 상기 제상히터(80)가 구비되는 상기 증발기(40)의 일측에는 상기 증발기(40)측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91)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10) 및 응축기(20)가 제공되는 기계실 또는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는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92)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제상운전을 위한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제어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냉장고에 제공되는 다수의 전장부품들의 구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온도센서(91)와 제2온도센서(92) 및 카운터(9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기(10)와 송풍팬(11), 냉각팬(41), 제상히터(80) 등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제상전 운전을 상세히 보인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제상운전을 상세히 보인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냉장고는 일반적인 구동 환경에서 냉동사이클을 구동하게 되며,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상기 압축기(10)가 구동하게 됨에 따라 송풍팬(11), 냉각팬(41) 등이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되는 부하에 따라 상기 압축기(10)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10)는 입력전압에 따라 회전수의 변경이 가능한 인버터(Inveter)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압축기(10)의 구동은 입력되는 부하에 따라서 구동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고내의 온도가 설정된 수준에 도달하거나 설정시간 이상 압축기(10)가 구동된 후에는 상기 압축기(10)는 일정 기간동안 정지된 후에 다시 기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통상운전 단계(S100)]
상기 냉장고의 일반적인 통상운전 중, 도어의 개폐에 따른 외부 공기의 유입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이 상기 증발기(40) 표면에 착상되어 서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수분에 의해서도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에 서리가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동사이클의 지속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의 온도는 낮아지게 되며,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에 착상된 서리는 결빙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상기 증발기(40)의 열교환 성능을 저하시켜 결국 냉장고의 냉동능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증발기(40)에 결빙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상운전은 고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저장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주기로 실시되며, 상기 압축기(10)의 누적 가동시간 또는 도어의 개방 횟수, 도어의 개방 누적시간 등을 상기 카운터(90)에서 적산하여 제상운전의 시기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상운전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제상운전 시작신호에 의해 시작되며, 이와 같은 제상운전 시작신호는 제상운전이 필요한 시점에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출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상운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상운전이 실시되기 전에 제상전 운전이 실시된다. 이를 위해 통상운전 중 상기 제어부(100)에서는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제상신호 입력 판단단계(S210)를 수행하게 된다.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된 경우 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되며,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으로부터 설정시간(T)만큼 이전인지를 판단하는 설정시간 판단단계(S22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정시간(T)은 대략 30분으로 하는 것이 제상 효율이 가장 증대된다.
한편, 상기 설정시간 판단단계(S220)에서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으로부터 설정시간(T)보다 더 이전인 경우, 상기 송풍팬(11)은 상기 압축기(10)가 구동중인 경우 온(ON)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으로부터 설정시간만큼의 이전에 도달 할 때까지 통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설정시간 판단단계(S220)에서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는 순간으로부터 설정시간(T)만큼 이전이 되면, 상기 제2온도센서(92)에서 검출된 온도를 제1설정온도(D1)와 비교하는 설정온도 판단단계(S230)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설정온도(D1)는 대략 15℃ 이다. 외기온도가 대략 15℃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11)이 정지하지 않더라도 정상적인 제상에 필요한 핫가스의 온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설정온도(D1)는 대략 15℃ 정도 인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온도센서(92)에서 검출된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D1) 이상일 때에는 상기 송풍팬(11)은 상기 압축기(10)가 구동중인 경우 온(ON)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기 전 설정시간(T)에 도달 할 때까지 통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온도센서(92)에서 검출된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D1) 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10)를 구동시켜 온(ON)상태가 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송풍팬(11)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의 강제적인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압축기(10)에서 압축되는 냉매는 보다 고온인 상태가 되며, 이러한 운전상태는 설정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D1) 이하인 경우에는 제상운전이 시작되기 설정시간(T)만큼 이전부터 상기 압축기(10) 가동시 상기 송풍팬(11)을 정지시켜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하여 제상운전의 시작시 보다 효과적인 제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제상전 운전 단계(S200)]
한편,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제상운전을 시작하게 된다. 제상운전의 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제2온도센서(92)를 통해 검출된 외기온도를 제2설정온도(D2)와 비교하게 된다. 이때, 검출된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 이상인 경우에는 고온제상운전을 실시하고, 검출된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보다 낮을 경우에는 저온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고온제상운전과 저온제상운전의 기준이 되는 제2설정온도(D2)는 대략 3℃로 한다. 외기의 온도가 3℃보다 낮은 경우에는 외기의 온도가 낮아서 외기의 온도가 높을 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상효율이 낮을 수 밖에 없으며, 외기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제상효율의 유지를 위해 상기 제2설정온도(D2)를 기준으로 제상운전의 방식을 나누어 실시하게 된다.
우선,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보다 높은 고온제상운전의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10)와 송풍팬(11) 및 냉각팬(41)이 정지된다. 그리고, 제1온도센서(91)에 의해 상기 증발기측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D3)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3설정온도(D3)는 대략 3℃ 정도로 상기 증발기(40)측의 온도가 대략 3℃ 정도가 되면 제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이하인 경우 지속적인 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고온제상운전 초기 즉, 상기 압축기(10)와 송풍팬(11) 및 냉각팬(41)의 정지 직후에는 상기 증발기(40)측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로 3℃이하가 되며, 이때에는 상기 절환밸브(70)를 절환하여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배관(60)을 통해 상기 증발기(4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환밸브(70)의 작동후 상기 압축기(10)는 다시 구동 시작되며,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는 상기 증발기(4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40)의 내부는 핫가스로 채워지게 되어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이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40)의 표면에 결빙된 서리의 제거가 시작된다.
이때, 상기 절환밸브(70)의 경로 전환 후 상기 압축기(10)는 대략 5초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에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절환밸브(70)의 절환과 시차를 두어 고온고압의 냉매 토출로 부터 상기 절환밸브(70) 및 전체 시스템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절환밸브(70)의 동작에 의한 냉매 유동 경로의 전환 직전 또는 직후에는 상기 제상히터(80)가 구동될 수 있다. 특히, 제상이 실시되는 초기에는 보다 높은 열로 상기 증발기(40) 또는 증발기(40) 인접부위를 가열해야 하므로 상기 제상히터(80)의 구동으로 제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제상운전은 상기 제1온도센서(91)에서 검출되는 온도가 제3설정온도(D3) 이상이 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온도센서(91)에서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D3)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10) 및 제상히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절환밸브(70)를 작동시켜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다시 상기 응축기(20) 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경 로를 변경함으로써 고온제상운전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 절환밸브(70)의 경로 변경으로 냉동사이클은 통상운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고온제상운전을 종료하고 다시 일반적인 통상운전을 수행하는 통상운전단계(S100)로 복귀 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 실시된다.[제상운전 단계(S30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저온제상시의 입력 전압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6에는 고온제상운전시 시간변화에 따른 상기 압축기(10)의 회전속도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압축기(10)는 고온제상운전시 제1구간과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을 차례로 지나도록 운전되며, 각 구간에서의 상기 압축기(10) 회전속도 및 회전속도변화는 다르게 된다.
보다 상세히, 제1구간에서 상기 압축기(10)는 최초 입력전압이 120V(rms)이며 대략 6초동안 지속적으로 입력전압을 증가시켜 130V(rms)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는 초기회전속도(V0)에서부터 지속적으로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최고회전속도(V2)에 도달하게 된다.
제2구간에서 상기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전압은 130V(rms)로, 입력전압을 대략 3분 가량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는 최고회전속도(V2)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압축기(10)에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어 제상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10)가 최고회전속도(V2)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10)로 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또한 증가되어 상기 증발기(40)의 흡입측 압력 상승으로 인한 소음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소음 허용수준의 임계치가 되는 대략 3분 후부터는 상기 압축기(10)의 회전속도를 낮추어야만 한다.
제3구간에서 상기 압축기(10)는 최고회전속도(V2)에서 점차 회전속도를 낮추어 소음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의 입력전압은 130V(rms)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상기 제상운전의 시작시점으로부터 대략 14분이 되는 지점에서 입력전압은 대략 100V(rms)이 된다. 따라서, 제상운전 시작으로부터 대략 14분이 되는 시점에서 상기 압축기(10)는 최저회전속도(V3)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10)의 회전속도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증발기(40)의 흡입측 압력을 감소시켜 소음을 낮출 수 있으며, 점진적으로 상기 압축기(10)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핫가스의 온도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4구간에서 상기 압축기(10)의 입력전압은 대략 100V(rms)로 상기 압축기(10)는 최저회전속도(V3)를 유지하면서 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되며, 제상운전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최전회전속도(V3)를 유지한 후 제상운전의 종료와 함께 상기 압축기(10)에 공급되는 입력전압이 오프(OFF)되어 상기 압축기(10)는 정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제상운전 시작신호를 입력받게 되어 제상운전을 시작하게 될 때, 상기 제2온도센서(92)에서 검출되는 외기온도가 제2 설정온도(D2) 보다 낮은 경우에는 저온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저온제상운전 또한 전술한 고온제상운전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운전되며, 상기 압축기(10)의 운전상태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즉,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 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압축기(10)와 송풍팬(11) 및 냉각팬(41)은 오프(OFF)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온도센서(91)에서 검출된 증발기(40)측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D3) 이하인 경우 제상히터(80)를 작동시키고, 상기 절환밸브(7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되는 핫가스가 상기 증발기(40)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40)를 가열하게 된다.
상기 제상히터(80)와 압축기(10)는 상기 증발기(40)측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D3) 이상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가동되며, 상기 제1온도센서(91)에서 검출되는 상기 증발기(40)측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D3) 이상이 되면, 상기 제상히터(80)와 압축기(10)가 정지되고, 상기 절환밸브(70)는 다시 압축기(10)와 응축기(20)를 연결하는 상태로 절환되어 저온제상운전을 종료하게 된다. 그리고, 저온제상운전의 종료 후에는 다시 상기 통상운전단계(S100)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저온제상운전시 상기 압축기(10)는 전술한 고온제상운전시 보다 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상운전이 종료될 때 까지 고속회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저온제상운전시의 입력 전압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7 에는 저온제상운전시의 시간 변화에 따른 상기 압축기(10)의 입력전압의 변화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저온제상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압축기(10)는 초기회전속(V0)도로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입력되는 초기전압은 120V(rms)이며, 대략 20초간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전압을 증가시켜 20초 후에는 상기 압축기가 최고회전속도(V1)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기(10)가 최고회전속도(V1)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압축기(10)에 입력되는 전압은 대략 180V(rms)가 된다. 상기 압축기(10)는 고속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고온제상운전시의 냉매온도보다 상대적으로 고온고압의 냉매를 토출할 수 있으며, 고온고압의 냉매를 토출하게 되더라 하더라도, 외기의 온도가 낮게 되므로 상기 증발기(40)의 흡입측 압력은 상대적으로 낮아 소음수준을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가 최고회전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10)로 입력되는 전압을 180V(rms)로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증발기(40)측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D3)인 대략 3℃가 되면 상기 압축기(10)로의 전압공급을 중지하여 상기 압축기(10)를 정지시키게 된다.
즉, 저온제상운전시 상기 압축기(10)로 입역되는 전압은 최초 120V(rms)에서 180V(rms)까지 상승시킨 뒤 상기 압축기(10)가 최고회전속도(V1)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입력전압을 180V(rms)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전온제상운전의 종료시 상기 압축기(10)에 공급되는 전압을 오프(OFF)시켜 상기 압축기(10)를 정지시키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을 보인 사이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제상전 운전을 상세히 보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제상운전을 상세히 보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고온제상운전시의 입력 전압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의 저온제상운전시의 입력 전압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Claims (15)

  1. 압축기가 반복적으로 온/오프되며 통상적인 냉동운전을 수행하는 통상운전 단계;
    제상운전 시작신호가 입력되는 시점으로 부터 설정시간(T) 이전에 도달했을 때, 외기온도에 따라서 설정시간(T) 동안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압축기를 냉각하는 송풍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상 전 운전 단계;
    제상운전 시작신호의 입력에 의해 절환밸브가 동작되어 상기 압축기의 토출 냉매가 증발기측으로 직접 안내되어 제상을 실시하는 제상운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상 전 운전 단계에서는,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D1) 이상일 때에는, 상기 송풍팬이 온되고,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D1) 보다 낮을 때에는, 상기 송풍팬이 오프되며,
    상기 제상운전 단계에서는,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 보다 낮을 때에는 상기 압축기를 고속 회전하는 저온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되고,
    외기온도가 제2설정온도(D2) 이상일 때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로 상기 압축기를 회전시키는 고온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고온제상운전시 상기 압축기는,
    초기회전속도(V0)부터 최고회전속도(V2)까지 상승되는 제1구간과,
    상기 최고회전속도(V2) 도달 후 일정기간 동안 최고회전속도(V2)를 유지하는 제2구간과,
    일정시간 경과 후 최고회전속도(V2)에서 최저회전속도(V3)로 감속 구동되는 제3구간과,
    최저회전속도(V3) 도달 후 제상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구동이 유지되는 제4구간으로 순차적으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전 운전 단계는 제상운전 시작 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 시작신호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전 운전 단계에서 상기 설정시간(T)는 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전 운전 단계에서 상기 제1설정온도(D1)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전 운전 단계는,
    제상운전 시작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제상신호 입력 판단단계와,
    제상운전 시작신호의 입력으로부터 설정시간(T) 이전인지를 판단하는 설정시간 판단 단계와,
    설정시간(T) 전인 경우 외기온도를 제1설정온도(D1)와 비교하는 설정온도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 판단 단계에서 제상운전 시작 전 설정시간(T)에 도달하지 않았거나, 외기온도가 제1설정온도(D1)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통상운전 단계로 복귀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제상운전시에는,
    상기 압축기는 초기회전속도(V0)부터 최고회전속도(V1)까지 상승된 후 제상운전이 종료될 때까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 단계에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증발기측으로 흡입되는 냉매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순간 최고회전속도(V2)에서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 단계에서는 제상을 위해 상기 증발기를 가열하는 제상히터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 단계에서 상기 증발기측의 온도가 제3설정온도(D3) 이상일때 상기 제상운전 단계를 종료하고 상기 통상운전 단계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KR1020090010936A 2009-02-11 2009-02-11 냉장고 제어방법 Active KR10157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36A KR101573538B1 (ko) 2009-02-11 2009-02-11 냉장고 제어방법
US13/147,924 US20110289945A1 (en) 2009-02-11 2010-01-28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PCT/KR2010/000515 WO2010093132A2 (en) 2009-02-11 2010-01-28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CN201080007546XA CN102317724B (zh) 2009-02-11 2010-01-28 冰箱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936A KR101573538B1 (ko) 2009-02-11 2009-02-11 냉장고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644A KR20100091644A (ko) 2010-08-19
KR101573538B1 true KR101573538B1 (ko) 2015-12-02

Family

ID=4256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936A Active KR101573538B1 (ko) 2009-02-11 2009-02-11 냉장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89945A1 (ko)
KR (1) KR101573538B1 (ko)
CN (1) CN102317724B (ko)
WO (1) WO201009313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031A1 (ko) * 2021-07-12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09B1 (ko) * 2012-09-20 2019-03-08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US9733008B2 (en) * 2013-03-13 2017-08-15 Whirlpool Corporation Air flow design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ITTO20131093A1 (it) * 2013-12-31 2015-07-01 Indesit Co Spa Metodo e dispositivo di controllo di una fase di surgelamento in un apparecchio frigorifero del tipo combinato mono regolazione, e relativo apparecchio frigorifero
ITTO20131094A1 (it) * 2013-12-31 2015-07-01 Indesit Co Spa Metodo e dispositivo di controllo di una fase di surgelamento in un apparecchio frigorifero del tipo combinato mono regolazione, e relativo apparecchio frigorifero
ITTO20131095A1 (it) * 2013-12-31 2015-07-01 Indesit Co Spa Metodo e dispositivo di controllo di una fase di surgelamento in un apparecchio frigorifero del tipo combinato mono regolazione, e relativo apparecchio frigorifero
DE102014014633A1 (de) * 2014-09-08 2016-03-10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ühl- und/oder Gefriergerätes
KR102299623B1 (ko) * 2015-02-02 2021-09-1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 제상 운전 방법
CN106679253A (zh) * 2016-11-01 2017-05-17 安徽美乐柯制冷空调设备有限公司 除霜制冷系统和冷库
KR102723276B1 (ko) * 2016-11-10 202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11131475B2 (en) * 2017-04-07 2021-09-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EP3775725A1 (en) * 2018-04-13 2021-02-17 Carrier Corporation Method of defrosting a refrigeration system
CN113063248B (zh) * 2018-05-23 2022-09-2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其风机在化霜期间的控制方法和装置
US11493260B1 (en) 2018-05-31 2022-11-08 Thermo Fisher Scientific (Asheville) Llc Freezers and operating methods using adaptive defrost
KR20200062698A (ko) * 2018-11-27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CN110260582A (zh) * 2019-06-05 2019-09-2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化霜系统及具有该化霜系统的制冷设备
EP3872427B1 (en) * 2019-12-13 2023-11-08 Arçelik Anonim Sirketi A refrigerator suitable to be used in cold ambient conditions
US11369920B2 (en) 2019-12-31 2022-06-28 Ingersoll-Rand Industrial U.S., Inc. Multi-mode air drying system
JP7616641B2 (ja) * 2020-12-28 2025-01-17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N115682512A (zh) * 2021-07-30 2023-02-0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冷藏冷冻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776255A (zh) * 2021-10-09 2021-12-10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制冷柜与制冷系统
JP2023087342A (ja) * 2021-12-13 2023-06-23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N115930530A (zh) * 2022-12-05 2023-04-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化霜控制方法及电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714A (ja) * 2000-09-08 2002-03-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6630A (en) * 1955-02-18 1959-03-10 Dunham Bush Inc Refrigeration system including defrosting apparatus
US4774814A (en) * 1986-09-05 1988-10-04 Mile High Equipment Company Ice making machine
CN2037458U (zh) * 1988-09-16 1989-05-10 顾邦杰 一种冰箱内使用的多功能控制盒
JPH07218055A (ja) * 1994-02-01 1995-08-18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方法
JPH07239172A (ja) * 1994-02-28 1995-09-12 Toshiba Corp 冷却装置
KR19980015186A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냉장고의 제상구조 및 제상방법
KR200143761Y1 (ko) * 1996-09-06 1999-06-15 김성근 물받이 홈통의 연결구
KR100225640B1 (ko) * 1997-06-27 1999-10-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JPH1137616A (ja) * 1997-07-23 1999-02-12 Sanyo Electric Co Ltd 冷媒回路の制御方法
KR100292187B1 (ko) * 1998-06-30 2001-11-26 전주범 제상주기가변방법
KR20000055341A (ko) * 1999-02-05 2000-09-05 윤종용 인터쿨러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10028947A (ko) * 1999-09-28 2001-04-06 구자홍 인버터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제어방법
KR100593632B1 (ko) * 1999-10-18 2006-06-2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6725680B1 (en) * 2002-03-22 2004-04-27 Whirlpool Corporation Multi-compartment refrigerator control algorithm for variable speed evaporator fan motor
CN1265163C (zh) * 2002-12-30 2006-07-19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广温域恒温冷冻系统及其控制方法
CN1690630A (zh) * 2004-04-28 2005-11-0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冰箱的温度控制方法
KR100708622B1 (ko) * 2005-12-20 2007-04-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상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714A (ja) * 2000-09-08 2002-03-22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031A1 (ko) * 2021-07-12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운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3132A3 (en) 2010-11-25
CN102317724B (zh) 2013-08-21
US20110289945A1 (en) 2011-12-01
KR20100091644A (ko) 2010-08-19
CN102317724A (zh) 2012-01-11
WO2010093132A2 (en)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538B1 (ko) 냉장고 제어방법
US1220979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CN106091566B (zh) 一种用于风冷冰箱的控制方法
KR100350419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1937247B (zh) 风冷冰箱的保湿控制方法、系统及一种风冷冰箱
CN107763957A (zh) 化霜控制方法、装置及应用该方法、装置的制冷设备
US11940200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JP2008075964A (ja) 冷却装置の除霜装置
KR101721771B1 (ko) 냉장고 제어 방법
JP5105276B2 (ja) 冷蔵庫
CN113790570B (zh) 冰箱化霜控制方法以及冰箱
JP5722160B2 (ja) 冷却貯蔵庫
KR20160090690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10037545A (ko) 냉장고의 제상주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5534789B2 (ja) 冷却装置
JP2009068820A (ja) 冷蔵庫
JP2002206840A (ja) 冷蔵庫
CN115773621B (zh) 冰箱控制方法、存储介质以及冰箱
KR20090078388A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JP2010281491A (ja) 冷蔵庫
JP6152689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KR100913142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71703B1 (ko) 복수의 증발기들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제상제어 방법
KR20100082128A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866874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