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3275B1 - 정지구를 구비한 구조물 모듈, 접철가능한 구조물 및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 - Google Patents

정지구를 구비한 구조물 모듈, 접철가능한 구조물 및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275B1
KR101573275B1 KR1020137030582A KR20137030582A KR101573275B1 KR 101573275 B1 KR101573275 B1 KR 101573275B1 KR 1020137030582 A KR1020137030582 A KR 1020137030582A KR 20137030582 A KR20137030582 A KR 20137030582A KR 101573275 B1 KR101573275 B1 KR 101573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pair
hub
pivotally connected
pai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340A (ko
Inventor
알. 자이글러 디오도아
Original Assignee
월드쉘터즈,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드쉘터즈,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월드쉘터즈,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7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 E04H15/505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characterised by connecting arches with lazy-tongu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40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 E04H15/405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flexible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 및 제2 스트럿을 구비한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3 스트럿 및 제4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2 스트럿 쌍과, 제1 허브와, 제1 허브에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3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2 허브와, 제2 허브에 피봇 연결되는 제2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4 스트럿의 제1 단부 및 최소한 제1 허브, 제1 스트럿 및 제3 스트럿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정지구를 포함하며, 정지구는 아치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종축이 서로 평행한 접힌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접철가능한 구조물과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도 소개된다.

Description

정지구를 구비한 구조물 모듈, 접철가능한 구조물 및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STRUCTURAL MODULE WITH STOP,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NG A COLLAPSIBLE STRUCTURE}
본 발명은 접철가능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럿의 피봇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구를 포함하는 피봇 스트럿 쌍을 포함하는 접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여러 가지 형태의 접철가능한 구조물(접철 프레임 시스템으로도 참조됨)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 참조되는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7,712,261호 및 제7,556,054호는 "인장 록크"로 참조되어 제 위치에 고정되는 접철 프레임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러한 인장 로크 장치에서는, 프레임이 피봇 연결된 스트럿 부재에 의해서 개방 상태로 고정되고, 스트럿 부재는 서로 대면하게 놓이는 평행하게 접힌 상태로부터 끝과 끝이 만나게 놓이는 평행한 개방 상태를 통해서 피봇팅하지 못하게 평행 상태를 약간 넘어서는 개방 고정 상태로 접철된다. 이러한 개방 고정 상태에서는, 인장 부재가 피봇점으로부터 이동하는 2개의 스트럿상의 지점 사이에 연결되면 인장 부재가 해제되거나 스트럿이 어느 정도 변형되지 않는 한 스트럿이 평행한 개방 위치 또는 평행하게 접힌 위치를 지나치지 않게 한다.
여기에 참조되는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5,230,196호, 제5,444,946호 및 제6,141,934호는 "수동 록크"로 참조되는 접철 프레임 시스템의 실시예를 소개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스트럿 쌍이 가위 형태로 설치되며 가위는 시스템을 접힌 상태에서 개방하게 펼쳐지고 스트럿의 단부는 수동으로 함께 고정되는 허브 부분에 의해서 연결된다.
접철 프레임 시스템의 기립과 접힘 구성을 쉽게하도록, 인장 록크 또는 수동 록크가 필요없는 접철 프레임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3 스트럿과 제4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2 스트럿 쌍과, 제1 허브와, 제1 허브에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3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2 허브와, 제2 허브에 피봇 연결되는 제2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4 스트럿의 제1 단부 및 최소한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상기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는 정지구를 포함하며, 제1 정지구 스트럿은 상기제2 단부에 피봇 연결되어 제1 스트럿과 제2 정지구 스트럿이 상기제2 단부에서 제3 스트럿에 피봇 연결된다.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은 각각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전방 스트럿과 후방 스트럿을 구비하는 다수의 스트럿 쌍과, 각각 외부 허브와 내부 허브를 구비하고 최소한 다수의 허브 쌍 중 하나의 제1 허브 쌍이 다수의 스트럿 쌍의 최소한 제1 및 제2 스트럿 쌍과 연결되어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외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내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후방 스트럿에 피봇트 연결되는 다수의 허브 쌍 및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과 연관된 정지구를 포함하며, 정지구는 상기전방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은 상기제2 단부에서 각각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후방 스트럿 중 하나에 피봇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 및 제2 스트럿을 구비한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3 스트럿 및 제4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2 스트럿 쌍과, 제1 허브와, 제1 허브에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3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2 허브와, 제2 허브에 피봇 연결되는 제2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4 스트럿의 제1 단부 및 최소한 제1 허브, 제1 스트럿 및 제3 스트럿 중 하나에 부착되는 정지구를 포함하며, 정지구는 아치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종축이 서로 평행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도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각각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전방 스트럿과 후방 스트럿을 구비하는 다수의 스트럿 쌍과, 각각 외부 허브와 내부 허브를 구비하고 다수의 허브 쌍의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이 다수의 스트럿 쌍 중 최소한 제1 및 제2 스트럿 쌍에 연결되어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외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과 피봇 연결되고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내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후방 스트럿과 피봇 연결되는 다수의 허브 쌍 및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과 연관되고 상기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는 정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은 각각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과 후방 스트럿 중 하나와 상기제2 단부에서 피봇 연결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사용한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스트럿 쌍을 그 전후방 스트럿이 서로 나란하고 제1 허브 쌍의 허브가 서로 가능한 멀리 떨어지는 접힌 위치로부터 정지구가 제1 허브 쌍의 허브를 서로 가깝게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며 각각의 스트럿 쌍이 개방 위치에 온 후에는 내외부 허브를 서로 고정시키지 않고 일련의 스트럿 쌍의 스트럿 쌍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유사한 부호가 유사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과 연관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알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셀터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절첩가능한 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4b 및 도 4c는 도 4a의 단부 4B - 4B 및 4C - 4C 의 도면이다.
도 5a - 도 5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방법으로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의 일부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허브 쌍의 허브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의 일부를 개방 및 접힌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의 일부를 개방 및 접힌 상태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셀터(1A) 및 (1B)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셀터(1A) 및 (1B)는 커버(2)가 부착되어 도시된다. 셀터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접철가능한 구조물(21)을 구비하며, 그 중 하나가 도 2에 도시된다. 접철가능한 구조물(21)은 도 1a 및 도 1b에 제한적이지 않게 도시된 접철가능한 셀터의 조립을 쉽게 한다. 무제한 수의 접철가능한 셀터의 조립은 이들을 구성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21)과 구조물 모듈(23)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조물(21)은 하나 이상의 구조물 모듈(23)을 구비하며, 그 소정의 구성은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 내부에 나타난다. 구조물 모듈의 상세한 부분은 도 3 및 도 4a - 도 4c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구조물 모듈(23)은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31)에서 서로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27)과 제2 스트럿(29)을 포함하는 제1 스트럿 쌍(25)을 구비한다. 또한 구조물 모듈(23)은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39)에서 서로 피봇 연결되는 제3 스트럿(35)과 제4 스트럿(37)을 포함하는 제2 스트럿 쌍(33)을 구비한다. 피봇 연결점(31) 및 (39)은 통상 핀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구조물 모듈(23)은 제1 허브(41) 및 제2 허브(43)을 구비한다. 제1 스트럿(27)의 제1 단부(271)와 제3 스트럿(35)의 제1 단부(351)는 제1 허브(41)에서 피봇 연결되고, 제2 스트럿(29)의 제1 단부(291)와 제4 스트럿(37)의 제1 단부(371)는 제2 허브(43)에서 피봇 연결된다.
정지구(45)가 제공되며 일 실시예에서 제1 정지구 스트럿(47) 및 제2 정지구 스트럿(49)을 각기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되듯이,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47) 및 (49)은 제1 단부(471) 및 (491) 근처에서 서로 피봇 연결되어 정지구의 아치단부(51)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제1 정지구 스트럿(47)은 제2 단부(472)가 제1 스트럿(27)에 피봇 연결되고 제2 정지구 스트럿(49)은 제2 단부(492)가 제3 스트럿(35)에 피봇 연결된다.
구조물 모듈(23)은 접힌 위치(도 5a 및 도 2의 "C" 참조)와 개방 위치(도 5d 및 도 2의 "O" 참조) 사이를 이동가능 하며, 접힌 위치에서는 제1 스트럿 쌍(25)과 제2 스트럿 쌍(33)의 스트럿(27,29) 및 (35,37)의 종축이 서로에 대해 나란해 지고, 개방 위치에서는 정지구(45)의 아치단부(51)가 제2 허브(43)와 접촉한다. 아치단부(51)는 제2 허브(43)에 설계되지도 않고 고정될 필요도 없어서 구조물(21)을 세우고 접기 편하게 하며 손상될 수 있는 부품 수도 줄일 수 있고 필요하면 고정 연결부(도시 안됨)가 제공될 수도 있다.
구조물 모듈(23)은 제1 및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31) 및 (39)의 상대적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로 지지된다. 이동 제한 수단은 어떤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통상 2개 이상의 스트럿 쌍(25,33,25',33')의 스트링(55)의 말단부(51)를 상대적으로 고정 위치에 유지시키거나 말단부를 서로 떨어지지 못하게 하는 구조물을 최소한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5d에 도시되듯이, 스트럿 쌍의 스트링(55)을 구비한 구조물(21)이 접힌 위치(도 5a)로부터 펼쳐저서 거의 평평한 상태(도 5b)로 펴지고 평평한 상태에서 올라가 소정의 높이(도 5c)로 펴진 상태가 되며, 스트링의 각각의 허브 쌍 사이의 정지구(45)의 아치단부(51)는 상응한 허브와 접촉하고 스트링(55)의 말단부(53)는 말단부에 적당히 견고하게 또는 가요성 있게 부착되어 연장하는 스테이크(57)로 고정하듯이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되며, 그 후에 말단부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고정시키고 이들이 이동하지 못하게 플로워(59)에 부착하거나 또는 말단부 사이의 케이블과 같은 기타 텐션 부재 또는 이러한 예시적 수단들을 조합해서 사용하여 부착시킨다. 플로워(59)는 견고한 구조물이거나 특히 인장력 있는 가요성 직물 구조물이다. 스트링(55)의 말단부(53)를 이런 상태로 고정시키면 구조물이 자동적으로 붕괴되지 않고 각각의 스트럿 쌍을 개방 위치로 고정시키는 대안으로서 작용한다. 구조물을 접으려면, 스트링의 말단부를 고정위치에 유지시키는 구조물을 제거하면 편하게 이루어진다. 통상, 2개의 스트럿 쌍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허브는 스트럿의 스트링(55)의 말단부(53)에 제공된다. 정지구는 스트링(55)의 말단부(53)에 있는 허브 쌍의 허브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제한되게 제공되나 통상 예를 들어, 스테이크, 플로워 및 케이블에 의해서 말단부를 고정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이 충분하다. 2쌍의 스트럿 쌍 사이에 사용될 수 있는 가위 형태의 정지구가 스트링(55)의 말단부(53)에서 다소 유용하며 정지구가 사용되면 말단부에서 허브 쌍의 하나의 허브로부터 다른 허브에 접촉하게 연장하는 스트럿과 같은 정지구가 양호하게 설치된다.
외부 커버(도 1a 및 도 1b)는 통상 외부 허브의 스트링을 따라 스트링(55)에 사전 부착되는데 스트링의 스트럿 쌍이 정지구(45)의 아치단부(51)가 상응한 허브에 접촉하는 지점을 넘어서 개방되지 않게 보조하는 인장 부재로 작동한다. 또한, 인장 케이블 T(도 2 및 도 4a - 도 4c)는 통상 스트럿 쌍의 인접한 스트링(55)상의 스트럿 쌍과 스트럿 쌍의 인접한 스트링 사이의 횡 스트럿 쌍(75)에 의해서 제공된 사각형의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코너의 허브 사이에 대각선으로 연장하게 제공된다. 내부 커버(도시 않됨)는 통상 구조물(21)을 세울 때 스트링을 따라 내부 허브에 부착되고 스트링의 스트럿 쌍이 정지구(45)의 아치단부(51)가 상응한 허브와 접촉하는 지점을 지나서 개방되지 않게 보조하는 인장 부재로도 작용한다. 스트링(55)의 말단부(53)에 부착된 내부 커버, 플로워 또는 케이블이 스트링(55)에 사전에 부착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을 현장에서 구조물을 세우고 접을 때 스트링(55)을 형성하는 스트럿과 허브에 부착하는 것이 편리하게 실시된다. 제1 및 제2 허브(41,43)는 통상 내외부 커버를 허브에 고정하는 체결구를 수용하는 중앙에 위치한 홀과 인장 케이블을 고정하는 체결구를 수용하는 추가 홀을 지닌다.
도 6에 도시된 스트럿 쌍의 스트링(55)의 개략적인 평면도에 나타나듯이, 제1 및 제2 피봇축(A1,A2)은 각기 제1 및 제2 스트럿 쌍(25,33) 피봇 연결점(31,39)을 지나 연장하고 각각 제1 및 제2 피봇축에 수직한 제1 및 제2 평면(P1,P2)은 나란하다. 특히, 스트럿 쌍의 스트링(55)에 있는 스트럿 쌍의 스트럿은 어느 정도 가요성이 있어 굽혀져서 허브 쌍의 허브가 도 4b의 평면에 도시되듯이 구조물의 반경 r(도 2)을 따라 놓이고 제1 허브(41)는 도 6에 도시된 스트럿의 두께만큼 오프셋되는 것과는 반대로 제2 허브(도 4b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그 뒤에 완전히 가리게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 쌍의 주어진 스트링(55)에서, 통상 제1 스트럿 쌍(25) 피봇 연결점(31)이 제1 및 제2 스트럿(27,29)의 각각의 중간 반을 따라 위치되고 제2 스트럿 쌍(33) 피봇 연결점(39)도 통상 제3 및 제4 스트럿(35,37)의 각각의 중간 반을 따라 위치된다. 피봇 연결점(31,39)이 스트럿(27,29,35,37)의 중간점에 위치되고 주어진 스트럿 쌍의 스트럿이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 스트럿 쌍의 단부는 스트럿 쌍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사각형 코너를 제공한다. 피봇 연결점(31,39)을 스트럿(27,29,35,37)의 중간부로부터 오프셋 시키면, 스트럿 쌍(25,33)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스트럿 쌍의 단부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등변 사다리꼴의 코너를 제공하여 스트럿 쌍의 스트링 외부에 아치를 형성한다.
도 3은 허브의 다리부(67)에서 관통홀(65)(도 7)을 통과하는 핀(63)을 통하여 허브(41,43)에 부착되는 스트럿(27,29,35,37)을 구비한 허브 쌍을 도시한다. 허브 쌍(61)의 각각의 허브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는 다른 허브와 동일하다. 통상 스트럿 쌍의 스트링에 있는 각각의 허브 쌍의 허브는 스트링의 모든 외부 허브와 동일하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되듯이, 허브(41,43)의 횡 다리부(69)는 다리부(65)와 동일하고 유사하게 홀(71)을 구비한다. 횡 스트럿 쌍(75)의 각각의 횡 스트럿(73)은 핀(77)을 통하여 횡 다리부(69)에 피봇 연결된다(도 3). 횡 스트럿(73)은 통상 스트럿 쌍(25,33)의 스트럿과 유사하게 핀(도시 않됨)에 의해서 상호 부착된 가위 스트럿이며 필요하지 않으면 통상 서로 스트럿을 중간지점에서 결합되어 스트럿 쌍이 개방 위치에서 사각형을 형성한다. 횡 스트럿(73)과 연결되는 어떤 구조물을 생략하는, 즉 이들이 핀으로 연결되지 않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개, 정지구 스트럿은 횡 스트럿(73)에 부착되지 않고 횡 스트럿 쌍(75)이 개방되는 정도가 정지구(45)가 부착된 횡 스트럿 쌍이 아닌 것이 허락하는 정도에 의해서 제한된다.
도 8a 및 도 8b는 개방 위치(도 8a)에서 모두 이등변 사다리꼴 형태의 2개의 스트럿 쌍(25,33)과 연결되는 허브 쌍을 도시한다. 제1 정지구 스트럿(47)의 제2 단부(472)가 제1 스트럿(27)에 연결되고 제2 정지구 스트럿(49)의 제2 단부(492)가 제1 허브(41)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제3 스트럿(35)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47,49)은 모두 동일한 길이이다. 스트럿 쌍이 도 8b에 도시되듯이 스트럿이 모두 거의 나란한 접힌 위치로 접히면, 정지구(45)의 아치단부(51)는 제1 및 제3 스트럿(27,35) 사이에 항상 위치되어 구조물을 쉽게 접히게 한다.
조금 다른 구조물이 개방 위치에서 사각형에 부착된 이등변 사다리꼴과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지는 2개의 스트럿 쌍에 연결되면 유용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2개의 스트럿 쌍에 연결된 허브 쌍을 도시하며 하나의 스트럿 쌍(25)은 개방 위치에서 이등변 사다리꼴 형태이고 다른 스트럿 쌍(33')은 개방 위치에서 직사각형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1 정지구 스트럿(47)의 제2 단부(472)는 제1 스트럿(27)에 연결되고 제2 정지구 스트럿(49')의 제2 단부(492')는 제1 허브로부터 다른 거리에서 제3 스트럿(35')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은 다른 길이이다. 거리를 적당히 정해서 정지구(45')의 아치단부(51')가 제1 및 제3 스트럿(27,35') 사이에 대등하게 위치되어 구조물이 적당히 접히게 한다. 정지구 스트럿의 길이와 제1 및 제3 스트럿에 대한 정지구 스트럿의 제2 단부의 연결점을 변경하는 것과 같은 적당한 방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정지구가 스트럿 쌍의 적당한 접힘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6에 도시되듯이, 제1 정지구 스트럿(47)의 제2 단부(472)가 제1 스트럿(27)의 전방측으로 정해진 곳에 피봇 부착되고(도 3의 좌측 및 도 6의 우측) 제2 정지구 스트럿(49)의 제2 단부(492)가 제3 스트럿(35)의 후방측으로 정해진 곳에 피봇 부착될 수 있다(도 3의 우측 및 도 6의 좌측). 스트럿의 어떤 측면이 전방이고 후방인지는 본 발명에서는 중요하지 않고 이러한 용어는 단지 참고를 제공할 뿐이다. 도 3에 도시되듯이, 정지구(45)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47,49)의 제1 단부(471,491) 사이에 위치된 스페이서(79)를 구비한다. 스페이서(79)는 최소한 정지구의 아치단부(51)를 부분적으로 제공하고 구조물 모듈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2 허브(43)와 접촉한다.
도 2 및 도 3에 예로서 도시되는 구조물(21)과 구조물 모듈(23)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47,49)과 제1 및 제3 스트럿(27,35)은 구조물 모듈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볼록한 사변형(예컨대 다이어몬드형)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정지구 구조가 도 10의 구조물 모듈(23')로 도시되는 정지구(45')로 도시되어 제공되고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47',49')과 제1 및 제3 스트럿(27',35')[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제2 및 제4 스트럿(29,37)의 위치]은 구조물 모듈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오목한 사변형을 제공하며 정지구의 아치단부(51')는 제2 허브(43')[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제1 허브(41)의 위치]와 접촉한다.
도 2 및 도 3에 예로서 도시된 정지구(45)와 같은 가위형 정지구 또는 도 10에 도시된 정지구(45')가 실시되었으나, 다른 정지구 구조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정지구는 예를 들어 맞닿는 허브 쌍의 하나의 허브 중앙으로부터 연장하는 포스트, 특히 허브 쌍의 허브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정도를 제한하여 허브 쌍의 허브에 부착된 스트럿 쌍의 스트럿 단부가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정도를 제한하게 허브 쌍의 다른 허브와 비고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가위형 구조물(45,45')을 사용하면 정지구의 아치단부(51,51')가 제2 허브(43)와 접촉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유용하다고 믿는다.
본 발명은 주로 열로 배치된 2개 이상의 스트럿 쌍의 형태의 구조물(21)과 연관하여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는데 각각의 스트럿 쌍 사이에 배치된 정지구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스트럿 쌍의 스트링이 마주보게 서로에 대해 각져서 연결되어 단순한 아치보다 복잡한 형태의 셀터 구조물을 제공한다. 스트링의 교점에는 다른 정지구 구조가 구성될 특수한 구조물에 따라서 적당히 이루어 진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위형 정지구가 사용될 수 없으면 정지구는 허브로부터 연장하는 견고한 부재 형태가 되어 스트링의 교점에서 허브 쌍의 다른 허브와 접촉한다.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은 도 5a - 도 5d에 도시되고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접철가능한 구조물(21)과 연관하여 설명되었다. 접철가능한 구조물(21)은 다수의 스트럿 쌍(25,33,25',33')을 구비한다. 각각의 스트럿 쌍(25,33,25',33')은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전방 스트럿과 후방 스트럿을 구비한다. 또한, 구조물(21)은 다수의 허브 쌍을 포함하며, 각각의 허브 쌍은 외부 허브(도 2)와 내부 허브(도 2)를 구비하고, 최소한 다수의 허브 쌍 중 하나의 제1 허브 쌍은 다수의 스트럿 쌍 중 제1 및 제2 스트럿 쌍에 연결되어 스트럿 쌍의 연결 또는 스트링(55)을 형성하여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외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내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후방 스트럿에 피봇 연결된다. 더욱이, 구조물(21)은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에 연결된 정지구(45)를 포함하며 정지구는 상기 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47,49)(도 2)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은 상기 제2 단부에서 각각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후방 스트럿 중 하나에 피봇 연결된다.
본 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스트럿 쌍(25,33,25',33')은 도 5a에 도시된 접힌 위치로부터 이동하고 각각의 스트럿 쌍의 전후방 스트럿은 서로 나란하며 제1 허브 쌍의 허브는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개방위치로 상호 가능한 먼 거리에 있으며 정지구는 제1 허브 쌍의 허브가 상호 근접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도 5a에 도시된 접힌 위치로부터, 스트링(55)은 도 5b에 도시되듯이 펼쳐져서 각각의 허브 쌍의 허브는 상호 근접하게 이동하고 스트럿 쌍의 스트럿은 이들이 수직한 위치를 지나 평행하게 이동되고 다시 나란하게 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각각의 스트럿 쌍(25,33,25',33')이 도 5c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 온 후에는, 스트럿 쌍의 일련(55)의 스트럿 쌍의 상대 이동이 내외부 허브를 상호 고정하지 않고 스트링의 말단부(53)를 고정 위치에 스테이크(57)에 의해서 상호 고정시켜서 또는 케이블 및 플로워(59)에 의해서 말단부가 벌어지지 않게 하여 억제된다.
본 출원서에서, 용어 "포함하는"과 같은 사용은 제한이 없다는 것이고 용어 "구비하는"과 같은 의미를 가지며 다른 구조, 재료 또는 행동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용어 "할 수 있다" 또는 "될 수 있다"의 사용은 제한이 없다는 것이고 구조, 재료 또는 행동이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이며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구조, 재료 또는 행동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구조, 재료 또는 행동이 필수적이라도, 이들은 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고 언급되었으나, 변경과 변화가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탈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 각각의 중간 반에 위치된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1 스트럿 쌍;
    제3 스트럿과 제4 스트럿 각각의 중간 반에 위치된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3 스트럿과 제4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2 스트럿 쌍;
    상기 제1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상기 제3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1 허브;
    상기 제2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상기 제4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2 허브 및;
    제1 단부가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제2 단부가 상기 제1 스트럿과 상기 제3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는 정지구를 포함하는 구조물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모듈은 상기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상기 제2 허브로부터 분리되는 접힌 위치와 상기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상기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제한 수단이 고정 위치에서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을 구비한 스트럿 쌍의 스트링의 말단부를 상대적으로 핀하는 최소한 하나의 스테이크를 포함하고 인장 부재는 스트럿 쌍의 스트링의 말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말단부가 서로 멀어지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피봇축이 각각 제1 및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을 지나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피봇축에 수직한 제1 및 제2 평면 각각은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5.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1 스트럿 쌍;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3 스트럿과 제4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2 스트럿 쌍;
    상기 제1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상기 제3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1 허브;
    상기 제2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상기 제4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2 허브 및;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제공하게 그 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며, 그 제2 단부에서 상기 제1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는 제1 정지구 스트럿과 그 제2 단부에서 상기 제3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는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는 정지구를 포함하는 구조물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상기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상기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상기 제1 정지구 스트럿의 제2 단부는 상기 제1 스트럿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정지구 스트럿의 제2 단부는 제1 허브로부터 다른 거리에서 제3 스트럿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구 스트럿과 제2 정지구 스트럿은 다른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7.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1 스트럿 쌍;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 3 스트럿과 제4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2 스트럿 쌍;
    상기 제1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3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1 허브;
    상기 제2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4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2 허브 및;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형성하게 그 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며, 제1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1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제2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3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는 정지구를 포함하는 구조물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의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제1 정지구 스트럿과 제2 정지구 스트럿은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구는 최소한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게 그 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1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제2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3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의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상기 정지구 스트럿의 제2 단부는 제1 스트럿의 전방측에 피봇 연결되며 제2 정지구 스트럿의 제2 단부는 제3 스트럿의 후방측에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구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 사이에 위치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구조물 모듈이 개방 위치에 있으면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구는 최소한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게 그 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1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제2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3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의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과 제1 및 제3 스트럿은 구조물 모듈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볼록한 이등변 사다리꼴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구는 최소한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게 그 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1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제2 정지구 스트럿은 그 제2 단부에서 제3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며,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의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과 제1 및 제3 스트럿은 구조물 모듈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오목한 이등변 사다리꼴 형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13. 각각의 전방 스트럿과 후방 스트럿의 중간 반에 위치된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전방 스트럿과 후방 스트럿을 구비한 다수의 스트럿 쌍;
    외부 허브와 내부 허브를 구비하는 다수의 허브 쌍;
    최소한 상기 다수의 스트럿 쌍의 제1 및 제2 스트럿 쌍에 연결되어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이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내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후방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는 다수의 허브 쌍의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 및;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에 연관되고,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 또는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후방 스트럿 중 하나에 피봇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최소한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정지구를 포함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접철가능한 구조물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내외부 허브 중 하나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구는 그 제1 단부 근처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정지구 스트럿의 제1 단부는 최소한 정지구의 아치단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접철가능한 구조물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의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내외부 허브 중 하나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 제1 허브 쌍으로부터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제1 및 제2 스트럿 쌍 중 하나에 연결되는 다수의 허브 쌍 중 최소한 2개의 제2 허브 쌍을 더욱 포함하며, 최소한 2개의 허브 쌍 각각의 내부 허브는 제1 및 제2 스트럿 쌍 중 하나의 후방 스트럿에 피봇 연결되고 최소한 2개의 허브 쌍 각각의 외부 허브는 제1 및 제2 스트럿 쌍 중 하나의 전방 스트럿 각각에 피봇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및 제2 허브 쌍의 하나와 연관된 정지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
  17. 제 13 항에 있어서,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
  18.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 각각의 중간 반에 위치된 제1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1 스트럿 쌍;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 각각의 중간 반에 위치된 제2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제 3 스트럿과 제4 스트럿을 구비하는 제2 스트럿 쌍;
    상기 제1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3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1 허브;
    상기 제2 스트럿의 제1 단부와 제4 스트럿의 제1 단부가 이에 피봇 연결되는 제2 허브 및;
    제1 허브, 제1 스트럿 및 제3 스트럿 중 최소한 하나에 부착되고 아치단부를 구비한 정지구를 포함하는 구조물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모듈은 제1 스트럿 쌍과 제2 스트럿 쌍의 스트럿 종축이 서로 나란한 접힌 위치와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제2 허브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모듈.
  19. 각각의 제1 스트럿과 제2 스트럿의 중간 반에 위치된 각각의 스트럿 쌍 피봇 연결점에서 상호 피봇 연결되는 전방 스트럿과 후방 스트럿을 구비하는 다수의 스트럿 쌍과, 각각 외부 허브와 내부 허브를 구비하고 다수의 허브 쌍의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이 일령의 스트럿 쌍을 형성하게 다수의 스트럿 쌍 중 최소한 제1 및 제2 스트럿 쌍에 연결되어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외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과 피봇 연결되고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의 내부 허브가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후방 스트럿과 피봇 연결되는 다수의 허브 쌍 및 최소한 하나의 제1 허브 쌍과 연관되고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전방 스트럿 또는 제1 및 제2 스트럿 쌍의 후방 스트럿 중 하나에 피봇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최소한 아치단부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정지구를 포함하고, 정지구의 아치단부가 최소한 하나의 허브 쌍의 내외부 허브 중 하나와 접촉하는 개방 위치로이동하는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스트럿 쌍을 각각의 스트럿 쌍의 전후방 스트럿이 서로 나란하고 제1 허브 쌍의 허브가 서로 가능한 멀리 떨어지는 접힌 위치로부터 정지구가 제1 허브 쌍의 허브를 서로 가깝게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며 각각의 스트럿 쌍이 개방 위치에 온 후에는 내외부 허브를 서로 고정시키지 않고 일련의 스트럿 쌍의 스트럿 쌍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삭제
KR1020137030582A 2011-05-23 2012-05-11 정지구를 구비한 구조물 모듈, 접철가능한 구조물 및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 Active KR101573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13,704 US9631393B2 (en) 2011-05-23 2011-05-23 Structural module with stop,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ng a collapsible structure
US13/113,704 2011-05-23
PCT/US2012/037407 WO2012161983A1 (en) 2011-05-23 2012-05-11 Structural module with stop,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ng a collapsibl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340A KR20140079340A (ko) 2014-06-26
KR101573275B1 true KR101573275B1 (ko) 2015-12-01

Family

ID=4721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582A Active KR101573275B1 (ko) 2011-05-23 2012-05-11 정지구를 구비한 구조물 모듈, 접철가능한 구조물 및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631393B2 (ko)
EP (1) EP2715017B1 (ko)
JP (1) JP6147732B2 (ko)
KR (1) KR101573275B1 (ko)
CN (1) CN103764930B (ko)
CA (1) CA2837116C (ko)
MX (1) MX341135B (ko)
WO (1) WO2012161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4812S1 (en) 2013-05-16 2015-12-08 Robert H. Wilson Component stand kit
DE102015002620A1 (de) * 2015-03-03 2016-10-20 Daniel Kerber Tragwerk für ein kuppelförmiges Dach
US11732496B1 (en) 2016-06-30 2023-08-22 DLX Enterprises, LLC Shelter and hub system
US11280107B1 (en) 2016-06-30 2022-03-22 DLX Enterprises, LLC Shelter and hub system
US10309093B1 (en) 2016-06-30 2019-06-04 DLX Enterprises, LLC Shelter and hub system
US11041324B2 (en) 2018-05-24 2021-06-22 International E-Z Up, Inc. Portable erectable shelter
US10995516B2 (en) 2018-12-18 2021-05-04 Hdt Expeditionary Systems, Inc. Articulating frame shelter
US11122955B2 (en) 2018-12-19 2021-09-21 Berkshire Holding Corporation Cleaning kit
USD953467S1 (en) 2020-10-19 2022-05-31 Zhejiang Hengfeng Top Leisure Co., Ltd. Tent
USD972677S1 (en) 2020-10-19 2022-12-13 Zhejiang Hengfeng Top Leisure Co., Ltd. Tent
USD1050872S1 (en) * 2022-07-06 2024-11-12 Bijou Corp. Bracket hub
USD1034874S1 (en) 2021-12-15 2024-07-09 Zhejiang Hengfeng Top Leisure Co., Ltd. Tent
DE112023002128T5 (de) * 2022-05-04 2025-02-27 Thule Sweden Ab Dachzelt-Anbau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14117B1 (ko) * 1970-06-04 1973-05-02
US3710806A (en) * 1971-10-27 1973-01-16 V Kelly Erectable building structure
US3968808A (en) 1974-11-06 1976-07-13 Zeigler Theodore Richard Collapsible self-supporting structure
US4290244A (en) 1976-07-13 1981-09-22 Zeigler Theodore Richard Collapsible self-supporting structures and panels and hub therefor
US4026313A (en) 1976-07-13 1977-05-31 Zeigler Theodore Richard Collapsible self-supporting structures
USRE31565E (en) * 1977-06-16 1984-04-24 Rupp Industries, Inc. Portable shelter
JPS54104108U (ko) * 1978-01-05 1979-07-23
US4193414A (en) * 1978-06-26 1980-03-18 Trochman John E Collapsible and portable structure
US4437275A (en) 1979-06-04 1984-03-20 Nomadic Structures, Inc. Collapsible self-supporting structures
US4280521A (en) 1979-06-19 1981-07-28 Zeigler Theodore Richard Hub assembly for collapsible structures
US4334660A (en) 1979-12-28 1982-06-15 Zeigler Theodore Richard Collapsible bin structure
US4512097A (en) 1982-07-30 1985-04-23 Zeigler Theodore Richard Display panel mounting clip
US4637180A (en) 1982-08-19 1987-01-20 Zeigler Theodore Richard Clip for self-locking collapsible/expandable structures
US4522008A (en) 1982-08-19 1985-06-11 Zeigler Theodore Richard Clip for self-locking collapsible/expandable structures
US4473986A (en) 1983-01-17 1984-10-02 Zeigler Theodore Richard Collapsible/expandable structural module with split hub locking
US4761929A (en) 1983-01-17 1988-08-09 Zeigler Theodore Richard Collapsible/expandable structural frameworks
US4579066A (en) 1983-07-05 1986-04-01 Zeigler Theodore Richard Knock-down table
US4747239A (en) 1983-11-17 1988-05-31 Zeigler Theodore Richard Brackets for connecting adjacent exhibit frames together
US4561618A (en) 1983-11-17 1985-12-31 Zeigler Theodore Richard Stabilizing foot for an exhibit frame
US4970841A (en) 1985-06-10 1990-11-20 Nomadic Structures, Inc. Universal building system
USRE33710E (en) 1985-11-06 1991-10-08 World Shelters, Inc. Portable shelter assemblies
US4689932A (en) 1985-11-06 1987-09-01 Zeigler Theodore Richard Portable shelter assemblies
US4800663A (en) 1986-12-11 1989-01-31 Zeigler Theodore Richard Collapsible display apparatus
US4838003A (en) 1986-12-11 1989-06-13 Zeigler Theodore Richard Hub assembly for collapsible structures
US4885891A (en) * 1988-08-30 1989-12-12 Lynch James P Reinforcement member for an extendible scissors truss
US4945936A (en) * 1989-08-16 1990-08-07 Surrendi Dennis C Collapsible tent and frame therefor
US5230196A (en) 1990-09-05 1993-07-27 World Shelters, Inc. Polyhedron building system
US5274980A (en) 1991-12-23 1994-01-04 World Shelters, Inc. Polyhedron building system having telescoping scissors
US5490533A (en) * 1993-04-05 1996-02-13 Carter Mark C Collapsible shelter with elevated canopy
US5444946A (en) 1993-11-24 1995-08-29 World Shelters, Inc. Portable shelter assemblies
US5651228A (en) 1996-02-13 1997-07-29 World Shelters, Inc. Family of collapsible structures and a method of making a family of collapsible structures
US6141934A (en) 1998-12-07 2000-11-07 World Shelters, Inc. Folding frame system with foldable leg assembly and method of erecting a folding frame system
JP3938873B2 (ja) * 2002-02-01 2007-06-27 株式会社ニューテックジャパン 折り畳み式テント
US6772780B2 (en) 2002-03-04 2004-08-10 Roy Justin Price Collapsible frame
CA2475232C (en) * 2003-08-06 2007-07-17 Caravan Canopy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canopy frame having reduced truss bar length
US7832170B2 (en) 2004-02-18 2010-11-16 World Shelters, Inc. Expandable and collapsible structures including split scissor assembly
US7533498B2 (en) * 2004-02-18 2009-05-19 World Shelters, Inc. Mechanically deployable expandable and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for deploying a structure
US7712261B2 (en) 2004-02-18 2010-05-11 World Shelters, Inc. Collapsible structure with self-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erecting a collapsible structure
CN100357556C (zh) * 2004-02-21 2007-12-26 厦门革新塑胶制品有限公司 大型可折叠帐篷的侧杆组
US7357238B2 (en) 2004-05-27 2008-04-15 World Shelters, Inc. Expandable and collapsible modular structure
US7455164B2 (en) 2005-01-14 2008-11-25 World Shelters, Inc. Expandable and collapsible structure with rollers
US7478644B2 (en) 2006-07-19 2009-01-20 World Shelters, Inc. Folding frame assembly with foldable leg arrangement
US20080017232A1 (en) * 2006-07-19 2008-01-24 Zeigler Theodore R Folding frame system with cantilever arrangement
US7556054B2 (en) 2006-07-19 2009-07-07 World Shelters, Inc Foldable frame element and system with tension lock
JP4227159B2 (ja) * 2006-09-14 2009-02-18 弘志 村田 折り畳み式骨組み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37116C (en) 2020-01-14
US9631393B2 (en) 2017-04-25
WO2012161983A1 (en) 2012-11-29
KR20140079340A (ko) 2014-06-26
US20120298162A1 (en) 2012-11-29
JP2014517887A (ja) 2014-07-24
EP2715017A1 (en) 2014-04-09
EP2715017B1 (en) 2018-10-10
EP2715017A4 (en) 2015-10-07
JP6147732B2 (ja) 2017-06-14
MX341135B (es) 2016-08-08
CN103764930B (zh) 2016-04-27
MX2013013733A (es) 2014-02-27
CA2837116A1 (en) 2012-11-29
US20170175414A1 (en) 2017-06-22
CN103764930A (zh)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275B1 (ko) 정지구를 구비한 구조물 모듈, 접철가능한 구조물 및 접철가능한 구조물을 세우는 방법
US6206020B1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and structure with articulating scissor assemblies
EP2087184B1 (en) Craft dome
US6374843B1 (en) Support structure for collapsible shelter
US7556054B2 (en) Foldable frame element and system with tension lock
US4748995A (en) Tent frame
US20040084074A1 (en) Canopy support
US7357140B2 (en) Collapsible structure
CA2070270A1 (en) Ice fishing shelter
US7712261B2 (en) Collapsible structure with self-locking mechanism and method of erecting a collapsible structure
AU2019328730B2 (en) Collapsible sheltered bench
US20070204897A1 (en) Tent pole/truss locking mechanism
JPH05507977A (ja) アーチ形構造物
EP0901551A1 (en) A foldable tent
KR20100128206A (ko) 자동 절첩식 대형 텐트
CN112912571A (zh) 框架和互连框架的系统
AU2005201258B2 (en) Collapsible structure
WO2012065226A1 (en) A tent
KR20040037387A (ko) 절첩식 천막 프레임 구조체
MXPA00011120A (en) Present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