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721B1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hyoscine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hyosc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2721B1 KR101572721B1 KR1020130121960A KR20130121960A KR101572721B1 KR 101572721 B1 KR101572721 B1 KR 101572721B1 KR 1020130121960 A KR1020130121960 A KR 1020130121960A KR 20130121960 A KR20130121960 A KR 20130121960A KR 101572721 B1 KR101572721 B1 KR 101572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composition
- hiosin
- present
- ac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IDLUNKLKBUJSND-KJMFMAQNSA-N CN(C(C1)C2O[C@@H]22)C2=C[C@H]1OC([C@H](CO)c1ccccc1)=O Chemical compound CN(C(C1)C2O[C@@H]22)C2=C[C@H]1OC([C@H](CO)c1ccccc1)=O IDLUNKLKBUJSND-KJMFMAQN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6—8-Azabicyclo [3.2.1] octane; Derivatives thereof, e.g. atropine, coca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히오신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PPAR 알파 활성화제,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PAR alpha activator, a cosmetic compositio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iosin as an active ingredi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dysfunction using the composi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히오신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PPAR 알파 활성화제,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PAR alpha activator, a cosmetic composition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iosin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dysfunction using the composition.
사람의 피부는 진피 (dermis)와 표피 (epidermis)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는 주로 콜라겐과 기타 단백질을 합성하며, 소량의 지질을 생산하는 섬유아세포 (fibroblast)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Human skin consists of dermis and epidermis. The dermis consists mainly of fibroblasts that synthesize collagen and other proteins and produce small amounts of lipids.
이와 대조적으로, 표피는 주로 지질을 생성하고 콜라겐은 실질적으로 합성하지 않는 각질 형성 세포 (keratinocyte)를 포함하고 있다.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 및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 기능은 각질 형성 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In contrast, the epidermis contains keratinocytes, which mainly produce lipids and collagen does not substantially synthesize keratinocytes. The epiderm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skin, performs a protective function to protect against various external physical, chemical and mechanical stimuli and to prevent excessive divergence of body water through the skin. This protective function is possible by normally forming and maintaining the stratum corneum composed of keratinocytes.
이러한 각질 형성 세포는 표피 최하층 (stratum basale)에서 지속적으로 증식된 기저 세포 (basal cell)가 각질층 (stratum corneum)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쳐 형성된 세포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오래된 각질 형성 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최하층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각질 형성 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 (epidermis differentiation) 또는 각화 (keratinization)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This keratinocyte is a cell formed by the basal cell which continuously grows in the stratum basale after passing through the stratum corneum and undergoes a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nge step by step, Forming cells are disappeared from the skin and new epidermal cells from the epidermal layer are repeatedly replaced by epidermis differentiation or keratinization.
이러한 각화 과정에서 각질 형성 세포는 천연 보습 인자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피부 장벽 (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비특허문헌 1).
In this keratinization process, keratinocytes produce intracellular lipids such as 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and ceramide, cholesterol and fatty acid, which acts as a barrier for the outer layer of the stratum corneum, (Non-Patent Document 1).
현대 사회의 주요 질환의 하나로 여겨지는 피부 건조증은 피부 장벽 기능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의 하나로, 최근, 환경 오염, 아파트, 고층 건물과 같은 건조한 환경의 증가,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우리 나라 특유의 과도한 목욕 문화, 피부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증세가 심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Skin drynes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jor diseases of modern society, is one of the symptoms caused by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 in dry environment such as apartments and high rise building, increase in social stress, Bathing culture, skin aging, etc., and the cases where the symptoms are serious and require treatment are also increasing steadily.
최근 소아의 10 %에서 발병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역시 피부 건조증, 보다 근본적으로는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을 주요 원인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부 내 적절한 수분 유지에 중점을 두어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세라마이드 (ceramide) 또는 그의 유도체와 같은 보습제가 개발되어 제약 또는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Atopic dermatitis, which is present in 10% of children in recent years, is also known to be a cause of dry skin syndrome, and more fundamentally, abnormal skin barrier function. In order to treat such atopic dermatiti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supply water from the outside or minimize water loss from the body by focusing on proper moisture retention in the skin in the past. Actually, ceramide or derivatives thereof have been developed and are wide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field.
그러나, 이와 같은 보습제의 사용은 그 대부분이 근본적인 치료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에 불과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증 및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치료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손상된 피부 장벽을 근원적으로 재생시켜주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However, the use of such a moisturizing agent is not only a fundamental treatment but a temporary symptom relief, and thus has not shown sufficient effect for treatment of dry skin and skin barrier function including atopic dermatitis.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substance that can restore the damaged skin barrier fundamentally.
최근 들어, 각질 형성 세포에 존재하는 PPAR 알파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가 그 리간드 (ligand)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실제로 공지된 PPAR 알파의 작용제 (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 (Clofibrate) (비특허문헌 2) 또는 WY14643 (비특허문헌 3) 등을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가 촉진되고 피부 장벽의 회복이 촉진됨이 확인된 바 있다.
Recently, it has been known that PPAR alph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present in keratinocyte cells is activated by binding to its ligand, there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and reconstructing damaged skin barrier. In the case of applying Clofibrate (non-patent document 2) or WY 14643 (non-patent document 3) which is an agonist of known PPAR alpha to skin having a damaged skin barrier,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is accelerated And recovery of the skin barrier is promoted.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에 대한 연구가, 근본적인 치료 방안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세라마이드 관련 연구에 치중되어 있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PPAR 알파의 활성화제 기능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히오신이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근원적으로 피부 장벽 기능을 회복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이를 이용한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studi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dry hair syndrome or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including atopic dermatitis, which are heretofore unrecognized as a fundamental treatment method, It has been found for the first time that hyaloxin derived from a natural product having an activating function of PPAR alpha has an effect of restoring skin barrier function fundamentally by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 Thereby completing a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treatment.
본 발명은 히오신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ntaining hiosin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is intended to prevent, ameliorate or treat dry skin or skin barrier dysfunction, particularly atopic dermatitis, using the composi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히오신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PPAR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알파 활성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PPAR) alpha activator containing chiosin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히오신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comprising hiosin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skin or skin barrier function comprising hios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dysfunction by us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히오신 (Hyoscine)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PPAR 알파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활성화제를 제공한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PAR alph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activator containing Hyoscine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천연 상태의 히오신 (Hyoscine)은 가지과 (Solanaceae) 식물인 사리풀 (Hyoscyamus niger)의 종자나 잎, 또는 독말풀 (Datura stramonium)의 종자, 벨라돈나 (Atropa belladonna) 등에서 추출되는 알칼로이드 물질의 일종이다. 이러한 히오신은 부교감 신경을 차단하는 기능이 있어 부교감 신경 차단제로서 진통제나 진경제 등으로 사용되며 멀미약의 주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
The natural state of Hyoscine is the seed or leaf of the Solanaceae plant, Hyoscyamus niger , or Datura stramonium seed, atropa belladonna ) and the like. This hiosin has the function to block the parasympathetic nerve, and is used as analgesic agent or antispasmodic agent as a parasympathetic nerve blocker and is used as a main component of the parasitic drug.
본 발명의 상기 히오신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히오신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hi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a hosin having the structure of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본 발명자들은 각질 형성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PPAR 알파를 활성화함으로써, 피부 각질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피부 장벽의 손상을 빠르게 회복시키고 피부 건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우수한 PPAR 알파 활성화 기능을 갖는 물질을 개발하던 중, 히오신이 매우 우수한 PPAR 알파 활성화 기능을 나타냄을 처음으로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현재까지 히오신의 PPAR 알파 활성화 기능 및 피부 장벽 회복 능력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substance having an excellent PPAR alpha activation function to activate the PPAR alpha expressed in the keratinocyte to promote the differentiation of the keratinocyte to rapidly recover the damage of the skin barrier and to solve the problem of skin drynes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hiosin exhibits an excellent PPAR alpha activation function,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To date, there has been no report on the PPAR alpha activation function and skin barrier recovery ability of hiosin.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히오신은 우수한 PPAR 알파 활성화 기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기 히오신을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경우, 피부 장벽 회복 속도를 눈에 띄게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As a result of the studies conducted by the present inventors, it has been found that hiosin not only exhibits excellent PPAR alpha activation but also effectively promotes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s. When the hiosin is directly applied to the skin, .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히오신을 함유하는 배지에 마우스 유래 근아세포주인 C2C12 세포를 배양한 결과, PPAR 알파의 활성도가 상당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se-derived myoblasts, C2C12 cells,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hiosin, and the activity of PPAR alph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xample 1).
또한, 본 발명의 히오신은 세라마이드 (Ceramide)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스핑고마이엘리나아제 (Sphingomyelinase)의 활성을 증가시켜 세라마이드 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resent hiosin exhibits an effect of increasing ceramide formation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Sphingomyelinase, an enzyme involved in ceramide forma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히오신을 함유하는 배지에 인간 유래 각질 세포주인 HaCaT 세포를 배양한 결과, 스핑고마이엘리나아제의 활성도가 상당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In a specific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uman cultured HaCaT cells, which are human keratinocyte lines, were cultured in a medium containing hiosin, and the activity of sphingomyelin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Example 2).
본 발명에서, 상기 히오신은 이와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히오신 수화물, 히오신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용매화합물이나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오신은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천연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국내외 화학 분야 회사들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히오신을 천연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히오신을 포함하는 한, 천연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osin may include a hosinhydrate, a hiocin derivative or the like within a range having the same effect, and may include a solvate or a stereoisomer thereof. The hiosin may be chemically synthesized, separated from natural materials, or purchased from domestic and overseas chemical companies. When the hi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solated from a natural substance,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ll of the extracts of natural products or fractions thereof, as long as the hiosin is contained.
본 발명의 상기 히오신은 이의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The hy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pharmaceutical o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 (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를 들어,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As such salts, acid addition salts formed by pharmaceutical or cosmetically acceptable free acids are useful. Acid addition salts can be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amount of an aqueous acid solution and precipitating the salt with a water-miscible organic solvent such as methanol, ethanol, acetone or acetonitrile. It is also possible to heat an equimolar amount of the compound and an acid or alcohol (e.g., glycol monomethyl ether) in water, and then evaporate the mixture to dryness, or the precipitated salt may be subjected to suction filtration.
상기 유리산으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 (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젖산 (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lic acid), 글루콘산 (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galacturonic acid),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glutar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As the free acid, an inorganic acid or an organic acid can be used. The inorganic acid may be, for example, hydrochloric acid, phosph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tartaric acid, etc.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admixture of two or mor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organic acid include metha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benzoic acid, tartaric acid, fumaric acid, mandelic aci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a compound of formula (I) as an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glycollic acid, gluconic acid, galacturonic acid, glutamic acid, glutaric acid, glucuronic acid, aspartic acid, ascorbic acid, carbonic acid, vanillyric acid, hydroiodic acid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한, 상기 히오신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바람직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 (예를 들어,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yosin can be used to make a pharmaceutically or cosmetically acceptable metal salt using a base. The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dissolving the compound in an excess amount of an alkali metal hydroxide or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solution, filtering the non-soluble compound salt, and evaporating and drying the filtrate. As the metal salt, it is preferable to produce sodium, potassium or calcium salt in particula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rresponding silver salt can also be obtained by reacting an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 with a suitable silver salt (for example, silver nitrate).
상기 히오신의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히오신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 (토실레이트)염 등을 들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ly o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of the above-mentioned hiosins may, unless otherwise indicated, include all salts of acidic or basic groups which may be present in the compounds of the above-mentioned hyosin. For example, the pharmaceutically o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may include sodium, calcium, and potassium salts of hydroxy groups, and other pharmacologically or cosmetically acceptable salts of amino groups include hardro-bromide, sulfate (Salicylate) salts such as hydrogen sulfates, phosphates, hydrogen phosphates, dihydrogen phosphates, acetates, succinates, citrates, tartrates, lactates, mandelates, methanesulfonates (mesylates) and p- And can be prepared through a method for producing a salt known in the ar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PPAR 알파 활성화제"는 각질 형성 세포에 존재하는 PPAR 알파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PAR alpha activator" refers to a substance that activates PPAR alpha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alpha) present in keratinocytes.
본 발명의 히오신은 PPAR 알파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inventive hirosine was found to be excellent in the function of activating PPAR alpha.
본 발명의 상기 PPAR 알파 활성화제는 히오신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염의 유효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PPAR 알파 활성화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되거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The PPAR alpha ac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hiosin or a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he effective amount of the hiosin or a salt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cluded in the amount of 0.00001 to 99.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PAR alpha activator, or may be included in the total amount.
본 발명의 상기 PPAR 알파 활성화제는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염에 더하여 부형제, 담체 등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PPAR alpha ac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salt thereof, an excipient, carrier, and other additives, and may be manufactured with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m.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서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상기 PPAR 알파 활성화제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PAR alpha ac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건조증"은 피부의 수분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증상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dry skin syndrome" refers to all the symptoms caused by dryness of the skin due to lack of moisture in the ski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장벽 (skin barrier) 기능"이란, 피부, 특히 표피의 각질층이 외부로의 수분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로부터의 물질 출입을 통제하는 등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은 상기 피부 장벽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된 상태뿐 아니라 저하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있거나 이를 예방할 필요가 있는 모든 상태를 의미한다.The term "skin barrier func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kin barrier function, in particular, as a barrier layer to the outside, such as preventing the outflow of moisture to the outside of the skin, The term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condition in which the skin barrier function is deteriorated or damaged as well as the possibility that the skin barrier function is degraded or damaged or needs to be prevented.
본 발명의 상기 피부 건조증은 피부의 수분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라면, 그 구체적인 증상의 종류나 증상의 정도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symptom of the dry sk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symptom caused by drying of the skin due to lack of moisture of the skin.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은 피부 장벽 기능이 저하되거나 손상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라면, 그 구체적인 증상의 종류나 증상의 정도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far as the symptom is caused by the deterioration or damage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본 발명의 상기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토피성 피부염, 건성 습진, 건선, 색소성 건피증 등을 들 수 있다.Non-limiting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topic dermatitis, dry eczema, psoriasis, pigmented scleroderma, and the like.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개선하는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It has been foun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for improving th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in particular.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10대 내지 50대 사이의 연령층의 20명을 대상으로, 이들을 2 그룹 (각 10명씩)으로 나누어 그 중 한 그룹에만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4 주 동안 도포하게 한 후 개선 효과를 관찰한 결과,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지 않은 다른 그룹에 비하여 우수한 아토성 피부염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persons aged between the ages of 10 and 50 who were diagnosed with atopic dermatitis were divided into 2 groups (each 10 persons), and only one of them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improvement effect after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four weeks to a site showing atopic symptom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exhibited superior effect of improving the dermatiti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groups not appli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3 ).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작용에 의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거나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없어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함이 없이 안전하다.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barrier function 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the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function due to the action of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its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And thus it is safe without causing side effects even when applied to human body.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내에서,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적절한 양으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염의 PPAR 알파 활성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보다 적합해지는 이점이 있다.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osin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preferably 0.0001% by weight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05 wt% to 10 wt%. Within the above-mentioned content range, the use of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its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in an appropriate amount is economical, and the PPAR alpha activity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its salt is sufficiently exhibited to be more suitabl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for oral use such as a solution, an ointment for external use, a cream, a foam, a nutritional lotion, a flexible lotion, a pack, a flexible water, a latex, a makeup base, an essence, But may be formulated into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mulsions, pastes, gel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ers,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patches and sprays, It is not.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외용 연고, 로션 등과 같은 반고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ferably be manufactured with a semi-solid preparation such as an external ointment, lo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to be incorporated in a cosmetic composition for general skin. Examples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 ordinary ingredients such as oil, water, a surfactant, a moisturizer, a lower alcohol, , A chelating agent, a coloring agent, a preservative, a perfume, and the like may be appropriately compoun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The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to be contain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formulations.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intments, pastes, creams or gels, the carrier component may be an animal oil, a vegetable oil, a wax, a paraffin, a starch, a tracer, a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 bentonite, silica, talc, zinc oxid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polyamide powder and the lik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In particular, But are not limited to, propellants such as rocaborn, propane / butane or dimethyl ether.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an emulsion, a solvent, a dissolving agent or an emulsifying agent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and the like can be used, and particularly fatty acid esters of cottonseed oil, peanut oil, corn oil, olive oil, castor oil and sesame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a carrier such as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sion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ap, use is made of an alkali metal salt of a fatty acid, a fatty acid hemiester salt, a fatty acid protein hydrolizate, isethionate, a lanolin derivative, an aliphatic alcohol, a vegetable oil, glycer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skin or skin barrier function,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의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피부 건조증, 및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은, 본 발명의 상기 PPAR 알파 활성화제 및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The above-mentioned hiosin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kin dryness, and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PAR alpha activator and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rophylactic " means any act that inhibits or delays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The term "treatment ", as used herein, refers to any act which,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individual, alleviates or alleviates the symptoms of dry skin or skin barrier dysfunction.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작용에 의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하거나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독성이 없어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함이 없이 안전하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barrier function 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the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by the action of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it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It is safe because it is not toxic and does not cause side effects when applied to human body.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중량%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내에서,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적절한 양으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염의 PPAR 알파 활성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보다 적합해지는 이점이 있다.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os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preferably 0.0001 wt%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ferably from 0.0005% by weight to 10% by weight. Within the above-mentioned content range, the use of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 an appropriate amount is economical, and the PPAR alpha activity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its salt is sufficiently exhibited to be more suitabl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에 더하여,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produc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멸균 주사 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or the like, oral preparations or sterilized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rubber,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But are not limited to, 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mineral oil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ulated, it can be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humecta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that are usually used.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1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one or more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lactose or gelatin. Can be mixed and prepared.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may also be used.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and the lik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simple diluents commonly used. have.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external preparation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non-aqueous solution and suspension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외용 연고, 로션 등과 같은 반고형 제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a semi-solid preparation such as an external ointment, lo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nd the effective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administration time and / or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response, the type of subject being treated, the age, body weight, general health status, severity or severity of the disease, sex, diet, excretion, drugs used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with the subject, , And the lik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determine and prescribe dosages that are effective for the desired treatment.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doses. Accordingly, the dosage is not limited in any way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mod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method and may be arbitrarily administered and administered as long a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reach the desired site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metho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preferably parenterally.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The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be, for example,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and a method of applying, spraying or inhalation the composition to a diseased site may also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o.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 투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국부 투여 (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by a topical application method, more preferably by percutaneous administration during parenteral administration, more preferably by apply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이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eating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comprising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above.
본 발명의 상기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skin dryness or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The term "individual" as used herein refers to all animals, including mammals including rats, livestock, humans,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도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의 피부에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해당 조성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term "application, " as used herein, refers to contact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kin of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thereby aiming to absorb the composition into the skin.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량 (투여량)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투여량의 내용으로 갈음한다.
The amount (dose) of applic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is replaced with the content of the dose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히오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eventing or preventing dry skin disorder or skin barrier function, which comprises administe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hios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Provide a treatment method.
본 발명의 상기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skin disorder or skin barri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체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above-mentioned prevention or trea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aid subjec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above-mentioned preventive or therapeu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se, administration route and administration mod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특별한 제한없이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을 개체의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preventive or therapeu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by an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but more preferably,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a manner such that the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kin of an individual .
본 발명의 히오신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건조증 또는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아토피성 피부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hi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meliorate, or treat the dry skin disorder or skin barrier function abnormality, and further exhibit the effect of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각질 형성 세포 내에서 PPAR 알파를 활성화시키는 효능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표피의 분화의 불완전에서 비롯되는 여러 피부 질환들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hi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 effect of activating PPAR alpha in dermal keratinocytes, thereb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keratinocyte cells, thereby providing various effects resulting from incomplete differentiation of epidermis Can be used to treat skin diseas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스핑고마이엘리나아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세라마이드 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above-described hi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ncreasing ceramide formation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sphingomyelinase, an enzyme involved in ceramide formation.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1: One: 히오신의Hiyosin PPARPPAR 알파 활성화 촉진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Alpha Activation Promotion Effect
히오신의 PPAR 알파 활성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 사천 Sichuan Hongjie Import & Export CO., LTD로부터 구입한, 고순도로 추출된 형태의 히오신 (이하, 히오신 출처 동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In order to confirm the promoting effect of PPAR alpha activation of hioshin, hiox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Hiosin source) extracted from high purity, purchased from Sichuan Hongjie Import & Export CO., LTD., China, Experiments were performed.
마우스 유래의 근아세포 (myoblast) 세포주인 C2C12 세포 (ATCC CRL-1772)를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벡터로는, 1) pZEO 벡터 (Invitrogen)의 SV40 프로모터에 효모의 전사 인자인 GAL4-DBD (DNA Binding Domain)과 인간 PPAR 알파 LBD (Ligand Binding Domain)에서 Ser167 내지 Tyr468을 암호화하는 DNA 단편 (유전자 은행 정보, NM 005036)을 포함하는 벡터, 2) GAL4 응답 서열을 루시퍼라이제 (Luciferase)를 발현하는 pGL3 벡터 (Promega)의 다중 제한 효소 인지 부위에 삽입된 벡터, 및 3) 트랜스팩션 대조군 (transfection internal control)으로 b-갈락토시다아제 (b-galactodis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사용하였다.C2C12 cells (ATCC CRL-1772), a mouse myoblast cell line, were subcultured in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dium containing 10% fetal bovine serum. 1) Encoding Ser 167 to Tyr 468 in the SV40 promoter of the pZEO vector (Invitrogen) in the yeast transcription factor GAL4-DBD (DNA Binding Domain) and human PPAR alpha LBD (Ligand Binding Domain) 2) a vector inserted into a multiple restriction enzyme recognition site of a pGL3 vector (Promega) expressing a luciferase, and 3) a vector containing a DNA fragment (gene bank information, NM 005036) A vector expressing b-galactodisase as a transfection internal control was used.
상기 배양한 세포를 4×104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도말한 후, 12 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세 종류의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인 리포팩타민 (Lipopectamine)을 이용하여 트랜스팩션 (transient transfection) 하였다. 8시간 후, 히오신을 처리하고 12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PBS로 세척하고 1× 리포터 용해 버퍼 (reporter lysis buffer)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루시퍼라아제 분석 키트 (Promega) 및 b-갈락토시다아제 분석 키트 (Promega)를 사용하여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PPAR 알파 활성도는 '루시퍼라아제 활성/b-갈락토오스 활성'으로 측정하였다.The cultured cells were plated on a 24-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4 × 10 4 and cultured for 12 hours. The three types of plasmid genes were transiently transfected using lipopectamine . After 8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hiosin and incubated for 12 hours. Then, the cells were washed with 1 x PBS, lysed with 1 x reporter lysis buffer, and luciferase assay kit (Promega) and b- The activity of luciferase was measured using a galactosidase assay kit (Promega). That is, the PPAR alpha activity was measured as " luciferase activity / b-galactose activity ".
본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으로는 PPAR 알파의 리간드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Wy-14,643 (Calbiochem)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녹일 때 사용한 DMSO 0.05%를 사용하였다.
Wy-14,643 (Calbiochem), the most potent ligand of PPAR alpha,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is experiment, and DMSO 0.05%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상기 실험 방법에 따라, 히오신을 C2C12 세포에 처리하여 농도 변화에 따른 PPAR 알파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PPAR 알파 활성도의 수치는 음성 대조군 (DMSO 0.05%) 대비 백분율을 의미한다.According to the above experimental method, the activity of PPARalpha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by treating hiosin with C2C12 cell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The values of PPAR alpha activity in Table 1 below refer to percentages relative to negative control (0.05% DMSO).
상기 표 1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제된 화합물인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상기 히오신은 매우 강력한 PPAR 알파 활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above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hi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very strong PPAR alpha activity when compared with the positive control, which is a purified compound.
실시예Example 2: 2: 히오신의Hiyosin 세라마이드Ceramide 형성 활성화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formation activation effect
히오신의 세라마이드 형성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activation of ceramide formation of hiocin.
히오신을 인간 각질 세포주 HaCaT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여 지질의 구성 성분인 세라마이드 형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스핑고마이엘리나아제의 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 히오신을 20 ㎍/㎖ 농도로 HaCaT 세포의 배양 배지에 첨가하여 1일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거두어 스핑고마이엘리나아제 분석 키트 (Cayman)를 이용하여 상기 효소의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Hiosin was added to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 culture medium to measure the activity of sphingomyelinase, an enzyme involved in ceramide formation, which is a component of lipid. The hosi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of HaCaT cells at a concentration of 20 μg / ml and cultured for 1 day. The cells were harvested and the activity of the enzyme was measured using a sphingomyelinase assay kit (Cayman).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스핑고마이엘리나아제 활성도의 수치는 대조군 (히오신 무처리군) 대비 백분율을 의미한다.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In Table 2 below, the level of sphingomyelinase activity refers to the percentage of the control group (untreated group).
상기 표 2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히오신은 인간 각질 세포주 HaCaT 세포의 스핑고마이엘리나아제를 활성화하여 세라마이드의 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above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hiros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ctivates sphingomyelinase of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o increase ceramide formatio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및 1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히오신을Hiyosin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의 제조 Manufacture of ointment for external skin containing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히오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 (제조예 1), 및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지 않는 피부 외용 연고 (비교예 1)를 제조하였다.
(Ophthalmic ointment containing ointment (Preparation Example 1) and ointment-free skin ointment (Comparative Example 1) were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below.
포스페이트Polyoxyethylene oleyl ether
Phosphate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및 2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히오신을Hiyosin 함유하는 크림의 제조 Manufacture of cream containing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히오신을 함유하는 크림 (제조예 2), 및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지 않는 크림 (비교예 2)을 제조하였다.
(Example 2) containing hyssin and a cream containing no hiosin (Comparative Example 2) were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4 below.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3 및 3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히오신을Hiyosin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의 제조 Manufacture of Containing Lotion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히오신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 (제조예 3), 및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지 않는 유연 화장수 (비교예 3)를 제조하였다.
(Production Example 3) containing hysosine and a soft lotion containing no hyssin (Comparative Example 3) were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5 below.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Polylauric acid
Polyoxyethylene
Sorbitan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4 및 4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4: 4: 히오신을Hiyosin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의 제조 Manufacture of nutritional lotion containing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히오신을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 (제조예 4), 및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지 않는 영양 화장수 (비교예 4)를 제조하였다.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6, a nutritional lotion containing hiosin (Preparation Example 4) and a non-hyposine-containing nutrition lotion (Comparative Example 4) were prepared.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5 및 5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5: 5: 히오신을Hiyosin 함유하는 팩의 제조 Manufacture of packs containing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히오신을 함유하는 팩 (제조예 5), 및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지 않는 팩 (비교예 5)을 제조하였다.
A pack containing hiosin (Preparation Example 5) and a package containing no hiosin (Comparative Example 5) were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7 below.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6 및 6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6: 6: 히오신을Hiyosin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Manufacture of essences containing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히오신을 함유하는 에센스 (제조예 6), 및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지 않는 에센스 (비교예 6)을 제조하였다.
(Example 6) containing the hyssin and the essence without the hyssin (Comparative Example 6) were prepared in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8 below.
수용액 (1%)Sodium hyaluronate
Aqueous solution (1%)
실시예Example 3: 3: 히오신을Hiyosin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효과 검증 Verification of the improvement effect of atopic dermatitis on ointment containing external skin
히오신의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개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심한 건조증, 진무름, 가려움 등의 아토피 증상으로 진단받은 10대 내지 50대 연령층 사이의 20명을 대상으로, 이들을 각각 10명씩 2 그룹으로 나누고, 상기 각 그룹에 상기 비교예 1 또는 제조예 1의 피부 외용 연고를 제공하여 아토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4주 동안 도포하게 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of hioshin, 20 persons between the ages of 10 and 50 who were diagnosed with atopic symptoms such as severe dryness, dirtiness and itchin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persons each, Each of the above-mentioned groups was provided with the ointment for external use of the skin of Comparative Example 1 or Production Example 1, and was applied to a region showing atopic symptoms for 4 weeks.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는 4주 후, 개선 정도를 자가 설문을 통해 판정하였다. 상기 자가 설문은 상기 비교예 1 또는 제조예 1의 피부 외용 연고를 사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개선 정도를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및 '미흡'의 총 4 단계로 판정하도록 하였다.The improvement effect of atopic dermatitis was evaluated by self - questionnaire after 4 weeks. The self-questionnaire was judged to have four degrees of improvement in terms of 'very good', 'good', 'normal', and 'insufficient' compared to before using the ointment for external use of Comparative Example 1 or Production Example 1 .
상기 판정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The results of the determination are shown in Table 9 below.
상기 표 9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히오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연고를 사용한 경우 (제조예 1),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above Table 9, it was found that when the oily external ointment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hiosin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Production Example 1),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overall atopic dermatitis symptoms .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More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ways than those specifically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A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skin or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hyoscine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화학식 1]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hiosi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4. The cosmetic composition of claim 3,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from 0.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of hiosin or a cosme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ompositio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olution, an external ointment, a cream, a foam, a nutritional lotion, a flexible lotion, a pack, a flexible water, a latex, a makeup base, an essence, Wherein the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ers,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patches and sprays.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A method for improving skin dryness or atopic dermatitis by applying the cosmetic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3, 4, and 6 to 8 to the skin of a subject other than huma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ry skin or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hyoscin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화학식 1]
11.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hiosi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Chemical Formula 1]
11.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claim 10,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from 0.0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hios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skin or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11, and 13 to a subject other than huma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1960A KR101572721B1 (en) | 2013-10-14 | 2013-10-14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hyosc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1960A KR101572721B1 (en) | 2013-10-14 | 2013-10-14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hyosc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3026A KR20150043026A (en) | 2015-04-22 |
KR101572721B1 true KR101572721B1 (en) | 2015-11-27 |
Family
ID=5303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1960A Active KR101572721B1 (en) | 2013-10-14 | 2013-10-14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hyosc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272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56353A4 (en) * | 2016-05-09 | 2020-09-16 | Nanoegg Research Laboratories, Inc. |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atopic dermatitis |
CN118044994A (en) * | 2018-03-29 | 2024-05-17 | 株式会社Lg生活健康 | Application of hydroxy cinnamic acid, isoamyl acetate or betaine in preparation of composi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9846B1 (en) | 1997-09-04 | 2006-02-06 |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containing the active substance scopolamine base |
JP2009528382A (en) | 2006-03-01 | 2009-08-06 | トリストラータ・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treatment of tar-responsive skin diseases |
-
2013
- 2013-10-14 KR KR1020130121960A patent/KR1015727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49846B1 (en) | 1997-09-04 | 2006-02-06 | 에르테에스 로만 테라피-시스테메 아게 |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containing the active substance scopolamine base |
JP2009528382A (en) | 2006-03-01 | 2009-08-06 | トリストラータ・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 treatment of tar-responsive skin disea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3026A (en) | 2015-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6218B1 (en) |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ic skin disease or skin pruritis comprising colchicine | |
US8952060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for stimulating hair growth | |
KR20200015443A (en) | Antiallergic Cosmetic Composition | |
KR101229927B1 (en) | Skin Whitening Composition Using a Litter Extract or a Silk Worm Extract | |
KR101453610B1 (en) |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geniposide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1572721B1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hyoscine | |
KR20230033662A (en) |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damage comprising Artemisia princeps leaf extract | |
KR20150043029A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tectorigenin | |
KR100926047B1 (en) | Atopic Dermatitis Enhancer Composition | |
KR101552398B1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sophoridine | |
KR102584738B1 (en) | Composition for treating skin disease comprising colchicine | |
KR20150043030A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tetrandrine | |
KR20150043027A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dry skin or skin barrierfunction comprising rutin | |
KR101186925B1 (en) | Skin Whitening Composition Using a Mulberry Extract | |
KR102152850B1 (en) | Use of glycerine fatty acid derivatives | |
KR102084415B1 (en) |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pipinoresinol | |
KR101481226B1 (en) |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rebaudioside as an active ingredient | |
JP6249598B2 (en) | Topical skin preparation | |
KR101452582B1 (en) |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tetrahydropalmatine as an active ingredient | |
KR102691959B1 (en) | Composition for suppressing pruritus comprising pamoic acid as an active ingredient | |
JP2021519769A (en) |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arrier dysfunction | |
EP2046276B1 (en) |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containing folic acid and one or more polyols | |
KR101505712B1 (en) |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hypaconitine as an active ingredient | |
DE102022201277A1 (en) | Novel TOFA analogues, sebum reduction preparations containing such analogues and the cosmetic and/or therapeutic use of such analogues as an effective principle for sebum reduction or prevention | |
KR101434034B1 (en) |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comprising forsythin as an active ingredi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0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5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