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612B1 - Device for controlling circulating current for batteries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trolling circulating current for batter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2612B1 KR101572612B1 KR1020140076587A KR20140076587A KR101572612B1 KR 101572612 B1 KR101572612 B1 KR 101572612B1 KR 1020140076587 A KR1020140076587 A KR 1020140076587A KR 20140076587 A KR20140076587 A KR 20140076587A KR 101572612 B1 KR101572612 B1 KR 101572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string
- strings
- current
- battery st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트링 간 순환전류가 발생한 경우, 보상전압을 인가하여 전위차를 최소화 함으로써, 스트링 간 순환전류를 최소화하는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 어레이에 병렬 연결된 배터리 스트링의 전류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비교하여, 가장 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을 제외한, 작은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 순으로 순차적으로 보상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lating current controller for a battery which minimizes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strings by minimizing a potential difference by applying a compensation voltage when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strings occurs .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harger comprising: a battery charger that measures currents of battery string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ttery array, compares the measured battery string currents, And the compensation voltage is sequentially applied in the order of the battery strings having the curr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 EESS)으로 이용되는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렬연결을 통해 전압을 높이는 스트링(string) 구조를 다수개로 병렬 연결한 배터리 어레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스트링(string)형 배터리 시스템과 관련해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38607호(이하, '선행문헌') 외에 다수 등록 및 공개되어 있다. Regarding the string type battery system, there are many registered and disclosed in addition to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3860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cedent document").
상기한 선행문헌은, 직렬 연결된 배터리 스트링을 위한 전하 균일 장치에 있어서,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는 배터리 스트링; 상기 배터리 스트링을 구성하는 n번째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스트링의 일부분이며, 상기 n번째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m개 배터리 셀이 직렬 연결된 m의 배터리 스트링; 상기 배터리 스트링을 구성하는 배터리 각각에 병렬 연결된 자동 PWM 생성수단; 및 상기 배터리 스트링을 구성하는 배터리 각각에 병렬 연결된 전하균일화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동 PWM 생성수단은 비교기(comparator)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의해 PWM 신호를 자동 생성하는 PWM 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비교기는 상기 n번째 배터리 셀의 전위와 상기 m의 배터리 스트링의 평균 전위를 비교하여 출력을 생성하고, 상기 PWM 발생기에서 자동 생성되는 PWM 신호에 의해 상기 n번째 배터리 셀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전하균일화장치가 자동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oregoing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charge uniform device for a series-connected battery string, comprising: a battery str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An n-th battery cell constituting the battery string; A battery string of m, which is part of the battery string, in which m battery cells including the nth battery cell are connected in series; Automatic PWM generation mean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battery constituting the battery string; And a charge equalization devic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battery constituting the battery string; Wherein the automatic PWM generation means comprises a comparator and a PWM generator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WM signal by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wherein the comparator compares the potential of the n-th battery cell with the potential of the m And the charge equalizing device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n-th battery cell by the PWM signal automatically generated by the PWM generato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EESS으로 널리 이용되는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직렬연결을 통해 전압을 높이는 스트링(string)형 배터리 시스템으로 구성된 후, 이러한 배터리 스트링(string)을 다수개 병렬로 연결하여 배터리 어레이로 구성되는 형태로 이용된다. An energy storage system such as a battery, which is widely used in EESS, is made up of a string type battery system that boosts voltage through a serial connection, and then a plurality of such battery string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battery array .
그러나, 종래에는, 배터리 스트링 간 순환전류에 따른 배터리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충전 시 배터리 스트링들의 방전 심도가 균등화되지 못해, 배터리 어레이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ly, a battery loss occurs due to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battery strings, a discharge depth of battery strings during charging is not equalized, and the battery array fails to exhibit its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트링 간 순환전류가 발생한 경우, 보상전압을 인가하여 전위차를 최소화 함으로써, 스트링 간 순환전류를 최소화하는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lating current controller for a battery that minimizes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strings by minimizing a potential difference by applying a compensating voltage when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strings occurs have.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어레이에 병렬 연결된 배터리 스트링 간의 순환전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어레이에 병렬 연결된 배터리 스트링의 전류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비교하여, 가장 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을 제외한, 작은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 순으로 순차적으로 보상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battery strings connected in parallel to a battery array, the apparatus comprising: a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a current of a battery string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ttery array, The compensation voltage is sequentially applied in the order of a battery string having a small battery string current except a battery string having the largest battery string current.
한편, 본 발명은 배터리 어레이에 병렬 연결된 두 개의 배터리 스트링 간의 순환전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어레이에 병렬 연결된 두 개의 배터리 스트링의 전류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에 보상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two battery strings connected in parallel to a battery array, the apparatus comprising: a current sensor for measuring currents of two battery string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ttery array, So that a compensation voltage is applied to the battery string having a relatively small battery string current.
또한 무부하 시, 보상전압원을 이용하여 상기 스트링 전류가 모두 영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no load is applied, the string current is controlled to zero by using a compensation voltage source.
그리고 상기 배터리 스트링이 완충전된 경우, 보상전압원을 이용하여 충전전류가 영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battery string is fully charged, the charge current is controlled to zero by using a compensation voltage sour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 모드 및 무부하 모드에서 스트링 간 순환전류를 최소화 또는 제로화할 수 있으며, 배터리 스트링이 완충전된 충전 모드에서도 배터리 전압 균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완충전 스트링 충전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clic current between strings can be minimized or zeroed in the discharge mode and the no-load mode, and even when the battery string is fully charged, the battery voltage uniformity control is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 은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한 스트링(string)을 병렬로 연결한 배터리 어레이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2 는 배터리 스트링 간 순환전류 및 출력전력 해석을 위한 모델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3 은 저항 삽입을 통한 순환전류를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스트링에 적용된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를 보이는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모드에서 순환전류를 최소화하는 개념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무부하 시 순환전류의 제로화 개념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모드에서 완충전 스트링 충전전류 제로화 개념을 보이는 일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의 전력회로를 보이는 일예시도.FIG. 1 shows an example of a battery array in which strings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l for analyzing a circulating current and an output power between battery strings; FIG.
Figure 3 is an example of a method for reducing the circulating current through resistance inser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irculating current control apparatus for a battery applied to a battery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concept of minimizing a circulating current in a discharg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zeroing the circulation current during no-l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showing the concept of fully charged string charge current zeroing in the charg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ower circuit of a circulating current control apparatus for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irculating current control apparatus for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도 1 은 배터리를 직렬로 연결한 스트링(string)을 병렬로 연결한 배터리 어레이를 보이고 있다. 두 배터리 간 순환전류 및 출력전력을 구하기 위해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원을 가정한다. 1 shows a battery array in which strings connected in s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order to obtain the circulating current and the output power between the two batteries, two power sources are assumed as shown in FIG.
도 2 는 배터리 스트링 간 순환전류 및 출력전력 해석을 위한 모델로서, 도시된 배터리 전류 I1, I2, 배터리 간 순환전류(Icir)를 구하면 [수식 1] 내지 [수식 3] 과 같다.FIG. 2 is a model for analyzing the cyclic current and the output power between the battery strings. The battery currents I 1 and I 2 and the inter-battery circulation current Icir are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s (1) to (3).
[수식 1][Equation 1]
(V1 기준으로 표현, V1>V2 이면 Icir> 0) (Represented by a reference V 1, V 1> V 2 is Icir> 0)
여기서, V1 은 배터리 스트링 1의 배터리 기전력의 합, V2 는 배터리 스트링 2의 배터리 기전력의 합, R1 은 배터리 스트링 1의 내부저항의 합, R2 는 배터리 스트링 2의 내부저항의 합이다. Here, V 1 is the sum of the battery electromotive forces of the
[수식 2][Equation 2]
(방전 모드: IL>0, 충전 모드: IL< 0) (Discharge mode: I L > 0, charge mode: I L <0)
[수식 3][Equation 3]
스트링 간 순환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배터리 손실은 [수식 4], [수식 5] 와 같이, 양 스트링의 배터리 모두에서 발생한다. 순환전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저항을 크게 하는 방법 또는 전위차를 작게 해야 한다.The battery loss caused by the circulating current between strings occurs in both batteries, as shown in [Equation 4] and [Equation 5]. To reduce the circulating curr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sistance or reduce the potential difference.
[수식 4][Equation 4]
[수식 5][Equation 5]
이러한 순환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도 3 과 같이 저항 삽입방식이 사용되기도 하나, 제어 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부하운전 시에는 부하전류에 의해 삽입된 저항에서 추가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In order to reduce the circulating current, a resistance insertion method is used as shown in FIG. 3, but the control accuracy is low. In addition, at the time of the load opera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n additional loss is generated in the resistance inserted by the load current.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스트링 간 순환전류가 발생한 경우, 전압 보상기를 이용하여 보상전압을 인가하여 전위차를 최소화 함으로써, 스트링 간 순환전류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strings occurs, a compensating voltage is applied using a voltage compensator to minimize a potential difference, thereby minimizing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strings.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스트링에 적용된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를 보이는 일예시도이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irculation current for a battery applied to a battery st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100)는, 배터리 어레이에 적어도 둘 이상 병렬 연결된 배터리 스트링의 전류(I1, I2)를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스트링 전류(I1, I2)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에 보상전압(Vcon)을 인가한다.The circulating current control apparatus 100 for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currents I 1 and I 2 of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string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ttery array and outputs the measured battery string currents I 1 and I 2 ), And applies the compensation voltage Vcon to the battery string having a relatively small battery string current.
즉, 측정된 제 1 배터리 스트링 전류(I1)가 제 2 배터리 스트링 전류(I2) 보다 클 경우(I1>I2일 경우), 제 2 배터리 스트링의 기전력보다 제 1 배터리 스트링의 기전력이 더 큰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배터리 스트링에 양의 보상전압(Vcon2)을 인가하여, 제 1 배터리 스트링과 제 2 배터리 스트링 간 전류(I1, I2) 차이를 감소시킨다. That is, when the measured first battery string current I 1 is larger than the second battery string current I 2 (I 1 > I 2 ),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first battery string is smaller than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second battery string And a positive compensation voltage Vcon2 is applied to the second battery string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attery string and the second battery string current I 1 and I 2 .
이때, 보상전압 Vcon1, Vcon2는 절연형으로 구성되며, 0 ~ 배터리 스트링 정격 전압의 K%(보상계수 0<K<1; if K=1, 배터리 스트링 정격용량 = 보상전압의 정격용량 -> 보상기의 용량이 커지고 비싸짐을 의미) 범위 내에서 제어된다. In this case, the compensation voltages Vcon1 and Vcon2 are of an insulation type, and 0 to K% of the rated voltage of the battery string (compensation coefficient 0 <K <1; if K = 1, rated capacity of the battery string = Quot; means that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large and expensive).
배터리 내부저항은 충전 정도가 높아 전압이 높을 경우 내부저항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전압이 높을수록 전류를 많이 흘리는 것으로 일반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tends to decrease when the voltage is high due to the high degree of charging, it is possible to generalize that the higher the voltage is, the more the current flows.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스트링이 두 개 연결된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배터리 스트링이 그 이상 연결될 경우, 작은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 순으로 순차적으로 보상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battery strings are conn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battery strings are further connected, a compensation voltage can be sequentially applied in the order of a battery string having a small battery string current have.
도 5 내지 도 7 은 방전 모드에서 순환전류의 최소화 개념, 무부하 시(도 1 에서 IL=0 일 경우) 순환전류의 제로화 개념 및 충전 모드에서 완충전 스트링 충전전류 제로화 개념을 보이는 일예시도이다.FIGS. 5-7 illustrate the concept of minimizing the circulating current in the discharge mode, zeroing the circulating current when no load (I L = 0 in FIG. 1), and fully charging zero charging current in the charging mode .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모드에서는 순환전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제 1 배터리 스트링 전류(I1)가 제 2 배터리 스트링 전류(I2) 보다 클 경우(I1>I2일 경우), 즉, Vba1>Vba2일 경우,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100)는 제 2 배터리 스트링에 양의 보상전압(Vcon2)을 인가함으로써, 두 개의 배터리 스트링의 방전 전류량을 같게 하는 동작을 보여준다.5, in order to minimize the circulating current in the discharge mode, when the first battery string current I 1 is greater than the second battery string current I 2 (when I 1 > I 2 ) That is, when Vba1 > Vba2, the circulating current controller 100 for a battery shows an operation of equalizing the amounts of discharge currents of two battery strings by applying a positive compensation voltage Vcon2 to the second battery string.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부하 시, 보상전압원(Vconk)을 이용하여 두 개의 스트링 전류가 모두 영이 되도록 제어하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모드에서 배터리 스트링이 완충전된 경우, 배터리 전압 균등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when no load is applied, the two string currents are controlled to zero by using the compensation voltage source (Vconk). When the battery string is fully charged in the charging mode as shown in FIG. 7, Equal control may be performed.
즉, 배터리 스트링 전압이 충전을 중지해야 하는 전압에 도달할 경우, 보상전압원(Vconk)을 이용하여 충전전류가 영이 되는 배터리 전압 균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완충전 스트링 충전을 억제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battery string voltage reaches a voltage at which charging must be stopped, full-charge string charging can be suppressed by performing battery voltage uniformity control in which the charging current becomes zero using the compensation voltage source (Vconk).
도 8 은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100)의 전력회로를 보이는 일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전압의 극성은 동일하고, 승강압이 가능하며, 충전 모드 및 방전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양방향 전력 제어가 가능하며, 이러한 전력회로는 전기적 절연을 목적으로 이용되는 절연 변압기, 전력 제어를 위한 스위치 S1, D1, S2, D2로 구성된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wer circuit of the circulating current controller 100 for a battery.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larities of the input and output voltages are the same, the voltage can be increased and decreased, Power control is possible. This power circuit consists of an isolation transformer used for electrical isolation, switches S1, D1, S2 and D2 for power control.
여기서, 전력회로의 운전 방법 및 사용 모드는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다. Here,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mode of use of the power circuit are as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는, 방전 모드 및 무부하 모드에서 스트링 간 순환전류를 최소화 또는 제로화할 수 있으며, 배터리 스트링이 완충전된 충전 모드에서도 배터리 전압 균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완충전 스트링 충전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장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cyclic current control apparatus for a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or zero the cyclic current between strings in the discharge mode and the no-load mode. In addition, even when the battery string is fully charg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ully charged string charging.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appropriate modifications and ch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regarded a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100: Circulating current control device for battery
Claims (4)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스트링에 저항 및 보상전압원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어레이를 병렬로 구성하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비교하고,
복수 개의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가장 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을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스트링 중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갖는 배터리 스트링부터 순차적으로 각각의 상기 보상전압원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스트링에 보상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a plurality of battery strings connected in parallel in a battery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string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at least one battery is connected in series,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strings having a resistance and a compensating voltage source,
Comparing the plurality of measured battery string currents by measuring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string currents constituting the battery array in parallel,
The battery strings of the battery strings having the largest battery string current are excluded from the remaining battery strings by adjusting the respective compensating voltage sources sequentially from the battery string having the smallest battery string current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comparing the plurality of battery string currents, And a compensat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string.
상기 두 개의 배터리 스트링에 저항 및 보상전압원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어레이를 병렬로 구성하는 상기 두 개의 배터리 스트링전류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된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비교하고, 두 개의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배터리 스트링 전류를 가지는 배터리 스트링의 보상전압원을 조절하여 상기 배터리 스트링에 보상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1.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irculating current between two battery strings connected in parallel in a battery array in which two battery strings are connected in parallel by connecting at least one battery in series,
Each of the two battery strings having a resistance and a compensating voltage source,
And comparing the measured two battery string currents by measuring each of the two battery string currents constituting the battery array in parallel, and comparing the measured two battery string currents with each other, Wherein the compensating voltage source of the battery string is adjusted to apply a compensating voltage to the battery string.
무부하 시, 상기 배터리 스트링에 각각 구비된 상기 보상전압원을 조절하여 상기 배터리 스트링에 보상전압을 각각 인가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가 모두 0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mpensation voltage source provided in each of the battery strings to apply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battery strings to control the battery string current to be zero when no load is applied.
상기 배터리 스트링이 완충전된 경우, 상기 스트링 전류에 각각 구비된 상기 보상전압원을 조절하여 상기 완충전된 배터리 스트링에 보상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완충전된 상기 배터리 스트링 전류가 0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순환전류 제어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battery string is completely charged, the compensation voltage source provided to each of the string currents is adjusted to apply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fully charged battery string, thereby controlling the fully charged battery string current to be zero Circulating current control device for a batter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6587A KR101572612B1 (en) | 2014-06-23 | 2014-06-23 | Device for controlling circulating current for batter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6587A KR101572612B1 (en) | 2014-06-23 | 2014-06-23 | Device for controlling circulating current for batteri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2612B1 true KR101572612B1 (en) | 2015-12-02 |
Family
ID=5488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65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2612B1 (en) | 2014-06-23 | 2014-06-23 | Device for controlling circulating current for batter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261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9176A1 (en) * | 2020-03-23 | 2021-09-30 | Techtronic Cordless Gp | Multi-battery management for portable device |
WO2023216483A1 (en) * | 2022-05-09 | 2023-11-16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Energy storage syste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02000A (en) | 1983-07-19 | 1985-02-26 | Energy Development Associates, Inc. | Device for balancing parallel strings |
JP2009033936A (en) * | 2007-07-30 | 2009-02-12 | Toshiba Corp | Parallel-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
-
2014
- 2014-06-23 KR KR1020140076587A patent/KR10157261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02000A (en) | 1983-07-19 | 1985-02-26 | Energy Development Associates, Inc. | Device for balancing parallel strings |
JP2009033936A (en) * | 2007-07-30 | 2009-02-12 | Toshiba Corp | Parallel-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9176A1 (en) * | 2020-03-23 | 2021-09-30 | Techtronic Cordless Gp | Multi-battery management for portable device |
WO2023216483A1 (en) * | 2022-05-09 | 2023-11-16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Energy storage syste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6355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battery, and battery pack enabling the method | |
KR101725701B1 (en) | Secondary cell system having plurality of cell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charge/discharge electric power or current | |
KR10257953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attery charging | |
CN102255114B (en) | Method and device for uniform charge and discharge of batteries | |
US11054475B2 (en) | Electric storage capacity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9472960B2 (en) | Regulating device, battery assembly device and regulating method | |
AU2018282349A1 (en) | Method for charging an energy store of a vehicle using a modular charging apparatus with high overall efficiency | |
CN104126263A (en) | Voltage balance control device | |
WO2017059668A1 (en) | Equalization current adjustment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 |
CN104620491A (en) |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system,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eriodic alternating voltage | |
EP3300160A1 (en) |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 |
CN109768587A (en) | Battery charger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 |
JP2015534434A (en) | Virtual cell method for battery management | |
JP2015027158A (en) | Power storage device and charging / discharging method of power storage device | |
EP2849305B1 (en) | Voltage fluctuation suppressing apparatus | |
US9935492B2 (en) |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n input power limit of a DC-DC voltage converter | |
JP6720184B2 (en) | Battery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power point check and switchable control | |
KR101572612B1 (en) | Device for controlling circulating current for batteries | |
TW201429117A (en) | Power storage system | |
EP2393182A9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balancing voltages of series connection of storage units for electrical energy | |
KR101499325B1 (en) | Method and apparatu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battery for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 |
JP6727532B2 (en) | Electric storage state adjusting device, battery pack, load system, and electric storage state adjusting method | |
JP7071229B2 (en) | Power system | |
US20190157879A1 (en) | Method to charge a battery pack and battery charging circuit to charge a battery pack | |
Mubenga | The efficiency measuring apparatus for the design of li-ion batteries equaliz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