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313B1 - Device for removing extrane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 Google Patents
Device for removing extrane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2313B1 KR101572313B1 KR1020130115734A KR20130115734A KR101572313B1 KR 101572313 B1 KR101572313 B1 KR 101572313B1 KR 1020130115734 A KR1020130115734 A KR 1020130115734A KR 20130115734 A KR20130115734 A KR 20130115734A KR 101572313 B1 KR101572313 B1 KR 1015723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screen
- frame
- foreign matter
- bar
- foreig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는: 취수구에 설치되는 바스크린과,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 및 이물질제거부를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시키는 인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a power plant intake port. The apparatus includes a bar screen installed at a water inlet, and a lifting unit movably installed along a bar screen for movi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along the bar screen.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적포집 및 직접배출 방식으로 다양한 유형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취수설비의 안정운전이 가능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for a power plant intake 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 power plant intake port by effectively removing various types of foreign matter by volume trapping and direct exhausting.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와 같은 설비에서 복수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매체로 해수를 이용하게 되는데, 해수를 냉각용 용수로 이용할 때 취수되는 해수의 이물질과 각종 부유물을 제거하여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Generally, seawater is used as a cooling medium to cool a condenser in a plant such as a thermal power plant. When seawater is used as cooling water, foreign matter and various suspended matters of seawater to be taken out are removed.
발전소의 취소로에는 취수로를 통해 유입된 해수속의 부유물과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바스크린, 트래쉬 레이크(Trash Rake), 트래블링 스크린(Travelling Screen), 회전스크린에 걸린 오물을 세척하기 위한 스크린 워시 펌프(Screen Wash Pump)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기에 유입되기 전 해수속의 부유물과 오물을 최종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데브리필터(Debris Filter)로 구성되어 있다.The cancellation of the power plant includes a bar screen for removing suspended matters and dirt from the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intake channel, a Trash Rake, a traveling screen, a screen wash pump for washing the dirt on the rotating screen, (Screen Wash Pump). It is also composed of a debris filter for ultimately removing floating matters and dirt in seawater before entering the condenser.
바스크린은 수직에서 약 5° 경사로 설치한 바(평철)로 구성되어 취수로 바닥으로부터 취수로 상부높이 만큼 설치되어 있으며, 수중에 있는 해초, 나무, 비닐 등 큰 이물질은 갈쿠리모양의 트래쉬 레이크를 이용하여 긁어 올려 지상으로 제거한다.The bar screen is composed of a bar (flat iron) installed at an angle of about 5 ° from the vertical. It is installed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water intake from the bottom of the water intake. The big foreign object such as seaweed, wood, vinyl in the water is used by the trash lake And scraped off to the ground.
트래블링 스크린은 다수의 철망틀을 링크부재로 연결된 무한궤도 형태의 거름막인 스크린과, 이를 윤전시키는 구동기구와, 스크린에 부착된 이물질을 수압 세척하는 수세설비로 이루어지며, 이물질이 유입되어 스크린 철망에 부착되면 윤전하는 스크린에 의해 상향 이송되고 수세설비에 의해 탈락되어 지상으로 배출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The traveling screen is composed of a screen, which is a filter membrane in the form of an endless track linked by a plurality of metal mesh frames with a link member, a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the screen, and a water- When it is attached to the wire net, it is transported upward by the rotating screen, dropped by the water washing equipment and discharged to the ground continuously.
데브리필터는 순환수펌프에 의해 가압된 해수를 여과하면서 필터에 부착된 오물이 많아져 전후의 압력차가 커지면 차압측정장치가 작동하여 역세정으로 포집된 오물을 제거한다.The debris filter filters the seawater pressurized by the circulating water pump and increases the amount of dirt adhered to the filter.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is increased, the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device operates to remove the dirt collected by backwashing.
한편, 국내 등록특허 제1254901호(공개일:2013.04.09)에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254901 (published on March 31, 2013),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a power plant intake port"
본 발명의 목적은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제거부에 의해 체적포집 및 직접배출 방식으로 다양한 유형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취수설비의 안정운전이 가능한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a water intake port of a power plant by effectively removing various types of foreign matter by volumetric collection and direct discharge by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moved along a bar screen.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는: 취수구에 설치되는 바스크린과, 상기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상기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시키는 인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r screen installed at a water intake port;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provided movably along the bar screen for movi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long the bar screen; And the like.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해수속의 부유물과 오물을 포집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포집된 부유물과 오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includes a fram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r screen, a hopper provided in the frame for collecting floating matters and dirt in the seawater, and a discharge unit for sucking and discharging suspended matters and dirt collected in the hopper .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스크린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may include a bar screen cleaning unit for removing foreign matter caught on the bar screen.
또한, 상기 바스크린클리닝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는 횡바 및 상기 바스크린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횡바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r screen cleaning unit may include a transverse ba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a plurality of scrapers provided on the transverse bar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bar screens.
또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횡바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럭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바스크린의 내면에 접촉되는 가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aper includes a support block protruding from the transverse bar and a variable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lock and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support block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screen.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호퍼에 구비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배출펌프 및 상기 배출펌프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suction pipe provided in the hopper, a discharge pump provided in the suction pipe to suck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hopper, and a discharge hose for guiding foreign substances sucked by the discharge pump to the outside .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에서 이동 시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may be guided by the guide unit when moving on the bar screen.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스크린의 전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unit may include a guide roll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ar screen.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에서 이동 시 보조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guided by the auxiliary guide unit when moving on the bar screen.
또한, 상기 보조가이드부는 상기 바스크린의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guide unit includes a guide rail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r scree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guide frame provided on the frame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인양부는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연결되는 인양와이어와, 상기 인양와이어를 권취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상기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시키는 윈치부 및 상기 윈치부에 의한 상기 인양와이어의 권취시 인양와이어를 안내하는 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portion may include a lifting wire connected to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portion, a winch portion for lifting the lifting wire to mov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portion along the bar screen, and a lifting wire for lifting the lifting wire by the winch portion And a boom frame for guiding the boom frame.
또한, 상기 붐프레임에는 상기 인양와이어를 안내하는 인양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붐프레임은 핸드윈치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oom frame is provided with a lifting roller for guiding the lifting wire, and the boom frame is rotated by the hand winch.
또한, 상기 바스크린은 상기 취수구의 상부로 갈수록 후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바스크린에는 상기 취수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전도방지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ar screen may be inclined rearwar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intake port, and the bar screen may have a detachment bracke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intake port.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는 취수구에 설치되어 호퍼와 배출펌프에 의한 체적포집, 직접배출 방식으로 다양한 유형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intake port of the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various types of foreign matter by the volume collection by the hopper and the discharge pump and the direct discharge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제거부가 바스크린에서 인양부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여 침적이물질, 부유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part can be lift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part on the bar screen to remove deposited foreign matter and floating foreign matter.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후면에 구비되는 바스크린클리닝부에 의해 바스크린의 표면에 부착된 폐각류, 해조류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seaweeds and seaweed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r screen by the bar screen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취수여과설비와 병행하여 사용 가능하여 취수설비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arallel with existing water filtration equipme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water intake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제거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인양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바스크린클리닝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스크래퍼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인양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이물질제거부의 상하이동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기존설비와 병행사용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oreign object in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oreign object in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in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f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lifting unit of a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for a power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bar screen cleaning unit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oreign object in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aper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a foreign object of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portion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for a power pla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of the power plant intake port foreign mat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t moves up and down.
11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the existing facilities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f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10)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바스크린(110), 이물질제거부(120) 및 인양부(190)를 포함한다.1 to 11, an
바스크린(110)은 취수구(10)에 설치되며, 수직에서 약 5° 경사로 설치된다. 즉, 취수구(10)의 상부로 갈수록 후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바스크린(110)의 높이는 취수구(10)의 바닥으로부터 취수구(10) 상부 높이만큼 설치되어 있으며, 해수에 있는 해초, 나무 비닐 등 큰 이물질을 트래쉬 레이크(115)를 이용하여 긁어 올려 지상으로 제거한다.The
이때, 바스크린(110)은 바스크린(110)을 따라 이동되는 이물질제거부(120)의 하중을 의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취수구(10)의 상단에 전도방지브라켓(112)에 의해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이물질제거부(12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크린(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바스크린(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130)과, 프레임(130)에 구비되어 해수속의 부유물과 오물을 포집하는 호퍼(140) 및 호퍼(140)에 포집된 부유물과 오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foreign
프레임(130)은 전 부위를 STS316L 재질로 사용하고 호퍼(140)와 배출부(150) 및 자체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와 견고한 구조로 제작된다.The
호퍼(14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의 흐름에 저항이 없도록 천공판으로 제작되며, 천공(142)은 데브리필터(Debris Filter)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이물질 포집시 정체현상, 걸림현상이 없이 효과적인 이물질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호퍼(140)의 전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함몰되어 후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지닌다. 이는 호퍼(140)의 형상을 한정한 것이 아니며,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변경이 가능하다.1, the
배출부(150)는 호퍼(140)에 구비되는 흡입관(152)과, 흡입관(152)에 구비되어 호퍼(140)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배출펌프(154) 및 배출펌프(154)에 흡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호스(156)를 포함한다. 흡입관(152)은 호퍼(140)의 중앙부와 연통되고, 배출펌프(154)는 패각류의 분쇄가 가능한 분쇄장치(미도시)를 포함하며, 잔자갈 배출에 대한 내마모성 강도 및 해수 내식성을 지닌다. 이러한 배출펌프(154)는 프레임(130)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견고히 장착되고, 배출펌프(154)의 정비를 위해 취외, 취부가 용이하도록 설치된다.The
배출호스(156)는 흡입관(152)과 연결되어 배출펌프(154)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배출펌프(154)의 출구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고압용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고, 패각류, 잔자갈 이송에 대한 내마모성을 지닌다. 배출호스(156)는 외부로 연장되는데, 이물질 이송 시 하중에 의한 처짐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용밴드에 의해 연결되어 취수구(10) 구조물에 고정되는 와이어에 의해 고정된다.The
이물질제거부(120)는 바스크린(110)에서 이동 시 가이드부(160)에 의해 안내된다. 가이드부(160)는 프레임(130)의 배면에 구비되어 바스크린(110)의 전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는 프레임(130)의 상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줄이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 내식성재질로 이루어지고 프레임(130)의 배면에 4개소에 구비된다.The foreign
그리고, 이물질제거부(120)는 바스크린(110)에서 이동 시 보조가이드부(170)에 의해 안내된다. 보조가이드부(17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크린(110)의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172) 및 가이드레일부(172)에 삽입되도록 프레임(130)에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174)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부(172)는 바스크린(110)의 양측면에 각각 'ㄷ'자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며, 가이드프레임(174)이 삽입되어 프레임(130)의 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한다.The foreign
또한, 이물질제거부(120)는 바스크린(110)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스크린클리닝부(180)를 포함한다. 바스크린클리닝부(180)는 도 7 또는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30)의 배면에 구비되는 횡바(182) 및 바스크린(11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횡바(182)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크래퍼(185)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oreign
바스크린클리닝부(180)는 STS316L 재질로 사용하고 바스크린(110)의 전 구간을 청소할 수 있다. 스크래퍼(185)는 횡바(182)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블럭(186) 및 지지블럭(186)의 양측에 구비되고, 지지블럭(186)에 탄성지지되어 바스크린(110)의 내면에 접촉되는 가변플레이트(187)를 포함한다. 가변플레이트(187)에는 바스크린(110)에 접촉되는 요철돌기(188)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래퍼(185)는 탄성지지되는 가변플레이트(187)가 바스크린(110)의 내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마모에 따른 교체를 위해 교체가능하게 구성된다.The bar
인양부(190)는 도 2 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부(120)를 바스크린(110)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취수구(10)의 외부에 구비된다. 인양부(190)는 이물질제거부(120)와 연결되는 인양와이어(192)와, 인양와이어(192)를 권취하여 이물질제거부(120)를 바스크린(110)을 따라 이동시키는 윈치부(194) 및 윈치부(194)에 의한 인양와이어(192)의 권취 시 인양와이어(192)를 안내하는 붐프레임(195)을 포함한다.The
인양와이어(192)는 프레임(130) 전체의 무게 중심점에 견고히 결합되고, 일단은 붐프레임(195)에 고정되며, 타단은 윈치부(194)에 연결되어 윈치부(194)의 구동에 의한 인양와이어(192)의 이동시 도르레(193)에 의해 이물질제거부(120)를 승강시킬 수 있다.The
붐프레임(195)은 취수구(10)의 외측에서 바스크린(110)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되고, 붐프레임(195)에는 인양와이어(192)를 안내하는 인양롤러(196)가 구비된다. 이는 인양와이어(192)를 수직방향으로 권취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붐프레임(195)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윈치(199)에 의해 회동되도록 취수구(10) 외부에 힌지 연결된다.The
본실시예에서는 인양와이어(192)가 도르레(193)에 의한 작동에 의해 프레임(130)을 승강시키지만, 프레임(130)에 직접연결되어 윈치부(194)의 구동에 의해 프레임(130)을 승강시킬 수도 있다.The
핸드윈치(199)는 붐프레임(195)을 취수구(10)의 상부에서 회동시켜 기존설비인 트래쉬 레이크(115)와 병행사용을 위한 구성이다.The
즉,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크린(110)의 상단에는 트래쉬 레이크(115)가 구비되어 바스크린(110)을 따라 하강하여 상부로 이물질을 끌어올리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붐프레임(195)이 회동되어 상부를 개구시키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11, a trash rake 115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10)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foreign
우선, 이물질제거장치의 설치를 살펴보면, 핸드윈치(199)를 이용하여 붐프레임(195)을 기립시킨다. 그리고,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프레임(130)을 바스크린(110)의 전면에 인입한다. 이때, 프레임(130)의 가이드프레임(174)은 바스크린(110)의 가이드레일부(172)에 삽입되므로써, 프레임(130)이 바스크린(110)의 전면에 인입되는 것이다.First, a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the
프레임(130)의 인입 후 핸드윈치(199)를 이용하여 붐프레임(195)을 안착시킨다. 붐프레임(195)의 안착은 붐프레임(195)이 핸드윈치(199)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 선단이 바스크린(110)의 상단에 안착되어 수평을 유지한 상태를 말한다.The
그리고, 바스크린(110)의 전면에 인입된 프레임(130)은 후크고리에 의해 인양와이어(192)에 연결되며, 인양와이어(192)가 연결되면 윈치부(194)를 가동하여 프레임(130)을 취수구(10) 바닥으로 하강시킨다.The
이때, 프레임(130)의 배면에는 가이드롤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160)가 구비되어 프레임(130)은 바스크린(110)을 따라 안정적으로 하강되며, 이물질제거부(120)의 설치가 완료된다.At this time, a
이후, 이물질제거부(120)에 의해 이물질 제거작동을 살펴보면, 도 10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적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배출펌프(154)를 가동시킨다. 프레임(130)의 하강에 의해 호퍼(140)가 취수구(10)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므로 바닥의 침적 이물질은 배출펌프(154)의 흡입력에 의해 호퍼(140)를 따라 흡입관(152)을 흡입되고, 배출호스(156)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operation by the foreign
배출펌프(154)는 패각류의 분쇄가 가능한 분쇄장치(미도시)를 포함되어 배출호스(156)의 막힘을 방지한다.The
또한, 부유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에는 도 10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부(194)를 작동시켜 프레임(130)을 바스크린(110)을 따라 상승시켜 이물질 유입수위에 위치시킨 후 배출펌프(154)를 가동하여 부유이물질을 배출시킨다. 부유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면 배출펌프(154)를 정지하고 프레임(130)은 취수구(10) 바닥에 안착시킨다.10 (b), the
이때, 호퍼(140)는 천공(142)이 구비되므로 해수의 흐름에 저항이 없으며 천공(142)의 크기는 데브리필터(Debris Filter)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크기인 지름 5mm로 이루어져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킨다.At this time, since the
상기와 같은 프레임(130)의 승강작동은 윈치부(194)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고, 프레임(130)은 가이드부(160)와, 보조가이드부(17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lifting operation of the
그리고, 프레임(130)이 취수구(10)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면, 발전소의 순환수펌프(미도시) 운전에 의해 유입되는 침적 이물질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프레임(130)의 배면에는 바스크린클리닝부(180)가 구비되어 바스크린(11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프레임(130)을 윈치부(194)의 작동에 의해 수면까지 상승시키고, 취수구(10) 바닥까지 하강시키는 작동을 반복하여 바스크린(11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바스크린(110) 사이에 구비되는 스크래퍼(185)에 의해 이루어지며, 도 7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럭(186)에 탄성지지되는 가변플레이트(187)가 바스크린(110)의 측면에 밀착되므로써, 마찰력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처럼 바스크린(110)에서 제거된 이물질은 기존설비인 트래블링 스크린과 데브리필터의 운전에 의해 제거된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가변플레이트(187)에는 바스크린(110)의 측면에 접하는 요철돌기(188)가 구비되어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크래퍼(185)는 횡바(182)로부터 착탈 가능하여 스크래퍼(185)의 마모 시 교체가 용이하다.The
이처럼 취수구(10)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이물질제거부(120)의 정비, 장기 운휴 또는 교체 등 지상으로 인출이 필요한 경우에는 윈치부(194)를 가동하여 프레임(130)을 바스크린(110)의 상단부까지 상승시킨 후 프레임(130)의 후크고리에 크레인 후크를 연결하고, 프레임(130)의 하중이 크레인측으로 완전히 이전한 후 인양와이어(192)의 후크를 프레임(130)에서 제거한다. 이후, 붐프레임(195)을 회동시켜 기립시켜 인출공간을 확보하고 이물질제거부(120)를 지상으로 인출한다.If the foreign
한편, 본 실시예는 기존의 트래쉬 레이크(115)와 병행하여 운용될 수 있다. 이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부(120)를 취수구(10)의 바닥에 내려둔 상태로 트래쉬 레이크(115)를 운전할 수 있으며, 트래쉬 레이크(115)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봄프레임(130)은 기립된 상태를 유지시킨다.Meanwhile,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perated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trash lake 115. 11,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trash rak 115 in a state where the foreig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에 의하면, 취수구 바닥에 설치되어 체적포집 방식으로 침적 이물질, 부유이물질 등의 다양한 유입 이물질을 대량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태풍, 내습 등 취수구 이물질 다량 유입시 비상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f a power plant intake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immersed foreign matter, floating foreign matter, and the like can be removed in bulk by a volume collecting system, , And immersed in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can be minimized.
그리고, 유입 이물질을 직접 이송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트래블링 스크린의 평면부착 포집 후 역세정방식 보다 공정이 단순하고 제거효과가 명확한 효과를 지니며, 기존 취수여과설비 운휴시간이 증대되어 정비용 자재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oreign matter is directly transferred and removed, the process is simpler and the removal effect is clearer than that of the existing traveling screen, The material quantity can be reduc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110 : 바스크린
112 : 전도방지브라켓 115 : 트래쉬 레이크
120 : 이물질제거부 130 : 프레임
140 : 호퍼 142 : 천공
150 : 배출부 152 : 흡입관
154 : 배출펌프 156 : 배출호스
166 : 가이드부 170 : 보조가이드부
172 : 가이드레일부 174 : 가이드프레임
180 : 바스크린클리닝부 182 : 횡바
185 : 스크래퍼 186 : 지지블럭
187 : 가변플레이트 188 : 요철돌기
190 : 인양부 192 : 인양와이어
193 : 도르레 194 : 윈치부
195 : 붐프레임 196 : 인양롤러
199 : 핸드윈치100: foreign material removing device for power plant intake port 110: bar screen
112: anti-fall bracket 115: trash lake
120: Foreign object removing unit 130: Frame
140: Hopper 142: Perforation
150: exhaust part 152: suction pipe
154: Exhaust pump 156: Discharge hose
166: guide portion 170: auxiliary guide portion
172: guide rail part 174: guide frame
180: bar screen cleaning unit 182:
185: scraper 186: support block
187: variable plate 188: concave and convex projection
190: lifting portion 192: lifting wire
193: Dore 194: Winch department
195: Boom frame 196: Lifting roller
199: Hand winch
Claims (13)
상기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상기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시키는 인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해수속의 부유물과 오물을 포집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포집된 부유물과 오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는 바스크린클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크린클리닝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는 횡바; 및
상기 바스크린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상기 횡바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횡바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블럭; 및
상기 지지블럭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블럭에 탄성지지되어 상기 바스크린의 내면에 접촉되는 가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A bar screen installed at the intake;
A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provided movably along the bar screen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nd
And a lifting portion for moving the foreign matter removing portion along the bar screen;
Wherei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comprises: a fram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bar screen;
A hopper provided in the frame for collecting floating matters and dirt in seawater;
And a discharge unit for sucking and discharging suspended matters and dirt collected in the hopper;
Wherein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unit includes a bar screen cleaning unit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caught on the bar screen;
Wherein the bar screen cleaning unit comprises: a transversal bar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frame; And
And a plurality of scrapers provided on the transverse bar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bar screens;
A support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transversal bar; And
And a variable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block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screen.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호퍼에 구비되는 흡입관;
상기 흡입관에 구비되어 상기 호퍼에 포집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배출펌프; 및
상기 배출펌프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suction pipe provided in the hopper;
A discharge pump provided in the suction pipe and sucking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hopper; And
And a discharge hose for guiding foreign matter sucked by the discharge pump to the outside.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에서 이동 시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guided by the guide unit when moving on the bar screen.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스크린의 전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roller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and contacting a front surface of the bar screen.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바스크린에서 이동 시 보조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is guided by the auxiliary guide unit when moving on the bar screen.
상기 보조가이드부는 상기 바스크린의 양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uxiliary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rail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r screen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guide frame provided on the frame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상기 이물질제거부와 연결되는 인양와이어;
상기 인양와이어를 권취하여 상기 이물질제거부를 상기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시키는 윈치부; 및
상기 윈치부에 의한 상기 인양와이어의 권취시 인양와이어를 안내하는 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 lifting wire connected to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A winch portion for winding the lifting wire and moving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portion along the bar screen; And
And a boom frame for guiding the lifting wire when the lifting wire is wound by the winch part.
상기 붐프레임에는 상기 인양와이어를 안내하는 인양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붐프레임은 핸드윈치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boom frame is provided with a lifting roller for guiding the lifting wire;
Wherein the boom frame is rotated by a hand winch.
상기 바스크린은 상기 취수구의 상부로 갈수록 후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바스크린에는 상기 취수구의 상단에 결합되는 전도방지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r screen is inclined rearwar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intake port;
Wherein the bar screen is provided with a turn-off prevention bracke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intake po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5734A KR101572313B1 (en) | 2013-09-27 | 2013-09-27 | Device for removing extrane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5734A KR101572313B1 (en) | 2013-09-27 | 2013-09-27 | Device for removing extrane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5336A KR20150035336A (en) | 2015-04-06 |
KR101572313B1 true KR101572313B1 (en) | 2015-11-26 |
Family
ID=5303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5734A Active KR101572313B1 (en) | 2013-09-27 | 2013-09-27 | Device for removing extrane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231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6929A (en) | 2021-06-11 | 2022-12-20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blocking and removing marin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awater intake of power pla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410044A (en) * | 2017-07-28 | 2017-12-01 | 南京拜思特环保设备有限公司 | One kind cultivation animal husbandry dredge pump installation integrating device |
KR102334688B1 (en) * | 2019-12-26 | 2021-12-07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Cleaning apparatus for barscre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1435Y1 (en) * | 2001-10-26 | 2002-01-23 | 주식회사 무진기연 | Floating particles of dust taking away apparatus of drain outlet or inlet safety net of nuclear power plant |
KR100703766B1 (en) * | 2006-05-30 | 2007-04-09 | 서미란 | Independent Holding Guide Rails for Lifts |
KR101172431B1 (en) * | 2011-03-24 | 2012-08-08 | 김동희 | System for treating of dredging sediment and floating matter exclusion |
-
2013
- 2013-09-27 KR KR1020130115734A patent/KR1015723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1435Y1 (en) * | 2001-10-26 | 2002-01-23 | 주식회사 무진기연 | Floating particles of dust taking away apparatus of drain outlet or inlet safety net of nuclear power plant |
KR100703766B1 (en) * | 2006-05-30 | 2007-04-09 | 서미란 | Independent Holding Guide Rails for Lifts |
KR101172431B1 (en) * | 2011-03-24 | 2012-08-08 | 김동희 | System for treating of dredging sediment and floating matter exclus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6929A (en) | 2021-06-11 | 2022-12-20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System for blocking and removing marin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eawater intake of power pl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5336A (en) | 2015-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0079033U (en) | High-efficient sewage edulcoration device | |
CN104138863B (en) | With the aloe washing machine of automatic dirt cleaning device | |
CN105421319A (en) | Trash removing method for trash rack and bucket type trash remover used for trash removing method | |
KR101572313B1 (en) | Device for removing extraneous matters in power plant's intake | |
CN210104686U (en) | Environment-friendly trash rack | |
KR102285379B1 (en) | Floating waste removal apparatus for floating waste and grit collection | |
JP5270250B2 (en) | Dust collection basket for floating substance and dust collection system using the same | |
CN204018309U (en) | With the aloe washing machine of automatic pollutant removal | |
KR101254450B1 (en) | An apparatus for with drawing the sludge on a screen | |
KR101703883B1 (en) | Automatic screen for removing impurities | |
KR101827506B1 (en) | Floating matter Removing Apparatus of Intake Station | |
CN211445101U (en) | Steel wire rope traction tipping bucket grille | |
CN209429195U (en) | Rainwater collection and storage device for green building | |
CN210543707U (en) | Reverse suction device of fiber rotary disc filter | |
CN210145589U (en) | Mine domestic sewage filter equipment | |
CN208512027U (en) | A kind of micro-filtration | |
CN209211417U (en) | A kind of floater collection cleaning plant | |
CN208346765U (en) | A kind of river multistage trash | |
CN218164150U (en) | Beef processing operation platform | |
KR101182984B1 (en) | Pull-up screen type of dust removing machine | |
TW201305410A (en) | Silt cleaning device | |
CN206273781U (en) | The screw grid trash-removal device of special thick thing treatment | |
CN205296114U (en) | Box hopper formula trash cleaning machine | |
KR20150021267A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 |
CN209906373U (en) | Mechanical grille with swee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