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0830B1 -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830B1
KR101570830B1 KR1020140004627A KR20140004627A KR101570830B1 KR 101570830 B1 KR101570830 B1 KR 101570830B1 KR 1020140004627 A KR1020140004627 A KR 1020140004627A KR 20140004627 A KR20140004627 A KR 20140004627A KR 101570830 B1 KR101570830 B1 KR 101570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mixing chamber
soil
mixing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523A (ko
Inventor
권정빈
권수길
Original Assignee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권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권정빈 filed Critical 성안이엔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8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8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6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03Methods for mixing
    • B28C5/006Methods for mixing involving mechan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28C5/146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with several stirrers with parallel shafts in on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장의 차수층이나 또는 도로용 포장골재 및 식생용 토사 등을 생산하기 위한 골재 혼합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고속 회전하여 골재를 파쇄 및 마모시키는 회전날개의 수리작업이 용이하고, 회전날개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운전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뿐만 아니라 골재의 입형 개선효율을 높이는 한편 골재의 함수율을 최적으로 조성하며, 연속적인 혼합공정으로 처리용량을 증대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내부공간의 내주면 둘레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밴이 설치되고, 하부에 호퍼가 설치된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의 상부에 설치되고, 토사와 첨가제가 투입되는 한편 로터리밸브가 설치된 투입구와; 상기 혼합챔버의 내부공간에 수직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접히고 펴지도록 회동가능케 설치된 회전날개와; 상기 혼합챔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더블 스크류가 회전가능케 설치된 한편 일측 상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설치된 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Soil aggregates and continuous mixing device}
본 발명은 매립장의 차수층이나 또는 도로용 포장골재 및 산성화된 오염 농경지의 토양 복원을 위한 토사에 석회ㆍ비료ㆍ부숙토 등을 혼합하여 식생용 토사를 생산하기 위한 골재 및 토사의 혼합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골재 또는 토사의 혼합공정에서 연속 투입되는 골재를 파쇄 및 마모시켜 골재의 입형 개선효율을 높이는 한편 고속 회전하여 골재를 파쇄 및 마모시키는 회전날개의 수리작업이 용이하고, 회전날개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운전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뿐만 아니라 더블스크류에서 골재 및 토사첨가제(생석회, 슬러지, 목탄, 플라이에쉬, 부숙토 등)를 이송 및 교반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골재 및 토사의 함수율을 최적으로 조성하며, 연속적인 혼합공정으로 처리용량을 증대하여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 위생 매립장이나 또는 댐ㆍ저수지 및 배수로 등의 시공현장에는 침출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차수(遮水)층을 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수층은 투수율이 비교적 낮은 점토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으나, 점토는 지역에 따라 구입이 어려운 관계로 혼합 차수재료 중에서 국내에 다량 분포되어 있는 원지반토사(화강토)를 주재료로 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원지반토사는 그 자체만으로 적용성이 미흡하여 원지반토사에 석회ㆍ시멘트ㆍ플라이애쉬ㆍ벤토나이트ㆍ첨가제 등을 첨가한 혼합골재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으며, 종래는 차수층에 사용되는 혼합골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백호(back hoe)에 버킷(bucket), 스태빌라이저(stabilizer)가 장착된 굴삭기를 이용하여 원료를 혼합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 스크류형 믹서나 원통형 믹서 등을 사용하여 혼합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종래 차수용 원료의 혼합방식은 주요 구성물인 골재(토사, 마사토, 모래 등)와 물이나 유화제 등의 계량은 물론, 배합비율이 일정치 못하고 대부분 눈대중에 의존하므로 내구성과 기능성이 떨어지는 부실공사의 큰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혼합재료가 충분히 혼합되지 못한 상태에서 원지반토사와 혼합재료를 차수층에 시공함에 따라 차수층의 다짐작업이 견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혼합재료의 불균형 배합으로 인하여 강도와 차수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차수용 원료의 혼합방식은 혼합재료의 배합비율을 차량의 적재량이나 또는 현장 작업자의 눈대중에 의존하여 작업이 수행되므로 배합비율을 최적으로 일정하게 맞추지 못하는 한편 굴삭기나 또는 스크류형 믹서 및 원통형 믹서 등을 이용하여 혼합공정이 수행됨으로써, 혼합재료가 균일한 분포로 혼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골재(토사, 마사토, 모래 등)와 혼합재료 및 물이나 유화제 등을 균일한 배합비율과 함수율로 혼합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458호, 제10-0860019호를 제시한 바 있다.
종래 골재 혼합공정에서 재생골재의 입형개선과 선별기능을 수행하는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6615호가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재생골재에 부착된 몰타르나 편모석을 타격하여 입형개선 기능을 수행하는 타격판이 회전축의 외주연에 설치됨에 따라 타격판의 심한 마모 현상으로 교체 및 수리작업이 어려운 한편 운전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실정이다.
아울러, 선행기술은 타격판의 저속 회전과 골재간의 마찰만으로 재생골재에 부착된 몰타르나 편모석을 마찰시켜 골재의 입형개선을 수행하므로 그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운전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연속 혼합공정에서 골재의 입형개선 효율이 기대에 못미칠 뿐만 아니라 단순한 마찰 기능만으로 생산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00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4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66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074호.
본 발명은 종래 골재 및 토사의 혼합공정에서 골재의 입형 개선효율이 저하되고, 운전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한편 연속 혼합공정에서 생산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연속 투입되는 골재 및 토사를 고속 회전하는 회전날개가 파쇄 및 충돌 마모시켜 골재 및 토사의 입형 개선효율과 혼합효율을 높여 처리용량을 증대하고, 회전날개에 회전 원심력이 작용하여 운전에 따른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회전날개가 접히고 펴지도록 샤프트에 회동가능케 설치됨에 따라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며, 더블스크류에서 골재 및 토사첨가제(생석회, 슬러지, 목탄, 플라이에쉬, 부숙토 등)를 이송 및 교반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골재 및 토사의 함수율을 최적으로 조성하고, 연속적인 혼합공정으로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공간의 내주면 둘레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밴이 설치되고, 하부에 골재 및 토사가 모아져 배출되는 호퍼가 설치된 혼합챔버와; 상기 혼합챔버의 상부에 설치되고, 토사와 첨가제가 혼합챔버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한편 로터리밸브가 설치된 투입구와; 상기 혼합챔버의 내부공간에 수직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접히고 펴지도록 회동가능케 설치된 회전날개와; 상기 혼합챔버의 하부에 설치되고, 더블 스크류가 회전가능케 설치된 한편 일측 상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설치된 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이드밴은 혼합챔버의 내부공간에서 혼합과정이 수행되는 토사와 첨가제를 중앙 쪽으로 모아서 떨어지게 내주면 둘레에서 하단부가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회전날개는 샤프트에 직경이 큰 플랜지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힌지고리로 상하 회동가능케 설치되며, 다수가 방사상으로 체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스크류하우징은 내부에 더블 스크류가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단부 아래에 배출구가 구비되며, 일측 상부에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골재 및 토사의 혼합공정에서 회전날개가 고속 회전하여 연속 투입되는 골재 및 토사를 파쇄 및 충돌 마모시켜 골재 및 토사의 입형 개선효율과 혼합효율을 높이므로 처리용량을 증대하고, 회전날개가 상하로 접히고 펴지도록 샤프트에 회동가능케 설치됨에 따라 교체 및 수리작업이 용이한 한편 회전날개에 강한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운전에 따른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블스크류에서 골재 및 토사첨가제(생석회, 슬러지, 목탄, 플라이에쉬, 부숙토 등)를 이송 및 교반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골재 및 토사의 함수율과 혼합효율을 최적으로 조성함에 따라 골재 및 토사의 품질을 한층 높이고, 연속적인 혼합공정을 수행하므로 골재 및 토사의 생산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골재 혼합공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골재 혼합공정을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정지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날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공간의 내주면 둘레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밴(61a)이 설치되고, 하부에 골재 및 토사가 모아져 배출되는 호퍼(61b)가 설치된 혼합챔버(61)와; 상기 혼합챔버(61)의 상부에 설치되고, 토사와 첨가제가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한편 로터리밸브(62a)가 설치된 투입구(62)와; 상기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 수직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모터(63c)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는 샤프트(63)와; 상기 샤프트(63)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접히고 펴지도록 회동가능케 설치된 회전날개(64)와; 상기 혼합챔버(61)의 하부에 설치되고, 더블 스크류(65a)가 회전가능케 설치된 한편 일측 상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6)이 설치된 스크류하우징(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골재 및 토사와 혼합재료의 혼합공정은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작업 현장에서 굴삭기로 공급되는 원지반토사를 공급컨베이어(10)가 스크린선별기(20)로 이송 투입하여 원지반토사를 입자상으로 선별하고, 스크린선별기(20)에서 골재로 적합치 않은 토사 및 이물질은 이송컨베이어(21)를 통해 한쪽으로 이송 적재되며, 골재로 적합한 토사는 투입컨베이어(22)를 통해 토사호퍼(30)로 이송 공급된다.
한편 첨가제탱크(42)에서 첨가제호퍼(40)로 일정량의 첨가제(석회, 비료, 부숙토 등)가 이송 공급되고, 상기 첨가제호퍼(40)에서 스크류(41)를 통해 투입컨베이어(50)의 호퍼로 일정량의 첨가제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한편 토사호퍼(30)에서 게이트(31)를 통해 일정량의 토사가 연속적으로 배출되어 컨베이어(32)를 통해 투입컨베이어(50)의 호퍼로 이송 공급된다.
상기에서 투입컨베이어(50)의 호퍼로 공급된 토사와 첨가제는 투입컨베이어(50)를 통해 골재연속혼합장치(60)로 이송 투입되며, 상기 골재연속혼합장치(60)에서 토사와 첨가제의 혼합과정이 수행되는 한편 물탱크(W)에서 분사노즐(66)로 물이 펌핑되어 토사와 첨가제에 분사되면서 혼합공정이 완료된 다음, 이송컨베이어(70)를 통해 적재장소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재연속혼합장치(60)에서 혼합챔버(61)는 토사와 첨가제가 연속적으로 혼합되는 밀폐된 공간으로서, 상기 혼합챔버(61)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내부공간의 내주면 둘레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밴(61a)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밴(61a)은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서 혼합과정이 수행되는 토사와 첨가제를 중앙 쪽으로 모아서 떨어지게 하는 기능으로서, 내주면 둘레에서 하단부가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혼합챔버(61)는 밀폐된 상부에 후술하는 투입구(62)가 위치하고, 하부에는 혼합과정이 수행된 골재 및 토사가 배출되는 호퍼(61b)가 설치되며, 상기 호퍼(61b)는 하부가 안쪽으로 경사져 설치됨으로써, 골재 및 토사를 중앙 쪽으로 모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혼합챔버(61)의 외주면에는 수직상으로 다수개의 포스트(61c)가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61c)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혼합챔버(6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투입구(62)는 투입컨베이어(50)를 통해 이송되는 토사와 첨가제를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투입구(62)는 도면에서 도 3과 같이, 혼합챔버(61)의 상부 한쪽에 배치되고, 내부에 로터리밸브(62a)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투입구(62)는 토사와 첨가제를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는 한편 혼합챔버(61)를 가능한 밀폐시킬 수 있도록 로터리밸브(62a)가 설치되며, 상기 로터리밸브(62a)는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먼지와 분진 및 기타 이물질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샤프트(63)는 모터(63c)의 구동으로 고속 회전하여 후술하는 회전날개(64)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으로서, 상기 샤프트(63)는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 중심에 수직상으로 위치하고, 상단부는 혼합챔버(61)의 상부를 관통하여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하단부는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 하부에서 지지프레임(63a)에 부착된 베어링하우징에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지지프레임(63a)은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부착 설치되고, 중심부에 베어링하우징이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63)의 상단부에 풀리(63b)가 결합 설치되는 한편 혼합챔버(61)의 한쪽 측면에 모터(63c)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풀리(63b)와 모터(63c)의 구동축에 결합된 풀리에 벨트가 감겨져 설치된다.
따라서, 샤프트(63)는 모터(63c)가 구동할 경우, 벨트와 풀리(63b)를 통해 모터(63c)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회전날개(64)는 샤프트(63)와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여 입자상 골재를 파쇄 및 충돌 마모시키는 한편 토사와 첨가제를 혼합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회전날개(64)는 도면에서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 수직상으로 위치한 샤프트(63)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다수가 방사상으로 체결 설치된다.
상기에서 회전날개(64)는 혼합챔버(61)의 내주면 둘레에 설치된 가이드밴(61a)의 상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 도 6과 같이, 샤프트(63)에 직경이 큰 플랜지(64b)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64b)에 힌지고리(64a)로 상하 회동가능케 설치됨으로써, 샤프트(63)의 플랜지(64b)에서 상하로 접히고 펴지도록 회전날개(64)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날개(64)는 철재 판으로 길쭉하게 형성되며,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서 고속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반경이 혼합챔버(61)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고, 길이 방향의 일측 단부는 골재와의 접촉효과를 높이고자 톱니형상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회전날개(64)는 모터(63c)가 구동할 경우, 샤프트(63)와 함께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투입구(62)를 통해 연속적으로 토사와 첨가제가 투입되면, 토사에 혼입된 입자상 골재를 파쇄 및 충돌 마모시키는 한편 토사와 첨가제를 연속적으로 혼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스크류하우징(65)은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서 혼합되어 배출되는 골재를 이송 및 교반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함수율을 맞추는 기능으로서, 상기 스크류하우징(65)은 도면에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혼합챔버(61)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61b) 아래에 연결 설치되며, 내부에 더블 스크류(65a)가 회전가능케 설치된다.
상기에서 스크류하우징(65)은 도면에서 도 7과 같이, 내부공간에서 더블 스크류(65a)가 각각 회전함에 따라 골재 및 토사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교반과정이 함께 진행되며, 단부 아래에 배출구(65b)가 구비되고, 일측 상부에는 분사노즐(66)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분사노즐(66)은 물탱크(W)에서 펌프를 통해 물이 펌핑되고, 더블 스크류(65a)를 통하여 이송 및 교반과정이 진행되는 골재 및 토사에 일정량의 물을 분사하여 골재 및 토사의 함수율을 20% 이내로 조성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터(63c)가 정지할 경우,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다수의 회전날개(64)가 샤프트(63)의 플랜지(64b)에서 아래로 접혀져 위치하고, 이 상태에서 모터(63c)가 구동하면, 샤프트(63)와 회전날개(64)가 함께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날개(64)에 회전 원심력이 작용함으로써,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회전날개(64)가 점차 상부로 펴지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골재를 파쇄 및 충돌 마모시켜 골재의 입형 개선효율과 혼합효율을 높이는 한편 회전 원심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크류하우징(65)에서 더블 스크류(65a)가 각각 회전하여 혼합과정이 진행된 골재 및 토사를 배출구(65b) 쪽으로 이송 및 교반하면서 분사노즐(66)에서 물을 분사하여 골재 및 토사의 함수율을 최적으로 조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공급컨베이어 20: 스크린선별기
30: 토사호퍼 40: 첨가제호퍼
50: 투입컨베이어 60: 골재연속혼합장치
61: 혼합챔버 61a: 가이드밴
62: 투입구 62a: 로터리밸브
63: 샤프트 63a: 지지프레임
63b: 풀리 63c: 모터
64: 회전날개 64a: 힌지고리
65: 스크류하우징 65a: 스크류
66: 분사노즐 70: 이송컨베이어

Claims (5)

  1. 내부공간의 내주면 둘레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밴(61a)이 설치되고, 하부에 골재 및 토사가 모아져 배출되는 호퍼(61b)가 설치된 혼합챔버(61)와; 상기 혼합챔버(61)의 상부에 설치되고, 토사와 첨가제가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한편 로터리밸브(62a)가 설치된 투입구(62)와; 상기 혼합챔버(61)의 내부공간에 수직상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모터(63c)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속 회전하는 샤프트(63)와; 상기 샤프트(63)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접히고 펴지도록 회동가능케 설치된 회전날개(64)와; 상기 혼합챔버(61)의 하부에 설치되고, 더블 스크류(65a)가 회전가능케 설치된 스크류하우징(65);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날개(64)는 샤프트(63)에 직경이 큰 플랜지(64b)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64b)에 힌지고리(64a)로 상하 회동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다수가 방사상으로 체결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하우징(65)은 내부에 더블 스크류(65a)가 각각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단부 아래에 배출구(65b)가 구비되며, 일측 상부에 분사노즐(6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04627A 2014-01-14 2014-01-14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Active KR101570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27A KR101570830B1 (ko) 2014-01-14 2014-01-14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627A KR101570830B1 (ko) 2014-01-14 2014-01-14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23A KR20150084523A (ko) 2015-07-22
KR101570830B1 true KR101570830B1 (ko) 2015-11-20

Family

ID=5387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627A Active KR101570830B1 (ko) 2014-01-14 2014-01-14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4517A (zh) * 2017-12-22 2018-07-17 安徽伟宏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施工设备
CN108943398A (zh) * 2018-07-12 2018-12-07 杨康峰 一种混泥土可拆卸易清洗搅拌装置
CN109849180A (zh) * 2019-01-11 2019-06-07 武汉理工大学 一种水泥搅拌机
CN110181690B (zh) * 2019-05-17 2021-03-30 南京恒辉粉体技术工程有限公司 高效的小型水泥搅拌装置
CN111546490A (zh) * 2020-05-12 2020-08-18 靳森元 混凝土搅拌设备
CN117549426B (zh) * 2023-11-28 2024-05-03 沧州渤海新区市政混凝土有限公司 一种混掺干混砂浆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37Y1 (ko) * 2004-07-07 2004-10-13 김동용 싱글 로터 방식의 수평-수직축 통합형 풍력 발전기
KR100567831B1 (ko) 2005-06-15 2006-04-05 남양기업(주) 재생 잔골재의 석회질 제거기
KR100872152B1 (ko) * 2008-02-01 2008-12-08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골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737Y1 (ko) * 2004-07-07 2004-10-13 김동용 싱글 로터 방식의 수평-수직축 통합형 풍력 발전기
KR100567831B1 (ko) 2005-06-15 2006-04-05 남양기업(주) 재생 잔골재의 석회질 제거기
KR100872152B1 (ko) * 2008-02-01 2008-12-08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골재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23A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830B1 (ko) 골재 및 토사의 연속 혼합장치
KR100464529B1 (ko) 자주식토질개량기
CN1261550A (zh) 自行式土壤处理机
CN115234185B (zh) 一种钻孔灌注桩泥浆处理装置及综合利用处理系统
CN111975987A (zh) 一种用于干混砂浆生产的搅拌设备
CN105171917A (zh) 一种移动式改性工程土搅拌装置
CN206168519U (zh) 一体式磨碎效果好的淤泥渣土处理装置
KR101142954B1 (ko) 하수슬러지 복토화 장치
US200702727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Excavated Earth
CN106480810B (zh) 一种采矿废料回收利用车
CN106930299A (zh) 一种混凝土半灌块石施工方法
CN104174644A (zh) 一种原地异位污染土修复装置
CN217037878U (zh) 一种矿山地质环境恢复治理用辅助装置
JP3389202B2 (ja) 土質材料製造装置
EP3405281B1 (en) Balling machine
KR100498119B1 (ko) 건축폐기물 파쇄후 발생된 재생모래 세척장치
CN213943507U (zh) 一种连续化滚筒式高岭土捣浆系统
JP4424612B2 (ja) 建設残土等の粉砕撹拌装置
JP2001254391A (ja) 脱水ケーキ細粒化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自走式造粒機械並びに脱水ケーキ細粒化方法
JP2001334162A (ja) 脱水ケーキ細粒化装置
JP2003096817A (ja) 汚土改良装置
KR100860019B1 (ko) 골재 연속 파쇄 혼합장치
JP2002097663A (ja) 自走式土質改良機及び予解砕装置
CN113426527A (zh) 一种固废土的快速均匀粉碎装置
CN206631744U (zh) 一种沙石分离机的进料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