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111B1 - 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 Google Patents
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9111B1 KR101569111B1 KR1020150029663A KR20150029663A KR101569111B1 KR 101569111 B1 KR101569111 B1 KR 101569111B1 KR 1020150029663 A KR1020150029663 A KR 1020150029663A KR 20150029663 A KR20150029663 A KR 20150029663A KR 101569111 B1 KR101569111 B1 KR 1015691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support
- engagement
- ring
- fastening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2—Fastener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fastener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팔찌나 발찌, 목걸이 등 장신구 체결장치를 이루는 걸림부와 체결부의 결합 및 분리동작이 한손만으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완전한 걸림장치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보일 뿐만 아니라 제품 품질의 완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신구(100)의 일단부에는 걸림부(10)가 구성되고, 장신구(100)의 타단부에는 체결부(20)가 구성되어 상호간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1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11)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21)가 힌지핀(21a)을 축으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조절구(21)는 지지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중단에는 상기 지지돌부(13)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3)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봉(2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namental fastener for easy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is capable of quickly and easily performing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pera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constituting the ornamental fastening device such as a bracelet, a bracelet or a neckl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plete latching device, not only visually beautiful, but also to maximize the completeness of product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s characterized in that a fastening part 10 is formed at one end of an ornamental piece 100 and a fastening part 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rnamental piece 100, A retaining groove 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taining portion 10 and a support protrusion 13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retaining portion 10; A control member 21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ring 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unit 2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inge pin 21a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2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upport spring 24 and an elastic spring 23 for supporting the support protrusion 13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formed at a stopper, And a rod (22) is constitu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신구의 착용을 위한 체결 또는 분리가 한손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ing device for orna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or detaching a fastening ornaments using one hand.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각종 장신구를 몸에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각종 장신구는 대략 금, 은, 백금, 스테인레스, 텅스텐, 티타늄 등의 귀금속이 줄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줄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체결부재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목걸이나 귀걸이 등에는 그 장식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펜던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In general, women wear various ornaments such as necklaces, bracelets, and footbaths in order to enhance their appearance. The various ornaments are made of precious metal such as gold, silver, platinum, stainless steel, tungsten, And a fastening member of various shapes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can be worn in a ring shape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In addition, a necklace, an earring, Lt; / RTI > are optionally bonded.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장신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팔찌의 양측 끝단 이음부에는 상호간에 착탈이 가능한 걸림부재(100)와 결합부재(110)가 구성되어져 있다.FIGS. 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jewelr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both ends of the bracelet, a
상기 걸림부재(100)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반발하는 탄성걸림부(101)와 누름편(102)이 구성됨과 함께 일측에는 보조체결구(10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결합부재(110)에는 걸림부재(100)의 삽입시 탄성걸림부(101)의 후단이 걸려지는 걸림턱(114)과 누름편(102)이 삽입되어지는 삽입홈(112), 그리고 보조체결구(103)가 착탈되어지는 체결돌기(113)가 구성되어, 걸림부재(100)를 결합부재(110) 내로 삽입하면 탄성걸림부(101)가 걸림턱(114)에 의해 걸려져 이탈이 방지됨과 함께 보조체결구(103)를 체결돌기(113)에 압입시켜줌으로서 2중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팔찌를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할 수가 있게된다.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팔찌의 체결 또는 분리시 걸림부재(100)와 결합부재(110)를 각각 잡아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양손을 함께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
또한, 탄성걸림부(101)가 탄성력이 떨어져 걸림턱(114)에 걸리지 않는 탄성력 저하로 인한 수리요청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보조체결구(103)와 체결돌기(113)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resiliently engag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장신구의 체결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한손만을 이용하여 장신구의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체결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장신구의 착탈이 보다 손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fastening ornaments, and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astening device which can easily fasten or separate the ornaments using only one hand, There is a purpose.
또한, 탄성저하로 인한 결합력 저하의 문제가 개선되며, 보조체결구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미적 아름다움의 향상 뿐만 아니라 상풍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Further, the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bonding force due to the elasticity degradation is improved, and the auxiliary fasteners are not required to be attached, thereby improving not only the aesthetic beauty but also the completeness of the artificial wind.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신구의 일단부에는 걸림부가 구성되고, 장신구의 타단부에는 체결부가 구성되어 상호간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는 걸림고리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일측에 걸림고리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가 힌지핀을 축으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조절구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중단에는 상기 지지돌부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홈과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astening device for ornaments in which a fastening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an ornamental piece, and a fastening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ornamental part, , A support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top; Wherein the control part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engagement ring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is rotatably disposed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axis of the hinge pin, the control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upport spring, And a guide rod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groove.
상기 체결부에는 조절구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이 일정길이의 장공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일측에는 지지돌부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astening portion, a guide groove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 memb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이러한 본 발명은, 장신구 체결장치를 이루는 걸림부와 체결부의 결합 및 분리동작이 한손만으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소비자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perform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pera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constituting the ornamental fastening device with only one han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consumers.
또한, 완전한 걸림장치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보일 뿐만 아니라 제품 품질의 완성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게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mplete latching device, not only visually beautiful, but also to maximize the completeness of product quality.
도 1은 종래 팔찌 장신구의 체결장치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필찌의 체결장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팔찌 체결장치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팔찌 체결장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체결장치 체결부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체결장치 체결부 닫힘상태 내부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체결부 열림상태 내부 평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 체결장치의 열림상태 단면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이탈방지판의 요부 단면 확대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racelet ornamental fastening device.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wrist strap in a state of engaging with a fastening devic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elet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celet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fastening device fastening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the inner structure of the fastener fastening portion in the closed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astener opening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ed state.
9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recessed portion of an escape prevention plate according to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First, the structure of a fastening apparatus for orna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FIG.
본 실시 예에서의 장신구용 체결장치는 팔찌 장신구(100)의 일단부에 걸림부(10)가 구성되고, 팔찌 장신구(100)의 타단부에는 체결부(20)가 구성된 것으로서, 걸림부(1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13)가 형성된다.The fastener for fastening ornaments in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그리고, 체결부(2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11)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21)가 힌지핀(21a)을 축으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조절구(21)는 지지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중단에는 상기 지지돌부(13)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3)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봉(22)이 구성됨으로 걸림고리(11)의 걸림력이 해제되더라도 장신구(10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
특히, 체결부(20)에는 조절구(21)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25)이 일정길이의 장공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일측에는 지지돌부(13)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6)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내부 부품의 외부 노출을 방지함과 함께 조절구(21)가 힌지핀(21a)을 축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판(27)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astening
또한, 걸림고리(11)의 하단부에는 하강시 조절구(21)가 열림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일정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1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그리고, 이탈방지판(27)에는 걸림고리(1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고리 안내홈(27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강되어지는 지지돌부(1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부 안내홈(27b)이 각각 형성되었다.The
또한, 체결부(20)에는 가이드봉(22)에 결합되는 지지홈(12)의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날개(28)가 양측에 반원형태로 돌출 구비됨으로, 조립과정에서 지지홈(12)이 가이드봉(22)에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게 된다.A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체결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faste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팔찌를 손목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팔찌 장신구(100)의 양단부에 구성된 본 발명의 체결장치를 연결시키게 되는데, 먼저 팔찌 일측의 체결부(20)를 손목부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림부(10)를 한손으로 잡고 체결부(20)에 체결하게 된다.In order to wear the bracelet on the wrist, the user connects the fasten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즉, 이때에는 걸림부(10)의 후단에 구비된 지지홈(12)을 체결부(20)의 가이드봉(22)에 끼워준 후 가이드봉(22)을 축으로 하여 걸림부(10)를 눌러주게 되면 걸림고리(11)의 걸림홈(11a)이 체결부(20)에 구비된 조절구(21)에 걸려짐으로서 상호간에 체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at this time, the
특히, 걸림고리(11)의 하강과정에서 하단부에 형성된 곡면부(11b)가 조절구(21)를 일측으로 밀어주게 되며 하강이 완료되면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지지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구(21)가 걸림홈(11a)에 걸려짐으로서 걸림고리(11)의 상승이 방지되어지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process of descending the hooking
또한, 이와 같이 걸림부(10)가 체결부(20)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지지돌부(13)는 가이드홈(26)에 안내되어지면서 체결부(20) 내로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탄성스프링(23)을 압착시킨 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supporting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한손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필찌(100)의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wear the
한편, 착용한 팔찌 장신구(100)를 손목에서 제거코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부(10)와 체결부(20)를 분리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즉, 이때에는 사용자가 도 7에서와 같이 체결부(2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져 있는 조절구(21)를 안내홈(25)을 따라 당겨주게 되면, 걸림고리(11)에 대한 걸림상태가 해제되어지게 되고 이때 탄성스프링(23)의 탄성 작용이 지지돌부(13)에 작용되어짐으로서 걸림부(10)는 도 8에서와 같이 가이드봉(22)을 축으로 상승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7, when the
이와 같이 1차적으로 걸림부(10)와 체결부(20)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 가이드봉(22)으로 부터 지지홈(12)을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서 팔찌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한손만으로도 팔찌 체결장치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소비자로 하여금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mbine and separate the bracelet fastening device with only one han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ximize convenience for the user.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탈방지판(27)의 저면에는 조절구(21)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함과 함께 이탈방지판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윤활성 재질의 테프론층(27c)이 코팅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9 shows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되면, 조절구(21)의 회동 동작시 조절구(21) 저면과의 직접 접촉이 방지됨과 함께 윤활성 테프론층(27c)에 의한 미끄럼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서 조절구(21)의 회동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This structure prevents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장신구 체결장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ornamental fastener arran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면, 걸림고리는 봉형태 또는 판형태로 선택적인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hook can be made selectively in the form of a rod or a plate.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팔찌에 관련된 내용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팔찌 외에도 발찌나 목걸이 등 다양한 장신구에 적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tents related to the bracelet are described and shown in the above embodimen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jewelry such as a bracelet, a bracelet and a necklace.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걸림부 11 : 걸림고리
11a: 걸림홈 11b: 곡면부
12 : 지지홈 13 : 지지돌부
20 : 체결부 21 : 조절구
21a: 힌지핀 22 : 가이드봉
23 : 탄성스프링 24 : 지지스프링
25 : 안내홈 26 : 가이드홈
27 : 이탈방지판 27a: 걸림고리 안내홈
27b: 지지돌부 안내홈 28 : 가이드날개
100 : 장신구10: latching part 11: latching ring
11a:
12: support groove 13: support projection
20: fastening part 21:
21a: hinge pin 22: guide rod
23: elastic spring 24: support spring
25: guide groove 26: guide groove
27: a
27b: Supporting portion guide groove 28: Guide wing
100: Accessory
Claims (7)
상기 걸림부(10)의 일측에는 걸림고리(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중단에는 지지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일측에 걸림고리(11)의 걸림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절구(21)가 힌지핀(21a)을 축으로 일정 각도범위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조절구(21)는 지지스프링(24)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중단에는 상기 지지돌부(13)를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3)이 구성되며, 상기 지지홈(12)과 대응되는 부위에 가이드봉(22)이 구성되고;
상기 체결부(20)에는 조절구(21)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홈(25)이 일정길이의 장공형태를 이루어 형성되고, 일측에는 지지돌부(13)의 삽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A fastener for fastening ornaments in which a fastening part (10) is formed at one end of an accessory (100) and a fastening part (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100)
A hooking ring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atching part 10, a support groove 12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support protrusion 13 is formed at the end thereof.
A control member 21 for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ring 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upling unit 2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inge pin 21a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2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upport spring 24 and an elastic spring 23 for supporting the support protrusion 13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s formed at a stopper, The rods 22 are constructed;
A guide groove 25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trol member 21 is formed in the coupling unit 20 in the form of a slo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guide groove 25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the support member 13 (26)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er.
상기 걸림고리(11)의 하단부에는 하강시 조절구(21)가 열림 방향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일정 곡률을 이루는 곡면부(1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urved surface portion (11b)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ring (11) so that the lowering regulating opening (21) can be pushed in the opening direction.
상기 체결부(20)에는 가이드봉(22)에 결합되는 지지홈(12)의 양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날개(28)가 양측에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요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part (20) is provided with guide wings (28) for guiding both sides of the support groove (12) coupled to the guide rod (22) on both sides thereof.
상기 체결부(20)에는 조절구(21)가 힌지핀(21a)을 축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판(27)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part (20)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preventing plate (27) for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adjusting tool (21)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hinge pin (21a) .
상기 이탈방지판(27)에는 조절구(21)측으로 하강되어지는 걸림고리(1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고리 안내홈(27a)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돌부(1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돌부 안내홈(27b)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detachment preventing plate 27 is provided at its one side with a latching ring guide groove 27a for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the latching ring 11 which is lowered toward the adjusting opening 21 and has an interference (27b) for preventing the fastening protrusions (27a, 27b) from being detached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663A KR101569111B1 (en) | 2015-03-03 | 2015-03-03 | 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9663A KR101569111B1 (en) | 2015-03-03 | 2015-03-03 | 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9111B1 true KR101569111B1 (en) | 2015-11-13 |
Family
ID=5461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9663A Active KR101569111B1 (en) | 2015-03-03 | 2015-03-03 | 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9111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5125B1 (en) * | 2015-12-21 | 2016-10-24 | 윌커슨벤자민 | Ultra Low Power Wideband Non-Coherent BPSK Demodulator to Align Two Pairs of Complimentary Phases by Sideband Comparators, using 2nd Order Sideband Filters with Phase 180 Degree Alignment |
KR101925869B1 (en) | 2018-03-30 | 2019-02-26 | 이영철 | Fastener for ornaments |
KR20190134292A (en) * | 2018-05-25 | 2019-12-04 | (주)렉스다이아몬드 | structure for connecting an accessories |
WO2020178806A1 (en) * | 2019-04-24 | 2020-09-10 | LXL Group Inc. | Improved bracelet chain and clasp and methods of use |
KR20220073045A (en) | 2020-11-26 | 2022-06-03 | (주)렉스다이아몬드 | Elastic locking connection device for accessor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7916Y1 (en) | 2006-03-18 | 2006-06-02 | 이재흥 | Necklace fastening structure |
-
2015
- 2015-03-03 KR KR1020150029663A patent/KR10156911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7916Y1 (en) | 2006-03-18 | 2006-06-02 | 이재흥 | Necklace fastening structure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5125B1 (en) * | 2015-12-21 | 2016-10-24 | 윌커슨벤자민 | Ultra Low Power Wideband Non-Coherent BPSK Demodulator to Align Two Pairs of Complimentary Phases by Sideband Comparators, using 2nd Order Sideband Filters with Phase 180 Degree Alignment |
KR101925869B1 (en) | 2018-03-30 | 2019-02-26 | 이영철 | Fastener for ornaments |
KR20190134292A (en) * | 2018-05-25 | 2019-12-04 | (주)렉스다이아몬드 | structure for connecting an accessories |
KR102077916B1 (en) | 2018-05-25 | 2020-02-14 | (주)렉스다이아몬드 | structure for connecting an accessories |
WO2020178806A1 (en) * | 2019-04-24 | 2020-09-10 | LXL Group Inc. | Improved bracelet chain and clasp and methods of use |
KR20220073045A (en) | 2020-11-26 | 2022-06-03 | (주)렉스다이아몬드 | Elastic locking connection device for accessor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9111B1 (en) | 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 |
US3225565A (en) | Pearl slide shortener and pin adaptor | |
US2585183A (en) | Jewelry | |
RU2628927C2 (en) | Clasp and accessories for the jewellery and the jewellery containing it | |
KR200443096Y1 (en) | Earrings that can be fastened with one hand | |
KR101549948B1 (en) | A conclusion device for jewelry | |
US9289035B2 (en) |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 |
KR101535640B1 (en) | 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 |
CN203986452U (en) | Adjustable ring | |
KR20180003543U (en) | Length control device for accessory length | |
KR101269867B1 (en) | Bracelet for missing-preventive | |
US20050247079A1 (en) | Jewelry ornament | |
US11304484B2 (en) | Closure mechanism for jewelry | |
EP3657971B1 (en) | Belts and straps equipped with a device for fastening the excess part | |
US2624092A (en) | End clasp for bracelets or the like | |
KR101680244B1 (en) | 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 |
US20160106249A1 (en) |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operating a zipper | |
JP7075736B2 (en) | Jewelery | |
KR101604653B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accessories | |
US20080163467A1 (en) | Snap fastener | |
KR101569110B1 (en) | Jewelry conclusion device | |
KR101991792B1 (en) | Conclusion equipment of jewelry | |
KR101854774B1 (en) | connecting apparatus of accessories | |
KR200417928Y1 (en) | Necklace accessories | |
WO2020070902A1 (en) | Fastener for orna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6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