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8467B1 -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 Google Patents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467B1
KR101568467B1 KR1020130070007A KR20130070007A KR101568467B1 KR 101568467 B1 KR101568467 B1 KR 101568467B1 KR 1020130070007 A KR1020130070007 A KR 1020130070007A KR 20130070007 A KR20130070007 A KR 20130070007A KR 101568467 B1 KR101568467 B1 KR 10156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eel
fish
powder
s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971A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46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뱀장어 치어의 성장을 촉진시키면서 양식 중에 발병가능한 감염이라든지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식사료는 민물뱀장어 치어의 양식을 위해 잠용자 분말에 프로폴리스와 식물성 식이유황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에는 오징어 연육을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켜 추출한 오징어발효추출물이라든지 매실추출물이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사료에는 상기 민물뱀장어 치어의 입붙임을 유도하기 위해 상어란에서 추출된 어유가 산포되어 건조됨으로써 형성된다.

Description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FEED COMPOSITON FOR CULTURING FRY OF EEL}
본 발명은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민물뱀장어 치어의 성장율과 면연력을 증진시키면서 양식 중에도 감염이라든지 질병의 억제를 위한 항생제의 사용이 억제되도록 하는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에 관한 것이다.
담수와 해수의 사이에서 회유하는 생태학적 특성을 갖는 민물뱀장어는 양식에 의해 생산량이 비교적 많은 어종이기는 하지만, 현재에도 그 양식을 위한 종묘는 특정의 심해에서 난생부화하여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 등의 담수역으로 소상하기 위해 회유하는 실뱀장어를 포획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민물뱀장어의 양식산업은 실뱀장어(치어)의 어획량에 따라 전체적인 비용의 변동이 심해질 수 밖에 없고, 근래에는 환경의 오염이나 훼손 등에 기인하여 천연 자원의 고갈이 염려되는 상황이다.
그 때문에, 민물뱀장어의 친어로부터 인공적으로 채란 및 부화시켜 유생기(렙토세팔루스)를 거쳐 치어로 변태시키고 그 치어를 성어로 성장시키기 위한 완전한 양식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는 상황으로, 천연에서 채취한 치어로부터 친어의 육성, 인공산란, 인공부화까지는 성공한 상태이지만 인공부화 후의 자어가 치어기(稚魚期)로 되기까지의 사이에 상당 수가 사멸되어버리기 때문에 민물뱀장어 양식사업에 커다란 장애로 되고 있다.
따라서, 인공적인 산란 및 부화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치어 또는 천연에서 포획된 치어에 대해서는 양식 중에 유발가능한 질병에 대해서도 보다 개선된 면역력을 갖도록 하면서도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양호한 품질의 친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9092호(2012.04.25.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36368호(2007.09.20.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8975호(2011.02.25.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53111호(1999.09.21.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누에번데기'로서의 잠용자를 주원료로 하면서 식물성 식이유황과 프로폴리스가 혼합되어 면역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성장률의 개선이 가능한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민물뱀장어 치어의 양식을 위한 사료에 있어서, 잠용자 분말에 프로폴리스와 식물성 식이유황을 혼합하여서 된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양식사료에는 오징어 연육을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켜 추출한 오징어발효추출물이 더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양식사료에는 매실추출물이 더 포함된다.
더욱 유리하게, 상기 양식사료에는 상어란에서 추출된 어유가 산포되어 건조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에 의하면, 민물뱀장어 치어의 양식을 위해 누에번데기의 잠용자 분말에 프로폴리스와 식물성 식이유황을 첨가하여 급식함으로써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식 중에 발생가능한 감염이라든지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향상되고, 그에 따라 항생제의 사용이 최소량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오징어 연육을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킨 오징어발효추출물이라든지 매실추출물을 첨가하여도 생장에 유리하게 된다.
또, 상기 사료에 대해 상어란에서 추출된 어유를 산포, 건조시킴으로써 민물뱀장어 치어의 양식사료에 대한 입붙임을 유도할 수 있어 사료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에 의한 증체율을 시험한 결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에 의한 사료효율을 시험한 결과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에 의한 단백질전환효율을 시험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는 누에번데기로부터 추출되는 잠용자 분말을 주원료로 하면서 그 잠용자 분말에 식물성 식이유황과 프로폴리스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 조성된다.
그 중에서, 상기 잠용자분말은 성질이 평순하고 무독성이며 필수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단백질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소화 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민물뱀장어 치어의 성장에 유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 상기 식물성 식이유황(Methyl Sulfonyl Methane; MSM)은 소나무 내피라든지 삼채㎎ 등에서 추출가능하고, 골격과 관절의 강화 및 염증 제거와 살균 작용 및 체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함에 따라 민물뱀장어 치어의 성장 및 염증의 제거 및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프로폴리스는 심장 세포의 보강 및 강화, 세포 활성 및 재생 작용, 혈관 강화 및 혈행 개선, 항염증 작용, 항균 살균 작용, 부작용 경감 작용, 유전자 손상을 방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 사료를 일정한 기간에 걸쳐 급식하는 경우 체내 소화 흡수가 용이하면서 면역력 및 살균력이 강화되어 성장의 촉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잠용자 분말 100%에 대해 상기 식물성 식이유황은 1.2∼3.6㎎, 바람직하게는 1.8∼2.6mg의 범위로 첨가되지만, 그 첨가량은 상기 사육대상의 민물뱀장어 치어의 사육일수에 따라 경감이 가능하게 된다.
그와 유사하게, 상기 프로폴리스는 상기 상기 잠용자 분말 100%에 대해 1.2∼3.6㎎, 바람직하게는 1.8∼2.6mg의 범위로 첨가되고, 그 프로폴리스의 경우에도 첨가량은 상기 사육대상의 민물뱀장어 치어의 사육일수에 따라 경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료의 조성물로서는 오징어추출분말과 매실추출분말이 선택적으로 추가되어도 되는 바, 그 경우 오징어추출분말이나 매실추출분말은 상기 사육대상의 민물뱀장어 치어의 사육일수에 따라 경감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상기 잠용자분말에 대해 각기 20∼60%, 바람직하게는 40∼50%의 범위로 첨가된다.
상기 오징어추출분말의 경우는 그 생연육을 소금에 절여서 일정한 기간에 걸쳐 삭혀 냉동건조시키고나서 분말화하여 사료에 혼합하면 바람직하게 된다.
또, 민물뱀장어 치어의 초기단계에서는 양식사료에 대한 입붙임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상어란(특히, 곱상어 란)에서 추출된 어유를 상기 분말상의 사료조성물에 산포 및 건조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사료의 급식에 의해 사육대상의 민물뱀장어 치어의 증체율과 사료효율 및 단백질전환효율에 대해 소정의 기간에 걸쳐 시험하였는 바, 그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사료와 대비되는 대조사료로서는 상어란 51중량부, 크릴새우분해물 5중량부를 혼합한 사료분말 56중량%에 대해 증류수 44중량%를 혼합하여 '사료 1'로서 준비하게 된다(표 1의 '사료 1' 참조).
또, 본 발명에 따른 양식사료에 대해서는 상기 잠용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발효추출물 40중량부를 혼합하고, 프로폴리스(A), 식물성 식이유황(B)을 첨가한 사료분말 35중량%에 대해 증류수 65중량%를 첨가하여 '사료 2'로 준비하게 된다(표 1의 '사료 2' 참조).
또, 본 발명에 따른 양식사료에 대해서는 상기 잠용자 분말 100중량부에 대해 오징어발효추출물 40중량부를 혼합하고, 프로폴리스(2/1.2×A), 식물성 식이유황(2.5/1.5×B)을 첨가한 사료분말 35중량%에 대해 증류수 65중량%를 첨가하여 '사료 3'으로 준비하게 된다(표 1의 '사료 3' 참조). 여기서 사료 2의 프로폴리스(A)와, 사료 3의 프로폴리스 (2/1.2×A)의 의미는 사료 2와 사료 3에 첨가된 상대적인 중량 비율을 기재한 것이고, 사료 2의 식이유황(B)와, 사료 3의 식이유황(2.5/1.5×B)도 마찬가지로 상대적인 중량 비율을 기재한 것이다.
사 료 1 사 료 2 사 료 3
1. 사료 분말(상어란 51중량부, 크릴새우분해물 5중량부) : 56중량%
2. 증 류 수 : 44중량%
1. 사료 분말(잠용자 분말, 오징어발효추출물, 프로폴리스(A), 식물성 식이유황(B)) : 35중량%
2. 증류수 : 65중량%
1. 사료 분말(잠용자 분말, 오징어발효추출물, 프로폴리스(2/1.2×A), 식물성 식이유황(2.5/1.5×B)) : 35중량%
2. 증류수 : 65중량%
그리고, 평균 어체중 7.5±0.5g의 민물뱀장어 치어 90마리를 선별하여 실험환경에 적응하도록 예비사육하고나서 대략 100L의 수조에 분산배치하고 조명 및 수온의 조건(예컨대 23±0.5℃)을 설정하여 각기 '사료 1'과 '사료 2' 및 '사료 3'을 급식하여 대략 15주간의 기간에 걸쳐 시험하였다.
상기의 시험기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어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어를 24시간 절식시키고 예컨대 Ethylene glicol phenyl ether 90%(200ppm)으로 마취시켜 수준별 실험어의 전체 무게를 측정하여 증체율(Weight Gain(%) = Final Weight - Initial Weight) x 100)과, 사료효율(Food efficiency rate(%) = Wet weight gain / day feed intake) x 100) 및 단백질전환효율(Protein efficiency rate = Wet weight gain / Protein intake)을 조사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 상기의 대조를 위한 '사료 1'과, 본 발명에 따른 '사료 2' 및, '사료 3'의 증체율은 도 1에 도시된 결과로 나타났다.
즉, 상기 대조를 위한 사료 1에 비해 상기 프로폴리스와 상기 식물성 식이유황이 첨가된 사료 2 및 사료 3이 급식된 실험어의 증체율이 유의하게 높고, 상기 사료 2에 비해 사료 3이 급식된 실험어의 증체율이 더욱 증체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또, 본 발명에 따라 프로폴리스와 식물성 식이유황이 첨가된 사료에 대한 효율은 도 2에 나타내었는 바, 상기 대조 '사료 1'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2' 및 '사료 3'이 급식된 실험구에서 사료효율이 유의하게 높고, '사료 2'에 비해 '사료 3'의 실험구에서 사료효율이 더욱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사료에 프로폴리스와 식물성 식이유황이 첨가된 사료에 대한 단백질전환효율을 나타내는 바, 상기 대조 '사료 1'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사료 2' 및 '사료 3'이 급식된 실험구에서 단백질전환효율이 유의하게 높고, '사료 2'에 비해 '사료 3'의 실험구에서 단백질전환효율이 더욱 높은 결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한 예에서는 잠용자 분말에 프로폴리스와 식물성 식이유황을 첨가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매실추출물이라든지 상어란에서 추출된 어유를 산포하여 건조시킨 사료를 급식하는 경우 더욱 증체율과 단백질전환효율 및 사료효율을 높게 달성할 수 있다.

Claims (4)

  1. 민물뱀장어 치어의 양식을 위한 사료에 있어서,
    잠용자 분말과, 프로폴리스와, 식물성 식이유황와, 오징어 연육을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켜 추출한 오징어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사료 분말과;
    상기 사료 분말 상에 뿌려지며 상어란에서 추출된 어유와;
    증류수;를 포함하되,
    상기 잠용자 분말과 오징어발효추출물의 중량비는 2.5 : 1이고,
    상기 사료 분말과 증류수의 중량비는 7 :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70007A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KR10156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007A KR101568467B1 (ko)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007A KR101568467B1 (ko)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71A KR20140146971A (ko) 2014-12-29
KR101568467B1 true KR101568467B1 (ko) 2015-11-11

Family

ID=5267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007A KR101568467B1 (ko)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748A (ko) * 2019-04-05 2020-10-14 김칠성 식이유황과 복분자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994B1 (ko) * 2020-10-26 2023-07-13 황기철 천연원료를 함유한 면역력 증강용 애완동물용 사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67604B1 (ko) * 2021-10-25 2022-02-28 주식회사 캘러스 항산화, 염증개선 및 면역증진 효과가 우수한 반려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368A (ja) * 2006-03-08 2007-09-20 Hiroki Hachiuma 水生動物用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6368A (ja) * 2006-03-08 2007-09-20 Hiroki Hachiuma 水生動物用飼料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7748A (ko) * 2019-04-05 2020-10-14 김칠성 식이유황과 복분자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KR102215345B1 (ko) 2019-04-05 2021-02-10 김칠성 식이유황과 복분자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71A (ko) 201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55491B (zh) 一种海藻免疫增强型南美白对虾配合饲料
Moreki et al. Prospects of utilizing insects as alternative sources of protein in poultry diets in Botswana: a review
CN101707990B (zh) 多异瓢虫的人工繁殖方法
CN103314896B (zh) 一种黄鳝、泥鳅莲藕池套养方法
US20120189738A1 (en) Fish feed
KR101743734B1 (ko) 곤충을 이용한 양어용 사료 첨가제
KR101568466B1 (ko) 민물뱀장어 친어 양식용 사료
CN113508766B (zh) 一种大口黑鲈鱼苗驯食方法
Okore et al. Growth and haematological studies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juveniles fed with Housefly larva (Musca dometica) as feed supplement
CN104247688A (zh) 一种鲈鱼苗种暂养池的养殖方法
KR101568467B1 (ko)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CN101218898A (zh) 大鸨人工孵化和育雏方法及大鸨雏鸟饲料
KR20190052251A (ko) 풀무치 사육용 인공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풀무치의 인공 사육방법
KR101878020B1 (ko) 동애등에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3378328A1 (en) Animal nutrition fortifying agent and application thereof
JPS58857B2 (ja) 魚類用餌料及びその製造法
RU2535093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рыб на ранних этапах онтогенеза
Kocabaş et al. Hatching performances and yolk sac absorptions of caspian brown trout (Salmo trutta caspius T., 1954)
CN101904454B (zh) 一种促进南美白对虾亲虾性腺成熟的饵料及其制备方法
CN103431180A (zh) 一种桑叶饲料的制备方法
CN107348105B (zh) 一种笋壳鱼浮性膨化配合饲料
CN109329645A (zh) 一种生态养殖鸡饲料
CN105815602A (zh) 一种高产小龙虾的饵料
Yakubu et al.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Sex-Reversed Nile Tilapia (Oreochromisniloticus) Fingerlings Fed Unhatched Chicken Egg Diet
KR101815626B1 (ko) 실뱀장어의 초기 냉동사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