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7791B1 -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791B1
KR101567791B1 KR1020140065298A KR20140065298A KR101567791B1 KR 101567791 B1 KR101567791 B1 KR 101567791B1 KR 1020140065298 A KR1020140065298 A KR 1020140065298A KR 20140065298 A KR20140065298 A KR 20140065298A KR 101567791 B1 KR101567791 B1 KR 101567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main contact
slit
breast
curv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14006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07Brassieres with 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0Brassieres with 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4Stay means with an articulated or bridge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지패드 전체 면적에 걸쳐 항시 충분한 장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주름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면서 전체 면적에 걸쳐 유방의 하부와 측부 둘레 곡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은 물론 유방의 지지 및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래지어{BRASSIER}
본 발명은 여성용 속옷의 일종으로 착용자의 유방을 감싸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호하고 유방의 모양 보정 역할을 하는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방이 수용되는 수용부 내면에 유방을 지지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올려줘 모양 교정 기능을 하는 보조패드를 설치하되 보조패드의 구조 및 수용부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착용자와 보조패드 간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유방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 및 교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여성 속옷의 일종으로 착용자의 유방을 감싸 유방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방의 모양을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브래지어는 크게 유방표면을 감싸는 양 수용부에 어깨끈이 연결된 구조이고 어깨끈을 착용자 어깨에 걸치는 형태로 착용 된다.
최근에 제안되는 브래지어는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용감은 물론 유방의 모양 교정기능이 중요시되고 있다.
종래 기능성 브래지어의 일 예로 수용부의 내부면 하측 테두리 부근에 별도의 지지직물을 설치하여, 지지직물이 유방의 하측과 측부 둘레면에 밀착되어 지지함과 동시에 지지직물의 일측 단부가 어깨끈에 연결된 상태에서 어깨끈을 당기면 지지직물이 당겨지면서 유방을 밀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렇게 지지직물이 구비된 종래기술은 지지직물이 평평한 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하측 테두리가 수용부의 하측 테두리에 재봉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 시 유방 둘레면과 밀착되는 과정에서 지지직물의 위쪽 테두리 부근에는 충분한 장력이 형성되지 못해 주름이 형성된다.
따라서 결국 지지직물과 유방 둘레면 간의 밀착도가 저하되므로 그만큼 착용감이 떨어지고 유방의 지지력과 상승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5-0021760호 ( 2005.03.0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지지패드 전체 면적에 걸쳐 항시 충분한 장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주름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면서 전체 면적에 걸쳐 유방의 하부와 측부 둘레 곡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은 물론 유방의 지지 및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후측면이 전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되어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유방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2개의 수용부, 상기 각 수용부의 일측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밴드, 일정 길이를 갖는 밴드 형태이고 상기 각 수용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단테두리가 상기 수용부의 하단 테두리에 봉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유방 하부 및 측부 둘레면에 접촉되는 상단 테두리에는 하측을 향해 절개된 형태의 절개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양 테두리가 상호 맞닿도록 봉합됨에 따라 상단테두리가 유방의 하부 및 측부 둘레면의 곡면에 밀착되어있는 지지패드, 일단부가 상기 지지패드의 일측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어깨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패드는 신축성이 없는 하나의 직물 형태이되 중간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접촉구간과 상기 메인접촉구간 중 타측 수용부를 향하는 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곡률형성구간 및 상기 메인접촉구간 중 상기 곡률형성구간과 대응되는 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어깨끈과 연결되어 있는 당김전달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절개슬릿 및 상기 메인접촉구간과 상기 당김전달구간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는 제2절개슬릿을 포함하되 상기 제1, 2절개슬릿은 상기 메인접촉구간의 상단테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하는 양쪽 내측 테두리가 상호 맞닿도록 봉합되어 있으며, 상기 곡률형성구간과 메인접촉구간은 상기 절개슬릿의 봉합에 의해 상기 당김전달구간 쪽으로 당겨져 상단테두리가 호 형태를 이루도록 휘어져 있는 점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개슬릿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인 v커팅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곡률형성구간의 상단테두리 곡률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면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절개슬릿은 하단부로 갈수록 상기 곡률형성구간을 향하도록 사선 형태이고, 상기 제2절개슬릿은 하단부로 갈수록 상기 당김전달구간을 향하도록 사선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 예를 갖는 본 발명은,
지지패드가 절개슬릿의 봉합에 의해 해당 구간이 일측으로 당겨짐은 물론 상단 테두리가 호 형태를 이루면서 팽팽하게 당겨지므로, 착용 시 상단테두리의 주름 발생이 방지되어 상단테두리가 유방의 하부 및 측부 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방의 상승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이 절개슬릿 봉합에 의해 당겨진 상태가 됨에 따라 어깨끈에 의한 당김힘이 메인접촉구간은 물론 곡률형성구간 전체에 걸쳐 전달되므로 유방의 안정적인 지지 및 상승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절개슬릿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커팅 형태이므로 절개슬릿을 봉합하는 과정에서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의 상단 테두리가 자연스럽게 당겨지면서 호 형태를 이루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당겨진 상태에서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의 상단테두리 곡률이 수용부의 내부면 곡률보다 크도록 휘어져 있으므로 상단테두리의 주름발생 현상이 더욱 방지되는 효과도 갖는다.
더불어 제1절개슬릿과 제2절개슬릿이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각 절개슬릿을 봉합하는 과정에서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이 쉽게 당겨져 호를 이루며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도1은 브래지어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2는 지지패드 중 절개슬릿의 봉합 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3는 절개슬릿의 봉합에 의해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이 당겨져 휘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브래지어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브래지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수용부(100)와 고정밴드(300), 지지패드(400) 및 어깨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수용부(100)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유방을 전체를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측이 개방되어 있고 전측을 향해 돔 형태로 볼록하게 솟아오른 형태이되 내부는 전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됨에 따라 내부에 유방이 수용될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수용부(100)의 하측 테두리에는 지지와이어(120)가 매설되어 수용부(100)의 형상 유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수용부(100)는 사용자 양쪽 유방에 대응되도록 2개가 구비되고 양 수용부(100)는 사이에 형성된 연결밴드(200)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연결밴드(200)는 수용부의 재질이나 구조 등에 따라 얼마든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100)에는 고정밴드(300)가 연결된다.
고정밴드(300)는 수용부(100)를 사용자 상체에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기다란 밴드 형태이고 양 수용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고 각 타 단부는 체결구(310)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양 수용부(100)가 사용자 양 유방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양 고정밴드(300)가 사용자의 가슴 둘레를 둘러싼 후 각 단부가 사용자 등쪽에서 상호 체결된다.
이로 인해 양 수용부는 양 유방을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 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밴드(300)가 연결되어 있는 양 수용부(100)에는 지지패드(400)가 설치된다.
지지패드(400)는 유방의 지지 및 상승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축성이 없는 직물로 이루어진 밴드 형태이고 구간별로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 및 당김전달구간(430)으로 구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접촉구간(410)은 지지패드(400)의 중간쯤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착용 시 유방의 하부둘레 일부와 측부둘레 일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곡률형성구간(420)은 메인접촉구간(410) 중 타 수용부(100)를 향하는 쪽 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된다.
또한 당김전달구간(430)은 메인접촉구간(410) 중 곡률형성구간(420)과 반대쪽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패드(400)는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 및 당김전달구간(430)이 일체화된 패드 형태를 갖게 된다.
이때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의 하측 테두리는 곡률형성구간(420)의 단부로 갈수록 위쪽을 향해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패드(400)에는 절개슬릿(450)이 형성되는데,
절개슬릿(450)은 지지패드(400)의 상단테두리의 주름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은 물론 상단테두리가 유방의 하부 및 측부 둘레면을 따라 정확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같이 다시 제1절개슬릿(452)과 제2절개슬릿(454)으로 나뉘어 구분된다.
먼저 제1절개슬릿(452)은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되 해당 지점의 상단테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슬릿 형태로 절개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절개슬릿(452)은 아래쪽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 즉 v커팅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절개슬릿(454)은 메인접촉구간(410)과 당김전달구간(430)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되 제1절개슬릿(452)과 마찬가지로 해당 지점의 상단테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슬릿 형태로 절개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2절개슬릿(454)도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커팅 형태를 갖는다.
이로 인해 지지패드(400)에는 2개의 절개슬릿(450)이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1절개슬릿(452)과 제2절개슬릿(454)은 [도 3]처럼 각각 별개의 봉합구조를 갖는데, 제1절개슬릿(452)은 상호 마주하는 내측 테두리가 상호 맞닿도록 봉합된다.
그리고 제2절개슬릿(454) 또한 상호 마주하는 내측 테두리가 상호 맞닿도록 봉합된다.
이렇게 제1절개슬릿(452)과 제2절개슬릿(454)이 v커팅 형태로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봉합됨에 따라,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의 상단테두리는 당김전달구간(430)을 향해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접촉구간(410)의 상단테두리 일부와 곡률형성구간(420)의 상단테두리 전체가 당김전달구간(430)을 향해 휘어진 형태로 당겨짐에 따라 호 형태를 띠게 된다.
따라서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의 상단 테두리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결국 이로 인해 지지패드(400)의 상단테두리의 주름 발생 현상도 방지된다.
이때 제1절개슬릿(452)과 제2절개슬릿(454)은 각각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제1절개슬릿(452)은 하단부로 갈수록 곡률형성구간(420)을 향하도록 사선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절개슬릿(454)은 하단부로 갈수록 당김전달구간(430)을 향하도록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제1절개슬릿(452)과 제2절개슬릿(454)이 각각 사선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만큼 제1절개슬릿(452)과 제2절개슬릿(454)을 봉합하는 과정에서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이 쉽게 당겨져 상단 테두리가 호 형태를 이루면서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지지패드(400)는 각 수용부(100)의 수용공간(110)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 테두리가 수용부(100)의 하단 테두리에 재봉을 통해 연결되고 지지패드(400)는 수용공간(110)의 하부 구간을 덮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때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의 상단테두리 및 하단테두리가 당김전달구간(430) 쪽으로 당겨져 휘어진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하단테두리가 수용부(100)됨에 따라, 결국 지지패드(400)는 당김전달구간(430)를 향해 휘어진 형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단테두리 또한 주름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방의 하부 및 측부의 둘레면 곡률에 맞게 호 형태로 휘어진 형태가 된다.
따라서 착용 시 지지패드(400)의 상단 테두리 전체가 유방의 하부 및 측부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 유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위쪽으로 밀어올리는 효과가 향상된다.
더불어 지지패드(400) 중 메인접촉구간(410)과 곡률형성구간(420)의 휨 정도는 휨 곡률이 수용부의 내면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지지패드(400)의 하단테두리가 수용부(100) 하단테두리에 연결되었을 때 지지패드(400)의 주름발생 현상은 더욱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지지패드(400)에는 어깨끈이 연결된다.
어깨끈(500)은 브래지어가 사용자에 착용되었을 때 아래로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지지패드(400) 중 당김전달구간(430)의 단부에 재봉 등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밴드(300)의 후측 단부 부근에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브래지어를 착용 시 양 수용부(100)는 고정밴드(300)에 의해 사용자 가슴 전측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도 4]와 같이 양 어깨끈(500)이 어깨에 걸쳐짐에 따라 아래로 쳐지지 않게 된다.
착용 상태에서 어깨끈을 당기면 이와 연결된 지지패드(400) 중 당김전달구간(430)이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러한 당김력은 메인접촉구간(410) 및 곡률형성구간(420)에도 전달되어 지지패드(400) 전체가 위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패드(400)의 당김 현상으로 인해 유방의 하부와 측부 둘레면이 지지패드에 의해 밀어올려지게 되므로 유방의 지지와 더불어 상승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지지패드(400)는 절개슬릿의 봉합구조에 의해 휨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수용부에 재봉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패드의 상단테두리를 비롯한 전체 구간에 주름 현상 없이 유방의 하부와 측부 둘레면에 밀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브래지어를 구성하는 수용부 내에 유방의 지지 및 상승기능을 위한 지지패드(400)가 설치되되, 지지패드(400)에 절개슬릿을 형성시키고 절개슬릿을 봉하는 과정에서 지지패드(400)의 상단테두리가 당겨져 호 형태로 휘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단테두리의 주름발생 현상이 방지되어 착용감이 향상됨은 물론 상단테두리가 호 형태, 즉 유방의 하부와 측부 둘레면을 따라 호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그만큼 유방과 지지패드 간의 밀착도 높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수용부 110 : 수용공간
120 : 지지와이어 200 : 연결밴드
300 : 고정밴드 310 : 체결구
400 : 지지패드 410 : 메인접촉구간
420 : 곡률형성구간 430 : 당김전달구간
450 : 절개슬릿 452 : 제1절개슬릿
454 : 제2절개슬릿 500 : 어깨끈

Claims (5)

  1. 후측이 전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몰되어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유방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2개의 수용부;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되는 고정밴드;
    일정 길이를 갖는 밴드 형태이고 상기 각 수용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단테두리가 상기 수용부의 하단 테두리에 봉제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유방 하부 및 측부 둘레면에 접촉되는 상단 테두리에는 하측을 향해 절개된 형태의 절개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의 양 테두리가 상호 맞닿도록 봉합됨에 따라 상단테두리가 유방의 하부 및 측부 둘레면의 곡면에 밀착되어있는 지지패드; 및
    일단부가 상기 지지패드의 일측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어깨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드는 신축성이 없는 하나의 직물 형태이되,
    중간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접촉구간;
    상기 메인접촉구간 중 타측 수용부를 향하는 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있는 곡률형성구간; 및
    상기 메인접촉구간 중 상기 곡률형성구간과 대응되는 쪽 단부에서 연장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어깨끈과 연결되어 있는 당김전달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메인접촉구간과 곡률형성구간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절개슬릿 및 상기 메인접촉구간과 상기 당김전달구간 간 경계지점에 형성되는 제2절개슬릿을 포함하되, 상기 제1, 2절개슬릿은 상기 메인접촉구간의 상단테두리로부터 하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마주하는 양쪽 내측 테두리가 상호 맞닿도록 봉합되어 있으며,
    상기 곡률형성구간과 메인접촉구간은 상기 절개슬릿의 봉합에 의해 상기 당김전달구간 쪽으로 당겨져 상단테두리가 호 형태를 이루도록 휘어져 있고,
    상기 곡률형성구간의 상단테두리 곡률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면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브래지어.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절개슬릿은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드는 형태인 v커팅 형상인
    브래지어.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절개슬릿은 하단부로 갈수록 상기 곡률형성구간을 향하도록 사선 형태이고,
    상기 제2절개슬릿은 하단부로 갈수록 상기 당김전달구간을 향하도록 사선 형태인
    브래지어.
KR1020140065298A 2014-05-29 2014-05-29 브래지어 Active KR10156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98A KR101567791B1 (ko) 2014-05-29 2014-05-29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98A KR101567791B1 (ko) 2014-05-29 2014-05-29 브래지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791B1 true KR101567791B1 (ko) 2015-11-11

Family

ID=54605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298A Active KR101567791B1 (ko) 2014-05-29 2014-05-29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013A (ja) 2011-01-28 2012-08-16 Wacoal Corp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013A (ja) 2011-01-28 2012-08-16 Wacoal Corp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1312B1 (en) Women's underwear
US6447365B1 (en) Brassiere including breast-supporting inserts
US10856586B2 (en) Woman's undergarment with cup sections
KR101820510B1 (ko) 여성용 기능성 속옷
KR20190001694U (ko) 브래지어
US7074108B2 (en) Multi-layer uplift bra
US10791773B2 (en) Brassiere
US20130012101A1 (en) Cushioning underwire assembly and underwire bra with the same
JP3210852U (ja) 婦人下着
KR101567791B1 (ko) 브래지어
KR102008088B1 (ko) 브래지어
JP3202589U (ja) カップ及び該カップ婦人下着
KR20090003484U (ko) 브래지어
US20110318989A1 (en) Brassiere cup
KR200484289Y1 (ko) 여성용 브래지어
KR100561661B1 (ko) 브레지어
JP5588076B1 (ja) ブラジャー
CN204599358U (zh) 舒压胸罩
KR200479267Y1 (ko) 브래지어
KR101497086B1 (ko) 기능성 브래지어
US20250169553A1 (en) Woman's undergarment with cup sections
KR200488530Y1 (ko) 브래지어
KR20100002438A (ko) 원단을 이용한 브라컵의 형상유지 구조
JPH0661907U (ja) ブラジャー
KR200372853Y1 (ko) 브래지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