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482B1 - Dual scan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Dual scan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7482B1 KR101567482B1 KR1020130169196A KR20130169196A KR101567482B1 KR 101567482 B1 KR101567482 B1 KR 101567482B1 KR 1020130169196 A KR1020130169196 A KR 1020130169196A KR 20130169196 A KR20130169196 A KR 20130169196A KR 101567482 B1 KR101567482 B1 KR 1015674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transparent plate
- medium
- reading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203—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 H04N1/2032—Simultaneous scanning of two or more separate pictures, e.g. two sides of the same sheet of two pictures corresponding to two sides of a single mediu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본체, 판독을 위한 매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매체의 제1 면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 상기 상부본체에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매체의 제2 면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 및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제2 면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제1 면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기 위한 겹침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판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lower body, an upper bod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ody so that a medium for reading can pass therethrough, a first contact image formed on the lower body, A second contact image reading unit formed on the upper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tact image reading unit and reading a second side image of the loaded medium; And an overlap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image reading of the first face image and the reading of the first face image of the second close contact image read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듀얼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reading device.
화상판독장치는 문서, 그림 또는 필름 등의 원본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되거나 프린터에 의해 인쇄되어 출력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화상판독장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뿐만 아니라 팩스 기능을 제공하는 팩시밀리, 복사 기능을 제공하는 복사기 및 복합기 등에서도 사용가능하다.An image reading apparatus is a device that scans an original image such as a document, a picture or a film and converts the original image into digital data. In this case, the digital data may be displayed on a monitor of the computer or printed by a printer and produced as an output image. The image reading apparatus can be used not only in a scanner for generating digital data but also in a facsimile providing a facsimile function, a copier providing a copying function, a multifunction apparatus and the like.
판독 구조 중 판독 속도 증가 및 기구 복잡도 줄이기 위해 하나의 용지 경로상에 양면을 각각 판독할 수 있는 스캐너를 배치하고, 1회의 원고이송으로 원고의 앞뒷면 즉 양면을 동시에 판독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판독 모듈은판독 모듈 제어부(Scan Module Controller)로부터 신호를 받아 동작하게 되며, 이미지센서 등 이미지 판독에 필요한 소자들을 컨트롤하게 된다.A method of arranging a scanner capable of reading both sides on one paper path in order to increase the reading speed and reducing the mechanism complexity of the reading structure and simultaneously read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manuscript, that is, both sides of the manuscript simultaneously by one document feeding can be applied. In this case, each read module receives a signal from a read module controller (Scan Module Controller) and controls elements necessary for image reading such as an image sensor.
판독 모듈이 가까워짐에 따라 서로의 조명에 의한 용지의 배면 비침 현상은 증가하게 된다. 한쪽 판독 모듈의 조명에서 발산된 빛은 다른 쪽 판독 모듈의 결상부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까지 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명계 크로스 토크(cross talk)로 인해 원고의 배면 비침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As the reading module approaches, the backlight phenomenon of the paper due to the illumination of each other is increas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of one reading module may pass through the image forming portion of the other reading module and reach the image sensor, and the backside of the original may be visually impaired due to the cross talk of the illumination system.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79333호(2012.07.12 공개, 화상독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가 있다.
Related art 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079333 (published on July 12, 2012, a picture read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체의 양면을 동시에 스캔시 반대면 이미지의 겹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겹침방지부를 포함하는 듀얼판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al reading apparatus including an overlap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overlapping of opposite surface images when scanning both sides of a medium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본체, 판독을 위한 매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매체의 제1 면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 상기 상부본체에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매체의 제2 면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 및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제2 면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제1 면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기 위한 겹침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판독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lower body, an upper bod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body such that a medium for reading can pass therethrough, A second close contact image reading part formed on the upper body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close contact image reading part and reading a second side image of the loaded medium; And an overlap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reading of the second face image of the second close-up image reading unit and preventing the reading of the first face image of the second close-up image reading unit.
이때,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는, 상기 매체의 제1 면과 밀착되는 제1 투명판, 상기 제1 투명판 상에 위치하는 상기 매체의 제1 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면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는, 상기 매체의 제2 면과 밀착되는 제2 투명판, 상기 제2 투명판 상에 위치하는 상기 매체의 제2 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1 면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image rea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transparent plat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medium, a first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the first surface of the medium located on the first transparent plate, And a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second contact image read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transparent plate in close contact with a second surface of the medium,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portion located on the second transparent plate A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light toward the second surface of the medium, and a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surface.
상기 겹침방지부는, 상기 제1 투명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제1 수광부에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지부, 및 상기 제2 투명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제2 수광부에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overlap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reventing portion 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plate and preven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from being received in the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prevention unit for preven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from being received in the second light receiving unit.
상기 제1 방지부 및 상기 제2 방지부는 빛을 흡수하는 광흡수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evention part and the second prevention part may each include a light absorption part that absorbs light.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제1 투명판 및 상기 제2 투명판에 각각 블랙 실크(BLACK SILK)를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light absorbing portion may be formed by printing black silks on the first transparent pl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plat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듀얼판독장치는 겹침방지부를 구비하여 매체의 양면을 동시에 스캔시 반대면 이미지의 겹침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 reading device has the overlap prevention portion, so that when scanning both sides of the medium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lapping of the opposite side im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의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 및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의 제1 투명판의 평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rea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first contact image reading unit and a second contact image reading unit of a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first transparent plate of a dual re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판독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의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 및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판독장치의 제1 투명판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first transparent plate of a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first transparent plate of a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는 하부본체(100), 상부본체(200),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210), 및 겹침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본체(200)는 하부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본체(200)의 일측이 하부본체(100)의 일측과 힌지결합되고, 상부본체(200)의 타측은 자유로이 회전이동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도면은 상부본체(200)의 타측이 하부본체(100)의 타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하여, 상부본체(200)가 개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and 2,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200)는 하부본체(100)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상부본체(200)와 하부본체(1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매체가 이동하며, 매체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는 다수의 롤러부를 상부본체(200) 및 하부본체(100)에 구비함으로써, 매체를 이송시킬 수 있다. 듀얼판독장치로 인입된 매체는 다수의 롤러부 회전에 의하여 상부본체(200) 및 하부본체(1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1 and 2, the upper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는 1회의 매체 이송으로 매체의 앞뒷면 즉 양면을 동시에 판독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매체의 제1 면(A)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 및 제2 면(B)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210)를 포함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는 하부본체(100)에 형성되어 매체와 밀착하여 매체의 제1 면(A)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또한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210)는 상부본체(200)에 형성되어 매체와 밀착하여 매체의 제2 면(B)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The dual re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ad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medium at the same time, that is, both sides of the medium at one time, and includes a first contact
이때,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 및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210)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제1 면(A)과 제2 면(B)의 이미지 판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의 양면의 이미지 판독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매체의 일면 이미지 판독을 진행한 다음, 이동하여 매체 타면의 이미지를 판독하는 장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제품의 크기 또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와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210)로 매체의 양면을 동시에 판독시, 반대면의 이미지가 함께 판독되어 이미지 겹침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는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의 제2 면(B)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고,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210)의 제1 면(A)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기 위한 겹침방지부를 포함한다.However, when both sides of the medium are simultaneously read by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판독장치의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는 매체의 제1 면(A)과 밀착되는 제1 투명판(111), 제1 투명판(111) 상에 위치하는 매체의 제1 면(A)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부(112), 및 제1 면(A)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1 수광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first contact
제1 투명판(111)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1 투명판(111)은 투명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제1 발광부(112)는 투명판 상에 위치하는 매체의 제1 면(A)에 빛을 조사하면, 조사된 빛은 투명판을 투과하여 매체의 제1 면(A)에 도달하게 되고, 매체의 제1 면(A)에 반사되어 다시 투명판을 거쳐 제1 수광부(113)로 전달된다. 이때 제1 발광부(112)는 LED 등을 조사하는 LED 조사 유닛일 수 있다. 제1 수광부(113)는 로드 렌즈(ROD Lens)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반사된 빛을 수용함으로써 제1 면(A)의 정보를 판독하게 된다.When the first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210)는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110)와 마찬가지로 매체의 제2 면(B)과 밀착되는 제2 투명판(211), 제2 투명판(211) 상에 위치하는 매체의 제2 면(B)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부(212), 및 제2 면(B)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2 수광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act
제2 투명판(211)은 빛을 투과시킬 수 있으며, 이때 제2 투명판(211)은 투명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econd
제2 발광부(212)는 투명판 상에 위치하는 매체의 제2 면(B)에 빛을 조사하면, 조사된 빛은 투명판을 투과하여 매체의 제2 면(B)에 도달하게 되고, 매체의 제2 면(B)에 반사되어 다시 투명판을 거쳐 제2 수광부(213)로 전달된다.When the second
이때, 제1 면(A)의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1 수광부(113)가 제2 발광부(212)의 빛까지 함께 수용하게 되면 이미지 겹침이 발생하게 되어 정확한 이미지 판독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제2 면(B)의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2 수광부(213)가 제1 발광부(112)의 빛까지 함께 수용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이미지 겹침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first
따라서, 제1 투명판(111)에는 제1 방지부(130)를 포함하고, 제2 투명판(211)에는 제2 방지부(140)를 포함하여 이러한 이미지 겹침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방지부(130)는 제1 투명판(111)에 형성되어 제2 발광부(212)에서 조사된 빛이 제1 수광부(113)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방지부(140)는 제2 투명판(211)에 형성되어 제1 발광부(112)에서 조사된 빛이1 제2 수광부(213)에 수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이러한 제1 방지부(130)는 제1 발광부(112)에서 조사된 빛 중 제2 수광부(213)로 향하는 빛을 흡수할 수 있고, 제2 방지부(140)는 제2 발광부(212)에서 조사된 빛 중 제1 수광부(113)로 향하는 빛을 흡수할 수 있도록 광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광흡수부는 제1 투명판(111) 및 제2 투명판(211)의 일부에 각각 블랙 실크를 프린트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발광부(112) 중 제2 수광부(213)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1 발광부(112)에서 제2 수광부(213)로 향하는 경로의 제1 투명판(111)에 블랙실크를 인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such a light absorbing portion can be formed by printing black silks on portions of the first
마찬가지로, 제2 발광부(212) 중 제1 수광부(113)로 향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2 발광부(212)에서 제1 수광부(113)로 향하는 경로의 제2 투명판(211)에 블랙실크를 인쇄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투명판(111) 및 제2 투명판(211)에 블랙실크를 인쇄함으로써, 이미지 겹침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듀얼판독장치를 이용하면, 매체의 양면을 동시에 판독하되, 이미지 판독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 판독 시간을 줄여 생산성에 기여하며, 이미지겹침을 방지하여 정확하게 양면의 이미지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Likewise, in order to block the light from the secon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제1 면
B: 제2 면
100: 하부본체
110: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
111: 제1 투명판
112: 제1 발광부
113: 제1 수광부
130: 제1 방지부
140: 제2 방지부
200: 상부본체
210: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
211: 제2 투명판
212: 제2 발광부
213: 제2 수광부A: First side
B: Second side
100:
110: first close-up image reading unit
111: first transparent plate
112: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113: first light receiving section
130:
140:
200: upper body
210: a second contact image reading section
211: second transparent plate
212: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213: second light receiving section
Claims (5)
판독을 위한 매체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와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에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매체의 제1 면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
상기 상부본체에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투입되는 상기 매체의 제2 면 이미지를 판독하는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 및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제2 면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의 상기 제1 면 이미지 판독을 방지하기 위한 겹침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착 이미지 판독부는,
상기 매체의 제1 면과 밀착되는 제1 투명판;
상기 제1 투명판 상에 위치하는 상기 매체의 제1 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면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착 이미지 판독부는,
상기 매체의 제2 면과 밀착되는 제2 투명판;
상기 제2 투명판 상에 위치하는 상기 매체의 제2 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2 면에서 반사된 빛을 수용하는 제2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판독장치.
A lower main body;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main body so that a medium for reading can be passed therethrough
An upper body;
A first contact image reading unit that reads an image of a first surface of the medium formed in the lower body;
A second contact image reading unit formed in the upper body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tact image reading unit and reading a second face image of the loaded medium; And
And an overlap preventing section for preventing the reading of the second side image of the first close-up image reading section and preventing the reading of the first side image of the second close-up image reading section,
Wherein the first close-
A first transparent plate in close contact with a first surface of the medium;
A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light toward a first surface of the medium located on the first transparent plate; And
And a first light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second close-
A second transparent plate in close contact with a second surface of the medium;
A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for emitting light toward a second surface of the medium located on the second transparent plate; And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from the second surface.
상기 겹침방지부는,
상기 제1 투명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제1 수광부에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방지부; 및
상기 제2 투명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발광부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제2 수광부에 수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판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verlap prevention unit
A first prevention unit formed on the first transparent plate to prevent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from being received in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And
And a second preventing unit formed on the second transparent plate to prevent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from being received in the second light receiving unit.
상기 제1 방지부 및 상기 제2 방지부는 빛을 흡수하는 광흡수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판독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prevention portion and the second prevention portion each include a light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light.
상기 광흡수부는 상기 제1 투명판 및 상기 제2 투명판에 각각 블랙 실크(BLACK SILK)를 인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판독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ight absorbing portion is formed by printing black silks on the first transparent pl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plate,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9196A KR101567482B1 (en) | 2013-12-31 | 2013-12-31 | Dual scan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9196A KR101567482B1 (en) | 2013-12-31 | 2013-12-31 | Dual scan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9155A KR20150079155A (en) | 2015-07-08 |
KR101567482B1 true KR101567482B1 (en) | 2015-11-11 |
Family
ID=5379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9196A Active KR101567482B1 (en) | 2013-12-31 | 2013-12-31 | Dual scan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7482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98413A (en) | 1999-04-15 | 2000-10-24 | Fujitsu Ltd | Double-sided printing device |
KR200358118Y1 (en) | 2004-05-17 | 2004-08-05 | (주) 제이.에스.씨.앤.아이 | two faces scanner of a scanning device |
-
2013
- 2013-12-31 KR KR1020130169196A patent/KR1015674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98413A (en) | 1999-04-15 | 2000-10-24 | Fujitsu Ltd | Double-sided printing device |
KR200358118Y1 (en) | 2004-05-17 | 2004-08-05 | (주) 제이.에스.씨.앤.아이 | two faces scanner of a scann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9155A (en) | 2015-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97609B2 (en) | Image sensor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
US8559077B2 (en) | Image scanning device | |
JP6581349B2 (en) | Integrated platen scanner and document handler for copiers, multifunction machines or stand-alone scanning devices | |
US11825037B2 (en) | Multi-mode scanning device performing invisible light reflection | |
CN102119526B (en) | Multi-function device architecture | |
US10574852B2 (en) | Imaging optical mechanism, reading modul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 |
JP5310600B2 (en) | Image reading device | |
KR101567482B1 (en) | Dual scanning apparatus | |
JP5810601B2 (en) | Image reading device | |
JP5548017B2 (en) | Image reading device | |
US11994794B2 (en) | Optical array, optical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6189525A (en) | Reader,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program | |
JP3622919B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0995003B1 (en) | Duplex scanning unit | |
JP2007180844A (en) |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2179604B1 (en) | Transparent platen with chamfered discharge edges | |
CN106464770A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 |
JP6175016B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JP7501102B2 (en) | Reading device, output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US10554848B2 (en) | Image reading apparatus | |
JP6630618B2 (en) | Image sensor unit, paper sheet identification device, image read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 |
JP2017208613A (en) |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7098716A (en) | Image reading device | |
JP6332220B2 (en) |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21082978A (en) | Document feeder,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