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526B1 - Air-floating elevated structures of Light Rail Transit - Google Patents
Air-floating elevated structures of Light Rail Trans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6526B1 KR101566526B1 KR1020130084032A KR20130084032A KR101566526B1 KR 101566526 B1 KR101566526 B1 KR 101566526B1 KR 1020130084032 A KR1020130084032 A KR 1020130084032A KR 20130084032 A KR20130084032 A KR 20130084032A KR 101566526 B1 KR101566526 B1 KR 1015665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ion
- pier
- cable
- bridge
- light ra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제1정거장에 설치되는 제1정거장용 교각과, 제2정거장에 설치되는 제2정거장용 교각과, 상기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경전철이 이동하는 상부구조체와,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과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 사이에 가공(架空)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체를 지지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각 등 하부구조를 제거한 경전철 본선 고가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고가 경전철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도시미관 문제, 하부구조의 지상점유로 인한 지상 공간 활용 문제, 공사기간 동안의 도로교통 혼잡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고, 경전철용 고가 구조물의 전체 공사비 중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하부 기초공사 및 교각 공사 등 하부구조체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floating in the air, An upper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tion piers and to which the light rail is moved, and a second upper bridge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bridge pillar and the first structure bridge pillar installed at the first station, And a cable that is machined between the station pier and the second station pier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light rail main line high-priced structure in which a bridge structure such as a pier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urban aesthetics,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of an expensive light railway, a problem of utilization of the ground space due to occupancy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Problems can be solved,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lower structure such as the lower foundation construction and the bridge pier construction,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the total construction cost of the light railway high cost structure, can be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기존 경전철 고가구조물에서 교각 등의 하부구조가 차량이 지나는 상부구조를 지지하여 받치는 형태의 고가 구조를 개선하여 하부구조가 없는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rail high-priced structure floating in the 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priced structure in which a lower structure such as a pier in a conventional light rail high- It is about the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floating in the river.
일반적으로 도심지에서는 제한된 공간 여건상 승용차 위주의 교통만으로 전체 교통 수요를 충족할 수 없음으로써 통상 지하철을 설치하여 부족한 교통수요를 충족시키도록 되어 있다.Generally, in urban areas, due to limited space conditions, it is not possible to meet the total traffic demand only by the traffic of the passenger car, so the subway is usually installed to meet the lack of traffic demand.
그러나, 이러한 지하철을 건설하는 데는 막대한 인원과 시간 및 자본이 소요됨으로써 비경제적이며, 1량 당 수십 톤에 이르는 전동차의 무게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송인원이 낮음으로써 운송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공사기간 동안에는 육상교통이 더욱 악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construction of such a subway requires a large number of people, time, and capital, which is uneconomical, and the transport efficiency is inferior due to a relatively low number of transit passengers compared to the weight of a train of several tens of tons per car. 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road traffic became worse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이와 같은 지하철에 비해서 중량이 가벼운 교통 수단인 경전철(輕電鐵, Light Rail Transit, LRT)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전철은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여 경량전철이 이동하는 구조물을 경량화 함으로써 그 구조물의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고가 구조의 건설을 촉진시킬 수 있다. Research on Light Rail Transit (LRT), which is a lightweight transportation method compared to such subwa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uch a light rail can minimize the size and weight of the light rail,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constructing the light rail, thereby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the expensive structure.
이 같은 경전철용 고가 구조물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0367509호에 제안된 바 있다. 이는 경전철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주의 상단결합부에 용접 또는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경전철의 하중을 떠받치는 박스형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경전철이 운행할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된 평판형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양단에 터널형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눈 또는 비가 올 때와 상기 경전철이 운행할 때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획일화된 구조를 통해 공장에서는 일괄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단지 조립만으로 구조물을 건설하므로 지하철을 건설하는 공사기간과 건설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n example of such an expensive structure for light rail has been prop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367509. This is a light rail structure, comprising: a box-shaped support member fixed to an upper joint portion of a support by a welding or fixing member and supporting a load of the light rail; A plate-shaped upper plate having rail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light rail can be operated; And a roof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block noises generated when the snow or rain and the light rail are shut off are installed in a tunnel shape at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 It is expected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subway construction can be expected to be reduced.
상기 등록특허에 제안된 경전철용 구조물과 같은 종래의 경전철 고가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경전철(1)이 지나다니는 상부구조체(10)와 이를 지지하여 받치는 하부구조체(20)로 이루어진다.A conventional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such as the light rail structure proposed in the above patent, generally comprises an
이때, 하부구조체(20)는 지상(2)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복수의 교각(22)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기초(24) 등으로 구성되며, 교각(22)과 교각(22) 사이에 놓이는 상부구조체(10)는 바닥 상판 구조물과 궤도구조물 등으로 구성되어, 경전철(1) 주행시 작용하는 하중이 상부구조체(10)를 통해 하부구조체(20)로 전달되며 안전하게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The
이와 같은 고가 경전철의 정거장(A,B)간 거리는 통상 1km 내외이고 모두 고가형태의 구조물로 건설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가 구조물의 경간(교각과 인접 교각 사이의 거리)을 40m로 고려하는 경우, 정거장 사이에 24개의 교각 구조물이 건설된다. The distance between the station (A, B) of such an expensive light rail is usually about 1km and it is all constructed as a high-priced structure. Considering the span of a commonly used elevated structure (the distance between the piers and adjacent piers) to be 40 m, 24 piers are constructed between the stations.
특히, 기존 도심에서 이러한 교각 등 하부구조체(20)의 설치는 현장 제약을 받게 되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도로를 따라 건설된다. 이로 인해 공사 기간 중 도로 교통 혼잡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완공 후에도 구조물이 지상을 점유하는 관계로 인해 지상 공간 활용이 불리하며 육중한 고가구조물로 인해 도시미관이 저해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stallation of the
한편, 하부구조체(20)의 일반적인 공사비는 고가구조물 전체 공사비의 40% 정도를 차지하는데 지반이 연약지반인 경우 추가적인 기초공사비로 인해 공사비가 증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construction cost of the
또한, 고가구조물의 선형이 도로 선형을 따를 수밖에 없어 상당부분의 곡선부가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siderable curved portion exists because the linearity of the expensive structure has to follow the road linearity.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존 경전철 고가구조물에서 교각 등의 하부구조가 차량이 지나는 상부구조를 지지하여 받치는 형태의 고가 구조를 개선하여 양쪽 정거장 구조물에서 상부구조를 지지하여 하부구조 없이 공중에 떠 있는 고가 구조로 슬림하게 고가 구조물을 건설하여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경전철 고가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high-priced structure in which a lower structure such as a pier in a conventional light rail high-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construct an elevated structure with slender and high - priced structure floating in the air without the substructure to improve the urban beauty and to provide economical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경전철 고가 구조물의 설치 및 운행시 일반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교통혼잡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ims at providing a light rail high-priced structure that minimizes traffic congestion of a vehicle traveling on an ordinary road when installing and operating a light rail high-priced structure.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제1정거장에 설치되는 제1정거장용 교각과, 제2정거장에 설치되는 제2정거장용 교각과, 상기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경전철이 이동하는 상부구조체와,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과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 사이에 가공(架空)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체를 지지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을 제공한다.An upper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tion piers and to which the light rail is moved, and a second upper bridge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bridge pillar and the first structure bridge pillar installed at the first station, And a cable for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by imaginarily installing between the bridge pier for the station and the bridge pier for the second station.
이때,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은 본체의 하부에 한 쌍의 제1 좌측 다리 및 제1 우측 다리가 구비되고, 본체의 중앙에 상기 케이블 일단부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1 새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본체 하부에 한 쌍의 제2 좌측 다리 및 제2 우측 다리가 구비되고, 본체의 중앙에 상기 케이블 타단부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 새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pier for the first station has a pair of first left legs and a first right leg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irst saddle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cable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A pair of second left legs and a second right leg are provided under the main body of the two-pier bridge pier, and the second saddl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to switch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또한,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제1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제1앵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는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제2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제2앵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cable is fixed to the first anchor provided on the ground by being turned by the first saddle of the first station pier,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addle of the second station pier And is fixed to the second anchor provided on the ground.
그리고,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제1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1 좌측 다리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는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제2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2우측 다리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nd of the cable is turned by the first saddle of the first station pier and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left leg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addle of the second station pier And is directed toward the second right leg direction.
또한,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본체 상부에는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는 제1승강장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본체 상부에는 제2승강장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ation bridge pi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anding are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station bridge pier, and a second landing area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ation bridge pier.
그리고,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우측 상단에는 상부구조체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 우측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좌측 상단에는 상기 상부구조체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 좌측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right support tine is formed at a right upper end of the first station pier and a first right support tin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ation pier to support one end of the upper structure. And a support jaw is formed.
아울러,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좌측 상단에는 연속해서 설치되는 상부구조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좌측지지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우측 상단에는 제2 우측지지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left support tine for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left upper end of the first station bridge pier is further formed, and a second right support tier is further formed on the right upper end of the second station pier .
또한, 상기 상부구조체는 강연선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tructure may be a prestressed concrete beam reinforced by a stranded wire.
아울러, 상기 상부구조체의 양측을 따라 이탈방지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paration preventing tuck is further formed along both sides of the upper structure.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상부구조체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블안착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ble is installed in a cable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교각 등 하부구조를 제거한 경전철 본선 고가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고가 경전철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도시미관 문제, 하부구조의 지상점유로 인한 지상 공간 활용 문제, 공사기간 동안의 도로교통 혼잡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light rail main line high-priced structure in which a bridge structure such as a pier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urban aesthetics,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of an expensive light railway, a problem of utilization of the ground space due to occupancy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Problems and the like can be solved.
그리고, 경전철용 고가 구조물의 전체 공사비 중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하부 기초공사 및 교각 공사 등 하부구조체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In addition, it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lower structure such as the lower foundation construction and the pier construction, which occupy a large portion of the total construction cost of light railway high-priced structures.
아울러, 본 발명은 기존의 경전철용 고가 구조물이 도로를 따라 하부 구조체를 설치함에 따라 선형 조건에서 제약을 받아 오던 단점을 극복하여 다소 유리하게 선형 설계가 가능하며, 케이블의 처짐 특성에 의해 경전철의 구동시에는 하구배, 경전철의 정차시에는 상구배 형태로 설계가 가능하여 경전철 운행시 에너지 효율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vercomes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light rail high-priced structure installed on the road along the road, which is constrained by the linear condition, and can be designed in a somewhat advantageous manner. At the same time, it can be designed in the form of a top slope when the estuary ship and the light rail are stopped, which can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when operating the light rai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경전철 고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irborne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floating light rail high-pric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rail high-priced structure floating in the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은 경전철(1)이 지나는 상부구조체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하부구조물이 없이 공중에 떠 있도록, 양쪽 정거장의 구조체인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100,200)에서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여 하부구조 없이 공중에 떠 있는 고가 구조로 슬림하게 건설하여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건설이 가능하다.2 and 3, the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floating in the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first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가구조물 양쪽의 정거장에서 앵커 고정된 케이블(400)을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도록 설치하고, 상부구조체(300)로는 구조물의 휨에 대해 강연선(310)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C) 보(beam)를 설치하여서 이루어진다.
More specifically,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은 제1정거장에 설치되는 제1정거장용 교각(100)과, 제2정거장에 설치되는 제2정거장용 교각(200)과, 상기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100,200) 사이에 설치되어 경전철(1)이 이동하는 상부구조체(300)와,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과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 사이에 가공(架空)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400)로 이루어진다.
The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floating in the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itu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은 본체의 하부에 한 쌍의 제1 좌측 다리(110)와 제1 우측 다리(112)가 구비되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400)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1 새들(saddle)(120)이 구비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본체 상부에는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는 제1승강장(130)이 더 구비된다. Further, a
또한,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은 본체의 하부에 한 쌍의 제2 좌측 다리(210)와 제2 우측 다리(212)가 구비되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400)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 새들(220)이 구비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본체 상부에는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는 제2승강장(230)이 더 구비된다. The second
이때, 상기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100,200)을 지면에 설치시에는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제1 우측 다리(112)와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제2 좌측 다리(210)는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며,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100,200)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the first and
또한,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우측 상단에는 상부구조체(300)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 우측지지턱(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좌측 상단에는 상기 상부구조체(300)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 좌측지지턱(240)이 형성된다.A first
물론,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좌측 상단에는 인접하게 연속해서 설치되는 다른 상부구조체(미도시됨)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좌측지지턱(142)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우측 상단에는 또 다른 상부구조체(미도시됨)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우측지지턱(242)이 형성된다.Of course, a first
이와 같이 제1정거장에 설치되는 제1정거장용 교각(100)과 제2정거장에 설치되는 제2정거장용 교각(200)은 동일한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한편,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과 제2정거장용 교각(200) 사이의 경전철(1)이 이동하는 상부구조체(300)는 고무바퀴 방식의 경전철의 경우 궤도레일이 필요 없지만, 철제차륜 또는 자기부상 방식의 경전철의 경우 궤도레일이 상면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이때, 상기 상부구조체(300)는 강연선(310)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C) 보(beam)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통상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철근 대신에 높은 인장강도를 발휘하는 강선, 강연선, 강봉 등과 같은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응력(프리스트레스, prestress)을 가해줌으로써, 하중으로 인한 인장응력을 일부 상쇄시켜서 더 큰 외부하중을 가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In general, prestressed concrete is subjected to a compressive stress (prestress) in advance by using a high strength steel such as a steel wire, a strand, and a steel bar that exhibits a high tensile strength instead of a reinforcing steel, thereby partially compensating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load It is possible to apply a large external load.
한편, 경전철(1)이 상부구조체(300)를 통해 주행하는 중에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구조체(300)의 주행면 양측을 따라 이탈방지턱(320)이 형성되어 주행안정성을 확보한다. 이와 같은 상부구조체(300)는 일 예로 그 폭은 4m, 하단에서 이탈방지턱 상단까지의 높이는 1m로 제작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그리고,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과 제2정거장용 교각(200) 사이에는 케이블(400)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구조체(300)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를 지지한다.A
이때, 상기 상부구조체(300)의 하부를 상기 케이블(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구조체(300)의 하부에 케이블안착홈(302)이 상기 상부구조체(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400)이 안착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이때, 상기 케이블(400)은 일 예를 직경 30cm 인 금속재 케이블을 사용하고 복수의 케이블(400)을 복수의 케이블안착홈(302)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metal cable having a diameter of 30 cm is used as the
이와 같은 케이블(400)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제1 새들(1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1 좌측 다리 하부(110)의 지면에 고정되는 제1앵커(150)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400)의 타단부는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제2 새들(2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제2 우측 다리 하부(212)의 지면에 고정되는 제2앵커(25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400)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제1 좌측 다리(110) 방향을 향하고, 상기 케이블(400)의 타단부는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제2우측 다리(212) 방향을 향하게 된다. One end of the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한다.Structural features of the floating light rail elev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제1 새들(120)을 중심으로 지면방향으로 향하는 케이블부분과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부분에 인장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제1 우측 다리(112)에 압축력이 발생하게 되고,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제2 새들(220)을 중심으로 지면방향으로 향하는 케이블부분과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부분에 인장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제2 좌측 다리(210)에 압축력이 발생하게 된다.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in a portion of the cable supporting the
이 같은 케이블의 설치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인접한 케이블(401)이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제1 새들(120)을 중심으로 지면방향으로 향하는 케이블부분과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부분에 인장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100)의 제1 좌측 다리(110)에 압축력이 발생하게 되고, 또 다른 인접한 케이블(402)이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제2 새들(220)을 중심으로 지면방향으로 향하는 케이블부분과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부분에 인장력이 발생하며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200)의 제2 우측 다리(212)에 압축력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installation of such a cable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
즉,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100,200)에는 제1 및 제2앵커(150,250)에 고정되는 케이블의 방향이 제1 및 제2 새들(120,220)을 통해 바뀌면서 제1 및 제2 새들(120,220)을 기준으로 케이블 양쪽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압축력을 정거장의 한쪽 교각이 받게 되고, 정거장을 기준으로 인속적으로 연결되는 좌, 우 양측의 케이블(401,402)에 의해 대칭적으로 압축력이 발생하므로 각각의 제1 및 제2정거장용 교각(100,200)에 균일한 힘이 작용하게 된다.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cable fixed to the first and
이와 같은 케이블(400)의 설치시 상부구조체(300)를 지지하는 케이블(400)은 중앙부가 처져 하구배가 형태이고, 제1 또는 제2정거장용 교각(100,200)의 승강장부분에서는 상구배 형태이다. The
따라서 경전철(1)의 구동시에는 하구배, 경전철(1)의 정차시에는 상구배 형태로 설계가 가능하여 경전철(1)을 운행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light rail (1) is driven, it can be designed in the form of a top slope at the stop of the estuary ship and the light rail (1), and energy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en the light rail (1) is opera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경전철 100: 제1정거장용 교각
110: 제1 좌측 다리 112: 제1 우측 다리
120: 제1 새들 130: 제1승강장
140: 제1 우측지지턱 142: 제1 좌측지지턱
150: 제1앵커 200: 제2정거장용 교각
210: 제2 좌측 다리 212: 제2 우측 다리
220: 제2 새들 230: 제2승강장
240: 제2 좌측지지턱 242: 제2 우측지지턱
250: 제2앵커 300: 상부구조체
302: 케이블안착홈 310: 강연선
400: 케이블1: light railway 100: 1st station pier
110: first left leg 112: first right leg
120: First Birds 130: First platform
140: first right support jaw 142: first left support jaw
150: first anchor 200: second station pier
210: second left leg 212: second right leg
220: 2nd saddle 230: 2nd platform
240: second left supporting jaw 242: second right supporting jaw
250: second anchor 300: upper structure
302: Cable seating groove 310: Stranded wire
400: Cable
Claims (10)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은 본체의 하부에 교축직각방향을 기준으로 제1 좌측 다리와 제1 우측 다리가 구비되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케이블 일단부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1 새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본체 하부에 교축직각방향을 기준으로 제2 좌측 다리와 제2 우측 다리가 구비되며, 본체의 중앙에 상기 케이블 타단부의 방향을 전환하는 제2 새들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제1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1 좌측 다리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는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제2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2우측 다리 방향을 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제1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1 좌측 다리 하부의 지면에 설치되는 제1앵커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부는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제2 새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2우측 다리 하부의 지면에 설치되는 제2앵커에 고정되며,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에서 교축직각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는 상부구조체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제1 우측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에서 교축직각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는 상기 상부구조체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제2 좌측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에서 교축직각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는 연속해서 설치되는 상부구조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좌측지지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에서 교축직각방향을 기준으로 우측 상단에는 제2 우측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구조체는 강연선으로 보강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구조체의 양측을 따라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
An upper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tion piers and to which the light rail is moved, and a second upper bridge structu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ructure bridge pillar and the first structure bridge pillar installed at the first station, And a cable which is machined between the station pier and the second station pier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The first pillar for the first station has a first left leg and a first right leg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ttling axis and first saddles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cable,
A second left leg and a second right leg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second station bridge pier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ttling axis and second saddles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cable,
Wherein one end of the cable is turned by the first saddle of the first station pier and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left leg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connected by the second saddle of the second station pier And the second right leg is turned toward the second right leg direction,
One end of the cable is fixed to a first anchor provided on a ground surface of the first lower left leg by being turned by the first saddle of the first station bridge pier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is fixed to the second stationary bridge And is fixed to a second anchor which is turned on by the second saddle of the pier and installed on the ground of the lower right leg,
A first right support tine is formed at a right upper end of the first station pier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ttling axis and one end of the upper structure is supported, A second left support tine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structure is formed,
A first left support tine for supporting an upper structur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left upper end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roat of the first station pier is further formed and the first left support tier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tation pier, A second right side support tin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Wherein the upper structure comprises a prestressed concrete beam reinforced by a strand,
And an escape preventing jaw is formed along both sides of the upper structure.
상기 제1정거장용 교각의 본체 상부에는 승객의 승차 및 하차가 이루어지는 제1승강장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정거장용 교각의 본체 상부에는 제2승강장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ation bridge pi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landing are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first station bridge pier and a second landing area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ation bridge pier. Light rail high elevated structure.
상기 케이블은 상기 상부구조체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블안착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에 떠 있는 경전철 고가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ble is installed in a cable receiving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032A KR101566526B1 (en) | 2013-07-17 | 2013-07-17 | Air-floating elevated structures of Light Rail Trans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4032A KR101566526B1 (en) | 2013-07-17 | 2013-07-17 | Air-floating elevated structures of Light Rail Trans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9730A KR20150009730A (en) | 2015-01-27 |
KR101566526B1 true KR101566526B1 (en) | 2015-11-05 |
Family
ID=5248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4032A Active KR101566526B1 (en) | 2013-07-17 | 2013-07-17 | Air-floating elevated structures of Light Rail Trans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65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0091A (en) | 2015-05-29 | 2016-12-07 | (주)홍성브레이크 | Eco-friendly non-asbestos friction material composition for rubber tire of light rail transit and the friction pad |
CN109371799A (en) * | 2018-10-29 | 2019-02-2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Tramway track beam steel structure system |
CN109458006A (en) * | 2018-12-13 | 2019-03-12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ombined highway and metro integral cast-in-situ frame-type overhead st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1232B1 (en) | 2011-05-18 | 2012-09-10 |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 Upper structure of bicycle and sidewalk brdige using cab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2013
- 2013-07-17 KR KR1020130084032A patent/KR1015665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1232B1 (en) | 2011-05-18 | 2012-09-10 |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엔씨 | Upper structure of bicycle and sidewalk brdige using cab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9730A (en) | 2015-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1058B1 (en) | Bridge having track for hybrid transport system | |
US8448577B2 (en) | Elevated track for a vehicle with a pneumatic propulsion system | |
CN112727134B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ebuilding and expanding main structure of existing overhead operation subway station building | |
CN106567320B (en) | The local gravity rigidity and auxiliary suspension cable structure system of large span stayed-cable bridge | |
CN103938538A (en) | Railroad bridge evacuation platform | |
CN104594173A (en) | Rail holding type electromagnetic suspension track traffic box girder | |
CN111502347A (en) | Rail transit three-story single-column prefabricated elevated station | |
CN201102544Y (en) | Hanging train traffic system of hanging rail | |
KR101566526B1 (en) | Air-floating elevated structures of Light Rail Transit | |
CN111502348A (en) | Rail transit three-story double-column prefabricated elevated station | |
CN105887658A (en) | Multi-purpose continuous construction temporary be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04875389U (en) | Pillar track girder system all | |
CN112109736B (en) | Multi-type combined transport rail transport system | |
CN101935978B (en) | Overhead cable track and special track traveling crane thereof | |
CN112030712B (en) | A cable-stayed bridge suitable for rubber-tyred trams and municipal passages | |
KR101003403B1 (en) | Movable Bridge Inspection Car | |
CN204282231U (en) | Tram overhead station | |
CN103144639B (en) | Continuous multi-stage large-span cable-stayed arch air electrified railway | |
EP3560786B1 (en) | Transport system | |
CN212505808U (en) | A cable-stayed bridge suitable for co-construction of rubber-wheeled trams and municipal passages | |
CN105568784B (en) | Support system for suspended type monorail traffic track beam | |
DE602005017433D1 (en) | PNEUMATIC OR HYDRAULIC TELESCOPIC SYSTEM FOR TOWERS AND STATIONS OF ARMCHAIRS, GONDOLA RAILS AND OTHERS | |
US7293506B2 (en) | Structural system comprising a track for a magnetic levitation transport system powered by a linear electric motor | |
EP3702231B1 (en) | String track structure | |
CN211142772U (en) | Highway-railway same-layer hybrid beam suspension cable stayed cooperative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