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130B1 -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6130B1 KR101566130B1 KR1020140183131A KR20140183131A KR101566130B1 KR 101566130 B1 KR101566130 B1 KR 101566130B1 KR 1020140183131 A KR1020140183131 A KR 1020140183131A KR 20140183131 A KR20140183131 A KR 20140183131A KR 101566130 B1 KR101566130 B1 KR 101566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m
- rail
- incline
- concrete
- faci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절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a) 계곡 법면의 하류측에 시공될 댐의 일측 말단 단면의 영역내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댐 하류측 사면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하류측 레일설치용 계단블록을 시공하는 단계와; (b) 하류측 레일설치용 계단블록에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를 설치하고, 계곡 법면의 상류측에 댐의 높이 방향으로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c) 계곡 법면에서 연장된 최상부측 용지에 시설된 배처 플랜트로부터 제조된 타설콘크리트를 덤프 트럭에 싣고 상기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하여 댐 하부로 하강하여 콘크리트 타설 한 후 다시 상기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하여 덤프 트럭을 댐 상부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댐의 최종 시공 높이까지 콘크리트 타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어 댐의 최종 시공 높이가 완성되면,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 중 철거하고 남은 하강레일에 선착 및 승선용으로 상류측 댐수위를 따라 부상하는 선착장용 부유체를 연결시켜 놓는 단계와; (e) 상기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에 관람객 및 댐 점검용으로 안전용 레일카를 설치시켜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순서에 따른 시공상태도.
도 4는 도 3에서 축조된 댐을 상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순서에 따른 시공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축조된 댐을 상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댐의 축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14: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
141: 하강레일
142: 대차
143: 와이어 로프
144: 윈치
16: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
161: 상승레일
162: 대차
163: 와이어 로프
164: 윈치
18: 배처 플랜트
20: 덤프 트럭
30: 선착장용 부유체
40: 레일카
42: 카 윈치
Claims (4)
- (a) 계곡 법면(D)의 하류측에 시공될 댐(10)의 일측 말단 단면의 영역내에 근접되게 위치하여 댐 하류측 사면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하류측 레일설치용 계단블록(11)을 시공하는 단계와;
(b) 하류측 레일설치용 계단블록(11)에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16)를 설치하고, 계곡 법면(D)의 상류측에 댐(10)의 높이 방향으로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14) 설치하는 단계와;
(c) 댐 계곡 법면(D)에서 연장된 최상부측 용지(5)에 시설된 배처 플랜트(18)로부터 제조된 타설콘크리트를 덤프 트럭(20)에 싣고 상기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14)를 이용하여 댐 하부로 하강하여 콘크리트 타설 한 후 다시 상기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16)를 이용하여 덤프 트럭(20)을 댐 상부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댐의 최종 시공 높이까지 콘크리트 타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어 댐의 최종 시공 높이가 완성되면,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14)중 철거하고 남은 하강레일(141)에 선착 및 승선용으로 상류측 댐수위를 따라 부상하는 선착장용 부유체(30)를 연결시켜 놓는 단계와;
(e) 상기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16)에 관람객 및 댐 점검용으로 안전용 레일카(40)를 설치시켜 놓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 (a) 시공될 댐(10)의 일측 말단 단면의 영역내에 위치하여 댐 축(X) 방향에 대해 일정하게 경사진 계곡 법면(D)측에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14)와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16)를 나란하게 설치하는 단계와;
(b) 댐 계곡 법면(D)에서 연장된 최상부측 용지(5)에 시설된 배처 플랜트(18)로부터 제조된 타설콘크리트를 덤프 트럭(20)에 싣고 상기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14)를 이용하여 댐 하부로 하강하여 콘크리트 타설 한 후 다시 상기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16)를 이용하여 덤프 트럭(20)을 댐 상부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여 댐의 최종 시공 높이까지 콘크리트 타설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하부로부터 일정한 높이(h)의 콘크리트 타설층이 형성될 때마다,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14)의 하강레일(141)을 해당하는 콘크리트 타설층 높이만큼 세그먼트 단위로 철거한 후 상류측 댐 사면(101)에 반복 설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16)의 상승레일(161)을 해당하는 콘크리트 타설층 높이만큼 세그먼트 단위로 철거한 후 하류측 댐 사면(102)에 반복 설치하는 단계; 및
(d)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어 댐의 최종 시공 높이가 완성되면, 상류측 댐 사면(101)에 완성된 하강레일(141)에 선착 및 승선하기 위한 선착장용 부유체(30)를 연결시켜 놓는 단계;를 포함하며,
댐 관광 및 유지 보수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하류측 댐 사면(102)에 반복 설치된 상승레일(161)에 안전용 레일카(40)를 탑재하고, 안전용 레일카(4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카 윈치(42) 및 견인와이어(44)를 더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 삭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 축(X)을 기준으로 상기 하강용 인크라인 설비(14)는 댐 상류측에 상승용 인크라인 설비(16)는 댐 하류측에 각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3131A KR101566130B1 (ko) | 2014-12-18 | 2014-12-18 |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3131A KR101566130B1 (ko) | 2014-12-18 | 2014-12-18 |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6130B1 true KR101566130B1 (ko) | 2015-11-19 |
Family
ID=5484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3131A Active KR101566130B1 (ko) | 2014-12-18 | 2014-12-18 |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613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59798A (zh) * | 2017-05-23 | 2017-08-18 | 梁美欣 | 大坝砼模板结构 |
CN108677684A (zh) * | 2018-07-20 | 2018-10-19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玻璃悬桥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87334B2 (ja) * | 2005-07-11 | 2009-12-16 | 鹿島建設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の搬送設備および搬送方法 |
-
2014
- 2014-12-18 KR KR1020140183131A patent/KR10156613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87334B2 (ja) * | 2005-07-11 | 2009-12-16 | 鹿島建設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の搬送設備および搬送方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59798A (zh) * | 2017-05-23 | 2017-08-18 | 梁美欣 | 大坝砼模板结构 |
CN108677684A (zh) * | 2018-07-20 | 2018-10-19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玻璃悬桥 |
CN108677684B (zh) * | 2018-07-20 | 2024-03-19 |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玻璃悬桥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952561A (zh) | 一种抛石整平船的工作方法 | |
KR20130113380A (ko) | 해상 풍력 터빈용 토대, 그 해상 풍력 터빈 및 그 설치 방법 | |
CN111285141B (zh) | 卸船机运输发运工艺 | |
CN116497760B (zh) | 一种重力式沉箱码头预制梁板架桥机安装方法 | |
CN106043607B (zh) | 固定码头自适应登船舷梯 | |
KR101566130B1 (ko) | 인크라인 설비를 이용한 댐 선착장 및 모노 레일의 시공 방법 | |
CN110017024A (zh) | 逆作法地下室的水平钢梁的施工方法 | |
CN106400693A (zh) | 一种斜坡道钢箱梁运梁车及运梁方法 | |
US8888410B2 (en) | Modular heavy lift system | |
CN114277827B (zh) | 一种采用双gps定位的圆沉箱出运、安装施工方法 | |
KR102040602B1 (ko) | 지하철도 궤도패널 시공방법 | |
JP3263049B2 (ja) | ケーソン製造及び運搬装置並びにその方法 | |
CN108382540B (zh) | 驳船上岸、下水方法 | |
CN104973210B (zh) | 水上人工结构设施施工建设技术 | |
CN214143720U (zh) | 一种组合式整平装置 | |
JP7489301B2 (ja) | 浮体構造物搬出方法および沈設架台 | |
CN204224987U (zh) | 一种连续梁桥多种管线安装施工结构 | |
JPS597630A (ja) | フロ−テイングアンロ−ダ | |
JP7316694B2 (ja) | 昇降装置 | |
RU2524740C1 (ru) | Судоподъемное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е железобетон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маломерных судов и способ его возведения | |
CN112431206B (zh) | 一种组合式整平装置 | |
CN114671265B (zh) | 智能化重物移位装置 | |
CN113931070B (zh) | 一种海域浅水区高潮差码头卸梁方法 | |
GB2241011A (en) | Offshore platform system | |
KR101810237B1 (ko) | 시추선의 스러스터 수중 설치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