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5931B1 -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931B1
KR101565931B1 KR1020080108509A KR20080108509A KR101565931B1 KR 101565931 B1 KR101565931 B1 KR 101565931B1 KR 1020080108509 A KR1020080108509 A KR 1020080108509A KR 20080108509 A KR20080108509 A KR 20080108509A KR 101565931 B1 KR101565931 B1 KR 10156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ic conversion
type layer
electrode
conversion film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378A (ko
Inventor
김규식
마사히로 히라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사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사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931B1/ko
Priority to US12/417,934 priority patent/US8319207B2/en
Publication of KR20100049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378A/ko
Priority to US13/667,820 priority patent/US86922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9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10Integrated devices
    • H10F39/12Imag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2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organic-organic junctions, e.g. donor-acceptor jun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radiation-sensitiv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30/00
    • H10K39/30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10K39/32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11Fullerenes, e.g. C6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은, 테트라센(tetracence)이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 테트라센과 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NTCDA)이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 및 NTCDA이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Photoelectric conversion 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color image sensor hanving the photoelelctric conversion film}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가 제공된다.
수광소자(受光素子)는 디지털 카메라, 방송용 카메라, 감시 카메라, 컴퓨터 화상용 카메라, 캠코더, 자동차용 센서, 가정용 센서, 태양전지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수광소자는 크게 마이크로렌즈, 컬러 필터, 및 Si-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픽셀 사이즈가 감소하게 되면 광다이오드에 도달하는 광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러한 광량의 감소는 결국 수광소자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 결과 종래의 수광소자는 감도 저하, 위색(僞色) 현상, 모아레(moire) 현상, 해상도 저하 등과 같은 많은 문제를 야기시켜 왔다.
이러한 수광소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층구조의 유기 광전변환막(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film)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적층구조의 유기 광전변환막은 종래의 수광소자에 비하여 픽셀 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고화질을 보증하고 광이용 효율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테트라센(tetracence)이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layer);
테트라센과 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NTCDA)이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 및
NTCDA이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을 포함하는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이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한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p-type 층에 인접하는 제1 전극과 상기 n-type 층에 인접하는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광전변환 소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SnO2, ATO(antimony-doped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TiO2 및 FTO(fluorine-doped ti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투명 전극 또는 Al, Cu, Ti, Au, Pt, Ag 및 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 사이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 사이에 버퍼층(buffer layer), 홀이송층(hole transfer layer), 또는 전자 이송층(electron transfer layer)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광전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컬러 이미지 센서가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TPD(tetraphenyl diamine)이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
TPD와 C60이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 및
NTCDA이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을 포함하는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이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TPD이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
TPD와 Me-PTC이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 및
NTCDA이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을 포함하는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이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청색 또는 녹색 파장의 빛에 대한 선택적인 광전변환이 가능하고, 또한 청색 또는 녹색 파장에서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갖는 광전변환 필름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전변환 필름들을 적층함으로써 픽셀 수를 증대시킬 수 있고, 고화질을 보증하고 광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전 변환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들은 카메라, 이미지 센서, 유기박막 태양전지 등에 사용되는 수광소자(受光素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광소자에서 광전변환부의 역할을 하는 광전변환 필름을 비롯하여 이를 이용한 광전변환 소자 및 컬러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변화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 변환 소자는 CMOS 기판(50) 위에 적색용 광전변환 소자(30),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20), 및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10)가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의 광전변화 소자에서는 적층된 상기 광전변환 소자들(10,20,30) 각각에서 그에 대응되는 색상의 빛이 여과되어 전류로 변환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청색용 및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들의 각각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의 일 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색용 관전변환 소자(1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전극(11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1,112) 사이에 마련되는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120)은 테트라센(tetracence)이 제1 전극(111)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121), 테트라센과 나프탈렌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NTCDA)이 상기 p-type 층(121)에 상에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122), 및 NTCDA이 상기 p,n-type 층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123)을 포함한다.
상기 테트라센은 도너(donor)로서 증착에 의하여 p-type 층(121)을 형성하고, 상기 테트라센과 NTCDA은 공증착에 의하여 상기 p-type 상(121)에 p,n-type 층(1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NTCDA는 억셉터(acceptor)로서 증착에 의하여 상기 p,n-type 층(122) 상에 n-type 층(12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p,n-type 층(122)을 형성하는 테트라센과 NTCDA는 1:1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극(111)은 상기 p-type 층(121)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112)은 상기 n-type 층(123)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11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SnO2, ATO(antimony-doped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TiO2 및 FTO(fluorine-doped ti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 극(112)은 상기한 투명 전극 또는 Al, Cu, Ti, Au, Pt, Ag 및 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100)에서, p-type 층(121)은 글라스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예를 들면, ITO 전극,111) 위에 테트라센을 예를 들면, 대략 30 nm 두께로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상기 p,n-type 층(122)은 상기 p-type 층(121) 위에 테트라센과 NTCDA을 대략 100 nm 두께로 공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type 층(123)은 상기 p,n-type 층(122) 위에 NTCDA을 대략 250 nm 두께로 증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극(예를 들면, Ag 전극,112)은 상기 n-type 층(123) 상에 20 nm의 두께로 증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각 층의 두께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외에도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100)는 청색 파장 범위에서 높은 외부 양자 효율(external quantum efficiency)을 나타낸다. 즉 400∼500 nm의 파장에서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나타내는데, 500 nm에서 60 % 이상의 효율을 나타내고, 450 nm에서도 45 % 이상의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120)은 p,n-type 층은 생략되고, 테트라센이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과, NTCDA이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NTCDA 대신에 BCP(Bathocuproine) 또는 Alq3(8-hydroxy quinoline aluminum complex)가 사용될 수 도 있다. 또한, 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제1 전극(111)과 p-type 층(121) 사이에는 버퍼층 또는 홀이송층(hole transfor layer) 등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112)과 n-type 층(123) 상이에는 버퍼층 또는 전자 이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퍼층, 홀이송층 및 전자 이송층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청색용 관전변환 소자(1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전극(11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1',112') 사이에 마련되는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120')은 TPD(tetraphenyl diamine)가 제1 전극(111')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121'), TPD와 C60이 상기 p-type 층(121')에 상에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122'), 및 NTCDA이 상기 p,n-type 층(122')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123')을 포함한다.
상기 TPD는 도너(donor)로서 증착에 의하여 p-type 층(121')을 형성하고, 상기 TPD와 C60은 공증착에 의하여 상기 p-type 상(121')에 p,n-type 층(1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NTCDA는 억셉터(acceptor)로서 증착에 의하여 상기 p,n-type 층(122') 상에 n-type 층(12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p,n-type 층(122')을 형성하는 TPD와 C60은 1:1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극(111')은 상기 p-type 층(121')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112')은 상기 n-type 층(123')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11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SnO2, ATO(antimony-doped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TiO2 및 FTO(fluorine-doped ti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112')은 상기한 투명 전극 또는 Al, Cu, Ti, Au, Pt, Ag 및 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는 청색 파장 범위에서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소자 제작과정에서의 최적화(optimization)를 이룬다면 좋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120')은 p,n-type 층은 생략되고, TPD가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과, C60이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제1 전극(111')과 p-type 층(121') 사이에는 버퍼층 또는 홀이송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112')과 n-type 층(123') 상이에는 버퍼층 또는 전자 이송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색용 관전변환 소자(2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한 쌍 의 제1 및 제2 전극(211,21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211,212) 사이에 마련되는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220)은 TPD가 제1 전극(211)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221), TPD와 Me-PTC가 상기 p-type 층(221) 상에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222) 및 NTCDA이 상기 p,n-type 층(222) 상에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223)을 포함한다.
상기 TPD는 도너(donor)로서 증착에 의하여 p-type 층(221)을 형성하고, 상기 TPD와 Me-PTC는 공증착에 의하여 상기 p-type 상(221)에 p,n-type 층(2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NTCDA는 억셉터(acceptor)로서 증착에 의하여 상기 p,n-type 층(222) 상에 n-type 층(22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p,n-type 층(222)을 형성하는 TPD와 Me-PTC는 1:1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극(211)은 상기 p-type 층(221)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212)은 상기 n-type 층(223)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극(211)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SnO2, ATO(antimony-doped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TiO2 및 FTO(fluorine-doped ti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212)은 상기한 투명 전극 또는 Al, Cu, Ti, Au, Pt, Ag 및 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전극이 될 수 있 다.
상기와 같은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200)는 녹색 파장 범위에서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상기한 청색용 광전변환소자들(100',100')과 함께 사용될 때 녹색 파장 범위에서 사용가능한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200)는 전술한 청색 광전변환소자들(100',10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220)은 상기한 p,n-type 층은 생략되고, TPD가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과, Me-PTC가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제1 전극(211)과 p-type 층(221) 사이에는 버퍼층 또는 홀이송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212)과 n-type 층(223) 상이에는 버퍼층 또는 전자 이송층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하기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실험예 1 : 도 2a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 제작
ITO 전극(제1 전극)이 형성된 글라스 기판 위에 테트라센을 30 nm 두께로 증착하여 p-type 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테트라센과 NTCDA을 100 nm 두께로 공증착하여 p,n-type 층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NTCDA을 250 nm 두께로 증착하여 n-type 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Ag 전극(제2 전극)을 n-type층 위에 20 nm 두께로 형성하였다. 여기서, ITO 전극이 형성된 글라스 기판은 물과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과 메탄올 및 아세톤을 이용한 세정 후에 O2 플라스마 처리하였다. 그리고, Thermal Evaporator를 이용하여 O2 플라스마 처리된 글라스 기판 상에 형성된 ITO 전극 위에 1×10-5 torr 압력에서 2Å/s의 증착속도로 유기무질을 차례로 증착시켜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을 형성하고, 4 Å/s의 증착속도로 Ag 금속 전극을 증착시켰다.
실험예 2 : 도 2b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 제작
TPD를 증착하여 p-type 층을 형성하고, TPD와 C60을 공증착하여 p,n-type 층을 형성하고, NTCDA을 증착하여 n-type 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험예 3 : 도 2c에 도시된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 제작
TPD를 증착하여 p-type 층을 형성하고, TPD와 Me-PTC을 공증착하여 p,n-type 층을 형성하고, NTCDA을 증착하여 n-type 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를 제작하였다.
<전기적 특성 측정>
실험예 1-3에 의하여 제작된 광전변환 소자에 대하여 Electrometer(Keithleyodel 485)를 이용하여 1×10-5 torr 압력에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내었다. 모노크롬광으로 제논 램프와 모노크로미터를 사용하고, Function Generator(Hokudo Denko, Ltd., HB-104)를 사용하였다. 도 3a 내지 도 3c는 실험예 1-3에 의해 제작된 광전변환 소자의 외부 양자 수율(External QE)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실험예1에 의해 제작된 도 2a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의 외부 양자 수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3b는 실험예2에 의해 제작된 도 2b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의 외부 양자 수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3c는 실험예3에 의해 제작된 도 2b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의 외부 양자 수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의해 제작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는 500 nm에서 최대 외부양자효율 63%를 나타내고, 460nm 부근에서 약 47%의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장파장에서의 효율이 상당히 낮아지는 것도 크로스토크(crosstalk) 측면에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 2에 의해 제작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는 청색 파장 범위에서 약 9 %의 외부양자효율로 그 효율이 크게 높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소자 제작과정에서의 최적화(optimization)를 이룬다면 좋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실시예 3에 의해 제작된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는 청색 파장 범위에서 약 17%의 외부양자효율을 나타내어 그 효율이 높지는 않지만, 전술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들과 함께 사용될 때 녹색 파장 범위에서 사용가능한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녹색용 광전변환 소자는 전술한 청색용 광전변환 소자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청색 또는 녹색 파장에 대한 선택적인 광전변환이 가능하고, 또한 청색 파장 범위에서는 높은 외부 양자 효율을 가질 수 있는 유기 박막 적층구조의 광전변환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 필터, 광다이오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고화질의 CCD 또는 CMOS 이미지 센서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광전변환 소자는 디지털 카메라, 방송용 카메라, 감시 카메라, 컴퓨터 화상용 카메라, 캠코더, 자동차용 센서, 가정용 센서, 태양전지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전변환 필름들의 적층구조를 가지는 광전변화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의 외부 양자 수율(External QE)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도 2b에 도시된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의 외부 양자 수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도 2c에 도시된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의 외부 양자 수율(External QE)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청색용 광전변환 필름 20 :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
30 : 적색용 광전변환 필름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TPD이 증착되어 형성된 p-type 층;
    TPD와 Me-PTC이 공증착되어 형성된 p,n-type 층; 및
    NTCDA이 증착되어 형성된 n-type 층;을 포함하는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
  12. 한 쌍의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11항의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은 상기 p-type 층에 인접하는 제1 전극 과 상기 n-type 층에 인접하는 제2 전극으로 구성되는 광전변환 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 SnO2, ATO(antimony-doped tin oxide), AZO(Al-doped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 TiO2 및 FTO(fluorine-doped tin 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투명 전극 또는 Al, Cu, Ti, Au, Pt, Ag 및 C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진 금속전극인 광전변환소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 사이 또는 상기 제2 전극과 녹색용 광전변환 필름 사이에 버퍼층(buffer layer), 홀이송층(hole transfer layer) 또는 전자 이송층(electron transfer layer)이 형성되는 광전변환 소자.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전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컬러 이미지 센서.
KR1020080108509A 2008-11-03 2008-11-03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Expired - Fee Related KR10156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09A KR101565931B1 (ko) 2008-11-03 2008-11-03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US12/417,934 US8319207B2 (en) 2008-11-03 2009-04-03 Photoelectric conversion 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color image sensor hav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13/667,820 US8692240B2 (en) 2008-11-03 2012-11-02 Photoelectric conversion film,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color image sensor having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09A KR101565931B1 (ko) 2008-11-03 2008-11-03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378A KR20100049378A (ko) 2010-05-12
KR101565931B1 true KR101565931B1 (ko) 2015-11-06

Family

ID=4213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50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65931B1 (ko) 2008-11-03 2008-11-03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319207B2 (ko)
KR (1) KR101565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3088A (zh) * 2011-03-15 2014-02-05 迅力光能26有限责任公司 本质上半透明的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JP2020013879A (ja) * 2018-07-18 2020-01-23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半透明有機薄膜太陽電池
KR20210144699A (ko) * 2019-03-28 2021-11-30 소니그룹주식회사 고체 촬상 소자 및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 방법, 광전 변환 소자,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DE112020001564T5 (de) 2019-03-28 2021-12-16 Sony Group Corporation Festkörper-bildgebungselemen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estkörper-bildgebungselements und festkörper-bildgebungseinrichtung
CN111027603B (zh) * 2019-11-27 2022-07-05 湖北工业大学 一种改进gan模型的图像生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3266A (ja) 2004-03-19 2005-10-2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素子、その電場印加方法および印加した素子
JP2007081137A (ja) 2005-09-14 2007-03-29 Fujifilm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JP2007123707A (ja) 2005-10-31 2007-05-17 Fujifilm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撮像素子、並びに、これらに電場を印加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4049A (ja) * 2000-03-31 2001-10-12 Fuji Photo Film Co Ltd 色変換膜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2006520533A (ja) 2003-03-19 2006-09-07 テヒニッシェ・ウニヴェルジテート・ドレスデン 有機層を有する光活性部品
JP5087207B2 (ja) * 2004-09-29 2012-12-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および撮像素子
KR100670857B1 (ko) 2005-10-27 2007-01-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록 공중합체 나노템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도성고분자 나노 구조 광전 변환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123540A (ko) * 2008-05-28 2009-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광전 변환막, 이를 구비하는 광전 변환 소자 및이미지 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3266A (ja) 2004-03-19 2005-10-2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素子、その電場印加方法および印加した素子
JP2007081137A (ja) 2005-09-14 2007-03-29 Fujifilm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
JP2007123707A (ja) 2005-10-31 2007-05-17 Fujifilm Corp 光電変換素子及び撮像素子、並びに、これらに電場を印加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19207B2 (en) 2012-11-27
US20100109116A1 (en) 2010-05-06
US8692240B2 (en) 2014-04-08
KR20100049378A (ko) 2010-05-12
US20130082250A1 (en)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6452B2 (en) Color unit and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2035549B2 (en) Solid state image sensor,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JP7586230B2 (ja) 撮像素子、積層型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CN110246861B (zh) 固态图像拾取元件、其制造方法和电子设备
US20090294761A1 (en)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film,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image sensor each having the organic photoelectric conversion film
US20150311445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solid-state image pickup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085080A1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to improve photoelectric efficiency
US10381413B2 (en)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JP2004165242A (ja) カラー撮像素子及びカラー受光素子
EP3340305A1 (en)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168399A1 (ja) 光電変換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素子
KR101565931B1 (ko) 광전변환 필름, 이를 구비하는 광전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US20160329379A1 (en) Solid state imaging element,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197122A1 (en) Organic photoelectronic devices and image sensors including the same
KR20120103912A (ko) 유기 광전 변환부를 채용한 이미지 센서
JP2018195683A (ja) 固体撮像素子
JP2009218599A (ja) 有機光電変換膜およびそれを備える光電変換素子
KR101653744B1 (ko) 수광소자 및 이를 포함한 촬상소자
US9590121B2 (en) Optoelectronic device, and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038256A1 (ja) 撮像素子、積層型撮像素子及び固体撮像装置
KR101468592B1 (ko) 유기 광전 변환막, 광전 변환 소자 및 이미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50729

Appeal identifier: 2015101003263

Request date: 2015060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6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5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1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