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5802B1 -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802B1
KR101565802B1 KR1020150037945A KR20150037945A KR101565802B1 KR 101565802 B1 KR101565802 B1 KR 101565802B1 KR 1020150037945 A KR1020150037945 A KR 1020150037945A KR 20150037945 A KR20150037945 A KR 20150037945A KR 101565802 B1 KR101565802 B1 KR 10156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mini
tube
arch wire
tee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건
Original Assignee
장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건 filed Critical 장상건
Priority to KR102015003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2Bucc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6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cemented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아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궤적으로 형성되어 치아군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는 아치와이어, 교정 대상 치아의 치면에 위치하여, 교정 대상 치아의 치체(齒體) 이동시 삽입된 아치와이어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미니튜브, 및 이 미니튜브를 교정 대상 치아의 치면에 접착하는 접착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미니 튜브 형태를 취하지만 전체 치아에 미니 튜브를 붙이고, 타원형태의 아치 와이어를 전체치아에 걸쳐 모두 삽입할 수 있고, 아치와이어를 삽입하는 미니튜브를 접착블록을 사용하여 치아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교정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며, 미니튜브의 둘레면 일부를 축 방향을 따라 개방함으로써 치아에 고정 설치된 아치와이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TOOTH CORRECTION DEVICE AND TOOTH CORRECTION METHOD USING TOOTH CORRECTION DEVICE}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니 튜브 형태를 취하지만 전체 치아에 미니 튜브를 붙이고, 타원형태의 아치 와이어를 전체치아에 걸쳐 모두 삽입할 수 있고, 아치와이어를 삽입하는 미니튜브를 접착블록을 사용하여 치아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교정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며, 미니튜브의 둘레면 일부를 축 방향을 따라 개방함으로써 치아에 고정 설치된 아치와이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아치와이어를 치열 길이만큼 절단 후 구강 내측에 놓고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치아의 순측 또는 설측으로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맞춤형 아치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는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널리 이용되는 치아의 교정은 기존 형태의 브라켓(bracket)을 기저부에 레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치아면 접착하고, 교정용 아치 와이어(arch wire)를 브라켓의 수평홈 내로 삽입한 채 브라켓(bracket)과 아치 와이어의 고정을 위하여 가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결찰하거나 또는 탄성 밴드(elastic band)로 걸어서 아치 와이어를 묶은 다음 일정한 힘이 주어지면 치아가 움직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치아교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브라켓을 좀더 심미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 같은 색의 레진을 이용하거나 세라믹을 이용하여 외관상 깨끗하게 보이게 발전되고 있다. 아울러, 전체 치열의 순면 즉 보이는 면에 브라켓을 붙이지 않고 전체 치아의 설측 즉, 보이지 않는 면에 브라켓을 붙여 외관상 전혀 드러나 보이지 않게 설측브라켓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치부 교정과 비교적 간단한 치료를 요하는 경우에는 상하악 6전치에만 적용하는 폐쇄형 MTA(mini tube appliance) 형태가 고안 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아울러, 폐쇄형 미니 튜브(closed -type mini tube) 형태는 개방된 수평 홈이 없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 끼워 넣지 않고, 예를 들어, 치열의 정중부 한가운데에서 반으로 나누어 아치 와이어의 한쪽 끝을 먼저 치열의 한가운데서 오른쪽중절치의 튜브로 넣고, 그 다음 오른쪽 측절치의 튜브로 넣으며, 그 다음 오른쪽 견치 tube로 밀어 넣고, 계속해서 아치 와이어를 오른쪽으로 빼고 나면 반대측 아치 와이어의 끝이 정중부를 통과 시키고 난 다음, 막 통과해 나온 반대측 아치 와이어 끝부분을 다시 왼쪽 중절치쪽으로 통과시킨 후, 계속하여 왼쪽 견치까지 관통 시키면 최대 6전치까지만 아치 와이어를 통과시켜 사용되어져 왔다.
한편, 선행 개발된 미니 튜브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4205호(2013.02.12. 등록)에 개시된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 등이 존재한다.
기존 철사로 묶거나 탄성 밴드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식은 아치 와이어와 결찰부의 마찰력의 발생으로 장착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여 브라켓 윗면에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형태로 열고 닫는 아주 작은 문 형태를 만들어 아치 와이어를 적용 후에 슬라이딩 도어를 로킹(locking) 하는 형태로 발전하여 진료의 편의성과 시간 절약을 하고 있지만, 이러한 브라켓의 개당 단가가 상승하여 환자에게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
그리고, 기존 설측브라켓을 이용한 치열 교정 방식은 형태와 만드는 방법에 따라 환자에게는 많은 경제적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에 튜브를 이용한 치열 교정 방식은 처음 끼워 넣는 아치 와이어의 오른쪽 끝이 구강의 오른 쪽 끝을 찌르기 때문에 6전치 이상의 교정시에 적용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교정용 브라켓은 브라켓 중앙으로 가는 홈을 내고 여기에 치아 이동을 위한 아치 와이어를 적용시키고, 이 브라켓과 아치 와이어를 한데 묶어주기 위하여 브라켓 상하부에 2개의 걸고리형태(wing)의 모양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직으로 가운데 홈을 주어 4개의 걸고리형태를 만들어 수평으로 지나가는 홈에 넣은 메인 아치 와이어(main arch wire)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가는 와이어 또는 작은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걸고리에 고정 시켜주는 형태가 일반적인데, 브라켓을 모든 치아에 레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여놓고 여기에 메인 아치 와이어를 교환할 때 마다 걸고 풀기 위하여 일일이 각각의 치아마다 묶어둔 가는 결찰 와이어(ligature wire)를 풀거나 아니면 탄성 밴드를 제거하고 새로운 아치 와이어를 넣고 고정을 시키기 때문에 한 사람의 환자를 보는데 많은 진료 시간이 소모되며, 또한 브라켓의 모양도 외부의 걸고리 때문에 커서 치아면에 대해 툭 틔어 나온 형태로 그 주변으로 음식물 잔사가 끼게 되면 장기간의 교정치료 중 쉽게 충치에 이환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니 튜브 형태를 취하지만 구강 내 6전치의 한계를 넘어 전체 치아에 미니 튜브를 붙이고, 타원형태의 메인 아치 와이어를 전체치아에 걸쳐 모두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아치와이어를 삽입하는 미니튜브를 접착블록을 사용하여 치아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교정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미니튜브의 둘레면 일부를 축 방향을 따라 개방함으로써 치아에 고정 설치된 아치와이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미니튜브에 버티컬 포스트를 구비하여 미니튜브를 치아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치와이어를 치열 길이만큼 절단 후 구강 내측에 놓고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치아의 순측 또는 설측으로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맞춤형 아치와이어를 제작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아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궤적으로 형성되어 치아군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되는 아치와이어; 교정 대상 치아의 치면에 위치하여, 교정 대상 치아의 치체(齒體) 이동시 삽입된 상기 아치와이어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미니튜브; 및 상기 미니튜브를 교정 대상 치아의 치면에 접착하는 접착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미니튜브는 상기 치아의 순측 또는 설측에 정렬된 상태인 상기 아치와이어를 삽입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개구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블록은 치열에 따라 높낮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블록은 치열 상태에 따라 상기 미니튜브의 축 방향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니튜브는 치아의 기울어짐을 확인하여 중심축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버티컬 포스트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니튜브는 전측을 향하는 둘레면의 중심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센터마킹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버티컬 포스트는 상기 치아의 수평 이동을 위해 상기 상측치아군의 양측 구치부 또는 상기 하측치아군의 양측 구치부에 결속되는 보조와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미니튜브는 홀딩 파트(holding part)에 의해 치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미니튜브는 양측 가장자리에 확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니튜브는 양측 둘레면에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치아와 유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치열에 따라 상기 미니튜브의 둘레면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아치와이어는 더블 태그 지그에 의해 불규칙한 치열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방법은: 상측치아군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열 길이만큼 아치와이어를 절단하는 아치와이어 절단단계; 상기 상측치아군 또는 상기 하측치아군의 치열을 이루는 호 궤적에 대칭되도록 구강 내측에 호 궤적을 이룬 상기 아치와이어를 삽입하는 아치와이어 설치준비단계; 및 상기 아치와이어의 일측을 당겨 해당되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측치아군 또는 상기 하측치아군에 부착된 미니튜브에 상기 아치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시키는 아치와이어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아치와이어는 원주 방향으로 강제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측에 당김끈을 풀림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은 종래 기술과 달리 아치와이어를 삽입하는 미니튜브를 접착블록을 사용하여 치아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교정 장치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미니튜브의 둘레면 일부를 축 방향을 따라 개방함으로써 치아에 고정 설치된 아치와이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미니튜브에 버티컬 포스트를 구비하여 미니튜브를 치아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치와이어를 치열 길이만큼 절단 후 구강 내측에 놓고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치아의 순측 또는 설측으로 위치하도록 함에 따라 맞춤형 아치와이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하측치아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미니튜브를 치아에 부착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하측치아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에 버티컬 포스트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에 버티컬 포스트와 홀딩 파트를 연결하여 치아에 대한 미니튜브의 3차원적인 가이드를 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포스트와 홀딩 파트를 연결한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구비한 미니튜브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구비한 미니튜브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구비한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미니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더블 태그 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장착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 설치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하측치아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미니튜브를 치아에 부착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아치와이어(100), 미니튜브(300) 및 접착블록(4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00)는 상측치아군(10)의 치아(30) 또는 하측치아군(20)의 치아(30)의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궤적으로 형성되어 치아(30)의 순측(脣側) 또는 설측(舌側)에 구비된다.
편의상, 아치와이어(100)는 치아(30)의 순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아치와이어(100)는 임의의 치아(30)가 발치된 상태 또는 발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아치와이어(100)는 단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치아군(10)은 상악(上顎)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치아(30)의 군(群)을 말한다. 아울러, 하측치아군(20)은 하악(下顎)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치아(30)의 군(群)을 말한다.
그리고, 아치와이어(100)는 교정이 필요한 동일 치열의 치아(30) 전체에 걸쳐지게 구비된다. 아치와이어(100)는 치아(30)의 교정 정도 즉, 치체(齒體)의 움직임 방향과 움직임량에 따라 직경이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아치와이어(100)는 치열 교정에 해당되는 치아(30)에 측압 또는 뒤틀림력을 부여하여 해당 치아(30)의 치열을 교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치와이어(10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형상기업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니튜브(300)는 아치와이어(100)를 내측에 구비한 채 교정 대상 치아(30)의 치면에 위치하여, 교정 대상 치아(30)의 치체(齒體) 이동시 아치와이어(100)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미니튜브(300)는 입술이나 타인에게 거부감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아치와이어(100)가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소의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니튜브(300)는 홀 형상이 아치와이어(100)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구치부에 위치한 미니튜브(300)는 상측치아군(10)의 양측 가장자리 또는 하측치아군(20)의 양측 가장자리 치아(30)에 구비되어 아치와이어(100)의 양측 가장자리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구치부용 미니튜브(3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치아(30)에 결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아치와이어(100)의 일측을 결속할 수 있다.
아울러, 아치와이어(100)는 미니튜브(300)에 삽입된 채 이동됨에 따라 미니튜브(300)와의 접촉에 따른 저항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아치와이어(100)는 축 방향으로 길이를 최소화하여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미니튜브(300)는 금속이나 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미니튜브(300)는 접착블록(400)에 의해 교정 대상 치아(30)의 치면에 부착된다.
즉, 접착블록(400)은 미니튜브(300)를 감싼 채 교정 대상인 치아(30)의 치면에 부착되어 교정 대상 치아(30)의 치체(齒體) 이동시 움직임이 발생되는 아치와이어(100)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속한다.
이때, 접착블록(400)은 겔(gel) 상태로 이루어져 미니튜브(300)를 감싼 채 교정 대상 치아(30)의 치면에 부착되고 나서 경화된다.
특히, 접착블록(400)은 치아(30)의 치면을 연마하지 않은 상태로 부착됨에 따라 치아(3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치아(30)는 치면이 연마되지 않음에 따라 접착블록(400)을 부착하는 부위에 충치가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심미감을 위해, 접착블록(400)는 치아(30)의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블록(400)은 레진 등 잇몸에 접촉시 불쾌감을 없애고,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미니튜브(300)가 치면에 접한 상태로 접착블록(400)에 의해 치아(30)에 고정될 수 있고, 접착블록(400)이 완전히 둘레 싸인 상태로 접착블록(400)에 의해 치아(3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미니튜브(300)는 접착블록(400)의 접착량(두께)에 의해 치면과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미니튜브(300)는 아치와이어(100)가 일정한 곡률의 호 궤적을 형성하도록 치면과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접착블록(400)이 부착된다.
한편, 복수 개의 미니튜브(300) 중 임의의 미니튜브(300)가 치아(30)로부터 탈거되거나, 접착블록(400)의 이탈이 발생될 경우, 해당 미니튜브(300)는 치아(30)에 재부착되어야 한다.
이때, 아치와이어(100)의 양측이 구치부용 미니튜브(300)에 결속된 상태로, 해당 미니튜브(300)가 아치와이어(100)에 설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니튜브(300)는 구치부용 미니튜브(300)에 결속된 상태의 아치와이어(1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개구홀부(310)를 형성한다. 즉, 아치와이어(100)가 치아(30)의 설측 또는 순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아치와이어(100)는 개구홀부(310)를 통해 미니튜브(300)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아치와이어(10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미니튜브(300)의 재설치가 용이하다. 물론, 개구홀부(310)의 형상이나 크기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모든 미니튜브(300)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치아면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접착블록(400)은 개구홀부(310)를 막음으로써 미니튜브(300)가 아치와이어(10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하측치아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에 버티컬 포스트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아치와이어(100), 미니튜브(300) 및 접착블록(4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00) 및 접착블록(40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미니튜브(300)는 버티컬 포스트(vertical post,500)를 연장 형성한다.
버티컬 포스트(500)는 미니튜브(30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미니튜브(300)의 둘레면에서 연장된다. 아울러, 버티컬 포스트(500)가 치근(齒根)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미니튜브(300)가 치아(30)에 부착된다.
특히, 버티컬 포스트(500)는 치아(30)의 기울어짐을 확인하여 중심축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미니튜브(300)에서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미니튜브(300)는 치아(3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측을 향하는 둘레면의 중심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센터마킹부(510)를 형성한다. 센터마킹부(510)는 레이저 마킹 등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미니튜브(300)는 센터마킹부(510)에 의해 잇몸 외측으로 돌출된 치아(30)의 중심에 위치 설정되고, 버티컬 포스트(500)에 의해 치아(30)의 높이 방향에 대한 중심을 설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센터마킹부(510)와 버티컬 포스트(500)에 의해, 미니튜브(300)는 치아(30)의 가로 방향 중심과 세로 방향 중심의 위치에서 치아(3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아(30)는 편심되지 않은 채 나란하게 치체(齒體)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티컬 포스트(500)는 치아(30)의 수평 이동을 위해 상측치아군(10)의 양측 구치부 또는 하측치아군(20)의 양측 구치부에 결속되는 보조와이어(5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보조와이어(520)는 일측이 보조앵커(530)에 결속되고, 타측이 버티컬 포스트(500)의 단부에 결속된다. 이때, 보조앵커(530)는 구치부에 앵커링된다.
따라서, 교정 대상 치아(30)는 치체의 이동을 위한 구속력을 크게 받게 됨으로써, 교정 시기가 줄어들게 되고, 벡터(vector)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보조앵커(530)와 보조와이어(5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에 버티컬 포스트와 홀딩 파트를 연결하여 치아에 대한 미니튜브의 3차원적인 가이드를 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버티컬 포스트와 홀딩 파트를 연결한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미니튜브(300) 및 접착블록(400)을 포함한다.
미니튜브(300)는 홀딩 파트(holding part,700)에 의해 치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미니튜브(300)는 심미감을 위해 작게 형성됨에 따라, 쉽게 잡을 수 없다. 그래서, 미니튜브(300)는 홀딩 파트(700)를 연결하고, 술자는 미니튜브(300)에 연결된 홀딩 파트(700)를 잡고 나서, 미니튜브(300)를 치면에 부착한다.
이때, 홀딩 파트(7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미니튜브(300)는 버티컬 포스트(500)도 연결함에 따라, 술자는 홀딩 파트(700)를 잡고 버티컬 포스트(500)를 통해 미니튜브(300)를 치면에 부착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 중 미니튜브(300)는 호 궤적으로 장착된 상태의 아치와이어(100)를 개구홀부(310)로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또는 최초에 아치와이어(100)를 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확경부(330)를 형성할 수 있다.
확경부(330)는 아치와이어(100)를 삽입하기 위해 미니튜브(300)의 내측에 형성된 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미니튜브(300)의 양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때, 확경부(330)의 직경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편의상, 확경부(330)와 미니튜브(300)의 내부 홀은 원형 인 것으로 도시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 중 미니튜브(300)에 형성되는 확경부(330)는 미니튜브(300)의 내부 홀과 함께 사각 형상인 것으로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를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구비한 미니튜브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구비한 미니튜브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를 구비한 미니튜브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따른 미니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아치와이어(100), 미니튜브(300) 및 접착블록(4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00) 및 접착블록(40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미니튜브(300)는 치열 상태에 따라 축 방향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에 접착블록(400)을 부착한다. 그래서, 아치와이어(100)는 최대한 일정한 호 궤적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미니튜브(300)는 양측 둘레면에 플랜지(320)를 형성한다. 플랜지(320)의 직경은 미니튜브(3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플랜지(320)가 치면에 접함에 따라, 미니튜브(300)는 치아(30)와 유격된다. 그래서, 접착블록(400)는 미니튜브(300)를 완전히 에워싼 채 치면에 접착된다. 아울러, 플랜지(320)는 접착블록(400)가 미니튜브(300)의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플랜지(320)는 불규칙한 치열의 높이에 따라 미니튜브(300)의 둘레면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이는, 아치와이어(100)가 호 궤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플랜지(320)는 해당 치아(30)의 치열에 대한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미니튜브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는 아치와이어(100), 미니튜브(300) 및 접착블록(400)을 포함한다.
아치와이어(100) 및 미니튜브(30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접착블록(400)은 미니튜브(300) 전체에 걸쳐 도포되며, 치면에 부착된다. 그래서, 미니튜브(300)는 교정용 치아의 치면에 고정 부착된다.
특히, 접착블록(400)이 미니튜브(300)의 전체를 감싼 채 치면에 부착됨으로써, 미니튜브(300)는 치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치열의 상태에 따라, 접착블록(400)은 치면에 부착되면서 치열에 따라 자연적으로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더블 태그 지그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100)는 더블 태그 지그(600)에 의해 치열에 따라 배치된 채 미니튜브(300)의 설치를 위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즉, 아치와이어(100)는 더블 태그 지그(600)에 의해 불규칙한 치열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더블 태그 지그(600)는 홀더(610) 및 그립부(620)를 포함한다.
홀더(610)는 아치와이어(100)를 삽입하고, 그립부(620)는 홀더(610)에서 연장된다.
그래서, 그립부(620)가 홀더(610)에 삽입된 아치와이어(100)를 치아(30) 방향으로 눌려지게 되면, 아치와이어(100)의 해당 부위는 치열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홀더(610)의 아치와이어(100)를 삽입하는 깊이는 아치와이어(100)와 치면의 유격 거리에 따라 정해진다. 아울러, 홀더(610)는 하나의 그립부(62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더블 태그 지그(600)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장착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장치의 아치와이어 설치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처럼,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방법은 아치와이어 절단단계(S10), 아치와이어 설치준비단계(S20) 및 아치와이어 설치단계(S30)를 포함한다.
아치와이어 절단단계(S10)는 하측치아군(20)의 치열 길이만큼 아치와이어(100)를 절단하는 공정이다. 이로 인해, 아치와이어(100)는 불필요한 부분을 재차 절단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아치와이어 설치단계(S30)에서 구강 내 최안쪽의 상처를 내지 않고 안전하게 호 궤적을 그리면서 장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아치와이어 설치준비단계(S20)는 상측치아군(도시하지 않음) 또는 하측치아군(20)의 치열을 이루는 호 궤적에 대칭되도록 구강 내측에 호 궤적을 이룬 아치와이어(100)를 삽입하는 공정이다.
아울러, 아치와이어 설치단계(S30)는 아치와이어(100)의 일측을 당겨 해당되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치면에 부착된 미니튜브(300)에 삽입시킴으로써 하측치아군(20) 전체에 걸쳐 설치하는 공정이다.
이때, 아치와이어(100)는 일측에 당김끈(11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아치와이어(100)는 당김끈(110)의 당김력에 의해 치아(30)의 설측 또는 순측에 접한 채 이동하게 되며 하측치아군(20) 전체에 걸쳐지게 배치된다. 특히, 당김끈(110)은 아치와이어(100)에 풀릴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상측치아군 20: 하측치아군
30: 치아 100: 아치와이어
300: 미니튜브 310: 개구홀부
320: 플랜지 330: 확경부
400: 접착블록 500: 버티컬 포스트
510: 센터마킹부 520: 보조와이어
530: 보조앵커 600: 더블 태그 지그
610: 홀더 620: 그립부
700: 홀딩 파트(holding part)

Claims (14)

  1. 상측치아군의 치아 또는 하측치아군 중 교정 대상 치아의 치면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미니튜브;
    상기 미니튜브를 교정 대상 치아의 치면에 접착하여 고정하고, 치면에 부착됨에 따라 부착 부위에 충치 발생을 방지하는 접착블록; 및
    교정 치형에 대응하는 궤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니튜브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미니튜브와 해당 치아에 측압 또는 뒤틀림력을 부여하여 교정하고, 교정 대상 치아의 치체(齒體) 이동에 연동되어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아치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와이어의 양측이 구치부용 미니튜브에 결속된 상태로, 상기 미니튜브는 아치와이어를 교체 삽입할 수 있도록 축 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개구홀부를 형성하며,
    상기 접착블록은 상기 개구홀부를 막아 상기 아치와이어가 상기 미니튜브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블록은 치열에 따라 높낮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블록은 치열 상태에 따라 상기 미니튜브의 축 방향에 대해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튜브는 치아의 기울어짐을 확인하여 중심축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버티컬 포스트를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튜브는 전측을 향하는 둘레면의 중심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센터마킹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포스트는 상기 치아의 수평 이동을 위해 상기 상측치아군의 양측 구치부 또는 상기 하측치아군의 양측 구치부에 결속되는 보조와이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튜브는 홀딩 파트(holding part)에 의해 치면에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튜브는 양측 가장자리에 확경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튜브는 양측 둘레면에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치아와 유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치열에 따라 상기 미니튜브의 둘레면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와이어는 더블 태그 지그에 의해 불규칙한 치열과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장치.
  13. 상측치아군 또는 하측치아군의 치열 길이만큼 아치와이어를 절단하는 아치와이어 절단단계;
    상기 상측치아군 또는 상기 하측치아군의 치열을 이루는 호 궤적에 대칭되도록 구강 내측에 호 궤적을 이룬 상기 아치와이어를 삽입하는 아치와이어 설치준비단계; 및
    상기 아치와이어의 일측을 당겨 해당되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측치아군 또는 상기 하측치아군에 부착된 미니튜브에 상기 아치와이어를 순서대로 삽입시키는 아치와이어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와이어는 원주 방향으로 강제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일측에 당김끈을 풀림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방법.

  14. 삭제
KR1020150037945A 2015-03-19 2015-03-19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Active KR10156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945A KR101565802B1 (ko) 2015-03-19 2015-03-19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7945A KR101565802B1 (ko) 2015-03-19 2015-03-19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02B1 true KR101565802B1 (ko) 2015-11-05

Family

ID=54600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7945A Active KR101565802B1 (ko) 2015-03-19 2015-03-19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80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4742A (zh) * 2018-04-04 2018-11-16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牙颌托盘的设计方法、装置、用户终端及存储介质
CN109730788A (zh) * 2019-03-13 2019-05-10 四川大学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KR20190110824A (ko) 2018-03-21 2019-10-01 조도현 치아 교정용 장치
KR20200129414A (ko) 2019-05-08 2020-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 시스템 및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KR20210066624A (ko) * 2019-11-28 2021-06-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레진 커버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및 몰드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KR102335971B1 (ko) * 2020-05-28 2021-12-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와이어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시스템
KR102380032B1 (ko) * 2021-05-27 2022-04-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KR102380031B1 (ko) * 2021-05-27 2022-04-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WO2022250484A1 (ko) * 2021-05-27 2022-12-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KR102504155B1 (ko) 2022-04-11 2023-02-24 김정석 치과 교정용 악간 고무줄 사용을 위한 버튼 몰드 부착방법
JP7600325B1 (ja) 2023-08-18 2024-12-16 一弘 木内 歯列矯正用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977Y1 (ko) * 2005-09-26 2006-03-2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 장치
US20110053108A1 (en) * 2009-08-26 2011-03-03 Ariza Joaquin T System of tube and resin for orthodontics
KR200465146Y1 (ko) * 2011-03-15 2013-02-06 김석필 치열 교정용 브래킷
KR101234205B1 (ko) * 2010-11-18 2013-02-18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977Y1 (ko) * 2005-09-26 2006-03-2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 장치
US20110053108A1 (en) * 2009-08-26 2011-03-03 Ariza Joaquin T System of tube and resin for orthodontics
KR101234205B1 (ko) * 2010-11-18 2013-02-18 휴비트 주식회사 치열 교정치료용 튜브
KR200465146Y1 (ko) * 2011-03-15 2013-02-06 김석필 치열 교정용 브래킷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824A (ko) 2018-03-21 2019-10-01 조도현 치아 교정용 장치
KR102050775B1 (ko) * 2018-03-21 2019-12-02 조도현 치아 교정용 장치
CN108814742A (zh) * 2018-04-04 2018-11-16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牙颌托盘的设计方法、装置、用户终端及存储介质
CN109730788A (zh) * 2019-03-13 2019-05-10 四川大学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CN109730788B (zh) * 2019-03-13 2023-12-29 四川大学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KR20200129414A (ko) 2019-05-08 2020-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표면상의 접착잔여물 측정 시스템 및 접착잔여물 측정방법
KR102301150B1 (ko) 2019-11-28 2021-09-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레진 커버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및 몰드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KR20210066624A (ko) * 2019-11-28 2021-06-0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레진 커버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및 몰드를 이용하는 치아 교정 키트
KR102335971B1 (ko) * 2020-05-28 2021-12-0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와이어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교정 시스템
KR102380032B1 (ko) * 2021-05-27 2022-04-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KR102380031B1 (ko) * 2021-05-27 2022-04-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WO2022250484A1 (ko) * 2021-05-27 2022-12-01 김영준 치아 교정기
KR102504155B1 (ko) 2022-04-11 2023-02-24 김정석 치과 교정용 악간 고무줄 사용을 위한 버튼 몰드 부착방법
JP7600325B1 (ja) 2023-08-18 2024-12-16 一弘 木内 歯列矯正用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02B1 (ko) 치아 교정 장치 및 치아 교정 방법
US20070134612A1 (en) Dento-facial orthopedic treatment and orthodontic arch wire for implementing the same
US11553991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9636192B2 (en) Telescopic orthodontic appliance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US20160074139A1 (en) Indirect Bonding Tra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3426183B2 (en)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US20050244781A1 (en)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for concurrent correction of multiple conditions
EP3164096B1 (en) Molar appliance for an orthodontic brace
US20140295369A1 (en) Orthodontic Accessory
KR101994519B1 (ko) 덮개부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US11076936B2 (en)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with high labial pull strength
KR200395570Y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끝단 덮개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US20230165663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2020043879A (ja) 歯科矯正用のブラケットおよびブラケット位置決め用治具
JP2017524454A (ja) 歯科矯正用リガチャー
WO2010103510A1 (en) Adjustable orthodontic device
KR101210757B1 (ko) 지그/고정원 복합체
WO2017208189A1 (en) Orthodontic device
KR102080210B1 (ko)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KR20230140213A (ko) 치열교정용 지그
KR101211288B1 (ko) 지그/고정원 복합체
KR20200046360A (ko) 치과 교정기구
ITUA20164090A1 (it) Dispositivo ortodont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