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3981B1 -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981B1
KR101563981B1 KR1020140079995A KR20140079995A KR101563981B1 KR 101563981 B1 KR101563981 B1 KR 101563981B1 KR 1020140079995 A KR1020140079995 A KR 1020140079995A KR 20140079995 A KR20140079995 A KR 20140079995A KR 101563981 B1 KR101563981 B1 KR 10156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ing member
foreign matter
elastic
key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국건
Original Assignee
임국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국건 filed Critical 임국건
Priority to KR102014007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9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8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와, 이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열쇠의 삽입시 표면에 묻어있던 이물질이 열쇠와 함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는,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서, 상기 출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개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와 대상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 및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가 탄성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와 대상물의 접촉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폐부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서로 접하는 나선형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접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상기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접촉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제2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차폐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열쇠홀을 통해 열쇠가 인입되며,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잠금부 및 상기 열쇠홀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개방하며, 탄성부재에 의해 닫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는,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와,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개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가 탄성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폐부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서로 접하는 나선형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접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상기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잠금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제2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차폐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PREVENTING COVER FOR INFLUX OF FOREIGN MATERIAL AND LOCK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와, 이를 포함함으로써 열쇠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토목공사, 공장 등과 같은 공사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작업용 차량을 사용한다.
이러한 작업용 차량의 대표적인 예로는, 공사현장에서 토사의 채취 또는 바닥의 굴착 등과 같은 작업에 사용하는 굴착기, 로더 등이 있고, 산업현장에서 무거운 물품의 이동 또는 적재 등과 같은 작업에 사용하는 지게차, 크레인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작업용 차량인 굴착기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기는 방향의 선회가 가능한 회전체(10)와, 회전체(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체(10)를 이동시키는 이동체(40)와, 회전체(10)에 결합되어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체(50)로 크게 구분된다.
굴착기의 회전체(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운전자의 운전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전실(30)과,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회전체(10)의 이동시 필요한 동력을 생산 및 제공하는 엔진 등이 장착되는 공간인 동력실(20)이 구비된다.
이동체(40)는 휠 형태의 바퀴 또는 무한궤도 형태의 바퀴로 이루어져, 지면과 접하는 구름 운동을 함으로써 회전체(10)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작업체(50)는 회전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붐(51)과, 붐(51)에 연결되어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암(52)과, 암(52)의 끝 부분에 연결되어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킷(5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회전체(10)와 이동체(40) 및 작업체(50)로 구성되는 굴착기는 회전체(10)에 마련된 운전실(30)의 내부 공간에 운전자가 위치하여 다수의 조작 기기들을 조작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회전체(10)에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료가 수용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는데, 연료탱크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수용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게 되고, 엔진에서는 공급된 연료를 동력원으로 하여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작업용 차량에는 차량 및 운전자의 안전과 보안을 위해 다수의 잠금장치(70)가 구비되는데, 대표적으로는 운전실 도어, 연료주입구의 연료캡, 기계실 또는 정비실 도어 등에 구비된다.
이러한 잠금장치(70)는 운전자 또는 사용자만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별도의 열쇠(키)를 이용해야만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작업용 차량뿐만 아니라 안전 및 보안을 요구하는 장소에 흔하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잠금장치(70)에는 열쇠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차폐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폐판은 열쇠가 열쇠홀로 삽입될 때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열쇠가 인출되면 다시 원위치로 돌아옴으로써 열쇠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공사현장 및 산업현장과 같은 장소는 매우 악조건을 갖추고 있는 장소로서 먼지, 파편, 가루, 기름 등과 같은 이물질이 광범위하게 퍼져있고, 그 양 또한 매우 방대하여 실질적으로는 현장 및 장비 곳곳에 산재하게 된다.
이렇게 먼지, 파편, 가루 및 기름과 같은 이물질들이 잠금장치(70)에 부착 되면, 일시적으로는 잠금장치(7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폐판에 의해 차단되겠지만, 열쇠의 삽입시 잠금장치(70) 외부(특히 차폐판과 같은 개폐부분)에 묻어있던 이물질들이 열쇠와 함께 잠금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국 잠금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종래의 "열쇠구멍 막이용 셔터의 구조(등록실용신안 20-0374606)" 및 "차량용 키 실린더의 이물질 주입 방지 장치(공개실용신안 20-1998-063052)"에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열쇠구멍 막이용 셔터의 구조(등록실용신안 20-0374606)"에서는 자물쇠에 형성된 열쇠구멍 입구의 원통홈에 꼭 맞게 끼워져 설치되는 하우징을 마련하고, 이 하우징의 내면으로 한 쌍의 셔터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주하여 설치하는 한편, 이들 셔터는 O링으로 탄지 시켜서 한 쌍의 셔텨는 항상 열쇠구멍을 막고 있는 상태로 서로 접촉유지 되다가, 열쇠가 끼워질 때 O-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한 쌍의 셔터를 좌우로 밀어내어 열쇠구멍으로 열쇠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도난 방지와 자물쇠 내부의 기밀 보호는 물론, 이물질 유입을 방지시키도록 한 열쇠구멍 막이용 셔터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키 실린더의 이물질 주입 방지 장치(공개실용신안 20-1998-063052)"에서는 삽입홀의 내형과 일치하는 전용키 이외에는 다른 이물질이 삽입될 수 없도록 하는 이물질 주입 방지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키 실린더에 있어서, 키 실린더의 삽입홀 내부에서 왕복 작동되는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에 이물질의 삽입력이 작용 되더라도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키 실린더의 이물질 주입 방지 장치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열쇠구멍 막이용 셔터의 구조" 및 "차량용 키 실린더의 이물질 주입 방지 장치"는, 본 출원인이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겠지만, 열쇠의 삽입시 개폐되는 부분에 묻어있던 먼지, 파편, 가루 및 기름과 같은 이물질들이 열쇠와 함께 잠금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74606 (2005. 01. 21) 한국공개실용신안 20-1998-063052 (1998. 11. 16)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와, 이를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열쇠의 삽입시 표면에 묻어있던 이물질이 열쇠와 함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는,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서, 상기 출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개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차폐부와 대상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 및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가 탄성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와 대상물의 접촉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폐부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서로 접하는 나선형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접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상기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접촉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제2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차폐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의 테두리 부분은 중심부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 주변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열쇠홀을 통해 열쇠가 인입되며,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잠금부 및 상기 열쇠홀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개방하며, 탄성부재에 의해 닫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는,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와,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개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가 탄성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폐부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서로 접하는 나선형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접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상기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잠금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제2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차폐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재의 테두리 부분은 중심부보다 돌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 부분은 상기 열쇠홀 주변과 접촉되고 상기 중심부는 상기 열쇠홀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와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의 접촉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는,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스토퍼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열쇠가 삽입되는 열쇠홀 주변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열쇠와 함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열쇠를 인출한 후 별도의 동작없이 자동으로 열쇠홀 및 열쇠홀 주변을 차폐할 수 있으므로 작동방식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잠금장치 뿐만 아니라 이물질 유입을 차단해야하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장착 장소에 제한이 없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착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를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의 닫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는,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서, 차폐부(200), 밀착부재(230) 및 힌지부(300)를 포함한다.
차폐부(200)는,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출입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출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개방하고,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여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차폐한다.
즉, 차폐부(20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출입구의 개방된 면을 덮으며 대상물과 접촉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출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대상물과 비접촉 상태가 되어 출입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때, 차폐부(200)는 출입구 주변에 부착된 이물질이 출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출입구뿐만 아니라 그 주변까지도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폐부(200)는 대상물 및 출입구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잡한 형상의 다각형이 될 수도 있다.
밀착부재(230)는, 차폐부와 대상물 사이에 구비되어 출입구의 차폐시 출입구가 형성된 면과 밀착되어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부재로서, 출입구가 형성된 면 전체와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출입구 주변만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밀착부재(230)의 형상 및 면적에 따라 차폐부(200)가 대상물과 접촉될 수도 있고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기밀하는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밀착부재(230)의 테두리 부분이 중심부보다 돌출되게 형성한 후 돌출된 테두리 부분이 출입구 주변과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돌출된 테두리 부분이 출입구 주변을 둘러싸고 밀착됨으로써 기밀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착부재(230)가 탄성재질이기 때문에 후술하는 탄성부재(310)의 탄성력에 의한 밀착부재(230)와 대상물의 접촉시 밀착부재(230)가 소량 압축됨으로써 밀착부재(230)와 대상물 사이의 접촉면적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밀착부재(230)의 중심부는 출입구와 접촉되어 밀폐하는 것이 기밀효과를 향상시키는 측면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밀착부재는 기밀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차폐부(200)와 대상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폐부(200) 및 대상물이 파손 또는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구현하게 된다.
힌지부(300)는, 차폐부가 원위치로 회동하여 닫히도록 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차폐부(200)의 회동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는 탄성부재(3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10)의 대표적인 예를 스프링으로 적용하였지만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고무와 같은 폴리머도 가능하며, 그 형상 또한 코일형태뿐만 아니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310)는, 차폐부(200)가 탄성력에 의해 닫힌 상태 즉, 밀착부재(230)와 대상물이 접촉된 상태일 때 소정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부재(310)가 소정의 압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며, 이에 따라 밀착부재(230)와 대상물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기밀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후술하는 제1고정부재(320)와 회전부재(330)의 접촉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차폐부(200)가 닫힌 상태일 때 회전부재(330)가 제2고정부재(350) 측으로 소정거리를 이동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회전부재(330)의 위치보다 탄성부재(310)의 압축이 완전 해제되는 차폐부(200)의 위치를 더 낮게 설정한 후 밀착부재(230)와 대상물이 접하는 높이를 회전부재(330)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게 함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소정의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힌지부(300)는, 삽입공간(360), 제1고정부재(320), 회전부재(330), 제2고정부재(35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상술한 차폐부(200)와 별개로 구비되어 체결되거나 차폐부(2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공간(360)은,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차폐부(200)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힌지부(300)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공간(360)의 내주면에는 제1요철부(370)가 형성된다.
삽입공간(360)의 제1요철부(370)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의 요철이 단수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회전부재(330)의 제2요철부(340)와 결합되므로 삽입공간(360)의 제1요철부(370)가 오목하다면 회전부재(330)의 제2요철부(340)는 볼록하고, 삽입공간(360)의 제1요철부(370)가 볼록하다면 회전부재(330)의 제2요철부(340)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330)의 회전시 제2요철부(340)가 제1요철부(37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요철부(370)는 제2요철부(340)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삽입공간(360)은 힌지부(300)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 전체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외부로 돌출된 일부분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고정부재(320)는, 힌지부(300)에 형성된 삽입공간(360) 내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단부 중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며, 삽입공간(360) 내에 위치하는 타단부의 일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형성된다.
회전부재(330)는, 삽입공간(360) 내에 위치하며 제1고정부재(320)의 나선형으로 절제된 타단부와 결합하여 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단부 중 일부는 제1고정부재(320)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술한 제1요철부(37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제2요철부(340)가 형성된다.
이렇게 제2요철부(340)와 제1요철부(370)가 결합함으로써 차폐부(200)의 회동시 회전부재(33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고정부재(320)의 타단부와 회전부재(330)의 일단부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고정부재(320)의 타단부와 회전부재(330)의 일단부는 그 끝단이 서로 접촉하며 구비되되, 절제된 면의 경사방향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절제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게 되며, 각각 길이가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이 형성된다. 즉, 나선형 형상에 의해 경사지는 절제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부재(330)가 회전하기 전에는 제1고정부재(320)의 절제면 중 길이가 긴 부분이 회전부재(330)의 길이가 짧은 부분과 접하게 되며, 회전부재(330)의 회전 시 회전부재(330)가 제1고정부재(320)와의 접촉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1고정부재(320)의 절제면 중 길이가 긴 부분이 회전부재(330)의 길이가 긴 부분 또는 그와 근접한 부분(나선형으로 절제된 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과 접하게 된다.
이때 제1고정부재(320)의 길이가 짧은 부분과 회전부재(330)의 길이가 짧은 부분은 서로 접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형상으로 봤을 때 회전부재(330)의 위치는 제1고정부재(32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것이 된다.
이렇게 제1고정부재(320) 및 회전부재(330)에 형성된 나선형 절제면은 폭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부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상을 고려하여 일부에만 나선형 절제면이 형성된 도면을 도시하였다.)
즉, 서로 접촉하고 있는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끝단부가 전체적으로 접하는 것이 아닌 극히 일부만 접촉함으로써 회전부재(330)와 제1고정부재(320) 사이에 위치차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와 동일한 효과만 구현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50)는, 회전부재(330)의 타단부와 이격되어 삽입공간(360) 내에 구비되며, 그 일단부는 삽입공간(360)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술한 탄성부재(310)는 회전부재(330)와 제2고정부재(35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차폐부(200)의 회동시 회전부재(330)가 제2고정부재(350) 측으로 위치이동을 하게 되고, 그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310)는 회전부재(330)에 의해 압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10)는 스프링뿐만 아니라, 회전부재(330)와 제2고정부재(350) 사이의 이격공간 만큼의 길이를 갖는 탄성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지지부(400)는, 차폐부(200)의 회동 시 제1고정부재(320)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부재(330)만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부(300) 외부에 위치하여 삽입공간(360) 외부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차폐부(200)의 회동 시 제1고정부재(320)가 회전하게 되면 탄성부재(310)가 압축될 수 없기 때문에 지지부(40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지만, 제2고정부재(350)는 회전 또는 비회전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320)의 돌출된 일단부를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부(400)에도 사각형의 홀을 형성한 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1고정부재(320)의 회전을 방지하였지만, 별도의 핀이나 접합을 통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차폐부(200)의 좌우측 방향으로 위치시켰지만, 차폐부(200)의 측면 방향으로도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이때는 회동반경 만큼의 홀을 차폐부(200)의 측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외력 및 탄성력에 의해 차폐부(200)의 회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부분 중 삽입공간(36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원형의 외주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일단부를 삽입공간(36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였지만, 삽입공간(36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때는 지지부(400)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여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를 포함하는 잠금장치(500)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유입 방지기능을 갖는 잠금장치는, 잠금부 및(600)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600)는 열쇠홀(620)이 형성된 실린더 케이스(610)를 통해 인입된 열쇠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해제 되는 것으로, 열쇠가 삽입되는 실린더(700)와, 잠금이 필요한 부분에 고정 장착되며 실린더(700)가 삽입되는 실린더 하우징(640)을 포함하며, 실린더 케이스(610)는 열쇠가 삽입되는 실린더(700)의 전면에 장착된다.
실린더 하우징(640)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실린더(700)가 삽입되는 실린더홀(650)이 절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 하우징(640)의 전면부, 즉, 실린더(700)가 삽입되는 면의 테두리 부분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면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660)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지지부(400)와 접촉된다.
실린더(700)는 일정 각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의 실린더 바디(710)와, 실린더 바디(710)에 수용되면서 장착되는 다수의 텀블러(730)를 포함한다.
실린더 바디(71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면에는 텀블러(730)가 수용되는 텀블러홈(720)이 형성된다. 이러한 텀블러홈(720)은 일정 정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텀블러(730)가 수용 가능하도록 텀블러(730)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텀블러홈(720)의 내부 공간에는 텀블러(730)를 자체 탄성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체(770)가 놓이며, 텀블러(730)는 탄성체(77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열쇠의 삽입시 실린더 바디(7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러한 텀블러(730)는 열쇠에 의해 실린더 바디(710)의 내부 공간에서 정렬되는 정렬텀블러(740)와, 실린더 바디(710)가 실린더 하우징(640)에 삽입된 다음 임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출방지텀블러(760)를 포함한다.
정렬텀블러(740)와 인출방지텀블러(760)는 실린더 바디(710)의 길이방향 또는 실린더 바디(710)가 실린더 하우징(640)에 삽입 및 이탈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정렬텀블러(74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중앙부가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절제되는 사각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각 링의 중앙부를 열쇠가 관통하여 실린더 바디(710)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정렬텀블러(740)의 일측면에는 탄성체(770)가 지지되는 지지돌기(750)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열쇠가 실린더 바디(710)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체(770)의 자체 탄성에 의해 텀블러(730)가 실린더 바디(710)의 교차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실린더 바디(7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텀블러홈(720) 가운데 가장 후단부에 위치하는 텀블러홈(720)에는 실린더 바디(710)가 실린더 하우징(640)에 인입된 후 임의로 실린더 하우징(6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출방지텀블러(760)가 수용된다.
인출방지텀블러(760)는 전체적으로 중앙부가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절제되고, 중앙부의 하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절단되어 사각 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전방에서 볼때 대략 "∩"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인출방지텀블러(760)가 열쇠의 인입에 의해 정렬되지 않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인출방지텀블러(760)는 열쇠에 의해 정렬되지 않고, 실린더 바디(710)의 임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실린더 케이스(610)는 실린더 바디(710)의 전면에 장착되고 그 중부에는 열쇠가 관통하는 열쇠홀(620)이 형성되며, 그 후측에는 열쇠홀(6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폐판(630)이 장착된다.
이러한 차폐판(63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열쇠홀(620)을 차폐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차폐판(630)은 실린더 바디(710)에 장착되는 별도의 탄성체(미도시)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열쇠가 열쇠홀(620)을 통과하여 압착하게 되면 회동함으로써 열쇠홀(620)을 개방하고, 열쇠가 인출되면 탄성체(미도시)의 탄성에 의해 열쇠홀(620)을 차폐하게 된다.
이처럼, 차폐판(630)이 탄성에 의해 열쇠홀(620)을 차폐하면서 외부의 이물질 등이 실린더 바디(7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일차적으로 방지되지만, 차폐판(630)에 묻어있는 이물질들은 열쇠의 삽입 시 열쇠와 함께 내부로 유입되므로 후술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를 더 구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장치(500)는 잠금이 필요한 부분에 고정되어 열쇠의 삽입 및 회전 시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린더(700) 후단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별도의 잠금바(830)를 구비하여 열쇠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700)와 잠금바(830)의 체결시에는 진동에 의해 체결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 와셔(820)(810), 와셔(820) 및 고정편(840)을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실린더(700)에 열쇠를 삽입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열쇠의 반대편에 위치한 잠금바(830)가 회전하면서 잠금이 필요한 곳에 구비된 별도의 홈 또는 걸림부 등에 안착되면서 잠금상태가 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잠금바(830) 또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홈 또는 걸림부로부터 이탈하여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는, 잠금부(600)의 외측에 위치하여 외력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열쇠홀(620)이 형성된 면을 개방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1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여 닫힘으로써 열쇠홀(620)이 형성된 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차폐부(200), 밀착부재(230) 및 힌지부(300)를 포함한다.
차폐부(200)는, 외부와 연통된 열쇠홀(620)을 가지는 잠금부(600)의 내부로 열쇠홀(620)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열쇠홀(6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열쇠홀(620)이 형성된 면을 개방하고,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하여 열쇠홀(620)이 형성된 면을 차폐한다.
즉, 차폐부(20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열쇠홀(620)이 형성된 실린더 케이스(610)와 접촉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열쇠홀(6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실린더 케이스(610)와 비접촉 상태가 되어 열쇠홀(62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차폐부(200)는 열쇠홀(620) 주변에 부착된 이물질이 열쇠홀(6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열쇠홀(620)뿐만 아니라 그 주변까지도 차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폐부(200)는 잠금부(600) 또는 실린더 케이스(610) 및 열쇠홀(620)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잡한 형상의 다각형이 될 수도 있다.
밀착부재(230)는, 차폐부(200)와 잠금부(600) 사이에 위치하여 열쇠홀(620)의 차폐시 열쇠홀(620)이 형성된 면과 밀착되어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부재로서, 열쇠홀(620)이 형성된 면 전체와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열쇠홀(620) 주변만 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밀착부재(230)의 형상 및 면적에 따라 차폐부(200)와 실린더 케이스(610)가 접촉될 수도 있고 접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밀착부재(230)의 기밀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밀착부재(230)의 테두리 부분이 중심부보다 돌출 형성되도록 한 후 테두리 부분은 열쇠홀(620) 주변과 접촉시키고, 중심부는 열쇠홀(620)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와 잠금부(600)의 접촉시 후술하는 탄성부재(31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재질인 밀착부재(230)의 테두리 부분이 소량 압축되면서 열쇠홀(620) 주변과 더욱 밀착되어 이물질이 열쇠홀(620) 근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고, 중심부와 열쇠홀(620)이 밀착되면서 한번 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기밀효과가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밀착부재(230)는 기밀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차폐부(200)와 잠금부(600)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차폐부(200) 및 잠금부(600)가 파손 또는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구현하게 된다.
힌지부(300)는, 차폐부(200)가 원위치로 회동하여 닫히도록 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차폐부(200)의 회동에 의해 압축 또는 복원되는 탄성부재(3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10)의 대표적인 예를 스프링으로 적용하였지만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고무와 같은 폴리머도 가능하며, 그 형상 또한 코일형태뿐만 아니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310)는, 차폐부(200)가 탄성력에 의해 닫힌 상태 즉, 밀착부재(230)와 실린더 케이스(610)가 접촉된 상태일 때 소정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부재(310)가 소정의 압축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며, 이에 따라 밀착부재(230)와 실린더 케이스(610) 사이의 밀착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기밀효과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후술하는 제1고정부재(320)와 회전부재(330)의 접촉상태를 적절히 조절하여 차폐부(200)가 닫힌 상태일 때 회전부재(330)가 제2고정부재(350) 측으로 소정거리를 이동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회전부재(330)의 위치보다 탄성부재(310)의 압축이 완전 해제되는 차폐부(200)의 위치를 더 낮게 설정한 후 밀착부재(230)와 실린더 케이스(610)가 접하는 높이를 회전부재(330)의 높이와 수평을 이루게 함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소정의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힌지부(300)는, 삽입공간(360), 제1고정부재(320), 회전부재(330), 제2고정부재(350) 및 지지부(4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상술한 차폐부(200)와 별개로 구비되어 체결되거나 차폐부(2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공간(360)은, 외력에 의해 회동하는 차폐부(200)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힌지부(300)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공간(360)의 내주면에는 제1요철부(370)가 형성된다.
삽입공간(360)의 제1요철부(370)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의 요철이 단수 또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회전부재(330)의 제2요철부(340)와 결합되므로 삽입공간(360)의 제1요철부(370)가 오목하다면 회전부재(330)의 제2요철부(340)는 볼록하고, 삽입공간(360)의 제1요철부(370)가 볼록하다면 회전부재(330)의 제2요철부(340)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330)의 회전시 제2요철부(340)가 제1요철부(37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요철부(370)는 제2요철부(340)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삽입공간(360)은 힌지부(300)의 길이방향 또는 폭 방향 전체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외부로 돌출된 일부분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고정부재(320)는, 힌지부(300)에 형성된 삽입공간(360) 내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단부 중 일부는 외부로 돌출되며, 삽입공간(360) 내에 위치하는 타단부의 일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형성된다.
회전부재(330)는, 삽입공간(360) 내에 위치하며 제1고정부재(320)의 나선형으로 절제된 타단부와 결합하여 접촉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단부 중 일부는 제1고정부재(320)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술한 제1요철부(37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제2요철부(340)가 형성된다.
이렇게 제2요철부(340)와 제1요철부(370)가 결합함으로써 차폐부(200)의 회동시 회전부재(330)가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고정부재(320)의 타단부와 회전부재(330)의 일단부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고정부재(320)의 타단부와 회전부재(330)의 일단부는 그 끝단이 서로 접촉하며 구비되되, 절제된 면의 경사방향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절제면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를 가지게 되며, 각각 길이가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이 형성된다. 즉, 나선형 형상에 의해 경사지는 절제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회전부재(330)가 회전하기 전에는 제1고정부재(320)의 절제면 중 길이가 긴 부분이 회전부재(330)의 길이가 짧은 부분과 접하게 되며, 회전부재(330)의 회전 시 회전부재(330)가 제1고정부재(320)와의 접촉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제1고정부재(320)의 절제면 중 길이가 긴 부분이 회전부재(330)의 길이가 긴 부분 또는 그와 근접한 부분(나선형으로 절제된 면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과 접하게 된다.
이때 제1고정부재(320)의 길이가 짧은 부분과 회전부재(330)의 길이가 짧은 부분은 서로 접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형상으로 봤을 때 회전부재(330)의 위치는 제1고정부재(32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 것이 된다.
이렇게 제1고정부재(320) 및 회전부재(330)에 형성된 나선형 절제면은 폭 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일부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형상을 고려하여 일부에만 나선형 절제면이 형성된 도면을 도시하였다.)
즉, 서로 접촉하고 있는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끝단부가 전체적으로 접하는 것이 아닌 극히 일부만 접촉함으로써 회전부재(330)와 제1고정부재(320) 사이에 위치차가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와 동일한 효과만 구현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50)는, 회전부재(330)의 타단부와 이격되어 삽입공간(360) 내에 구비되며, 그 일단부는 삽입공간(360)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술한 탄성부재(310)는 회전부재(330)와 제2고정부재(35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차폐부(200)의 회동시 회전부재(330)가 제2고정부재(350) 측으로 위치이동을 하게 되고, 그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310)는 회전부재(330)에 의해 압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10)는 스프링뿐만 아니라, 회전부재(330)와 제2고정부재(350) 사이의 이격공간 만큼의 길이를 갖는 탄성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지지부(400)는, 차폐부(200)의 회동 시 제1고정부재(320)는 회전하지 않고 회전부재(330)만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부(300) 외부에 위치하여 삽입공간(360) 외부로 돌출된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일단부와 접촉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와 접촉되는 지지부(400)를 별도의 외부 프레임이 아닌 잠금부(600)에 일체로 체결시킴으로써 장치의 간소화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지지부(400)와 힌지부(30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힌지부(300)의 마모를 방지하였다.
차폐부(200)의 회동 시 제1고정부재(320)가 회전하게 되면 탄성부재(310)가 압축될 수 없기 때문에 지지부(40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지만, 제2고정부재(350)는 회전 또는 비회전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320)의 돌출된 일단부를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지지부(400)에도 사각형의 홀을 형성한 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1고정부재(320)의 회전을 방지하였지만, 별도의 핀이나 접합을 통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차폐부(200)의 좌우측 방향으로 위치시켰지만, 차폐부(200)의 측면 방향으로도 위치시킬 수 있다. 다만, 이때는 회동반경 만큼의 홀을 차폐부(200)의 측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외력 및 탄성력에 의해 차폐부(200)의 회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부분 중 삽입공간(36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원형의 외주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의 일단부를 삽입공간(36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였지만, 삽입공간(36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때는 지지부(400)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여 제1고정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50)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의 상하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스토퍼(24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스토퍼(240)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 즉 차폐부(200) 또는 힌지부(300)의 상면, 하면, 측면 중 어떠한 면에도 적용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힌지부(200)의 상면에 복수 개의 회동스토퍼(240)를 구비하였다.
회동스토퍼(240)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의 회동시 지지부(400) 또는 잠금부(600)의 외측과 접촉됨으로써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100)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도록 범위를 제한하며, 그 길이 및 높이와 같은 형상은 차폐부(200)(또는 힌지부(300))와 지지부(400), 차폐부(200)(또는 힌지부(300))와 잠금부(600) 사이의 간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이때, 회동스토퍼(240)와 접촉되는 지지부(400) 또는 잠금부(6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본 일 실시예에서 도시화한 것처럼 지지부(400)와 차폐부(2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고로 하여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열쇠를 실린더(700) 내로 삽입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실린더 케이스(610)와 접촉되어 있는 차폐부(200)를 회동시켜 열쇠홀(620)을 개방시켜야 한다.
즉, 차폐부(200)에 외력을 가해 열쇠홀(620)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차폐부(200)와 함께 회전부재(330)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부재(330)가 제2고정부재(350) 측으로 소정의 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부재(330)와 제2고정부재(350) 사이에 있던 탄성부재(310)가 회전부재(330)에 의해 압축된다.
차폐부(200)의 회동이 완료된 후 열쇠를 파지하여 열쇠홀(620)로 삽입하면 차폐판(630)이 열쇠에 의해 뒤로 회동하면서 열쇠홀(620)이 개방된다. 열쇠를 완전히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정렬텀블러(740)가 실린더 하우징(640)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정렬되고, 이에 따라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 후, 삽입된 열쇠를 인출하면 실린더 케이스(610)에 구비되어 있던 탄성체(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차폐판(630)이 처음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열쇠홀(620)을 차폐하게 된다.
열쇠가 완전히 인출된 후 차폐부(200)에 가하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회전부재(330)와 제2고정부재(350) 사이에서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310)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하며, 이에 따라 회전부재(330)가 처음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재(33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그와 결합되어 있는 힌지부(300) 및 차폐부(200) 또한 회동하게 되며, 결국 차폐부(200) 및 밀착부재(230)가 처음의 위치로 돌아와서 실린더 케이스(610)와 접하게 된다.
즉, 실린더 케이스(610)와 밀착부재(230)가 밀착됨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들이 실린더 케이스(610) 및 열쇠홀(620) 주변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 못하게 되며, 이후에 다시 열쇠를 삽입하기 위해 차폐부(200)를 회동시킨다 하여도 열쇠홀(620) 주변에는 아무런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아 열쇠의 삽입과 함께 이물질이 실린더(700) 내로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회전체 20 : 동력실
30 : 운전실 50 : 작업체
100 :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200 : 차폐부
230 : 밀착부재 240 : 회동스토퍼
300 : 힌지부 310 : 탄성부재
320 : 제1고정부재 330 : 회전부재
350 : 제2고정부재 400 : 지지부
500 : 잠금장치 600 : 잠금부
610 : 실린더 케이스 640 : 실린더 하우징
700 : 실린더

Claims (10)

  1. 외부와 연통된 출입구를 가지는 대상물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로서,
    상기 출입구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개폐하는 차폐부;
    상기 차폐부와 대상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구가 형성된 면을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 및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가 탄성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재와 대상물의 접촉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폐부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서로 접하는 나선형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접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상기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접촉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제2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차폐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테두리 부분은 중심부보다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 주변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3. 삭제
  4. 열쇠홀을 통해 열쇠가 인입되며,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잠금부; 및
    상기 열쇠홀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개방하며, 탄성부재에 의해 닫히는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는,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기밀하는 탄성재질의 밀착부재와, 상기 열쇠홀이 형성된 면을 개폐하는 차폐부와, 상기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차폐부가 탄성력에 의해 닫히도록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차폐부의 회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삽입공간과, 서로 접하는 나선형의 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접하고 있는 각각의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나선형으로 절제되어 상기 삽입공간 내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잠금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제2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차폐부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의 테두리 부분은 중심부보다 돌출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 부분은 상기 열쇠홀 주변과 접촉되고 상기 중심부는 상기 열쇠홀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와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의 접촉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는,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회동스토퍼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KR1020140079995A 2014-06-27 2014-06-27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Active KR10156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95A KR101563981B1 (ko) 2014-06-27 2014-06-27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95A KR101563981B1 (ko) 2014-06-27 2014-06-27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981B1 true KR101563981B1 (ko) 2015-10-28

Family

ID=5442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995A Active KR101563981B1 (ko) 2014-06-27 2014-06-27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99B1 (ko) * 2018-05-24 2019-03-13 주식회사 코하마 도어 락킹장치
EP3550098A1 (en) * 2018-04-03 2019-10-09 Knox Associates, Inc. DBA Knox Company Fluid guard and absorber for locking devices
KR20240153079A (ko) 2023-04-14 2024-10-22 유선인 이물질 유입 방지캡을 구비한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0098A1 (en) * 2018-04-03 2019-10-09 Knox Associates, Inc. DBA Knox Company Fluid guard and absorber for locking devices
WO2019194857A1 (en) * 2018-04-03 2019-10-10 Knox Associates, Inc. Dba Knox Company Fluid guard and absorber for locking devices
US10801233B2 (en) 2018-04-03 2020-10-13 Knox Associates, Inc. Fluid guard and absorber for locking devices
US20210079686A1 (en) * 2018-04-03 2021-03-18 KNOX Associates, Inc., dba Knox Company Fluid guard and absorber for locking devices
US11808066B2 (en) 2018-04-03 2023-11-07 Knox Associates, Inc. Fluid guard and absorber for locking devices
KR101956699B1 (ko) * 2018-05-24 2019-03-13 주식회사 코하마 도어 락킹장치
KR20240153079A (ko) 2023-04-14 2024-10-22 유선인 이물질 유입 방지캡을 구비한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4354C (en) Protective cover for a lock
KR101563981B1 (ko)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KR20140077869A (ko) 은닉된 키 실린더를 구비하는 차량 도어 핸들 조립체
CN101523589A (zh) 盖体以及基板收纳容器
EP3192948B1 (en) Dust cover for lock cylinder key channels
US10584517B2 (en) Locking device
KR100900327B1 (ko) 맨홀 덮개 및 맨홀 덮개 개폐장치
KR101555866B1 (ko) 도난 방지용 배수집수구의 잠금장치
KR101503045B1 (ko) 작업용 차량의 잠금장치
JP4446751B2 (ja) 鍵穴保護装置
KR101728040B1 (ko) 기어형 맨홀뚜껑 잠금장치
CN110100070B (zh) 电缆密封件(变体)及密封方法(变体)
KR101395929B1 (ko) 차량용 테일 게이트의 래치장치
JP5460623B2 (ja) 施錠装置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KR200476187Y1 (ko) 도어용 로크핸들
US9828790B2 (en) Code change blocker
KR101301574B1 (ko) 작업용 기계 차량의 도어 개방 고정장치
KR20100098738A (ko) 미닫이 창문용 자동 잠금장치
KR101124894B1 (ko) 유류저장탱크맨홀의 잠금장치
JP3202598U (ja) 鍵穴保護具
CN111212952B (zh) 锁定装置
KR20140100625A (ko) 맨홀뚜껑 잠금 장치
KR101849968B1 (ko) 맨홀뚜껑
KR101244740B1 (ko) 우수통 뚜껑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