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3547B1 - 가변형 핸드 그립 - Google Patents

가변형 핸드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547B1
KR101563547B1 KR1020140009977A KR20140009977A KR101563547B1 KR 101563547 B1 KR101563547 B1 KR 101563547B1 KR 1020140009977 A KR1020140009977 A KR 1020140009977A KR 20140009977 A KR20140009977 A KR 20140009977A KR 101563547 B1 KR101563547 B1 KR 10156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present
size
variable
housin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408A (ko
Inventor
문경선
Original Assignee
문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경선 filed Critical 문경선
Priority to KR1020140009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5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54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의 휨(kick point)이 정확하고 강력하게 이루어지도록 킥 포인트(kick point)는 핸드 그립을 가변형으로 구성하여 스윙시 응답성 및 유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변형 그립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쪽에 서로 상반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에 마주하게 나사 조립되어 나사부를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한쌍의 가동부재와, 내측에 방사상으로 길게 절단되는 다수의 절개면이 형성되어 양쪽 가동부재에 의해 크기(외경 또는 굵기)가 변화되는 한쌍의 하우징으로 되는 가변형 그립을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그립의 외직경(크기)이 사용자 조작을 통해서 임의적으로 그립이 크기가 가변 조정되는 가변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안정된 그립감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그립의 교체 주기를 연장함에 따라 그립 교체에 따른 비용 등을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핸드 그립{grip}
본 발명은 사용자에 맞도록 핸드 그립의 크기(직경)를 임의로 가변 조정할 수 있게하여 사용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가변형 핸드 그립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다른 스포츠종목과는 달리 플레이어의 드라이빙 샷 자세와 채의 길이, 그립의 파지상태에 따라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는 스포츠종목이다.
도 1에서와 같이 골프클럽(100)은 테이퍼기울기를 갖는 중공샤프트(110)의 양쪽으로 조립되는 헤드(120)와 그립(130) 및 그립(130)을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있다.
골프경기에서 골프클럽(100)을 이용한 드라이버 샷이나 아이언 샷을 이용하여 골프공의 비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레이어의 자세와 골프공의 타격점은 물론 도 2와 같이 클럽을 파지하는 그립도 중요한 요소이다.
종래에는 골프를 즐기는 플레이어의 체격 조건에 맞도록 클럽의 무게와 샤프트의 길이 뿐만 아니라 라이각, 페이스각, 로프트각 등이 다양하게 구비된 골프클럽세트들이 생산되고 있다.
골프클럽에 있어 핸드 그립은 스윙 웨이트 제어(swing weight control), 손잡이 견고성(handlestiffness), 신축성 제어(flex control), 충격 흡수는 기구로부터 임팩트(impact)를 개선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핸드 그립의 둘레에 감겨지는 가죽 또는 몰딩된 고무 슬립온(slipon) 그립은 충격 흡수성은 물론 미끄러짐(slippage)이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고 또한 회전력(torque)에 대해 훌륭한 저항을 가지는 견고한 파지(grasp)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어들은 그립의 외주면에 가죽 또는 핸들에 쉽게 끼워지는 슬리브(sleeve) 또는 언더리스팅(underlisting)을 둘러싸는 가죽 소재와 더불어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합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소재들로 감싸주어 클럽에서의 그립의 비틀림(torsion) 저항을 개선하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플레이어 또는 사용자들이 모든 규격의 것을 시험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니어서 자기 체격과 스윙에 맞는 것을 선택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특히 초보자는 어떤 규격의 것이 잘 맞는지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초보자 일때 사용하던 것이 파워가 증가할수록 맞지 아니하면 스윙시 응답성(responsiveness) 및 유효성(effectiveness)이 저하되어 타격 미스를 유발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그립감이 작은 경우 그 외주면에 별도의 헝겁이나 가죽은 덧쓰우는 방법으로 그립감을 개선하기도 하고, 반대로 그립감이 큰 경우에는 가죽을 벗겨낼 수 없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고 그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골프그립을 새로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들은 골프그립을 변화된 조건에 따라 그립감(크기)을 사용자에 맞도록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핸드 그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핸드 그립을 사용자의 조건에 맞출 수 있게 하여 보다 양호한 그립감으로 스윙시 응답성 및 유효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핸드 그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 그립을 가변형으로 구성하여 그립의 교체 주기를 연장함에 따라 그립 교체에 따른 비용 등을 절감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핸드 그립의 외직경(크기)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임의로 가변 조정되는 가변형으로 구성하여 안정된 그립감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몸체의 양쪽으로 서로 상반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에 마주하게 조립되어 나사부를 따라 직선 왕복운동시키며 핸드 그립의 크기를 임의로 가변시키는 한쌍의 가동부재와, 내측에 방사상으로 길게 절단되는 다수의 절개면이 형성되어 양쪽 가동부재에 의해 크기(외경 또는 굵기)가 변형되는 한쌍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가변형 그립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 조절부재는 몸체의 양쪽면에 하우징의 일측단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며 양쪽 축(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양쪽 나사부에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서로 상반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재는 한쪽면에 하우징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단턱이 형성되고 몸체의 내측 중앙부에 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양족 나사부에 마주하게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은 중공원통체로 형성되는 몸체의 양끝단부을 제외한 내측면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단되는 절개면들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부재의 타측면에 경사기울기를 갖는 조립부가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스토퍼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샤프트 선단으로 끼워지도록 되고, 상기 가동부재에 조립되는 마감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절부재의 정,역회전 조작으로 양쪽 나사부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가동부재들이 그 내측에 조립된 하우징을 압축 또는 이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핸드 그립의 크기를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 맞는 그립의 크기(굵기)을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변형 그립은 조절부재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정,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으로 그립의 전체 직경(두께)을 임의로 조정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골프클럽마다 플레이어에 적합한 그립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 맞게 조정되게 되는 핸드 그립들은 전체적인 스윙을 심플하게 할 수 있어서 그만큼 타격 미스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초보자는 물론 숙련된 사람들에게 아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장에서 생산되는 규격 제품들 중에서 자기의 체형과 스윙폼에 맞는 클럽을 찾는 수고와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빈번한 클럽 교체 비용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골프그립의 일 예시도,
도 2의 (가, 나, 다)는 골프 그립을 잡는 다양한 방법들을 나타낸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핸드 그립의 분해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핸드 그립에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반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핸드 그립에 커버가 조립된 상태의 반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핸드 그립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그립은 테이퍼기울기를 갖는 중공샤프트(110)의 양쪽에 헤드(120)와 그립(130)이 조립되고, 상기 그립(130)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골프클럽(100)은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골프클럽에 구비되는 그립(130)을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가변형 그립을 제공한다.
첨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핸드 그립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가변형 핸드 그립은 몸체(11)의 양쪽 방향으로 나사부(12)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조절부재(10)와;, 상기 나사부 선단으로 마주하게 나사 조립되어 양쪽 나사부(12a,12b)를 따라 직선 왕복운동이 가능한 한쌍의 가동부재(20:20a,20b)와;, 내측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절취되는 절단면(34)이 형성되어 조절부재(10)와 양쪽 가동부재(20a,20b)들 사이에 서로 마주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하우징(30:30a,30b)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가변형 핸드 그립은 사용자가 조절부재(10)를 정,역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임의로 회전조작시 양쪽 가동부재(20a,20b)들이 하우징(30a,30b)의 양쪽면을 압착하거나 또는 느슨해지도록 이완시키면서 하우징(30)의 크기 즉, 핸드 그립의 외직경(굵기)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부재(20b)의 타측면에 경사기울기를 갖는 조립부(24)가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스토퍼(25)(25)(25)가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샤프트 선단으로 끼워지도록 되고, 상기 가동부재(20a)에 조립되는 마감용 캡(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조절부재(10)는 몸체(11)의 양쪽면에 하우징(30)의 일측단이 수용되는 홈(15)이 형성되고, 축(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양쪽 나사부(12)에 왼나사(12a)와 오른나사(12b)가 서로 상반되게 형성된다.
가동부재(20:20a,20b)는 한쪽면에 하우징(30)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단턱(23)이 형성되는 몸체(21)의 내측 중앙부에 나사부(12)와 대응되는 암나사(22)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12)의 양쪽 선단으로 서로 마주하게 나사 조립되는 한쌍으로 구성되어양쪽 가동부재(20a,20b)는 조절부재(10)에 내측으로 오므러들거나 바깥쪽 방향으로 벌어지 수 있는 상대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30:30a,30b)은 중공원통체로 형성되는 몸체(31)의 양끝단부(32,33)을 제외한 내측면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단되는 절개면(34)들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10)와 양쪽 조절부재(20) 사이에 서로 마주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0)은 양쪽면을 압착시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몸체에 형성되는 절개면(34)들에 의해 소정의 범위내에서 크기(외직경)가 가변되어질 수 있도록 적당한 탄력을 유지하고, 반대로 외력이 제거시에는 원래의 크기 형태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핸드 그립의 동작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변형 핸드 그립은 먼저, 조절부재(10)의 몸체(11) 양쪽면에 형성되는 홈(15)으로 하우징(30a,30b)의 일측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조립하고, 하우징(30a,30b)의 타측단으로 조절부재(10)의 나사부(12)에 조립되는 가동부재(20a,20b)가 면접촉할 수 있게 조립한다.
이때, 조절부재(10)를 한쪽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조절부재(10)의 나사부(12)에 각각 나사 조립되는 한쌍의 가동부재(20a,20b)들은 양쪽 나사부(12)는 서로 상반되는 왼나사(12a)와 오른나사(12b)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나사부(12)에 나사 결합되는 양쪽 가동부재(20)들은 나사부(12)를 따라 서로 상대운동하듯이 양족으로 서서히 조여들면서 하우징(30)의 양쪽면을 압축시키거나 반대로 바깥쪽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맞도록 크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30)의 선단부가 가동부재(20)의 단턱(23)에 맞닿을 때까지 조절부재(10)를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방사상으로 절단된 절개면(34)이 형성된 하우징(30)의 몸체가 서서히 부풀어 오르듯이 그 크기 즉, 외직경(d 또는 D)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조절부재(10)의 회전 조작을 통해서 사용자의 손에 맞는 굵기에 이를 때까지 회전시키며 크기를 변화시킨 다음, 사용자에 맞는 크기에 이르면 회전동작을 멈추고 이를 확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60)를 이용하여 상기 조절부재(10)를 포함하여 양쪽 하우징(3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조립하면 핸드 그립의 크기를 확정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사용중에 그립감이 떨어져 크기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60)를 벗겨낸 다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10)를 조정하면서 양쪽 하우징(30)의 크기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가변형 핸드 그립은 플레이어의 신체조건에 따라 골프클럽을 핸드 그립의 크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라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 조절부재 11,21,31: 몸체
12: 나사부 12a: 왼나사
12b: 오른나사 20,20a,20b: 가동부재
22: 암나사 24: 조립부
25: 스토퍼 30,30a,30b: 하우징
32,33: 양쪽선단 34: 절단면
50: 마감용 캡 60: 커버
100: 골프클럽 110: 샤프트
120: 클럽헤드 130: 그립

Claims (2)

  1. 몸체(11)의 양쪽면에 하우징(30)의 일측단이 수용되는 홈(15)이 형성되고, 축(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양쪽 나사부(12)에 왼나사(12a)와 오른나사(12b)가 서로 상반되게 형성되는 조절부재(10)와;,
    한쪽면에 하우징(30)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단턱(23)이 형성되는 몸체(21)의 내측 중앙부에 나사부(12)와 대응되는 암나사(22)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12)의 양쪽으로 서로 마주하게 나사 조립되는 한쌍의 가동부재(20:20a,20b)와;,
    중공원통체로 형성되는 몸체(31)의 양끝단부(32,33)을 제외한 내측면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단되는 절개면(34)들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0)와 가동부재(20) 사이에 마주하게 조립되는 한쌍의 하우징(30:30a,30b)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부재(10)를 정,역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며 양쪽 가동부재(20a,20b)들이 하우징(30a,30b)의 양쪽면을 압착 또는 이완시키면서 그립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핸드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20a)에 조립되는 마감용 캡(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핸드 그립.
KR1020140009977A 2014-01-27 2014-01-27 가변형 핸드 그립 Expired - Fee Related KR10156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77A KR101563547B1 (ko) 2014-01-27 2014-01-27 가변형 핸드 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77A KR101563547B1 (ko) 2014-01-27 2014-01-27 가변형 핸드 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08A KR20150089408A (ko) 2015-08-05
KR101563547B1 true KR101563547B1 (ko) 2015-11-06

Family

ID=5388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7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63547B1 (ko) 2014-01-27 2014-01-27 가변형 핸드 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200B1 (ko) * 2015-09-11 2017-02-15 전영재 그립 가변형 골프채
KR102823881B1 (ko) * 2023-07-04 2025-06-24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형 테이퍼 그립부를 구비하는 골프 퍼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077A1 (fr) 1994-05-24 1995-11-30 Societe D'exploitation Des Ets Racodon S.A. Dispositif de prehension et d'amortissement de chocs sur des outils de frappe
US20110212793A1 (en) 2008-05-02 2011-09-01 Kachlik Michael R Increased diameter arthritic golf club gri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2077A1 (fr) 1994-05-24 1995-11-30 Societe D'exploitation Des Ets Racodon S.A. Dispositif de prehension et d'amortissement de chocs sur des outils de frappe
US20110212793A1 (en) 2008-05-02 2011-09-01 Kachlik Michael R Increased diameter arthritic golf club gri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08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867B2 (en) Ergonomic sports handle
EP1927439B1 (en) Variable mass grip
US10569149B2 (en) Stick handling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070298904A1 (en) Adjustable putter
US10478655B2 (en) Jump rope device with removably-connected cable
US10814187B2 (en) Badminton racket
US20210154546A1 (en) Grips for a Handle on a Hockey Stick
US4981297A (en) Spherical golf club grip structure
US20140066222A1 (en) Grip with Torsional Stiffness
US5160139A (en) Handle device for sports equipment shafts
US3687458A (en) Exercising and training type golf club
KR101563547B1 (ko) 가변형 핸드 그립
US6017283A (en) Contoured grip for a racquet
US5088738A (en) Pendulum putting device
US20130023360A1 (en) Weighted swing training apparatus
WO2001097927A1 (en) Sports training and conditioning device
US4349199A (en) Racquet handle
US8920260B1 (en) Golf club putter with roller putting head
JP7274200B2 (ja) 打撃練習用具
CN212817957U (zh) 一种方便调节的高尔夫握把
US20150011342A1 (en) Tennis Racquet Handles
CN204910676U (zh) 一种新型门球棒
JP3236221U (ja) ゴルフ練習器具
TWI450803B (zh) 可變質量握把
JP3138104U (ja) コード巻着式の運動用具のグリ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