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3484B1 -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484B1
KR101563484B1 KR1020090000713A KR20090000713A KR101563484B1 KR 101563484 B1 KR101563484 B1 KR 101563484B1 KR 1020090000713 A KR1020090000713 A KR 1020090000713A KR 20090000713 A KR20090000713 A KR 20090000713A KR 101563484 B1 KR101563484 B1 KR 101563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ircuit board
connector
hol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464A (ko
Inventor
강경연
강홍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484B1/ko
Priority to US12/585,008 priority patent/US8203091B2/en
Priority to CN200910177615.0A priority patent/CN101771407B/zh
Publication of KR2010008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4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3S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48Miscellaneous comprising microphone or speak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3Conductive materials
    • H05K2201/0302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314Elastomeric connector or conductor, e.g. rubber with metallic fill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53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와 회로기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비스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는 인체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스위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Switch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치와 회로기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증발, 응축과정에서 생기는 열의 이동을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나 습도 등을 조절하는 유닛을 말한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패널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하부에 마련되어 있고, 흡입된 공기를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시켜 다시 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 본체의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 쪽으로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된다.
한편, 전면패널의 일측에는 조작유닛이 구비된다. 조작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및 작동 등을 표시해주는 표시부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운전 조작하기 위한 다수개의 입력부로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다수개의 입력부는 전방 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공기조화기의 작동 유무에 관계없이 전방에서 보여지게 설치되어 디자인의 일관성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입력부의 후측에는 터치 스위치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스위치 조립체가 구비된다. 스위치 조립체는 스위치와 다수의 전기적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형성되는데, 스위치는 회로기판과 솔더(Solder)로 연결된다. 따라서, 회로기판이나 스위치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회로기판 자체를 변경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서비스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스위치와 회로기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서비스성 및 작업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는 인체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스위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후크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와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의 관통홀은 상기 커넥터와 밀착되는 제1홀부와, 상기 제1홀부를 통과한 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상기 제1홀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는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는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의 눌림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와 회로기판이 도전되도록 유연한 재질의 가스켓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광부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는 크롬 재질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체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버튼 선택 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도전성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커넥터와, 상기 스위치 및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로기판에는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에 후크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넥터와 상기 스위치는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된 광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커넥터는 유연한 재질의 가스켓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입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전면이 개방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패널(200)을 구비한다.
본체(100)의 내측 하부에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유닛(300)이 설치되고,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는 송풍유닛(300)에 의해 순환되는 실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도록 열교환기(400)가 설치된다.
송풍유닛(300)은 송풍팬(310)과, 송풍팬(310)을 구동하는 팬모터(320)와,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기(400) 쪽으로 안내하는 팬케이싱(330)을 구비한다. 송풍팬(310)은 그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하는 양방향 흡입식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측 후면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후면흡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12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20)는 본체(100)가 실내 바닥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120)는 후면흡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후면이 주위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후면흡입구(110)를 통해 실내 공기가 원활히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전면패널(200)은 전후 방향으로 진퇴하며 본체(100)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가 동작하지 않을 때, 전면패널(200)은 본체(100) 쪽으로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10)의 동작이 시작되면, 전면패널(200)은 구동유닛(미도시)에 의해 소정 거리 전진한다. 그러면 본체(100)의 테두리와 전면패널(200)의 테두리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면서 상면토출구(510), 측면토출구(520), 측면흡입구(530)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에서는 토출구(510, 520)와 측면흡입구(530)가 공기조화기(10)의 동작 중에만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공기조화기(10)가 동작할 때에도 토출구(510, 520)와 측면흡입구(530)가 사용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기기의 테두리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관상 사용자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전면패널(200)에는 돌출부위나 함몰부위 및 천공부위가 형성되지 않으며 평면을 이룬다. 그리고, 전면패널(200)은 그 상부에서 조작유닛(600)이 결합된다.
조작유닛(6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지는 입력부(610)가 구비되어 공기조화기(10)를 운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조작유닛(600)은 전면패널(200)의 전면에 어떠한 요철도 형성시키지 않도록 전면패널(200)의 후측에 고정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200)은 공 기조화기(10)의 운전정지 시에는 전면패널(200)의 배면에 가려져 전면패널(200)의 전방 측에서 입력부(610)가 보이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면패널(200)은 공기조화기(10)의 운전 시에는 그 전면이 일체감 있게 하면서 공기조화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10)의 운전정지 시에는 전면을 통해 조작유닛(600)이 보이지 않게 되어 공기조화기(10)의 전면을 주변의 인테리어와 조화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패널(200)은 전방 측의 반투명부재(210)와, 후방패널(220)이 동일 크기와 형상으로 전후에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반투명부재(210)는 그 전체가 반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투명부재(210)는 투명한 글래스(21)와, 글래스(211)의 전면 전체나 후면 전체에 부착된 시트나 필름 등의 반투명부(212)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반투명재질의 합성수지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후방패널(220)에는 조작유닛(600)이 배치되도록 개구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200)의 배면에는 공기조화기(10)의 각종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유닛(600)이 마련되는데, 조작유닛(600)은 공기조화기의 작동 시 선택적으로 눌려지는 입력부(610)와, 입력부(6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되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여 공기조화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조립체(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610)는 공기조화기(10)의 작동을 조작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버튼(6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입력부(610)의 일측에는 표시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610)의 배면에는 해당 버튼(61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다수의 스위치 조립체(700)가 구비되는데, 스위치 조립체(700)는 버튼(611)이 사용자에 의해 닿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전기적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스위치 조립체(700)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700)는 인체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스위치(710)와, 스위치(7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커넥터(720)와, 커넥터(720)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스위치(7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로기판(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710)는 전기를 띠는 도전성의 재질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스위치(710)에 의하여 인체의 전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인체가 버튼(611)에 닿게 되면 버튼(611)과 스위치(710) 사이에는 정전용량에 의한 전류흐름이 형성되고, 스위치(710)에 의해 신호입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위치(7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바디부(711)와, 바디부(711)에서 연장되어 회로기판(730)과 후크 결합되는 체결부(712)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스위치(710)에는 그 내외를 관통하는 관통홀(714)이 구비된다. 관통홀(714)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제1홀부(714a)와 제2홀부(714b)로 이루어져 바디부(711)의 내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홀부(714a)와 제2홀부(714b)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는 경사면(714c)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사면(714c)은 후술하는 엘이디(731)가 빛을 조사하는 각도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략 120도의 각도로 광을 발생시키는 엘이디(731)가 회로기판(730)에 장착되는 경우라면, 경사면(714c)은 이러한 엘이디(731)에 맞추어 대략 120도의 경사각도로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위치(710)에는 안착홈(715)이 구비된다. 안착홈(715)은 바디부(711)의 저면에서 그 테두리를 소정의 폭과 깊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홈(715)의 내부에는 커넥터(720)가 부착되는데, 이러한 커넥터(720)는 양면테이프(716)를 통하여 안착홈(715)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700)에는 스위치(710)와 회로기판(730)을 연결하는 소정의 연결구조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결구조에 의해서 스위치(710)의 터치 신호가 정확하게 회로기판(730)으로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디부(711)는 인체의 전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크롬 재질로 도금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710)에는 바디부(711)를 따라서 연장되어 회로기판(7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부(712)가 구비된다. 체결부(712)는 스위치(710)가 회로기판(730)과 후크 결합될 수 있도록 바디부(711)의 테두리 양측을 따라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연장되는 체결부(712)의 일단에는 걸림턱(712a)이 구비되어 회로기판(730)의 결합홀(732)에 끼워져 걸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710)에는 바디부(711)를 따라서 연장되어 회로기판(7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713)가 구비된다. 지지부(713)는 체결부(712)가 회로기판(730)과 후크 결합됨에 따라서 회로기판(730)과 스위치(710)가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부(712)의 사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회로기판(730)의 제2홀부(714b)에 끼워질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스위치(710)의 체결부(712)가 일직선의 위치로 2개로 바디부(711)의 테두리 양측에서 마련되고, 지지부(713)가 체결부(712) 사이에서 4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스위치의 체결부(712) 및 지지부(713)의 개수는 스위치(710)와 회로기판(730)이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넥터(720)는 스위치(710)와 평판으로 된 회로기판(73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 수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마련된다. 따라서, 커넥터(720)는 도전성과 탄성을 동시에 지닌 가스켓(gasket)과 같은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스위치(710)는 이러한 커넥터(720)에 의하여 탄성력을 제공받아 눌림 구조를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의 스위치(710)에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회로기판(730)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회로기판(730)의 소정위치에는 버튼(611)과 스위치(710)가 선택적으로 발광 될 수 있도록 발광부(731)가 구비된다. 발광부(731)에서 발생한 빛은 커넥터(720)를 통과하여 스위치(710)의 외부로 조사되어 해당 버튼(611)이 발광되도록 한다.
발광부(731)로는 통상 발광다이오드(luminescent diode)라 불리는 엘이디(73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엘이디(731)는 회로기판(730)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엘이디(731)는 커넥터(720)와 스위치(710)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되어 엘이디(731)에서 발생한 빛은 커넥터(720)의 관통홀(721)과 스위치(710)의 관통홀(714)을 통과하여 스위치 조립체(70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관통홀(714)의 제1홀부(714a)는 엘이디(731)에서 발생한 빛이 퍼지지 않고 모일 수 있도록 다소 작은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홀부(714b)는 제1홀부(714a)를 통과한 빛이 해당 버튼(611)만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해당 버튼(611)의 크기에 맞추어 제1홀부(714a)에 비하여 다소 큰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위치 조립체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스위치 조립체가 조립되는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 재질로 된 커넥터(720)를 양면테이프(716)를 이용하여 스위치(710)의 안착홈(715)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710)의 지지부(713)를 회로기판(730)의 제2홀부(714b)에 끼우고 스위치(710)의 체결부(712)를 회로기판의 제1홀부(714a)에 끼워 스위치(710)를 회로기판(730)에 조립한다.
이때, 스위치(710)의 체결부(712)에는 걸림턱(712a)이 형성되어 회로기판(730)의 제1홀부(714a)에 걸려지므로 회로기판(73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710)의 중앙에는 탄성재질의 커넥터(720)가 설치되어 스위치(710)가 원상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스위치(710)의 터치 신호가 정확하게 회로기판(730)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커넥터(720)가 회로기판(730)의 미리 설계된 고유영역과 정확히 일치하도록 조립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610)를 통하여 스위치(710)를 누르게 되면 스위치(710)가 회로기판(730)과 밀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커넥터(720)가 스위치(710)에 의해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회로기판(73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터치 스위치(touch switch)로 이루어져 인체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따라서, 입력부(610)에 손가락과 같은 인체를 접촉시키면 동작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미도시)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입력부(610)에 손가락 등이 닿게 되면 인체의 전류에 의해 스위치(710)가 대전되게 된다. 따라서, 엘이디(731)에 전원이 공급되어 엘이디(731)가 발광하게 된다.
이때, 엘이디(731)에서 운전 정보를 나타내도록 광이 조사되고, 조사된 광은 전면패널(200)의 반투명부재(210) 후방에서 반투명부재(210)를 통과하여 반투명부재(210)의 전방으로 조사된다. 그러므로, 전면패널(200)에는 반투명부재(210)를 통과하는 광이 식별되어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0)의 운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엘이디(731)는 커넥터(72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엘이디(731)에서 발생되는 광은 외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커넥터(720)와 스위치(710)의 관통홀(714)을 통하여 해당 버튼(611)으로만 조사된다.
한편, 사용자 등이 입력부(610)를 통해 공기조화기(10)의 운전 정지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미도시)는 공기조화기(10)를 오프하여 스위치 조립체(700)가 더 이상 광을 조사하지 않으므로 전면패널(200)의 전방측에서는 그 배면이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700)는 스위치(710)가 회로기판(7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회로기판(730)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스위치(710)만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서비스성 및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700)는 2개 또는 3개의 분할 구조로 형성되므로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제조원가가 저렴하게 된다.
그리고, 회로기판(730)에 마련된 발광부(731)가 커넥터(720)와 스위치(710)에 마련된 관통홀(721, 714)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하고 커넥터(720)에 의해 감싸지도록 하여, 발광부(731)에서 생성되는 광은 스위치(710)의 관통홀(714)을 통하여 해당 버튼(611)으로만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는 스위치와 회로기판이 후크 결합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서비스성 및 조립성이 개선되고, 회로기판의 발광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입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스위치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공기조화기 100... 본체
200... 전면패널 300... 송풍유닛
400... 열교환기 510, 520... 토출구
600... 조작유닛 610... 입력부
700... 스위치 조립체 710... 스위치
720... 커넥터 730... 회로기판

Claims (16)

  1. 인체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갖고 상기 체결부에 걸림턱이 마련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동작을 수행하되 상기 스위치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을 갖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스위치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광을 외부로 조사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관통홀은 상기 커넥터와 밀착되는 제1홀부와, 상기 제1홀부를 통과한 광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상기 제1홀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넥터가 장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의 눌림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와 회로기판이 도전되도록 유연한 재질의 가스켓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크롬 재질로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회로기판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조립체.
  11. 삭제
  12. 버튼 선택 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버튼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를 갖고 상기 체결부에 걸림턱이 마련되는 도전성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커넥터와, 상기 스위치 및 커넥터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을 갖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스위치는 상기 엘이디에서 발생된 광이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유연한 재질의 가스켓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90000713A 2009-01-06 2009-01-06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ctive KR101563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713A KR101563484B1 (ko) 2009-01-06 2009-01-06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2/585,008 US8203091B2 (en) 2009-01-06 2009-08-31 Switch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200910177615.0A CN101771407B (zh) 2009-01-06 2009-09-24 开关组件及具有该开关组件的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713A KR101563484B1 (ko) 2009-01-06 2009-01-06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64A KR20100081464A (ko) 2010-07-15
KR101563484B1 true KR101563484B1 (ko) 2015-10-27

Family

ID=4231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713A Active KR101563484B1 (ko) 2009-01-06 2009-01-06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03091B2 (ko)
KR (1) KR101563484B1 (ko)
CN (1) CN1017714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227A (ko) * 2016-04-18 2017-10-2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6161B4 (de) * 2009-07-28 2017-01-12 E.G.O. Elektro-Gerätebau GmbH Sensorelement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ensorelementeinrichtung
EP2557363A3 (en) * 2011-08-08 2015-03-11 Vestel Beyaz Esya Sanayi Ve Ticaret A.S. An electronic home appliance with sensor and mounting of such sensor
US10566148B2 (en) 2013-01-30 2020-02-18 Banner Engineering Corporation Switch with circumferential indicator light
CN104235952B (zh) * 2013-06-14 2017-09-05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3943397A (zh) * 2014-03-31 2014-07-2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按键和空调
US9508503B2 (en) * 2014-04-24 2016-1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creasing yield with tactile button gap adjustment
KR102531643B1 (ko) 2016-01-15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8271406A (zh) * 2016-10-18 2018-07-10 辛普尼有限公司 具有声音辅助的触摸式控制面板的空气冷却器
CN108534454A (zh) * 2018-05-09 2018-09-14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冰箱wifi芯片安装衬盒
KR102181002B1 (ko) * 2019-04-26 2020-11-20 (주)비케이코프 정전용량식 터치 스위치
CN110861467A (zh) * 2019-11-12 2020-03-06 宁波福尔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控制器
WO2021125074A1 (ja) * 2019-12-20 2021-06-2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スペーサ部品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11557444B2 (en) * 2020-06-04 2023-0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board key switch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9774A (en) * 1981-02-05 1984-05-22 Shin-Etsu Polymer Co., Ltd. Electroconductive rubbery member and elastic connector therewith
US4446614A (en) * 1982-02-16 1984-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rol device
DE4118743C2 (de) * 1991-06-05 1994-07-28 Mannesmann Ag Mehrstufenschalter
US5391848A (en) * 1993-03-12 1995-02-21 Inventio Ag Push button switch illuminated by light emitting diodes for use with elevators
ATE216541T1 (de) * 1997-02-17 2002-05-15 Ego Elektro Geraetebau Gmbh Berührungsschalter mit sensortaste
JP2002313181A (ja) * 2001-04-18 2002-10-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操作パネル装置
KR20040059640A (ko) 2002-12-28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키패드 설치구조
EP1511050B1 (en) * 2003-08-26 2017-11-15 LG Electronics, Inc. Control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60008708A (ko) 2004-07-24 2006-0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버튼의 인쇄 보호 구조
DE102004060846B4 (de) * 2004-12-17 2008-12-18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DE102005053792B4 (de) * 2005-11-09 2009-02-19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KR101313928B1 (ko) 2007-02-13 201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952905B1 (ko) * 2007-10-23 2010-04-16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 스위치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9227A (ko) * 2016-04-18 2017-10-2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680258B1 (ko) * 2016-04-18 2024-07-0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0276A1 (en) 2010-07-08
CN101771407B (zh) 2014-05-28
CN101771407A (zh) 2010-07-07
KR20100081464A (ko) 2010-07-15
US8203091B2 (en) 201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484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1747079B2 (en) Touch sensor assembly
US11182009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3037757B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US10852864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including same
US11606634B2 (en) Home appliance having speech recognition function
JP2009537004A (ja) 家庭電気器具用の制御ユニット
CN102535107A (zh) 洗衣机
KR101313928B1 (ko) 공기조화기
KR1018370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0444522C (zh) 感应式触摸开关装置
KR101533315B1 (ko) 공기조화기
US20180340728A1 (en) Appliance with a control panel
JP2003223125A (ja) 表示装置
JP6325632B2 (ja) 冷蔵庫
CN222417658U (zh) 一种烟机
JP2019143964A (ja) 冷蔵庫
JP6000209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705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