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2313B1 -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313B1
KR101562313B1 KR1020090075807A KR20090075807A KR101562313B1 KR 101562313 B1 KR101562313 B1 KR 101562313B1 KR 1020090075807 A KR1020090075807 A KR 1020090075807A KR 20090075807 A KR20090075807 A KR 20090075807A KR 101562313 B1 KR101562313 B1 KR 10156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reference line
film
axis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8161A (ko
Inventor
정승환
염동열
김기철
황인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313B1/ko
Priority to US12/684,623 priority patent/US20110038139A1/en
Publication of KR20110018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31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using layers with different mechanical or chemical conditions or properties, e.g. layers with different thermal shrinkage, layers under tension during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광학필름은 제 1 연신축 및 제 1 기준선을 갖는 제 1 베이스필름, 제 2 연신축 및 평면상에서 제 1 기준선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제2 기준선을 가져 제 1 베이스필름과 결합되는 제 2 베이스필름, 및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 위에 구비되어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층을 포함한다. 평면상에서 제 1 연신축 및 제 2 연신축은 제 1 기준선 및 제 2 기준선 상에서 교차한다. 따라서, 외부 온도 또는 습도 변화에 의해 제1 및 제2 베이스필름들 내부에 제 1 및 제 2 연신축들 방향으로 변형력들이 발생될 때, 변형력들이 방향이 서로 교차하여 상쇄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베이스필름들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OPTICALL FILM,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온도 또는 습도 변화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는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광학필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학필름들에는 표시장치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는 프리즘필름, 및 광을 확산시켜 표시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확산시트등이 있다.
광학필름이 고분자 수지를 얇은 두께로 연신하여 제조되는 경우에, 광학필름의 외형은 외부의 온도 또는 습도 변화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그 결과, 광학필름의 제조 수율이 저하되거나, 제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필름을 제공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광학필름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 을 갖는 제 1 베이스필름,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는 제 2 베이스필름, 및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위에 구비되어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필름은 제 1 연신축 및 제 1 기준선을 갖고,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은 제 2 연신축 및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기준선을 갖는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상기 제 1 기준선 및 상기 제 2 기준선 상에서 교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 예비 베이스필름에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들로 힘을 작용시켜 상기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정의되는 연신축을 갖는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을 형성한다. 그 이후에,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을 재단하여 제 1 연신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이스필름 및 제 2 연신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이스필름을 형성한다. 그 이후에,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을 서로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서로 결합 된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 위에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층을 형성한다.
평면상에서 상기 서로 접착된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기준선이 정의될 때,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상기 기준선 상에서 교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광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제공되는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필름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는 제 1 베이스필름,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는 제 2 베이스필름, 및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위에 구비되어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필름은 제 1 연신축 및 제 1 기준선을 갖고,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은 제 2 연신축 및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기준선을 갖는다.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상기 제 1 기준선 및 상기 제 2 기준선 상에서 교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에 따라 광학필름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필름의 제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광학필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서, 광학필름의 외형이 변형된 부분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함께 제시된 도면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서 다소 간략화되거나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취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학필름(100)은 입사면(28)을 갖는 제 1 베이스필름(10), 출사면(27)을 갖는 제 2 베이스필름(20),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15), 및 상기 출사면(27) 상에 구비되는 확산층(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이하 PC)와 같은 광 투과율이 우수한 고분자물질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은 각각 PET를 포함하여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15)은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10,20)을 결합시킨다. 상기 접착층(15)은 광 투과율이 우수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층(15)은 아크릴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5)의 굴절율은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의 굴절율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유는, 상기 접착층(15)의 굴절율이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의 굴절율과 유사할수록, 상기 접착층(15) 및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의 계면에서 굴절율 차이에 의한 전반사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이 PET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PET의 굴절율은 대략적으로 1.57이므로, 상기 접착층(15)은, 앞서 제시한, 약 1.48의 굴절율을 갖는 아크릴계수지 또는 약 1.48의 굴절율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접착층(15)의 굴절율은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의 굴절율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 각각은 0.05밀리미터 내지 0.5밀리미터의 제 1 두께(T1)를 가질 수 있고, 상기 광학필름(100) 은 0.1밀리미터 내지 1.0밀리미터의 제 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두께(T1)가 0.05밀리미터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10,20)을 서로 접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10,20)이 파손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 1 두께(T1)가 0.5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광학필름(100)의 두께가 증가하여 상기 광학필름(100)의 슬림화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확산층(30)은 바인더(31) 및 상기 바인더(31) 내부에 분산되는 확산비드들(32)을 포함하여 상기 출사면(27)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상기 광학필름(100)이 상기 확산층(30)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광학필름(100)은 확산필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액정표시패널(미도시) 및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10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광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 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10,20)이 PET 또는 PC와 같은 고분자물질을 포함하는 재료를 연신하여 제조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10,20) 각각은 연신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10, 20)을 구성하는 고분자 물질은 상기 연신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늘려진 구조를 가져 상기 연신축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향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a는 연신되기 이전의 고분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소정 방향으로 연신된 고분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고분자는, 제 1 베이스필름(도 1의 10) 및 제 2 베이스필름(도 1의 20)이 포함하는 PET 또는 PC와 같은 고분자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고분자(48)는 다수의 결정부들(40) 및 다수의 비결정부들(45)을 포함한다. 상기 결정부들(40) 각각은 무기재료의 결정구조보다는 덜 규칙적일 수 있지만, 상기 결정부들(40)은 각각은 규칙적으로 접힌 구조를 갖는 다수의 고분자들을 포함한다. 반면에, 상기 비결정부들(45)은 랜덤하게 상기 결정부들(40)과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고분자(48)가 연신축 방향(49)으로 연신되는 경우에, 상기 결정부들(40) 각각은 상기 연신축 방향(49)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또한, 상기 비결정부들(45)은 상기 연신축 방향(49)으로 대략적으로 펼쳐져 도 3b에 도시되는 고분자(도 3b의 48)의 배향은 도 3a에 도시되는 고분자(도 3a의 48) 배향보다 규칙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신축 방향(49)으로 상기 고분자(48)를 연신하는 경우에, 상기 고분자(48)는 상기 연신축 방향(49)과 나란한 배향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 상에 직선 형상을 갖는 제 1 기준선(12)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기준선(12)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의 제 1 중심점(CP1)을 지난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 상에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12)과 동일 위치에 놓이는 제 2 직선(22)이 정의되고, 상기 제 2 직선(22)은 평면상에서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의 제 2 중심 점(CP2)을 지난다.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은 제 1 연신축(12)을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12)은 상기 제 1 기준선(11)과 제 1 예각(θ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은 제 2 연신축(22)을 갖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 2 연신축(22)은 상기 제 2 기준선(21)과 제 2 예각(θ2)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기준선들(11,21) 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11)과 교차한다.
한편, 앞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분자의 배향 방향은 연신축 방향(도 3b의 49)과 나란하므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을 구성하는 고분자들은 상기 제 1 연신축(12)과 나란하게 배향되며,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을 구성하는 고분자들은 상기 제 2 연신축(22)과 나란하게 배향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들을 연신하여 제조된 필름은 외부의 온도 또는 습도 변화에 의해 연신된 방향으로 변형력이 발생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열변형력에 의해 연신된 방향으로 상기 필름의 외형이 변형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 1 연신축(12) 및 상기 제 2 연신축(22)이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면,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제 1 변형력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제 2 변형력의 방향이 서로 교차하여 상기 제 1 열변형력 및 상기 제 2 열변형력이 상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10,2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예각(θ1) 및 상기 제 2 예각(θ2) 각각의 부호를 정의할 때, 상기 제 1 기준선(11)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21)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 전하여 측정되는 각도를 양으로 정의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측정되는 각도를 음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상기 제 1 기준선(11) 및 상기 제 1 연신축(12)이 형성하는 예각의 크기가 30도일 때, 상기 30도는 상기 제 1 기준선(11)으로부터 상기 제 1 연신축(12)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의되므로 상기 제 1 예각(θ1)은 +30도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제 2 기준선(21)이 및 상기 제 2 연신축(22)이 형성하는 예각의 크기가 30도일 때, 상기 30도는 상기 제 2 기준선(21)으로부터 상기 제 2 연신축(22)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얻어지므로 상기 제 2 예각(θ2)는 -30도로 정의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예각(θ1) 및 상기 제 2 예각(θ2)의 부호가 서로 다를 때, 상기 제 1 변형력 및 상기 제 2 변형력이 서로 상쇄되는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예각(θ1) 및 상기 제 2 예각(θ2)의 부호가 다르고, 동시에, 제 1 예각(θ1) 및 상기 제 2 예각(θ2)의 절대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상기 제 1 변형력 및 상기 제 2 변형력이 서로 상쇄되는 효과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0,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학필름(101)은 제 1 베이스필름(10), 접착층(15), 제 2 베이스필름(20),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의 출사면(27) 상에 구비되는 프리즘패턴(35)을 포함한다.
상기 프리즘 패턴(35)은 상기 출사면(27)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리즘 패턴(35)은 상기 출사면(27)을 통해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에 대해 비스듬히 출사되는 광의 경로를 대략적으로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에 수직인 방향으로 변경시킨다. 따라서, 광을 이용하는 광학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101)은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는 프리즘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액정표시패널(미도시) 및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101)은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광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 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집광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학필름(102)은 제 1 베이스필름(10), 접착층(15), 제 2 베이스필름(20),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20)의 출사면(27) 상에 구비되는 마이크로렌즈 패턴(36)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렌즈 패턴(36)은 상기 출사면(27)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따라서, 광을 이용하는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102)은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액정표시패널(미도시) 및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102)은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상기 광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액정표시패널 측으로 진행하는 광을 확산하여 상기 액정표시장치가 표시영역 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광학필름(103)은 제 1 베이스필름(10), 접착층(15), 제 2 베이스필름(20), 출사면(27) 상에 구비되는 확산층(30) 및 상기 접착층(15) 내부에 분산된 확산비드(15)를 포함한다.
상기 확산비드(17)는 실리카(silica)와 같은 무기재료로 형성되거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와 같은 유기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비드(17)는 입사면(28)을 통해 상기 제 1 베이스필름(10)을 투과하는 광을 확산시킨다. 따라서, 상기 광학필름(103)은 상기 확산층(30) 뿐만 아니라 상기 확산비드(17)에 의해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광학필름(104)은 제 1 베이스필름(10), 접착층(15), 제 2 베이스필름(20), 출사면(27) 상에 구비되는 확산층(30), 및 상기 입사면(28) 상에 구비되는 볼록부(38)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필름(104)이 다른 구성요소와 인접하게 배치될 때, 상기 볼록부(38)는 상기 광학필름(104)이 상기 구성요소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액정표시패널(미도시) 및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104)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신필름의 기능을 할 때, 상기 볼록부(38)는 상기 광학필름(104)이 상기 광학필름(104)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구성요소, 예컨대, 도광판(미도시)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록부(38)에 의해 상기 광학필름(104)은 0.1마이크로미터 내지 50마이크로미터의 표면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표면거칠기가 0.1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 외부 환경에 따라 상기 볼록부(38)의 기능이 저하되어 상기 광학필름(104)이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거칠기가 50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볼록부(38)에 의해 산란되는 광의 양이 지나치게 증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필름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4 롤들(R1,R2,R3,R4)이 배치되고, 상기 제 3 롤(R3) 및 상기 제 4 롤(R4) 사이에 제 1 및 제 2 연신장치들(50,51)이 배치된다. 제 1 예비 베이스필름(61)은 제 1 폭(W1)을 가져 상기 제 1 롤(R1), 상기 제 2 롤(R2), 및 상기 제 3 롤(R3)에 순차적으로 감겨있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롤들(R1,R2,R3)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61)은 제 1 방향(D1) 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61)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롤들(R1,R2,R3)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진행할 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롤들(R1,R2,R3)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61)을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연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롤(R1) 및 상기 제 3 롤(R3)이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고, 상기 제 1 롤(R1)을 제 1 속도(V1)로 회전운동시키고, 상기 제 3 롤(R3)을 상기 제 1 속도(V1) 보다 큰 제 2 속도(V2)로 회전운동시킬 때,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61)에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작용하는 힘이 발생된다. 그 결과,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61)이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연신되어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이 제조된다.
그 이후에, 상기 제 1 내지 제 4 롤들(R1,R2,R3,R4)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을 상기 제 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의 일측 모서리를 상기 제 1 연신장치(50)를 이용하여 제 2 방향(D2)으로 잡아당기고,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의 타측 모서리를 상기 제 2 연신장치(51)를 이용하여 제 3 방향(D3)으로 잡아당긴다. 그 결과, 상기 제 1 연신장치(50)와 인접한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상에 상기 제 2 방향(D2)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 1 힘(F1)이 작용하고, 상기 제 2 연신장치(51)와 인접한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 상에 상기 제 3 방향(D3)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 2 힘(F2)이 작용한다.
또한,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 상에는, 상기 제 1 힘(F1) 및 상기 제 2 힘(F2)이 작용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내지 제 4 롤들(R1,R2,R3,R4)의 회전운동에 따른 상기 제 1 방향(D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 5 힘(F5)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신장치(50)와 인접한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 상에 상기 제 1 힘(F1) 및 상기 제 5 힘(F5)이 결합하여 정의되는 제 3 힘(F3)이 작용하고, 상기 제 2 연신장치(51)와 인접한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 상에 상기 제 2 힘(F2) 및 상기 제 5 힘(F5)이 결합하여 정의되는 제 4 힘(F4)이 작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2 연신장치들(50,51)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을 연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 3 힘(F3) 및 상기 제 4 힘(F4)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62)이 연신되어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이 제조된다.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은 상기 제 3 힘(F3) 및 상기 제 4 힘(F4)의 방향으로 연신되므로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의 제 2 폭(W2)은 상기 제 1 폭(W1) 보다 크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4 롤(R4)에 감긴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의 연신방향은 영역에 따라 서로 상이하고, 그 이유는,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의 모서리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 상에 작용하는 제 1 힘(F1) 또는 제 2 힘(F2)의 크기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평면상에서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의 중심을 지나 제 1 방향(D1)과 나란한 중심선(65)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을 두 영역들로 구분할 때, 상기 두 영역들에서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의 제 1 내지 제 4 연신축들(63a,63b,63c,63d)은 대략적으로 상기 중심선(65)을 기준으로 대칭한 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두 영역들 각각을 다시 두 영역들로 구획하여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을 제 1 내지 제 4 영역들(L1,L2,L3,L4)로 구획할 때, 상기 제 1 영역(L1)에 대응하는 제 1 연신축(63a) 및 상기 제 4 영역(L4)에 대응하는 제 4 연신축(63d)은 중심선(65)에 대해 서로 대칭하고, 상기 제 2 영역(L2)에 대응하는 제 2 연신축(63b) 및 상기 제 3 영역(L3)에 대응하는 제 3 연신축(63c)은 중심선(65)에 대해 서로 대칭한다.
따라서, 제 1 재단영역(CA1) 및 제 4 재단영역(CA4)을 따라 상기 제 3 예비베이스필름(63)을 재단하거나, 제 2 재단영역(CA2) 및 제 3 재단영역(CA3)을 따라 상기 제 3 예비베이스필름(63)을 재단하는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도 1의 10, 20)과 같이,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연신축들을 갖는 베이스필름들을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재단영역(CA1)을 따라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을 재단하면, 음의 제 2 예각(도 1의 θ2)을 갖는 베이스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상기 제 4 재단영역(CA)을 따라 상기 제 3 예비 베이스필름(63)을 재단하면, 양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 2 예각의 절대값과 유사한 제 1 예각(도 1의 θ1)을 갖는 베이스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필름들의 들뜸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따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테스트필름(25)을 60℃의 온도 및 75%의 습도가 유지되 는 환경에서 96시간 방치한다. 제 1 각도(도 1의 θ1) 및 제 2 각도(도 1의 θ2)의 크기를 제외하면, 상기 테스트필름(25)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광학필름들(도 2의 100, 도 4의 101, 및 도 5의 102)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테스트필름(25)이 상술한 조건을 갖는 환경에서 방치된 이후에, 상기 테스트 필름(25)을 지면(70) 위에 상기 지면(70)과 수직으로 고정되는 플레이트(71)에 부착시키되, 측면상에서 상기 테스트필름(25)의 최상단부만을 상기 플레이트(71)에 부착시킨다. 그 이후에, 제 1 측정포인트(MT1) 내지 제 4 측정포인트들(MT4)에서, 상기 테스트필름(25)이 상기 플레이트(71)로부터 어느 정도 들떴는지를 측정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테스트필름(25)의 들뜸 현상을 테스트의 결과가 나타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테스트는 제 1 내지 제 5 테스트필름들에 대해 진행되었고, 아래 표 1은 상기 제 1 내지 제 5 테스트들의 시료들의 특징을 나타낸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각도(도 1의 θ1) 및 제 2 각도(도 1의 θ2)의 크기를 제외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5 테스트필름들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광학필름들(도 2의 100, 도 4의 101, 및 도 5의 102)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 1 및 제 5 테스트필름들 각각은 제 1 베이스필름(도 1의 10) 및 제 2 베이스필름(도 1의 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 각각의 두께는 100마이크로미터로 한정된다.

구분

테스트필름 두께

제1각도

제2각도

최대들뜸높이

평균들뜸높이

제1 테스트필름

0.24mm

+33도
-
30도

3.0mm

2.0mm

제2 테스트필름

0.24mm

+33도

-30도

2.6mm

1.8mm

제3 테스트필름

0.23mm

+33도

-30도

1.9mm

1.5mm

제4 테스트필름

0.24mm

+33도

+30도

5.6mm

4.5mm

제5 테스트필름

0.24mm

-30도

-25도

5.9mm

5.0mm
도 11a의 제 1 그래프(G1)는 테스트필름들의 최대들뜸높이를 나타낸 것이고, 제 2 그래프(G2)는 테스트필름들의 평균들뜸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 및 상기 표 1의 결과를 종합하면,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의 곱이 음일 때,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의 곱이 양일 때 보다, 전반적으로 테스트필름의 최대들뜸높이 및 평균들뜸높이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의 곱이 음일 때, 외부환경요인에 따른 테스트필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변형력들이 서로 상쇄되어 테스트필름의 들뜸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 1 테스트필름 내지 제 3 테스트필름들의 들뜸 현상을 테스트한 결과가 나타난다. 테스트 조건은 앞서 도 10에서 설명된 테스트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제 1 각도(도 1의 θ1) 및 제 2 각도(도 1의 θ2)의 크기를 제외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테스트필름들은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광학필름들(도 2의 100, 도 4의 101, 및 도 5의 102)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 1 내지 제 3 테스트필름들 각각은 제 1 베이스필름(도 1의 10) 및 제 2 베이스필름(도 1의 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 각각의 두께는 100마이크로미터로 한정된다. 아래 표 2는 상기 제1 내지 제3 테스트필름들의 특징을 나타난다.

구분

테스트 필름 두께

제1 각도

제2 각도

최대들뜸높이

평균들뜸높이

제1 테스트필름

0.29mm

+28도

-29도

3.0mm

2.0mm

제2 테스트필름

0.24mm

+28도

+27도

3.4mm

2.8mm

제3 테스트필름

0.24mm

-29도

-31도

3.1mm

2.4mm
도 11b 및 상기 표 2의 결과를 종합하면, 도 11a 및 표 1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의 곱이 음일 때, 제1 각도 및 제 2 각도의 곱이 양일 때보다, 전반적으로 테스트필름의 최대들뜸높이 및 평균들뜸높이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즉, 제 1 각도 및 제 2 각도의 곱이 음일 때, 외부환경요인에 따른 테스트필름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변형력들이 상쇄되어 테스트필름의 들뜸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 각각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테스트필름들 각각의 최대들뜸높이 및 평균들뜸높이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500)는 광을 발생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400)을 포함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램프들(150), 반사판(110), 상기 램프들(150) 및 상기 반사판(110)을 수납하는 바텀샤시(310), 및 확산판(120), 다수의 광학필름들(130)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들(50) 각각은 선광원(line light source)의 형상을 가져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사판(110) 위에 배열된다. 상기 램프들(150)은 램프전극선과 연결되어 인버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전원은 상기 램프전극선을 통해 상기 램프들(150) 측으로 제공된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들(150)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등의 점광원일 수도 있으며, 상기 램프들(150)은 발광다이오드 및 유기발광소자외에 다른 종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서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직하형으로, 상기 램프들(15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하부에 위치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액정표시장치(500)는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미도시) 및 그 외의 다른 형태의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판(1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광을 반사하는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바텀샤시(310)의 바닥부 상에 구비된다. 상기 램프들(150)로부터 발생된 이후에, 상기 액정표시패널(400) 측으로 진행하지 않고, 상기 반사판(110) 측에 도달된 광은 상기 반사판(110)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400) 측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램프들(15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하부에 위치한다. 하지만, 상기 램프들(150)의 위치는 변경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램프들(150)의 위치는 상기 바텀샤시(310)의 내측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램프들(150)이 상기 내측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도광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램프들(150)은 상기 도광판의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램프들(150)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상기 도광판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400) 측으로 가이드 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판(120)은 상기 램프들(150) 상부에 배치되어 광을 확산시킨다. 그 결과, 상기 램프들(150)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확산판(120)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400) 측으로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들(130)은 상기 확산판(120)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학필름들(130)은 상기 확산판(120)을 투과한 광을 집광하여 정면 휘도를 향상시키는 프리즘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들(130)이 상기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프리즘시트는 도 4에 도시된 광학필름(도 4의 10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필름들(130)은 상기 확산판(120)을 투과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필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들(130)이 상기 확산필름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확산필름들은 도 2에 도시된 광학필름(도 2의 100)을 포함하거나, 도 5에 도시된 광학필름(도 5의 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은 박막트렌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기판(420) 및 제 1 기판(420)과 마주하고 있는 제 2 기판(41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420)은 다수의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들 각각은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410)은 상기 화소들과 일대일 대응하여 위치하는 컬러필터들(미도시) 및 상기 화소전극과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상기 제 1 기판(420) 및 상기 제 2 기판(410) 사이에 개재된 액정은 상기 화소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 그 방향자가 변경되어 상기 제 1 기판(420) 및 상기 제 2 기판(410)을 투과하는 광량이 조절되고, 그 결과, 상기 액정표시장치(500)는 원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컬러필터들은 상기 제 1 기판(420)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기판(410)은 상기 공통전극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 1 기판(420)이 상기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기판(420)이 상기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수평전계를 형성하여 액정의 방향자를 조절하는 대향전극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바텀샤시(310)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구비하여 수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반사판(110) 및 상기 램프들(150)이 수납된다. 상기 램프들(150) 상부에는 상기 확산판(120), 상기 광학필름들(13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탑샤시(38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400)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텀샤시(310)와 결합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을 따라 절취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연신되기 이전의 고분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소정 방향으로 연신된 고분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필름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부재들의 들뜸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에 따라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베이스필름 20 -- 제 2 베이스필름
15 -- 접착층 30 -- 광학층
11 -- 제 1 연신축 22 -- 제 2 연신축

Claims (20)

  1.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고, 제 1 연신축과 제 1 기준선을 구비하는 제 1 베이스필름;
    상기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고, 제 2 연신축과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기준선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베이스필름과 결합되는 제 2 베이스필름; 및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위에 구비되어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층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상기 제 1 기준선 및 상기 제 2 기준선 상에서 교차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의되는 각을 양의 각도로 정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의되는 각을 음의 각도로 정의하면,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과 상기 제 1 연신축이 형성하는 제 1 예각 및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과 상기 제 2 연신축이 형성하는 제 2 예각의 곱은 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은 상기 제 1 연신축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은 상기 제 2 연신축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에 대해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을 상호 간에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상기 제 2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접착층은 각각 1.4 내지 1.6의 굴절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 1 베이스필름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비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마이크로렌즈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상기 출사면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비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 각각의 두께는 0.05 밀리미터 내지 0.5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14. 제 1 예비 베이스필름에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 상이한 제 2 방향들 로 힘을 작용시켜 상기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정의되는 연신축을 갖는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을 재단하여 제 1 연신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이스필름 및 제 2 연신축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이스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을 서로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 위에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의 영역에 따라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들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가 상이하여 상기 연신축의 방향은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의 영역에 따라 상이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서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베이스필름들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의 기준선이 정의될 때,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상기 기준선 상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고, 상기 제 2 방향들은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여 상기 제 1 예비 베이스필름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과 일대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의 중심을 지나 상기 제 1 방향과 나란한 직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을 구획할 때, 상기 제 2 예비 베이스필름으로부터 상기 제 1 베이스필름 및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이 재단되는 위치들은 평면상에서 상기 직선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의 제조 방법.
  17.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광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제공되는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필름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을 갖고, 제 1 연신축과 제 1 기준선을 구비하는 제 1 베이스필름;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갖고, 제 2 연신축과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기준선을 구비하여 상기 제 1 베이스필름과 결합되는 제 2 베이스필름; 및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위에 구비되어 광의 이동 경로를 조절하는 광학층을 포함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상기 제 1 기준선 및 상기 제 2 기준선 상에서 교차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의되는 각을 양의 각도로 정의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의되는 각을 음의 각도로 정의하면,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과 상기 제 1 연신축이 형성하는 제 1 예각 및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과 상기 제 2 연신축이 형성하는 제 2 예각의 곱은 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이스필름은 상기 제 1 연신축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고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필름은 상기 제 2 연신축의 방향으로 배향되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 1 기준선 또는 상기 제 2 기준선에 대해 상기 제 1 연신축 및 상기 제 2 연신축은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90075807A 2009-08-17 2009-08-17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6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07A KR101562313B1 (ko) 2009-08-17 2009-08-17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12/684,623 US20110038139A1 (en) 2009-08-17 2010-01-08 Optical film with reduced distortion,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807A KR101562313B1 (ko) 2009-08-17 2009-08-17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161A KR20110018161A (ko) 2011-02-23
KR101562313B1 true KR101562313B1 (ko) 2015-10-22

Family

ID=4358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8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562313B1 (ko) 2009-08-17 2009-08-17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38139A1 (ko)
KR (1) KR101562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8634B2 (en) * 2011-05-03 2015-03-24 Lg Electronics Inc.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870448B1 (ko) * 2012-03-22 2018-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시트,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광학시트 제조방법
WO2014106599A1 (en) * 2013-01-07 2014-07-10 Smr Patents Sarl A light reflector arrangement
KR102194713B1 (ko) * 2014-01-27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드라이 필름 포토레지스트
US20170199309A1 (en) * 2016-01-12 2017-07-13 Optivision Technology Inc. Optical device and diffusion fil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022A (ja) 2002-08-28 2004-03-1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WO2009076284A1 (en) * 2007-12-12 2009-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laminates
JP2009175434A (ja) * 2008-01-24 2009-08-06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8165A5 (de) * 1993-07-26 1997-05-30 Balzers Hochvakuum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ischen Wellenleiters und darnach hergestellter optischer Wellenleiter
US5453325A (en) * 1993-12-09 1995-09-26 Eastman Kodak Company Nonlinear optical waveguide multilayer structure
JP3920364B2 (ja) * 1994-12-28 2007-05-3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二光束生成方法及び二光束生成型面光源装置
US6239851B1 (en) * 1995-10-12 2001-05-29 Ibm Corporation Planar light source device having polarization separator formed of two sheets with mating triangular prisms and different indices of refraction
JP2001194534A (ja) * 2000-01-13 2001-07-19 Nitto Denko Corp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3241784A1 (en) * 2002-05-28 2003-12-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aterial for substrate mounting optical circuit-electric circuit mixedly and substrate mounting optical circuit-electric circuit mixedly
US7624783B2 (en) * 2006-07-12 2009-12-01 Sensenig Luke G Curtain system for domestic animal shelter
JP2005050654A (ja) * 2003-07-28 2005-02-24 Clariant Internatl Ltd 面光源装置
US7058272B2 (en) * 2003-12-29 2006-06-06 Eastman Kodak Company Wave-guided optical indicator
US7784954B1 (en) * 2006-07-25 2010-08-31 Fusion Optix, Inc. Polarization sensitive light homogeniz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6022A (ja) 2002-08-28 2004-03-1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WO2009076284A1 (en) * 2007-12-12 2009-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laminates
JP2009175434A (ja) * 2008-01-24 2009-08-06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8139A1 (en) 2011-02-17
KR20110018161A (ko)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8682B2 (en) Optical sheet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859413B1 (ko)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392899B (zh) 聚光片,包含聚光片之背光單元以及包含背光單元之液晶顯示模組
CN107003565B (zh) 光偏转漫射片、堆叠光偏转漫射片、堆叠光学片以及使用上述的液晶显示装置
TWI790561B (zh) 擴散片、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及資訊機器
US10359668B2 (en)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module
KR20090037989A (ko) 광학 포장체 및 그 제조 방법, 조명 장치와 표시 장치
KR101562313B1 (ko) 광학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N110941116B (zh) 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181375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98767B1 (ko) 슬림형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918873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reflective sheet for the same
US20090046478A1 (en) Backlight module and optical film thereof
US20240012286A1 (en) Light diffusion sheet,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equipment
CN205028004U (zh) 背光模组与显示装置
KR20090123527A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TW201329545A (zh) 液晶顯示裝置
KR102571687B1 (ko) 프리즘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장치
TWI861581B (zh) 複合光擴散片、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以及資訊機器
TWI852207B (zh) 光學片積層體、背光單元、液晶顯示裝置、資訊機器以及背光單元的製造方法
TWI547737B (zh) 控制光通量之元件及具有其之顯示裝置
WO2024111170A1 (ja) 光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KR101185051B1 (ko) 광학시트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1257140B1 (ko) 집광형 광학 시트
JP2024112891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及び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