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1452B1 -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452B1
KR101561452B1 KR1020140031249A KR20140031249A KR101561452B1 KR 101561452 B1 KR101561452 B1 KR 101561452B1 KR 1020140031249 A KR1020140031249 A KR 1020140031249A KR 20140031249 A KR20140031249 A KR 20140031249A KR 101561452 B1 KR101561452 B1 KR 101561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mattress
mattress body
attachment member
ai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258A (ko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최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호 filed Critical 최정호
Priority to KR102014003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4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7/00Children's bed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등을 대고 똑바로 누운 상태로 잠을 자던 유아가 몸을 뒤집어 코를 박고 엎드려 자더라도 질식사고로 인한 돌연사가 방지될 수 있도록 3D 메시 구조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본체;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3D 메시 구조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유아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게 될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상단 일부를 제외하고 씌워 커버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으로, 유아의 체온 유지를 위한 보온 기능을 하는 보온시트 커버; 상기 매트리스 본체와 상기 보온시트 커버를 양쪽 측면 테두리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부착 부재; 및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자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하부와 유아 침대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3개의 통풍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따르면, 3D 메시 구조를 형성한 매트리스 본체와, 매트리스 본체와 유아 침대 사이에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통풍 구조체 3개를 배치하고,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온 기능을 하는 보온시트 커버를 매트리스 본체에 씌워 커버한 후 부착 부재를 통해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아가 몸을 뒤집어 코를 박고 엎드려 자는 형태를 취하더라도 통기성이 우수한 3D 메시 층 부재를 통해 유아의 질식사고가 방지되고, 그에 따른 유아의 돌연사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며, 보온시트 커버의 보온으로 3D 메시 층 부재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되고 잠을 자는 유아의 체온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리스 본체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구성하는 제1 부착 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보온시트 커버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가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매트리스 본체에 보온시트 커버를 씌워 커버한 후 고정시킬 때 보온시트 커버가 팽팽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어 접혀진 부분 없이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세탁을 위한 분리 시에도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체결 및 분리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매트리스 본체와 유아 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통풍 구조체를 조합으로 배치할 때, 양 측면에 형성된 공기 흐름 유도 돌기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풍 구조체로 인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유아 침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 본체의 3D 메시 층 부재로 원활한 흐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기존의 유아 침대에서 갖는 밀폐된 구조로 인해 질식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A INFANT MATTRESS DEVICE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SUDDEN DEATH USING A PLASTIC STRUCTURE INCLUDING FOR AIR LAYER}
본 발명은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가 엎드려 자더라도 통기성이 우수한 3D 메시 층 부재와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통풍 구조체를 통해 유아의 질식사고로 인한 영아 돌연사가 방지되고, 보온시트 커버의 팽팽한 체결 고정을 통해 커버의 접혀진 부분 없이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온시트 커버를 통한 보온으로 3D 메시 층 부재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되고 잠을 자는 유아의 체온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은 부검이나 사망 당시의 상황 및 병력 검토 등 사후 검사에서도 사망원인을 찾을 수 없는 영아나 유아의 갑작스런 죽음을 말한다. 세계적으로 1000명의 출생아 당 1~3명 정도가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사망하며, 선진국에서는 영아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이러한 영아 돌연사는 생후 2~4개월 영아들에게 가장 빈발하며, 아이가 자는 동안에 주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영아 돌연사의 발생 원인은 모체의 흡연이나 약물 복용, 출산 연령이 낮거나 영양부족, 임신 간격이 짧을 경우에 영아 돌연사가 생길 수 있고, 신생아의 성장장애, 미숙아, 질식, 너무 덥게 감싸주는 것, 너무 부드러운 이부자리, 엎드려 재우기, 계절적인 요인도 이유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 중에서 아이의 잠자는 자세와 어머니의 흡연이 특히 연관이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엎드려 자는 아이가 바로 누워 자는 아이보다 약 3배 이상 영아 돌연사로 사망하는 빈도가 높다. 영아 돌연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신 중 흡연이나 카페인 섭취를 금해야 하며 출산 후에도 자제하는 것이 좋고, 또한 영아를 너무 푹신한 이불이나 베개에 재우지 말고 잠을 재울 때도 엎드려 재우기보다는 바로 뉘어서 재워야 하는데, 잠자는 중 자세가 바뀌면서 위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잠을 자면서 나타나는 아이의 사소한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미국 국립소아건강발육연구센터와 질병대책센터가 조사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엎드려 잠자던 아이가 돌연사할 가능성은 바로 누워 자는 아이에 비해 2.4~4배 정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3411호는 유아용 안전 침구로서, 유아의 질식 사고나 영아 돌연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유아가 항상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안전 침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안전 침구는 유아 의복에 제1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침구용 깔개에 제2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유아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제1 고정수단이 형성된 많은 수의 유아 의복을 필요로 하며, 경제적인 부담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3D 메시 구조를 형성한 매트리스 본체와, 매트리스 본체와 유아 침대 사이에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통풍 구조체 3개를 배치하고,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온 기능을 하는 보온시트 커버를 매트리스 본체에 씌워 커버한 후 부착 부재를 통해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아가 몸을 뒤집어 코를 박고 엎드려 자는 형태를 취하더라도 통기성이 우수한 3D 메시 층 부재를 통해 유아의 질식사고가 방지되고, 그에 따른 유아의 돌연사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며, 보온시트 커버의 보온으로 3D 메시 층 부재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되고 잠을 자는 유아의 체온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리스 본체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구성하는 제1 부착 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보온시트 커버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가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매트리스 본체에 보온시트 커버를 씌워 커버한 후 고정시킬 때 보온시트 커버가 팽팽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어 접혀진 부분 없이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세탁을 위한 분리 시에도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체결 및 분리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매트리스 본체와 유아 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통풍 구조체를 조합으로 배치할 때, 양 측면에 형성된 공기 흐름 유도 돌기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풍 구조체로 인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유아 침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 본체의 3D 메시 층 부재로 원활한 흐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기존의 유아 침대에서 갖는 밀폐된 구조로 인해 질식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는,
등을 대고 똑바로 누운 상태로 잠을 자던 유아가 몸을 뒤집어 코를 박고 엎드려 자더라도 질식사고로 인한 돌연사가 방지될 수 있도록 3D 메시 구조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본체;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3D 메시 구조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유아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게 될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상단 일부를 제외하고 씌워 커버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으로, 유아의 체온 유지를 위한 보온 기능을 하는 보온시트 커버;
상기 매트리스 본체와 상기 보온시트 커버를 양쪽 측면 테두리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부착 부재; 및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자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하부와 유아 침대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3개의 통풍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는,
쿠션 층 부재와 3D 메시 층 부재의 2중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는,
쿠션 층 부재를 매개로 양 단으로 3D 메시 층 부재를 각각 형성하는 3중 구조의 샌드위치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온시트 커버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2/3를 수용하여 덮을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부착 부재; 및
상기 제1 부착 부재에 대응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온시트 커버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제1 부착 부재와 상기 제2 부착 부재를 대응하는 한 쌍으로 하여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서 각각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서 단추, 고리, 및 벨크로 구성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부착 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보온시트 커버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매트리스 본체를 씌워 커버하는 상기 보온시트 커버가 팽팽한 상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3개의 통풍 구조체는,
각각이 분리된 형태의 직사각 형상으로, 3개를 연결하여 1세트의 매트리스 하부 구조로 조립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3개의 통풍 구조체 각각은,
상기 매트리스 본체가 위치하게 될 격자 형상 구조의 매트리스 받침대;
상기 매트리스 받침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매트리스 받침대의 격자 형태 구조보다 큰 격자 형태 구조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유아 침대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유아 침대 받침대;
상기 매트리스 받침대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매트리스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매트리스 고정 돌기; 및
상기 유아 침대 받침대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매트리스 본체와 유아 침대 사이에 공기 흐름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흐름 유도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풍 구조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따르면, 3D 메시 구조를 형성한 매트리스 본체와, 매트리스 본체와 유아 침대 사이에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통풍 구조체 3개를 배치하고,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보온 기능을 하는 보온시트 커버를 매트리스 본체에 씌워 커버한 후 부착 부재를 통해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아가 몸을 뒤집어 코를 박고 엎드려 자는 형태를 취하더라도 통기성이 우수한 3D 메시 층 부재를 통해 유아의 질식사고가 방지되고, 그에 따른 유아의 돌연사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며, 보온시트 커버의 보온으로 3D 메시 층 부재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되고 잠을 자는 유아의 체온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리스 본체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구성하는 제1 부착 부재와 이에 대응하는 보온시트 커버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가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매트리스 본체에 보온시트 커버를 씌워 커버한 후 고정시킬 때 보온시트 커버가 팽팽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어 접혀진 부분 없이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세탁을 위한 분리 시에도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체결 및 분리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매트리스 본체와 유아 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통풍 구조체를 조합으로 배치할 때, 양 측면에 형성된 공기 흐름 유도 돌기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풍 구조체로 인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유아 침대에 배치되는 매트리스 본체의 3D 메시 층 부재로 원활한 흐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기존의 유아 침대에서 갖는 밀폐된 구조로 인해 질식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적용하는 부착 부재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서 부착 부재의 체결에 따른 보온시트 커버의 체결 고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적용되는 통풍 구조체의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와 유아 침대의 설치 전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를 유아 침대에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공기 순환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가 유아 침대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공기 순환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분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는, 매트리스 본체(110), 보온시트 커버(120), 부착 부재(130), 및 통풍 구조체(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매트리스 본체(110)는, 등을 대고 똑바로 누운 상태로 잠을 자던 유아가 몸을 뒤집어 코를 박고 엎드려 자더라도 질식사고로 인한 돌연사가 방지될 수 있도록 3D 메시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매트리스 본체(11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층 부재(111)와 3D 메시 층 부재(112)의 2중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 본체(11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층 부재(111)를 매개로 양 단으로 3D 메시 층 부재(112)를 각각 형성하는 3중 구조의 샌드위치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매트리스 본체(110)에 사용되는 쿠션 층 부재(111)는 천연 라텍스, 스펀지, 및 면직 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리스 본체(110)는 우수한 통기성으로 인해 유아가 엎드려 자는 자세에서도 질식사고 및 돌연사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우수한 통기성으로 인해 열을 잘 흡수함에 따라 열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나, 후술하게 될 보온시트 커버(120)를 통해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되고 보온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매트리스 본체(110)와 보온시트 커버(120)의 유기적인 구성으로 질식방지와 함께 유아의 열 손실이 보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온시트 커버(120)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3D 메시 구조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유아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게 될 매트리스 본체(110)의 상단 일부를 제외하고 씌워 커버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으로, 유아의 체온 유지를 위해 보온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온시트 커버(120)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2/3를 수용하여 덮을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크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온시트 커버(120)는 유아의 연약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직물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부착 부재(130)는, 매트리스 본체(110)와 보온시트 커버(120)를 양쪽 측면 테두리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부착 부재(130)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부착 부재(131)와, 제1 부착 부재(131)에 대응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보온시트 커버(120)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13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 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착 부재(131)와 상기 제2 부착 부재(132)를 대응하는 한 쌍으로 하여 매트리스 본체(110)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서 각각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서 단추, 고리, 및 벨크로 구성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부착 부재(130)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부착 부재(131)와 이에 대응하는 보온시트 커버(120)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132)의 체결을 통해 매트리스 본체(110)를 씌워 커버하는 보온시트 커버(120)가 팽팽한 상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통풍 구조체(140)는,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자 형태의 구조로서, 매트리스 본체(110)의 하부와 유아 침대(10)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풍 구조체(140)는 각각이 분리된 형태의 직사각 형상으로, 3개를 연결하여 1세트의 매트리스 하부 구조로 조립 구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통풍 구조체(140)는 유아 침대(10) 위에 3개가 나란히 배치되고, 그 위에 매트리스 본체(110)가 올려 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통풍 구조체(140) 각각은, 매트리스 본체(110)가 위치하게 될 격자 형상 구조의 매트리스 받침대(141)와, 매트리스 받침대(14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매트리스 받침대(141)의 격자 형태 구조보다 큰 격자 형태 구조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어 유아 침대(10)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유아 침대 받침대(142)와, 매트리스 받침대(141)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매트리스 본체(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매트리스 고정 돌기(143), 및 유아 침대 받침대(142)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매트리스 본체(110)와 유아 침대(10) 사이에 공기 흐름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흐름 유도 돌기(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풍 구조체(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플라스틱 재질 중에서도 유아가 사용하는 침대에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친환경적인 소재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례로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적용하는 부착 부재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 부착 부재(131)로서, 단추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의 (b)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 부착 부재(131)로서, 고리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의 (c)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 부착 부재(131)로서, 길이를 갖는 벨크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때, 보온시트 커버(120)에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 부착 부재(131)에 대응하는 단추, 고리, 및 벨크로 중 하나로 구성되는 제2 부착 부재(132)가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서 부착 부재의 체결에 따른 보온시트 커버의 체결 고정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보온시트 커버(120)에 형성된 제2 부착 부재(132)가 매트리스 본체(110)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 부착 부재(131)에 체결되지 않아 보온시트 커버(120)가 느슨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b)는 보온시트 커버(120)에 형성된 제2 부착 부재(132)가 매트리스 본체(110)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 부착 부재(131)에 체결되어 보온시트 커버(120)가 팽팽하게 잡아 당겨진 체결 고정 상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부착 부재(130)는 매트리스 본체(110)의 양쪽 측면 테두리에 배치된 제1 부착 부재(131)와 이에 대응하는 보온시트 커버(120)에 형성된 제2 부착 부재(132)를 테두리의 양쪽에서 체결 고정함으로써, 매트리스 본체(110)에 보온시트 커버(120)를 씌워 커버한 후 고정시킬 때 보온시트 커버(120)가 팽팽한 상태로 체결 고정되어 접혀진 부분 없이 유아가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세탁을 위한 분리 시에도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체결 및 분리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에 적용되는 통풍 구조체의 사시도,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1개의 통풍 구조체(140)의 사시도 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통풍 구조체(140)의 길이가 짧은 면의 측면도로서, 매트리스 고정 돌기(143)와 공기 흐름 유도 돌기(144)의 형태 및 배치 구성을 나타내며, 도 6의 (c)는 통풍 구조체(140)의 길이가 긴 면의 측면도로서, 유아 침대 받침대(142)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매트리스 고정 돌기(143)는 매트리스 본체(110)를 배치하여 설치할 때 매트리스 본체(110)를 양쪽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 흐름 유도 돌기(114)는 유아 침대(10)의 프레임과 맞닿도록 돌출되는 구성으로, 양측에 돌설된 부분이 매트리스 본체(110)와 유아 침대(10)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와 유아 침대의 설치 전 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를 유아 침대에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의 공기 순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가 유아 침대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공기 순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3개의 통풍 구조체(140)와, 보온시트 커버(120)가 씌워진 매트리스 본체(110)가 유아 침대(10)에 설치되기 이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유아 침대(10)에 3개의 통풍 구조체(140)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통풍 구조체(140)의 위로 보온시트 커버(120)가 씌워진 매트리스 본체(110)가 배치되어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통풍 구조체(140)의 공기층으로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공기 흐름 상태를 나타내는 통풍 구조체(140)의 길이가 긴 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통풍 구조체(140)의 공기층으로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공기 흐름 상태를 나타내는 통풍 구조체(140)의 길이가 짧은 면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유아 침대(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통풍 구조체(140)로 흘러들어가는 공기 흐름 상태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매트리스 본체 111: 쿠션 층 부재
112: 3D 메시 층 부재 120: 보온시트 커버
130: 부착 부재 131: 제1 부착 부재
132: 제2 부착 부재 140: 통풍 구조체
141: 매트리스 받침대 142: 유아 침대 받침대
143: 매트리스 고정 돌기 144: 공기 흐름 유도 돌기

Claims (10)

  1. 등을 대고 똑바로 누운 상태로 잠을 자던 유아가 몸을 뒤집어 코를 박고 엎드려 자더라도 질식사고로 인한 돌연사가 방지될 수 있도록 3D 메시 구조를 형성하는 매트리스 본체(110);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의 3D 메시 구조에 의한 유아의 체온 손실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유아의 머리 부분이 위치하게 될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의 상단 일부를 제외하고 씌워 커버할 수 있는 주머니 형상으로, 유아의 체온 유지를 위한 보온 기능을 하는 보온시트 커버(120);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와 상기 보온시트 커버(120)를 양쪽 측면 테두리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하는 부착 부재(130); 및
    공기 흐름이 가능한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자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의 하부와 유아 침대(10)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는 3개의 통풍 구조체(140)를 포함하되,
    상기 3개의 통풍 구조체(140) 각각은,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가 위치하게 될 격자 형상 구조의 매트리스 받침대(141);
    상기 매트리스 받침대(14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매트리스 받침대(141)의 격자 형태 구조보다 큰 격자 형태 구조가 서로 이격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유아 침대(10) 위에 위치되도록 하는 유아 침대 받침대(142);
    상기 매트리스 받침대(141)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매트리스 고정 돌기(143); 및
    상기 유아 침대 받침대(142)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와 유아 침대(10) 사이에 공기 흐름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공기 흐름 유도 돌기(144)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는,
    쿠션 층 부재(111)와 3D 메시 층 부재(112)의 2중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는,
    쿠션 층 부재(111)를 매개로 양 단으로 3D 메시 층 부재(112)를 각각 형성하는 3중 구조의 샌드위치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시트 커버(120)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의 2/3를 수용하여 덮을 수 있는 주머니 형태의 크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130)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부착 부재(131); 및
    상기 제1 부착 부재(131)에 대응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온시트 커버(120)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132)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130)는,
    상기 제1 부착 부재(131)와 상기 제2 부착 부재(132)를 대응하는 한 쌍으로 하여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서 각각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서 단추, 고리, 및 벨크로 구성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130)는,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의 테두리 양쪽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부착 부재(131)와 이에 대응하는 보온시트 커버(120)에 형성되는 제2 부착 부재(132)의 체결을 통해 상기 매트리스 본체(110)를 씌워 커버하는 상기 보온시트 커버(120)가 팽팽한 상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통풍 구조체(140)는,
    각각이 분리된 형태의 직사각 형상으로, 3개를 연결하여 1세트의 매트리스 하부 구조로 조립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 구조체(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KR1020140031249A 2014-03-17 2014-03-17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61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249A KR101561452B1 (ko) 2014-03-17 2014-03-17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249A KR101561452B1 (ko) 2014-03-17 2014-03-17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258A KR20150108258A (ko) 2015-09-25
KR101561452B1 true KR101561452B1 (ko) 2015-10-20

Family

ID=5424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24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61452B1 (ko) 2014-03-17 2014-03-17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17B1 (ko) * 2016-09-02 2017-05-16 최재원 돌연사 예방 기능을 갖는 영아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641B1 (ko) * 2017-05-19 2019-08-28 (주)엘오엘 매트리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969A (ja) * 2005-06-10 2006-12-21 Nichibo:Kk ベ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969A (ja) * 2005-06-10 2006-12-21 Nichibo:Kk ベッ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217B1 (ko) * 2016-09-02 2017-05-16 최재원 돌연사 예방 기능을 갖는 영아용 침대
WO2018043919A1 (ko) * 2016-09-02 2018-03-08 최재원 돌연사 예방 기능을 갖는 영아용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258A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482B2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ES2776154T3 (es) Cuna multifuncional
JP5547275B2 (ja) マットレス取り付け具及びおくるみブランケット複合体、及び、おくるみブランケット
US8032958B2 (en) Swaddling blanket, paticularly for use in connection with premature infa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745793B2 (en) Medical mattress and mattress cover
US5331699A (en) Infant sleep support
US20110248532A1 (en) Temperature controlling seat cover
JP3186007U (ja) 添い寝用クッション
US20140259404A1 (en) Sculpture blanket or bendy blanket
JP2016511040A (ja) 乳児シートベッド
KR101597215B1 (ko) 신생아용 침구
KR101561452B1 (ko)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CN102448349B (zh) 关于覆盖物的改进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KR20090073411A (ko) 유아용 안전 침구
KR200466199Y1 (ko) 수면자세교정용 침구
KR20140119403A (ko) 압사 방지 기능을 갖는 영아용 요람
KR101185692B1 (ko) 일체형 포켓침구세트
TWM552302U (zh) 組合式床墊
TWI707647B (zh) 組合式床墊
KR200424073Y1 (ko) 낚시의자용 시트커버
KR102646673B1 (ko) 쿠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속싸개 어셈블리
CN213962790U (zh) 一种多功能防踢被
KR200260292Y1 (ko) 이불을 침상에 고정하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