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725B1 - filter element and mineralizer having the filter element - Google Patents
filter element and mineralizer having the filter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0725B1 KR101560725B1 KR1020150040283A KR20150040283A KR101560725B1 KR 101560725 B1 KR101560725 B1 KR 101560725B1 KR 1020150040283 A KR1020150040283 A KR 1020150040283A KR 20150040283 A KR20150040283 A KR 20150040283A KR 101560725 B1 KR101560725 B1 KR 1015607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ner cylinder
- filter element
- cylinder
- circumferential surface
- filter elemen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1/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producing fresh water, e.g.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sea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돌로마이트가 충전되는 외통체와,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측 부위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화대상수가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여 유입되도록 이루어진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외통체의 개방된 상면 및 저면을 폐쇄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외통체 내부로의 중화대상수 유입을 위한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라이저 장치용 필터 엘리먼트 및 이 필터 엘리먼트가 적용된 미네럴라이저 장치의 제공을 통해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돌로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높여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tub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is formed as an empty tube body, and an inner tube having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is formed as an empty tube body,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allow the neutralization target water to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s and to flow in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And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 introducing the water to be neutralized into the inside of the outer cylinder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And a filter element for a mineraliz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element To thereby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mineralizer apparatus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dolomite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돌로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높여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 및 이를 적용한 한 미네랄라이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element according to a new type and a mineralizer apparatus using the same, which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mineralizer apparatus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dolomite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일반적으로, 선박 혹은, 해양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미네랄라이저(mineralizer) 장치는 선박내 조수기에서 생성된 약산성의 물을 음용수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경도 및 pH값을 상승시켜 중성 또는 약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인 Ca, K 등을 첨가하는 장치이다.Generally, a mineralizer device used in a ship or an offshore plant changes the hardness and the pH value to neutral or weakly alkaline so that the weakly acidic water produced in the water generator in the ship can be used as drinking water And Ca, K which are minerals that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이와 같은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금속 용기에 미네랄 작용이 가능하도록 돌로마이트(dolomite) 원석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용기형 구조가 일반적이며,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Such a mineralizer device generally has a container-type structure in which a dolomite raw material is filled in a metal container so as to be able to function as a mineral, and is related to that shown in FIG. 1 attached hereto.
그러나, 전술된 종래 용기형 구조의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돌로마이트에 대한 주기적인 세척 및 교체 작업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삽 등으로써 용기 내의 돌로마이트를 꺼내야하는 등의 방법 사용에 따른 비위생적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선박 및 플랜트 등은 기술의 발전에 따른 규모의 증대에 따라 대용량의 미네랄라이저 장치가 필요시 되고 있으나 좁은 공간의 설치로 인해 상기 돌로마이트에 대한 세척 및 교체 작업이 극히 어려웠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ineralizer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container-type structure takes a long period of time to periodically clean and replace the dolomite, as well as an unsanitary problem due to the use of a method of taking out dolomite in a container by a shovel or the like have. In particular, a large-capacity mineralizer apparatus is required in ships and plants due to the increase in scale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it has been extremely difficult to clean and replace the dolomite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narrow space.
이에, 최근에는 복수의 필터 엘리먼트 구조로 돌로마이트의 충전 영역을 구현함으로써 세척 및 교체 작업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노력이 있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053801호에 개시된 바와 같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effort to make washing and replacing work more easily by implementing a charging area of dolomite with a plurality of filter element structures. In this regard, Lt; / RTI >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의 경우 소용량의 필터링 작용에는 유리한 반면, 대용량으로의 사용시에는 필터 엘리먼트 자체의 압력손실 및 강도 약화가 우려되어 그 적용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ilter el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advantageous for a small-capacity filtering oper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pplication of the filter element due to fear of the pressure loss and the strength of the filter element itself is difficult.
물론, 공개특허 제10-2009-006956호, 등록특허 제10-1199081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필터 엘리먼트의 사용으로써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노력도 있었으나, 미네랄라이저 장치와 같이 내부에 돌로마이트를 충전하는 구조에는 적합하지 못하였다.Of course, there has been an effort to reduce the pressure loss by using the filter element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10-2009-006956 and 10-1199081, but it is also possible to fill the inside with dolomite But it is not suitable for the structure.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돌로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높여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효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한 필터 엘리먼트 및 이를 적용한 미네랄라이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the mineralizer device, which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mineralizer devic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dolomite while minimizing the pressure loss. And a mineralizer device using the filter ele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 엘리먼트에 따르면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돌로마이트가 충전되는 외통체;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측 부위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화대상수가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여 유입되도록 이루어진 내통체; 상기 외통체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외통체의 개방된 상면 및 저면을 폐쇄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외통체 내부로의 중화대상수 유입을 위한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 element comprising: an outer tube having an interior opened with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formed as a hollow tube and a dolomite filled t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tube is formed with a hollow tube and an inner portion thereof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uter tube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ner cylinder through which the target number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and the upper and lower faces of the outer cylinder are closed. In addition, the inner cylinder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And a cover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 inflow.
여기서, 상기 커버체에 형성되는 각 유입공에는 중화대상수의 유입 유동을 와선(渦線) 형태로 유도하기 위한 와선형 혹은, 경사형 구조의 안내가이드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Here, each of the inflow holes formed in the cover body is provided with guide lines of a wavy line or an inclined line structure for guiding an inflow flow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in the form of a vortex line.
또한, 상기 커버체의 각 부위 중 상기 외통체와 결합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둘 이상의 커버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어 복수의 필터 엘리먼트가 서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nect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cover body opposite to the surface coupled with the outer casing so as to connect the two or more cover members to each other, so that the plurality of filter elem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exten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두 커버체 간의 대향면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내통체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외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외부파지단과, 상기 몸체단의 연통공 내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내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내주면 일부를 감싸는 내부파지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stage which is positioned so as to interpose between opposing faces between the two cover bodies position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ylinder positioned opposite to the center, An outer grasping end which is protrud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ich surrounds the upper end or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And an inner grasping end surrounding the inner grasping portion.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중화대상수가 충전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면서 용기부 내로 유입된 중화대상수가 통과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돌로마이트가 충전되는 외통체와,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측 부위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화대상수가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여 유입되도록 이루어진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외통체의 개방된 상면 및 저면을 폐쇄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외통체 내부로의 중화대상수 유입을 위한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neralizer apparatus comprising: a container unit for containing an object to be neutralized therein; And a filter element installed vertically in the container and passing the neutralizing object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portion. The filter element has a hollow body in whic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opened, and a dolomite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in such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An inner cylinder which is configured to allow the neutralization target water in the outer cylinder to flow through the passage hole and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and to close the opened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cylinder,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ner tube, a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a cover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 the mouth.
여기서, 상기 용기부는 상단 둘레에 유입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단 둘레에는 유출관이 형성된 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부 내의 상측 공간 중 상기 유입관에 비해 더욱 상측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상부 구획판이 상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부 내의 하측 공간 중 상기 유출관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복수의 장착공이 관통 형성된 하부 구획판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의 상단은 상기 상부 구획판에 설치됨과 더불어 각 필터 엘리먼트의 하단은 상기 하부 구획판의 각 장착공에 각각 장착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ainer portion is formed of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inlet pipe formed around the upper end thereof and an outlet pipe formed around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space above the inlet pipe in the upper space in the container portion, And a lower parti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formed therein is fixedly installed in a space of the lower space of the container unit which is located further downward than the outlet pipe, And a lower end of each filter element is mounted on each of the mounting holes of the lower partition plate so as to be vertically erected.
또한, 상기 하부 구획판의 상면 중 각 장착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각 장착공과 연통되는 관체로 이루어진 실링 서포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의 저면에는 상기 실링 서포트 내로 수용되거나 혹은, 상기 실링 서포트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의 내통체와 연통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진 실링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aling support formed of a tube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mounting holes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ition plate where the mounting holes are formed. The bottom of each filter element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aling support, And a seal supporting part formed of a tubular bod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ylinder of each of the filter elements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연결되고,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들 사이에는 각 필터 엘리먼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filter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 elements, and a connec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lter elements to connect the filter element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각 필터 엘리먼트 간의 대향면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각 필터 엘리먼트를 이루는 외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외부파지단과, 상기 몸체단의 연통공 내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각 필터 엘리먼트를 이루는 내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내주면 일부를 감싸는 내부파지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disposed so as to interpose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between the filter elements, and has a body end 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ylindrical body at the center, and an upper body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end, An outer grasping end surrounding an upper end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outer cylinder constituting the element and an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forming the respective filter elements while being protruded upward and downwar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ng hole of the body end, And an inner grasping end portion surrounding the inner grasping portion.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각 필터 엘리먼트의 외통체 중 상단 및 하단 둘레를 통해 정화대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내통체의 중앙측 부위에 통과공을 형성하여 이 통과공을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기부 내로 유입되는 정화대상수와 돌로마이트간의 접촉 시간이 더욱 증대되어 더욱 향상된 중화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ressure loss by allowing the water to be purified to flow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of each filter element, and at the same time, And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Accordingly,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object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and the dolomit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improved neutralizat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각 필터 엘리먼트에 구비되는 실링지지부는 용기부의 하부 구획판의 실링 서포트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필터 엘리먼트 내를 통과하는 정화대상수가 저부로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어 각 필터 엘리먼트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종래 용기형의 구조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support portion provided in each filter elemen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aling support of the lower partition plate of the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purification target water passing through each filter element can be discharged to the bottom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install each filter element, and it is also applicable to a conventional container typ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를 구성하는 커버체의 각 유입공에는 와선형 구조의 안내가이드를 추가로 구비하여 각 돌로마이트가 충전된 공간으로 중화대상수가 유입되는 도중 와류의 형성을 유도하게 되며, 이로써 중화대상수와 돌로마이트 간의 접촉 시간 증가 및 유속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each of the inflow holes of the cover member constituting the filter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structure of a wrinkled structure, which induces the formation of a vortex during the inflow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into the space filled with the dolomite,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neutralization target and the dolomite and improving the flow rat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용기형 구조의 미넬라이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 중 커버체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 중 커버체를 통한 중화대상수의 유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용기부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FIG. 1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ontainer-type minerizer apparatus. FIG.
FIG. 2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 A &
4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filter element of a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a cover member among filter elements of a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through the cover body among the filter elements of the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filter element of a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 B &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in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미넬랄라이저 장치 및 그의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ve minilalyzer apparatus and filter element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attached hereto.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선박 혹은, 해양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장치로써, 조수기에서 생성된 약산성의 물을 음용수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경도 및 pH값을 상승시켜 중성 또는 약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인 Ca, K 등을 첨가하는 장치임을 그 예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mineraliz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used for a ship or an offshore plant, and is a device for increasing the hardness and pH value so that the weak acid water produced in the water generator can be used as drinking water, Alkaline, and adding Ca, K, etc. which are minerals that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lter element of the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크게 용기부(100) 및 필터 엘리먼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필터 엘리먼트(200)는 외통체(210)와 내통체(220)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외통체(210)의 상단 및 하단으로 중화대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내통체(220)의 중앙 부위로 중화대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돌로마이트와의 접촉 면적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용기부(100)는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중화대상수가 충전되는 부위이다.First, the
상기 중화대상수는 선박(혹은, 해양 플랜트) 내에서 음용하도록 제공되는 물로써, 선박내 조수기에서 생성된 약산성의 물이다.The neutralization target water is water to be consumed in the ship (or an offshore plant), and is weakly acidic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generator in the ship.
이와 같은 용기부(10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통체로 이루어진 용기임을 그 예로 하며, 이때 상기 용기부(100)의 상단 둘레에는 상기 용기부(100) 내로 중화대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110)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부(100)의 하단 둘레에는 중화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유출관(1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2, the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부(100) 내의 상측 공간 중 상기 유입관(110)에 비해 더욱 상측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상부 구획판(130)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부(100) 내의 하측 공간 중 상기 유출관(120)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복수의 장착공(141)이 관통 형성된 하부 구획판(140)이 고정 설치됨을 추가로 제시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한 상부 구획판(130) 및 하부 구획판(140)은 후술될 필터 엘리먼트(200)의 설치를 위한 부위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부(10)) 내의 공간을 배출측 공간과 중화측 공간으로 구분하기 위한 부위로 제공된다.The
특히, 상기 상부 구획판(130)의 경우 상기 용기부(100) 내에 상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후술될 필터 엘리먼트(200)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다음으로, 상기 필터 엘리먼트(200)는 상기 용기부(100) 내로 유입된 중화대상수를 음용수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중화하여 중성 또는 약알카리성으로 변화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인 Ca, K 등을 첨가하기 위한 부위이다.Next, the
상기 필터 엘리먼트(200)는 상기 용기부(100) 내의 중화측 공간에 복수로 제공됨과 더불어 그 각각은 상기 용기부(100) 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단은 상기 상부 구획판(130)에 설치됨과 더불어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하단은 상기 하부 구획판(140)의 각 장착공(141)에 각각 장착된다.The plurality of
이와 같은 필터 엘리먼트(20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체(210)와 내통체(220) 및 커버체(230)로 이루어진다.The
여기서, 상기 외통체(210)는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통체(220)는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구성된다.Here, the
특히, 상기 내통체(220)의 경우 상기 외통체(210)에 비해 직경이 작은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210) 내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돌로마이트는 상기 외통체(210)와 내통체(220) 사이의 공간 상에 충전된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이러한 외통체(210)와 내통체(220)의 구조에 의해 중화대상수는 상기 외통체(210)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내통체(220) 내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로마이트를 온전히 거침에 따라 그의 원활한 중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Due to the structure of the
이와 함께, 상기 내통체(220)의 중앙측 부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과공(221)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210) 내의 중화대상수가 상기 통과공(221)을 통과하여 상기 내통체(220)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through
특히, 상기 각 통과공(221)에는 돌로마이트의 통과를 차단할 수 있도록 메쉬체(222)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각 통과공(221)의 직경을 상기 돌로마이트의 일반적인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각 통과공(221)을 통한 돌로마이트의 배출됨이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또한, 상기 커버체(230)는 상기 외통체(210)의 개방된 상면 및 저면을 폐쇄하면서 상기 외통체(210) 내로 중화대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부위로써, 상기 외통체(210)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 각각 해당 부위를 덮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220)가 관통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둘레면에는 상기 외통체(210) 내부로의 중화대상수 유입을 위한 복수의 유입공(23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체(230)가 상기 외통체(210)와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임을 제시하고 있지만, 상기 커버체(230)와 상기 외통체(210)를 단일체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The
이와 함께, 상기 커버체(230)에 형성되는 각 유입공(231)에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화대상수의 유입 유동을 와선(渦線) 형태로 유도하기 위한 안내가이드(232)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안내가이드(232)에 의해 각 유입공(231)을 통과하는 중화대상수가 돌로마이트가 내장된 외통체(210)와 내통체(220) 사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중화대상수와 돌로마이트 간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유속의 증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각 안내가이드(232)는 경사형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each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용기부(100)를 이루는 하부 구획판(140)의 상면 중 각 장착공(141)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각 장착공(141)과 연통되는 관체로 이루어진 실링 서포트(142)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저면에는 상기 실링 서포트(142) 내로 수용되거나 혹은, 상기 실링 서포트(142)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내통체(220)와 연통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진 실링지지부(24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추가로 제시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즉, 상기한 실링 서포트(142) 및 실링지지부(240)의 추가적 구성에 의해 용기부(100) 내로 공급된 중화대상수가 각 필터 엘리먼트(200)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용기부(100)의 배출측 공간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은 방지될 수 있다.That is, the neutralization target water supplied into the
이때, 상기 실링지지부(240)의 경우 상기 커버체(23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ealing
하기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유입관(110)을 통해 용기부(100) 내로 중화대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중화대상수는 상기 용기부(100) 내의 하부 구획판(140)으로부터 점차 차오르게 된다.First, when the water to be neutralized is supplied into the
이의 과정에서 상기 중화대상수의 수위가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하부측 커버체(230)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공(231)이 위치된 부위까지 차오르면 상기 중화대상수는 상기 각 유입공(231)을 통해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외통체(210) 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내통체(220)는 상기 외통체(210)와는 구획되어 있고, 상기 내통체(220)에 형성된 각 통과공(221)은 상기 내통체(220)의 중앙측 부위에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각 통과공(221)이 형성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중화대상수가 차오르지 않는다면 상기 내통체(220) 내로는 상기 중화대상수가 유입되지 않는다.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is raised to a position where a plurality of inflow holes 231 formed in the lower
특히, 상기 커버체(230)의 유입공(231)을 통해 외통체(210)와 내통체(220) 사이로 중화대상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중화대상수는 상기 유입공(231)에 구비된 와선형(또는, 경사형) 구조의 안내가이드(232)에 의한 유동의 안내를 받아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써 중화대상수와 돌로마이트 간의 접촉 시간 증가 및 유속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되어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효율이 증대된다.Particularly, in the course of inflow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between the
또한, 상기와 같이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외통체(210) 내로 유입된 중화대상수는 용기부(100) 내로 공급되는 중화대상수의 수위 증가에 따라 상기 외통체(210) 내를 계속적으로 차오르게 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외통체(210)와 내통체(220) 사이에 충전된 돌로마이트에 의한 경도 및 pH값의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중성 또는 약알카리성으로 변화됨과 더불어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인 Ca, K 등이 첨가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neutralization water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상기 외통체(210) 내로 유입된 중화대상수의 수위가 상기 내통체(220)의 각 통과공(221)이 형성된 부위에까지 차오른다면 상기 돌로마이트를 거쳐 중화된 상태의 중화대상수는 상기 각 통과공(221)을 통과하여 내통체(220) 내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그 자중에 의해 상기 내통체(220) 내의 저부로 낙하하면서 용기부(100) 내의 하부 구획판(140)에 형성된 각 장착공(141)을 통과하여 상기 용기부(100) 내의 배출측 공간 내로 저장된 후 유출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introduced into the
한편, 상기 용기부(100) 내로 공급된 중화대상수의 수위가 각 필터 엘리먼트(200)가 잠길 정도에까지 차오르게 되면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하부측에 위치한 커버체(230)에 형성된 각 유입공(231) 뿐만 아니라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상부측에 위치한 커버체(230)에 형성된 각 유입공(231)을 통해서도 외통체(210) 내로의 중화대상수 유입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supplied into the
따라서, 용기부(100) 내로 공급되는 중화대상수는 각 필터 엘리먼트(200) 내로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줄어들게 되고, 이와 함께 돌로마이트와의 접촉이 최대한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화 성능이 향상된다.Therefore, since the water to be neutralized to be supplied into the
즉, 상기 용기부(100) 내로 공급된 중화대상수에 각 필터 엘리먼트(200)가 잠긴다 하더라도 외통체(210) 내로 유입되는 중화대상수는 각 커버체(230)의 유입공(231) 위치와 내통체(220)의 통과공(221) 위치까지의 거리만큼 유동되면서 돌로마이트를 거침에 따라 중화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even if each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구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mineraliz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being implemented with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엘리먼트(200)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화 용량의 증가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7 to 9, the
이의 경우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200)들 사이에는 각 필터 엘리먼트(2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50)가 더 구비되며, 이로써 전술된 실시예의 필터 엘리먼트(200)를 용기부(100)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연장하거나 분리함이 가능하다.In this case, a
이때, 상기 연결부재(250)는 각 필터 엘리먼트(200) 간의 대향면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220)와 연통되는 연통공(251)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단(252)과, 상기 몸체단(252)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각 필터 엘리먼트(200)를 이루는 외통체(210)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외부파지단(253)과, 상기 몸체단(252)의 연통공(251) 내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각 필터 엘리먼트(200)를 이루는 내통체(220)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내주면 일부를 감싸는 내부파지단(254)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연결부재(250)는 여타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필터 엘리먼트(200)는 전술된 실시예의 미네랄라이저 장치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미네랄라이저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Further, the
예컨대,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00)가 탱크형 구조가 아닌 단순 조립체 구조인 상면으로 중화대상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구조에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의 경우 각 필터 엘리먼트(200)를 이루는 커버체(230) 중 하측편의 커버체(230)는 각 유입공(231)을 제외하고는 외부 환경과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중화대상수는 용기부(100) 내에 가득찬 상태에서 추가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내통체(220)를 통과하여 용기부(100) 외부로 유출되도록 구성하는 등 상기 필터 엘리먼트(200)의 구조에 대한 일부의 개량이 요구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의 각 필터 엘리먼트(200)는 외통체(210)의 상단 및 하단 둘레를 통해 정화대상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내통체(220)의 중앙측 부위에 통과공(221)을 형성하여 이 통과공(221)을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용기부(100) 내로 유입되는 정화대상수와 돌로마이트간의 접촉 시간이 더욱 증대되어 더욱 향상된 중화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eac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엘리먼트(200)를 구성하는 커버체(230)의 각 유입공(231)은 입구측 부위와 출구측 부위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와선형 혹은, 경사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돌로마이트가 충전된 공간으로 중화대상수가 유입되는 도중 와류의 형성을 유도하게 되며, 이로써 중화대상수와 돌로마이트 간의 접촉 시간 증가 및 유속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Each of the inlet holes 231 of th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미네랄라이저 장치 중 용기부(100)가 탱크 구조로 이루어진 형태의 경우 각 필터 엘리먼트(200)에 구비되는 실링지지부(240)는 용기부(100)의 하부 구획판(140) 중 실링 서포트(142)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필터 엘리먼트(200) 내를 통과하는 정화대상수가 저부로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어 각 필터 엘리먼트(200)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종래 용기형의 구조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100. 용기부 110. 유압관
120. 유출관 130. 상부 구획판
140. 하부 구획판 141. 장착공
142. 실링서포트 200. 필터 엘리먼트
210. 외통체 220. 내통체
221. 통과공 222. 메쉬체
230. 커버체 231. 유입공
232. 안내가이드 240. 실링지지부
250. 연결부재 251. 연통공
252. 몸체단 253. 외부파지단
254. 내부파지단100.
120.
140.
142.
210.
221. Through
230.
232.
250. Connecting
252.
254. Internal waveguide
Claims (9)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측 부위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화대상수가 상기 통과공을 통과하여 유입되도록 이루어진 내통체;
상기 외통체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외통체의 개방된 상면 및 저면을 폐쇄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외통체 내부로의 중화대상수 유입을 위한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커버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체의 각 부위 중 상기 외통체와 결합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는 둘 이상의 커버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어 복수의 필터 엘리먼트가 서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An inner cylinde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an inner cylinder filled with a dolomite t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tube is formed with a hollow tube and an inner portion thereof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uter tube in a vertical direction, An inner cylinder through which the target number flows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and the upper and lower faces of the outer cylinder are closed. In addition, the inner cylinder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And a cover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 inflow,
A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wo or more cover members to each other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cover body opposite to a surface coupled to the outer tube so that the plurality of filter element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by a filter element.
상기 커버체에 형성되는 각 유입공에는 중화대상수의 유입 유동을 와선(渦線) 형태로 유도하기 위한 와선형 혹은, 경사형 구조의 안내가이드가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inflow holes formed in the cover body is provided with guide lines of a wavy line or an inclined line structure for guiding the inflow flow of the water to be neutralized in the form of a vortex line.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두 커버체 간의 대향면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내통체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외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외부파지단과,
상기 몸체단의 연통공 내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내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내주면 일부를 감싸는 내부파지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엘리먼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A body section which is positioned so as to interpose between opposing faces between two cover bodie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d which has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n inner cylinder positioned opposite to the center,
An outer gripping step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protrude upwards and downwards and to cover an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or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lower end,
And an inner grasping end protruding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ng hole of the body so as to surround an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or a part of an inner circumferential face of the lower end.
상기 용기부 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면서 용기부 내로 유입된 중화대상수가 통과되는 필터 엘리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상면 및 저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돌로마이트가 충전되는 외통체와,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개방된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측 및 하측 부위는 상기 외통체 내부 공간과 차단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중앙측 부위는 둘레면에 복수의 통과공이 관통 형성되면서 상기 외통체 내의 중화대상수가 상기 중앙측 부위의 통과공을 통과하여서만 내부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 내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면서 상기 외통체의 개방된 상면 및 저면을 폐쇄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가 관통되도록 설치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외통체 내부로의 중화대상수 유입을 위한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커버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라이저 장치.A container portion in which an object to be neutralized is filled therein while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filter element installed vertically in the container and through which the neutralization target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is passed,
The filter element
An inner cylinder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pened and an inner cylinder filled with a dolomit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ylinder, and at the same time, An inner cylinder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neutralization target water in the outer cylinder is allowed to flow into the inner portion only through the passage hole of the central por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uter cylinder, and the upper and lower faces of the outer cylinder are closed. In addition, the inner cylinder is inserted through the center, And a cover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 inflow.
상기 용기부는 상단 둘레에 유입관이 형성됨과 더불어 하단 둘레에는 유출관이 형성된 통체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부 내의 상측 공간 중 상기 유입관에 비해 더욱 상측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상부 구획판이 상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용기부 내의 하측 공간 중 상기 유출관에 비해 더욱 하측에 위치되는 공간에는 복수의 장착공이 관통 형성된 하부 구획판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의 상단은 상기 상부 구획판에 설치됨과 더불어 각 필터 엘리먼트의 하단은 상기 하부 구획판의 각 장착공에 각각 장착되면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라이저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ainer portion includes an inlet pipe formed around an upper end thereof and a cylindrical body formed with an outlet pipe around the lower end thereof,
Wherein the upper partition plate is provided to be vertically adjustable in a space located further upward than the inflow pipe in the upper space in the container unit, and a lower space in the lower space in the container unit located further downward than the outlet pipe A lower parti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formed therein is fixedly installed,
Wherein the upper ends of the filter elements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ition plate and the lower ends of the filter elements are mounted on the respective mounting holes of the lower partition plate and are vertically erected.
상기 하부 구획판의 상면 중 각 장착공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각 장착공과 연통되는 관체로 이루어진 실링 서포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의 저면에는 상기 실링 서포트 내로 수용되거나 혹은, 상기 실링 서포트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의 내통체와 연통되도록 관체로 이루어진 실링지지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라이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ceiling support formed of a tube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mounting holes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rtition plate where the mounting holes are formed,
Wherein each of the filter elements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al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sealing support or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support an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cylinder of each filter element. Riser device.
상기 필터 엘리먼트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연결되고,
상기 각 필터 엘리먼트들 사이에는 각 필터 엘리먼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라이저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lter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hile being provided in plural,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between the filter elements to connect the filter elements to each other.
상기 연결부재는 각 필터 엘리먼트 간의 대향면 사이를 가로막도록 위치됨과 더불어 중앙으로는 상기 내통체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몸체단과,
상기 몸체단의 외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각 필터 엘리먼트를 이루는 외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외부파지단과,
상기 몸체단의 연통공 내주면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면서 각 필터 엘리먼트를 이루는 내통체의 상측 끝단 혹은, 하측 끝단의 내주면 일부를 감싸는 내부파지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미네랄라이저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positioned so as to interpose between opposing surfaces between the respective filter elements and has a body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cylinder at a center thereof,
An outer grasping end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surround an upper end of the outer tube constituting each filter element or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And an inner grasping end protruding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ng hole of the body so as to surround an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or a part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inner cylinder constituting each filter el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283A KR101560725B1 (en) | 2015-03-23 | 2015-03-23 | filter element and mineralizer having the filter el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283A KR101560725B1 (en) | 2015-03-23 | 2015-03-23 | filter element and mineralizer having the filter el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0725B1 true KR101560725B1 (en) | 2015-10-15 |
Family
ID=5435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0283A Active KR101560725B1 (en) | 2015-03-23 | 2015-03-23 | filter element and mineralizer having the filter el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0725B1 (en) |
-
2015
- 2015-03-23 KR KR1020150040283A patent/KR101560725B1/en active Act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A200801203A1 (en) | TANK FOR SEPARATION OF THE BOTTOM FLOW ENVIRONMENT CONTAINING WATER, OIL AND GAS, USING SUCH RESERVOIR AND A METHOD OF SEPARATION OF THE BOTTOM FLOW MEDIUM INCLUDING WATER, OIL AND GAS | |
ATE497816T1 (en) | SEPARATOR TANK FOR SEPARATING A FLUID CONTAINING WATER, OIL AND GAS, USE OF SUCH A TANK AND METHOD FOR SEPARATING A FLUID CONTAINING WATER, OIL AND GAS | |
US7531099B1 (en) | Water surge interface slot for three phase separator | |
WO1985003544A1 (en) | A submersible liquid/gas separator apparatus | |
CN108622997A (en) | Pressure-bearing type purifier | |
RU178560U1 (en) | FILTER CARTRIDGE | |
KR100886156B1 (en) | Circulating Induction Cylindrical Water Tank | |
KR101560725B1 (en) | filter element and mineralizer having the filter element | |
CN202590443U (en) | Sand discharge filter | |
KR101263431B1 (en) | Floating decanter and the sb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erewith | |
CA2763583A1 (en) | Float device | |
KR101069373B1 (en) | Floating sensor having two detachable body | |
GB2446011A (en) | Float device for drawing liquid from tank | |
KR20050100503A (en) | Oil water separater | |
KR101657508B1 (en) | an oil-water separator tank | |
CN109331506A (en) | vertical flow sedimentation tank | |
CN205699869U (en) | A kind of gs-oil separator | |
CN207108563U (en) | Grease trap oil discharging device | |
CN106698553A (en) | Cyclone separator with U-shaped pipe water outlet structure | |
RU2236887C1 (en) | Separating plant | |
CN209098364U (en) | A kind of oily wastewater is catalyzed pressure type reactor tank in advance | |
US2495512A (en) | Bubble tower | |
CN215195532U (en) | High-efficient water diversion equipment of submergence formula | |
CN109160629A (en) | A kind of oily wastewater is catalyzed pressure type reactor tank in advance | |
CN210251345U (en) | Slow-flow type flow distribution distribu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