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328B1 - An imaging module assembly device - Google Patents
An imaging module assembl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0328B1 KR101560328B1 KR1020090021298A KR20090021298A KR101560328B1 KR 101560328 B1 KR101560328 B1 KR 101560328B1 KR 1020090021298 A KR1020090021298 A KR 1020090021298A KR 20090021298 A KR20090021298 A KR 20090021298A KR 101560328 B1 KR101560328 B1 KR 1015603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barrel
- unit
- circuit board
- axis
- imaging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1—Apparatus for making assembl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ackage constru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촬상 소자 수용부를 구비한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작업대;와, 상기 회로 기판을 이동시키는 회로 기판 이동부와,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의 상부에 렌즈 경통을 배치하는 렌즈 경통 설치부와, 상기 회로 기판 이동부, 상기 접착제 도포부 및 상기 렌즈 경통 설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경통은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경통 설치부는 상기 렌즈 경통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커넥터부에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가 설치되는 촬상 모듈 조립 장치를 제공한다.
촬상 모듈, 조립 장치
A circuit board moving unit for moving the circuit board; an adhesiv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unit; A lens barrel mounting portion for placing a lens barrel on an upper portion of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the circuit board moving portion, the adhesive applying portion, and the lens barrel mounting portion, The lens barrel mounting portion includes a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lens barrel, and the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Imaging module, assembl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모듈의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 경통과 촬상 소자 수용부를 조립할 수 있는 촬상 모듈의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ing apparatus for an imagin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ssembling apparatus for an imaging module capable of assembling a lens barrel and an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section.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imaging devices such as digital still cameras and digital video cameras have become widespread.
특히, 최근에는 촬상을 전문으로 하는 카메라 뿐만 아니라, 통신을 주목적으로 하는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도 촬상 모듈의 장착이 일반화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Particularly, in recent years, mounting of an imaging module has become common not only in a camera specializing in imaging but also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which is mainly used for communication, thereby satisfying various needs of consumers.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촬상 모듈의 구조는 그 크기가 작아야 하므로, 촬상 소자가 배치된 촬상 소자 수용부에 렌즈 경통이 영구 고정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In general, the structure of the imaging module mou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has to be small in size, and thus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lens barrel is permanently fixed to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imaging element is disposed.
종래의 촬상 모듈의 제조 공정은, 렌즈 경통을 촬상 소자 수용부에 장착하는 공정이 중요하게 되는데, 그 장착 공정에서는 렌즈 경통의 렌즈부의 광축과 촬상 소자의 중심부를 일치시키는 센터링(centering) 조정, 렌즈부의 광축의 수직한 면과 촬상 소자의 촬상면의 기울어짐을 조정하는 틸트(tilt) 조정, 렌즈부의 광축 방 향으로 촬상 소자의 위치를 조정하는 펀트(punt) 조정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imaging module, it is important to attach the lens barrel to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mounting step, centering adjustment for matching the optical axis of the lens portion of the lens barrel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imaging element, A tilt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vertical surface of the negative optical axis and the imaging surface of the imaging element and a punt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maging elemen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portion must be performed.
그러므로, 종래의 촬상 모듈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의 장착 공정 및 조정 공정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가 제조의 효율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어 왔다.Therefor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imaging module, whether or not the above-described mounting process and adjus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ccurately has become a measure of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따라서, 촬상 모듈의 조립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립 장치 및 조립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ssembling apparatus and an assembling method that can accurately and effectively assemble the imaging module.
본 발명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렌즈 경통과 촬상 소자 수용부를 조립할 수 있는 촬상 모듈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ing module assembling apparatus which can quickly and accurately assemble a lens barrel and an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section.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촬상 소자 수용부를 구비한 회로 기판을 지지하는 작업대;와, 상기 회로 기판을 이동시키는 회로 기판 이동부;와,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와,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의 상부에 렌즈 경통을 배치하는 렌즈 경통 설치부;와, 상기 회로 기판 이동부, 상기 접착제 도포부 및 상기 렌즈 경통 설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경통은 커넥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경통 설치부는 상기 렌즈 경통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커넥터부에 접속되는 전기 접속부가 설치되는 촬상 모듈 조립 장치를 제공한다.A circuit board moving unit moving the circuit board; and an adhesive applying unit applying an adhesive to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unit, wherein the circuit board moving unit includ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ircuit board moving unit, the adhesive applying unit, and the lens barrel mounting unit, wherein the lens barrel is mounted on the lens barrel, Wherein the lens barrel mounting portion has a grip portion for gripping the lens barrel, and the grip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 이동부에 의해 움직이는 상기 회로 기판의 움직임 방향을 x축이라고 하고,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방향을 z축이라고 하며, 상기 x축과 상기 z축에 수직인 축을 y축이라고 하면, 상기 촬상 모듈 조립 장치는 상기 작업대를 움직이는 작업대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대 구동부는, 상기 작업대를 상기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작업대를 상기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Her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ircuit board moving by the circuit board moving part is referred to as x axis,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work bench is referred to as z axis, and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x axis and the z axis is referred to as y axis The imaging module assemb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work table driving part for moving the work table and the work table driving part can rotate the work table around the x axis and rotate the work table around the y axis .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가 복수개의 열로 배치되 어 있으며, 상기 작업대 구동부는 상기 작업대를 상기 y축의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복수개의 열로 배치된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에 상기 렌즈 경통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장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section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work table driving section moves the work table in the direction of the y-axis to move the lens barrel in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section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dvance It can be mounted in the prescribed order.
여기서,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에는 촬상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Here, an imaging element may be disposed in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은 연성 회로 기판일 수 있다.Here, the circuit board may be a flexible circuit board.
여기서, 상기 작업대에는 상기 회로 기판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그립부가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work table may be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for temporarily fixing the circuit board.
여기서, 상기 렌즈 경통은,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AF 모듈일 수 있다.Here, the lens barrel may be an AF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an autofocus function.
여기서, 상기 렌즈 경통 설치부는 상기 파지부를 움직이는 파지부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ens barrel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driving portion for moving the grip portion.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 이동부에 의해 움직이는 상기 회로 기판의 움직임 방향을 x축이라고 하고, 상기 작업대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방향을 z축이라고 하며, 상기 x축과 상기 z축에 수직인 축을 y축이라고 하면, 상기 파지부 구동부는, 상기 파지부를 상기 x축, 상기 y축, 상기 z축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Her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ircuit board moving by the circuit board moving part is referred to as x axis,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work bench is referred to as z axis, and the axis perpendicular to the x axis and the z axis is referred to as y axis , The gripper driving unit can move the grip unit in the directions of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여기서, 상기 전기 접속부는 접촉 방향으로 탄성이 있도록 상기 파지부에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may be mounted to the grip portion so as to be elastic in the contact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전기 접속부는 포고핀(Pogo pin)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of a pogo pin.
여기서,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는, 상기 촬상 소자 수용부에 배치된 촬상 소자가 촬영하는 기준 패턴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Here, a reference pattern portion to be imaged by the imaging element disposed in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table.
여기서, 상기 작업대와 상기 기준 패턴부 사이에는, 보조 렌즈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Here, an auxiliary lens portion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work table and the reference pattern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렌즈 경통과 촬상 소자 수용부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the lens barrel and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section quickly and accurately.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191)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로 기판(192)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193)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작업대(120)와 작업대 구동부(130)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접착제 도포부(150)가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접착제(S)를 도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 설치부(160)의 파지부(161)가 렌즈 경통 트레이(195)에서 렌즈 경통(191)을 파지하기 시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기 접속부(161c)와 커넥터부(191c)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 설치부(160)가 렌즈 경통(191)을 촬상 소자 수용부(192a) 위에 올려놓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로 기판 이동부(140)에 의해 움직이는 회로 기판(192)의 진행 방향을 x축으로 하고, 작업대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방향을 z축이라고 하며, 상기 x축과 상기 z축에 수직인 축을 y축이라고 정의한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mag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작업대(120), 작업대 구동부(130), 회로 기판 이동부(140), 접착제 도포부(150), 렌즈 경통 설치부(160), 기준 패턴부(170), 보조 렌즈부(180)를 포함하고 있다.1, the imaging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는 렌즈 경통(191)을 회로 기판(192)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장착하여 촬상 모듈(193)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즉,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는 렌즈 경통(191)과 회로 기판(192)을 조립함으로써 촬상 모듈(193)을 제조하며, 제조된 촬상 모듈(193)은 휴대 전화(미도시) 등의 전자 장치에 배치되게 된다.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에 대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이해를 돕기 위해 렌즈 경통(191), 회로 기판(192) 및 촬상 모듈(193)에 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The imaging
렌즈 경통(19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 렌즈들(191a)과 자동 초점을 위한 액츄에이터(191b)가 배치된다. 여기서, 액츄에이터(191b)는 렌즈들(191a)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자동 초점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액츄에이터(191b)로는 압전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즉, 렌즈 경통(191)은 자동 초점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AF(auto-focus) 모듈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렌즈 경통(191)의 측면에는 커넥터부(191c)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전기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조립 시의 초점 조정에 사용되거나 최종적으로 전자 기기 내에 배치될 때 사용된다.That is, the
회로 기판(192)은 연성 회로 기판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92)의 전면에는 3개의 열로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배치되어 있다.The
촬상 소자 수용부(192a)의 안쪽에는 촬상 소자(192a_1)가 배치되어 있고, 촬상 소자(192a_1)의 상부에는 필터(192a_2)가 배치되어 있다. An imaging element 192a_1 is disposed inside the imaging
여기서, 필터(192a_2)는 적외선 차단 필터가 사용되는데, 얇은 필름의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는 필터(192a_2)가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터(192a_2)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Here, the filter 192a_2 uses an infrared cut filter, which has a thin film shape. The filter 192a_2 is disposed in the imag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192)의 전면에는 1행 당 3개의 열로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192)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 수용부(192a)의 1행당 열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92)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 수용부(192a)의 열의 개수는 2개, 4개, 5개, 6개 등으로도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maging
또한, 촬상 소자 수용부(192a)의 일측에는 구동칩(192b)이 배치되어 있는데, 구동칩(192b)은 촬상 소자(192a_1)를 제어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칩이다. A driving
촬상 모듈(19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S)를 사용하여 렌즈 경통(191)을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조립한 후에 개별화된 제품을 의미하며,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에 의한 조립 과정에서, 접착제(S) 도포,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틸트 조정 등의 과정을 경유하여 제조된 제품을 의미한다. 4, the
한편, 베이스부(110)는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의 프레임(frame)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베이스부(110)에는 작업대(120), 작업대 구동부(130), 회로 기판 이동부(140), 접착제 도포부(150), 렌즈 경통 설치부(160), 기준 패턴부(170), 보조 렌즈부(180)가 장착되어 있다.The
또한, 베이스부(110)에는 제어부(111), 모니터(112), 조작부(113)가 배치되어 있다.A
제어부(111)는 전자 회로(하드웨어)와 제어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촬상 소자(192a_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입력받아 화상 처리를 수행하고, 센터링 조정, 틸트 조정 및 펀트 조정을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The
또한, 제어부(111)는 촬상 모듈(193)의 조립 시에 커넥터부(191c)를 통하여 렌즈 경통(191)내의 액츄에이터(191b)를 제어함으로써, 렌즈 경통(191)의 자동 초점 기능을 작동시킨다. The
또한, 제어부(111)는 작업대 구동부(130), 회로 기판 이동부(140), 접착제 도포부(150) 및 렌즈 경통 설치부(160)를 제어하고 구동하는 기능도 수행한다.The
한편, 모니터(112)는 제어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촬상 소자(192a_1)로부터 촬상된 화상 및 제어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니터(112)로는 LCD 디스플레이 장치, PDP 디스플레이 장치, CRT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작업자는 모니터부(112)에 표시된 기준 패턴부(170)의 촬상 화상을 보고, 촬상 모듈의 조립 공정, 센터링 조정, 틸트 조정, 펀트 조정 등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어부(111)에 입력된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촬상 모듈(193)의 조립, 센터링 조정, 틸트 조정, 펀트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operator may view the captured image of the
조작부(113)는 제어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는 조작부(113)를 통하여 제어부(111)를 조작할 수 있는데, 조작부(113)로는 마우스, 키보드, 키패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한편,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20)는 촬상 모듈(193)의 조립이 직접 진행되는 곳이며, 촬상 모듈(193)의 조립 공정은 작업대(120) 위에서 진행되게 된다. 즉, 작업대(120)에는 조립이 진행되는 동안에 회로 기판(192)의 작업 부분이 놓여지게 된다.1 and 5,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작업대(120)는 작업대 구동부(130)에 의해 x축과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그러한 구성은 조립 시 촬상 소자 수용부(192a)를 회전시키게 되어 촬상 모듈(193)의 틸트(tilt)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The work table 1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x-axis and the y-axis by the work
또한, 작업대(120)는 작업대 구동부(130)에 의해 y축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으로, 회로 기판(192)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된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즉,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배치된 회로 기판(192)을 y축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개의 열로 배치된 촬상 소자 수용부(192a) 중 미리 정해진 순서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차례대로 장착시킨다. The work table 120 can be moved in the y-axis direction by the work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20)에는 회로 기판(192)을 일시적 으로 고정하는 그립부(121)가 설치되는데, 그립부(121)는 제어부(111)의 명령에 따라 회로 기판(192)을 고정하기도 하고, 회로 기판(192)의 고정을 해제하기도 한다.5, the work table 120 is provided with a
또한, 작업대(120)에는 촬상 소자 접속부(122)가 설치된다. 촬상 소자 접속부(122)는 렌즈 경통(191)의 조립 작용이 진행 될 때, 촬상 소자(192a_1)에 전원을 인가하고, 촬상 소자(192a_1)로부터 촬상 영상 신호를 받아 제어부(11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촬상 소자 접속부(122)는, 작업대(120)의 부분 중 회로 기판(192)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놓여지는 위치에 대응되어 설치되게 된다.In addition, an image pickup
한편, 작업대 구동부(130)는 작업대(120)를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작업대 구동부(130)는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업대(120)를 움직인다. Meanwhile,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 구동부(130)는 3개의 구동 모터(131a)(131b)(131c)와 3개의 작용부(132a)(132b)(132c)를 포함하고 있다. 즉, 구동 모터(131a)는 작용부(132a)를 작용시켜 작업대(120)를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구동 모터(131b)는 작용부(132b)를 작용시켜 작업대(120)를 x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구동 모터(131c)는 작용부(132c)를 작용시켜 작업대(1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 5, the
특히, 작용부(132c)는 작업대(1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구동 모터(131c)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랙(rack)과 피니언(pinion)의 동력 전달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work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대 구동부(130)는 3개의 구동 모 터(131a)(131b)(131c)와 3개의 작용부(132a)(132b)(132c)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대(120)를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작업대 구동부(130)를 구성하는 구동 모터의 개수와 작용부의 개수, 구동 모터의 형식과 작용부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회로 기판 이동부(14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되어, 회로 기판(192)을 x축으로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작업대(120)위에 배치되는 1행(3개의 열 포함)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이 모두 장착되고 난 후에는 다음 행의 작업을 위해 회로 기판(192)을 x축으로 한 피치 이동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회로 기판 이동부(140)에는 회전 롤러 구동부(141)가 설치된다.The circuit
회전 롤러 구동부(141)는 하부의 회전 롤러가 회로 기판(192)의 일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회로 기판(192)을 x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The rotat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 이동부(140)는 회전 롤러 구동부(141)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192)을 x축으로 움직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 이동부는 회전 롤러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회로 기판(192)을 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192)의 일측을 파지한 후 잡아 당기는 그립 작용부가 설치되어, 회로 기판(192)을 x축으로 움직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ircuit
한편,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도포부(15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되어,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접착제(S)를 도포한다. 이를 위해 접착제 도포부(150)는 움직임부(151)와 도포 노즐(152)을 구비한다.1 and 6, the adhesive applying
움직임부(151)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되는데, 제어부(111)의 지시를 받으면 내부 구동 모터가 작동하여 도포 노즐(152)이 촬상 소자 수용부(192a) 위에 위치하도록 움직이게 된다. The
도포 노즐(152)은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접착제(S)를 직접 도포하는 부분이다. 이때, 도포되는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열 경화형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한편, 도 1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경통 설치부(160)는 파지부(161)와, 파지부 구동부(162), 구동부 지지대(163)를 포함한다.1 and 7A, the lens
파지부(161)는 렌즈 경통(191)을 파지하여 렌즈 경통(191)을 운반하고,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 및 펀트 조정 시에 렌즈 경통(191)을 파지하여 미세 움직임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이를 위해, 파지부(161)는, 렌즈 경통(191)을 직접 파지하는 한쌍의 집게부(161a)와, 파지부 구동부(162)와 연결되는 지지부(161b)와, 렌즈 경통(191)의 자동 초점 기능을 위해 렌즈 경통(191)과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전기 접속부(161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 접속부(161c)는 원통형의 핀형상으로 구성되어 렌즈 경통(191)의 커넥터부(191c)에 끼워져 전기적인 연결이 수행되게 된다.The
이하, 도 7b를 참조로 하여, 전기 접속부(161c)와 커넥터부(191c)에 관한 연결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B,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전기 접속부(161c)는 커넥터부(191c)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이 있도록 파지 부(161)에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커넥터부(191c)와의 접촉이 진행되어도 그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약간의 유격이 있어도 탄성력에 의해 커넥터부(191c)와의 전기적인 접촉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61)의 집게부(161a)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61a_1)와 연결부(161a_2)가 배치되어 있다. The
전기 접속부(16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191c)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후방에는 집게부(161a)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걸림부(161c_1)가 형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탄성 부재(161a_1)는 원통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전기 접속부(161c)를 항상 파지부(161)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세팅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161a_1)로 인하여, 전기 접속부(161c)는 커넥터부(191c)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이 존재하도록 파지부(161)에 장착되게 된다. The elastic member 161a_1 is constituted by a cylindrical coil spring and is set so that an elastic force for always causing the
연결부(161a_2)의 일단은 전기 접속부(161c)에 연결되고, 타단은 파지부(161)의 내부 케이블(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데, 파지부(161)의 내부 케이블은 최종적으로 제어부(111)에 연결되어 있다.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161a_2 is connected to the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전기 접속부(161c)는 커넥터부(191c)와 접촉시 탄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기 접속부(161c)와 커넥터부(191c)에 관한 연결 구성은, 전기적인 연결을 확실히 함으로써, 제어부(111)가 렌즈 경통(191)의 자동 초점 조정 작용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부(161c)와 커넥터부(191c)에 관한 연결 구성은,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취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에 많이 쓰이는 포고핀(Pogo pin)의 구조가 직접 적용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한편, 파지부 구동부(162)는 파지부(161)를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하며, 자체적으로는 구동부 지지대(163)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내부에 4개의 구동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동력 전달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들을 구현하는 구성은 공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여기서, 파지부 구동부(162)가 파지부(161)를 x축과 y축으로 움직이는 것은 렌즈 경통(191)의 광축과 촬상 소자(192a_1)의 중심부와의 센터링(centering)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파지부 구동부(162)가 파지부(161)를 z축으로 움직이는 것은 펀트(punt) 조정을 위한 것이며, 파지부 구동부(162)가 구동부 지지대(163)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은 파지부(161)가 렌즈 경통 트레이(195)에 설치된 렌즈 경통(191)을 파지하여, 작업 영역으로 렌즈 경통(191)을 위치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that the
구동부 지지대(163)는 파지부 구동부(162) 아래에 위치하여 파지부 구동부(162)를 지지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 구동부(162)는 구동부 지지대(163)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The driving
한편, 작업대(120)의 상부에는 촬상 소자(192a_1)의 촬영 대상인 기준 패턴부(170)가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
기준 패턴부(170)는 촬상 소자(192a_1)가 촬상을 수행하는 대상이다. 제어부(111)는 촬상 소자(192a_1)로부터 기준 패턴부(170)를 촬상한 영상 신호를 받아 연산하여, 그 연산된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 모듈(193)의 조립 시, 렌즈 경통(170)의 자동 초점 조정을 제어하고, 센터링 조정 및 펀트 조정을 위해 파지부(151)를 움직이는 제어를 수행하고, 틸트 조정을 위해 작업대(120)를 움직이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The
기준 패턴부(170) 아래에는 보조 렌즈부(180)가 배치된다.A
보조 렌즈부(180)는 촬상 모듈(193)의 조립 시, 렌즈 경통(191)의 상부에 위치하여 촬상 소자(192a_1)가 기준 패턴부(170)를 촬상하는 것을 돕는 기능을 수행하며, 내부에 광 발생부(181)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광 발생부(181)는, 펀트 조정 시에 사용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촬상 모듈 조립 장치(100)를 사용한 촬상 모듈(193)의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193)의 전체적인 조립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193)의 조립 공정의 각 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n overall assembling process of the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베이스부(110)에 회로 기판(192)의 전체를 올려놓으면서, 작업을 시작할 회로 기판(192)의 부분이 작업대(120) 위 에 놓여지도록 세팅한다(도 16의 단계 S101).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92)에는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복수개의 열로 형성되어 있다.10, the operator sets the entire portion of the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그립부(121)를 작동시켜 회로 기판(192)을 작업대(120)에 임시로 고정시킨다(단계 S102).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작업대 구동부(130)의 구동 모터(131c)를 구동함으로써, 작업대(120)를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로 기판(192)의 제1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작업 영역(p)에 위치하도록 한 후, 렌즈 경통(191)을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조립한다(단계 S103). 여기서,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자세한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Next, the
제1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장착하는 공정을 완료한 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작업대 구동부(130)의 구동 모터(131c)를 구동함으로써, 작업대(120)를 y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로 기판(192)의 제2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작업 영역(p)에 위치하도록 한 후 렌즈 경통(191)을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조립한다(단계 S104).12, after the process of mounting the
제2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장착하는 공정을 완료한 후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작업대 구동부(130)의 구동 모터(131c)를 구동함으로써, 작업대(120)를 y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회로 기판(192)의 제3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작업 영역(p)에 위치하도록 한 후 렌즈 경통(191)을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조립한다(단계 S105).13, after the process of mounting the
제3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에 렌즈 경통을 장착하는 공정을 완료한 후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작업대 구동부(130)의 구동 모터(131c)를 구동함으로써, 작업대(120)를 y축의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대(120)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립부(121)를 제어하여 작업대(120)로부터 회로 기판(192)의 고정을 해제한다(단계 S106).14, after the process of mounting the lens barrel in the image pickup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third row is completed, the
다음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회로 기판 이동부(140)의 회전 롤러 구동부(141)를 작동시켜, 다음 행의 열들의 작업을 위해 회로 기판(192)을 x축의 양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107). 15, the
다음으로, 제어부(111)는 조립 작업을 계속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 후, 조립 작업을 계속할 예정이면 단계 S102를 실행하고, 조립 작업을 멈추고자 하려면 작업을 종료한다(단계 S108). Next,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192)의 제1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한 다음, 회로 기판(192)의 제2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고, 회로 기판(192)의 제2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한 후, 회로 기판(192)의 제3열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순서를 가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수행되는 열의 순서에는 제한이 없다. 즉, 조립 순서는 제어부(111)에 입력된 프로그램 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제어부(111)의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촬상 모듈(193)의 조립이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최적의 조립 순서를 미리 정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그 프로그램을 제어부(111)에 입력하여 촬상 모듈(193)의 조립을 진행할 수 있다.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192)을 세팅한 후, 복수개의 열을 가지는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순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대량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촬상 모듈(193)의 조립공정의 작업 시간을 줄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한편, 상기 단계 S103, S104, S105에서는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공정이 있는데, 이와 관련된 과정을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in steps S103, S104, and S105, there is a process of assembling the
촬상 소자 수용부(192a)가 작업 영역(p)에 위치하게 되면, 제어부(111)는 접착제 도포부(150)의 움직임부(151)를 제어하여, 도포 노즐(152)의 단부가 촬상 소자 수용부(192a)의 도포 부위에 위치하도록 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S)를 도포한다(단계 S201). The
그 다음, 제어부(111)는 접착제 도포부(150)의 움직임부(151)를 제어하여, 도포 노즐(152)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추후, 렌즈 경통 설치부(160)의 파지부(161)와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한다. The
한편, 접착제 도포부(150)가 촬상 소자 수용부(192a)의 도포 부위에 접착제(S)의 도포를 수행하는 동안, 제어부(111)는 렌즈 경통 설치부(160)의 파지부 구동부(162)를 제어하여, 파지부(161)가 렌즈 경통 트레이(195)에 위치하도록 한 후,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61)로 렌즈 경통(191)을 파지하도록 한다. 이 때, 렌즈 경통(191)의 커넥터부(191c)에 전기 접속부(161c)가 끼워지도록 하여, 파지부(161)를 통하여 제어부(111)와 렌즈 경통(19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1)가 접착제 도포부(150)의 움직임부(151)를 제어하여 도포 노즐(152)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파지부 구동부(162)를 제어하여 렌즈 경통(191)을 파지한 파지부(161)를 움직임으로써 렌즈 경통(191)을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도포된 접착제(S)위에 올려놓는다(단계 S202). 이 때, 파지부(161)는 여전히 렌즈 경통(191)을 파지한 상태이다. 8, after the
렌즈 경통(191)이 접착제(S)에 접촉하게 되면, 접착제(S)는 렌즈 경통(191)에 의해 눌려, 렌즈 경통(191)과 촬상 소자 수용부(192a)는 임시로 서로 접착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약간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가(假)경화시킬 수도 있다.When the
그 다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1)는 촬상 소자 접속부(122)를 통해 촬상 소자(192a_1)에 전원을 임시로 인가하여 촬상 소자(192a_1)가 기준 패턴부(170)를 촬상하도록 한다. 촬상 소자(192a_1)가 촬상한 기준 패턴부(170)에 대한 영상은 촬상 소자 접속부(122)를 통해 제어부(111)로 전송되며, 제어부(111)는 촬상한 영상을 분석하여, 전기 접속부(161c) 및 커넥터부(191c)를 통하여 렌즈 경통(191)의 초점을 조절하여 맞춘다(단계 S203). 17, the
그 다음, 제어부(111)는, 파지부 구동부(162)를 제어하여 파지부(161) 및 렌즈 경통(191)을 x축, y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을 수행한다(단계 S204). 여기서, 센터링 조정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일례는, 촬상 소자(192a_1)가 촬상한 기준 패턴부(170)에 대한 영상의 주변 휘도값을 확인하고, 렌즈 경통(191)의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 주변 휘도 변화를 살펴보고, 주변 휘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안에 들어오면, 센터링 조정을 마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Next, the
그 다음, 제어부(111)는 파지부 구동부(162)를 제어하여 파지부(161) 및 렌즈 경통(191)을 z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촬상 모듈(193)의 펀트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205). 여기서, 펀트 조정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일례는, 보조 렌즈부(180)의 광 발생부(181)의 조명을 닫은 후 촬상하고, 촬상된 영상 신호의 중심 펄스 값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차이만큼 z축 방향으로 렌즈 경통(193)의 높이를 조정함으로써, 펀트 조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그 다음, 제어부(111)는 작업대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작업대(120)를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촬상 소자 수용부(192a)를 움직여 촬상 모듈(193)의 틸트 조정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206). 여기서, 틸트 조정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 일례는, 촬상 소자(192a_1)가 촬상한 기준 패턴부(170)에 대한 영상의 주변 스텝 값을 확인하고, 그 주변 스텝 값의 차이만큼 작업대(120)의 기울어짐을 조정함으로써, 촬상 소자(192a_1)의 촬상면과 렌즈 경통(191)의 렌즈들(191a)의 광축에 수직한 면 사이의 기울어짐을 적절히 조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링 조정 후에 펀트 조정을 수행하고, 펀트 조정 후에 틸트 조정을 수행하나,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그 조정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조정 과정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unch adjustment is performed after the centering adjustment and the tilt adjustment is performed after the punt adjust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change the order of adjustment as necessary, and omit part of the adjustment process.
본 실시예에서는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이 제어부(111)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상기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이 제어부(111)에 연결된 모니터(112)와 조작부(113)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동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작업자는 모니터(112)를 보면서, 조작부(113)를 이용하여 파지부 구동부(162)와 작업대 구동부(130)를 직접 제어하여, 수동으로 그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ering adjustment, the punt adjustment and the tilt adjustment ar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상기와 같이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틸트 조정이 수행된 다음에는, 제어부(111)는 임시로 경화된 접착제(S)에 자외선을 충분히 조사하여, 접착제(S)를 완전히 경화시킨다(단계 S207). 여기서,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자외선 발생기(미도시)를 이용하는데, 자외선 발생기의 구조 및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After the centering adjustment, the punt adjustment, and the tilt adjustment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도포된 접착제(S)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이므로, 경화를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제(S)는, 접착 및 임시 경화, 완전 경화를 수행할 수 있으면 되고, 그 외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따라서, 접착제(S)로 열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열을 가하는 방법으로 도포된 접착제(S)를 경화시킬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dhesive S applied to the imaging
이상과 같이,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접착제(S)를 도포하고, 도포된 접착 제(S)에 렌즈 경통(191)을 올려 놓은 다음, 제어부(111)가 파지부 구동부(162) 및 작업대 구동부(130)를 제어함으로써,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틸트 조정을 수행한 후, 도포된 접착제(S)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103, S104, S105에서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공정에 적용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adhesive agent S is applied to the imaging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공정에 따르면, 렌즈 경통(191)의 자동 초점을 수행한 상태에서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게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61)의 전기 접속부(161c)와 렌즈 경통(191)의 커넥터부(191c)에 관한 연결 구성은, 전기 접속부(161c)와 커넥터부(191c)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11)가 렌즈 경통(191)의 자동 초점 조정 작용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공정에 따르면, 렌즈 경통(191)의 자동 초점을 수행한 상태에서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하게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tep of assembling the
또한, 본 실시예의 촬상 소자 수용부(192a)에 렌즈 경통(191)을 조립하는 공정에 따르면, 렌즈 경통 설치부(160)에 의해 센터링 조정 및 펀트 조정 공정을 수행하고, 작업대(120) 및 작업대 구동부(130)에 의해 틸트 조정 공정을 수행하기 때 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촬상 모듈(193)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모듈(100)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촬상 기능이 있는 휴대 전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사전, 전자수첩, 내비게이션, 소형 노트북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 조립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maging module assemb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barr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로 기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a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작업대와 작업대 구동부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workbench and a workbench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접착제 도포부가 촬상 소자 수용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dhesive apply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adhesive to an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 설치부의 파지부가 렌즈 경통 트레이에서 렌즈 경통을 파지하기 시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7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ing portion of the lens barrel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gripping the lens barrel in the lens barrel tray.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기 접속부와 커넥터부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and a connecto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 설치부가 렌즈 경통을 촬상 소자 수용부 위에 올려놓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s barrel attach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the lens barrel on the image pickup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의 전체적인 조립 공정을 도시 한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an overall assembly process of an ima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의 조립 공정의 각 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0 to 1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respective steps of an assembling process of an imag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소자 수용부에 렌즈 경통을 조립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lens barrel in the imaging element accommoda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모듈의 센터링 조정, 펀트 조정 및 틸트 조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entering adjustment, punt adjustment and tilt adjustment of the imag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촬상 모듈 조립 장치 110: 베이스부100: imaging module assembling apparatus 110: base unit
111: 제어부 112: 모니터111: control unit 112: monitor
113: 조작부 120: 작업대113: operating part 120: work table
121: 그립부 122: 촬상 소자 접속부121: grip portion 122: imaging element connection portion
130: 작업대 구동부 140: 회로 기판 이동부130: work table driving part 140: circuit board moving part
141: 회전 롤러 구동부 150: 접착제 도포부 141: rotating roller driving part 150: adhesive applying part
151: 이동부 152: 도포 노즐151: moving part 152: application nozzle
160: 렌즈 경통 설치부 161: 파지부160: lens barrel mounting portion 161:
162: 파지부 구동부 163: 구동부 지지부162: grip part driving part 163:
170: 기준 패턴부 180: 보조 렌즈부 170: reference pattern part 180: auxiliary lens part
181: 광 발생부 191: 렌즈 경통181: light generator 191: lens barrel
192: 회로 기판 193: 촬상 모듈192: circuit board 193: imaging modul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1298A KR101560328B1 (en) | 2009-03-12 | 2009-03-12 | An imaging module assembl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1298A KR101560328B1 (en) | 2009-03-12 | 2009-03-12 | An imaging module assembl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2962A KR20100102962A (en) | 2010-09-27 |
KR101560328B1 true KR101560328B1 (en) | 2015-10-15 |
Family
ID=4300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1298A Active KR101560328B1 (en) | 2009-03-12 | 2009-03-12 | An imaging module assembl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0328B1 (en) |
-
2009
- 2009-03-12 KR KR1020090021298A patent/KR101560328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2962A (en) | 2010-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6232B1 (en) | Method for correcting tilt of camera module,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 |
US20100085474A1 (en) | Camera module | |
US8786713B1 (en) | Fixture for aligning auto-focus lens assembly to camera sensor | |
JP5879461B2 (en) | Imag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ing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 |
JP5899382B2 (en) | IMAGING MODU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ING MODULE | |
CN106391397A (en) | Glue spraying device and determination method of border track | |
US20150192750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 |
CN107026179B (en) | A kind of automatic alignment apparatus and method of imaging sensor part | |
JPWO2015016002A1 (en) |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CN114439827B (en) | Camera module assembly equipment and assembly method | |
JP2009302837A (en) | Method of adjusting position of imag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 |
JP5919439B2 (en) | Imaging module | |
JP5957621B2 (en) | Imag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ing module manufacturing apparatus | |
US20160150140A1 (en) |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device | |
US9003644B2 (en) | PNP apparatus and PNP tool head with direct bonding pressure pick-up tip | |
KR10154913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 |
JP5990655B2 (en) | Imaging module, imag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 |
KR101560327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photographing module | |
KR101560328B1 (en) | An imaging module assembly device | |
KR101560326B1 (en) | Apparatus for assembling photographing module | |
US9609196B2 (en) |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JPWO2015016042A1 (en) | Imaging module manufacturing method,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 |
US20160118435A1 (en) |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image pickup module manufacturing device | |
JP2014093632A (en) |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 |
KR20130037560A (en) | Camera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3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