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622B1 -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입자의 고효율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입자의 고효율 정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9622B1 KR101559622B1 KR1020130085605A KR20130085605A KR101559622B1 KR 101559622 B1 KR101559622 B1 KR 101559622B1 KR 1020130085605 A KR1020130085605 A KR 1020130085605A KR 20130085605 A KR20130085605 A KR 20130085605A KR 101559622 B1 KR101559622 B1 KR 101559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ein
- hpv
- chromatography
- vlp
- he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07K1/16—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by chromatography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07K14/01—DNA viruses
- C07K14/025—Papovaviridae, e.g. papillomavirus, polyomavirus, SV40, BK virus, JC viru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7/00—Viruses; Bacteriophages;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20011—Papillomaviridae
- C12N2710/200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1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dsDNA viruses
- C12N2710/00011—Details
- C12N2710/20011—Papillomaviridae
- C12N2710/20051—Methods of production or purification of viral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선행 문헌 1) Kim HJ, Kim SY, Lim SJ, Kim JY, Lee SJ, et al. (2010) One-step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L1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Protein Expr Purif 70: 68-74.
(선행 문헌 2) Kim HJ, Lim SJ, Kim JY, Kim SY, Kim H-J (2009)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ing protein during pur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8 L1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Arch Pharm Res 32: 1759-1766.
(선행 문헌 3) 등록특허, 자궁경부암 백신, 출원번호: 10-2011-0137242 (2011.12.19), 등록번호: 1011780560000 (2012.08.21)
(선행 문헌 4) 등록특허, 자궁경부암 백신, 출원번호(출원일):10-2009-0099982 (2009.10.20), 등록번호(등록일): 1011819070000 (2012.09.05)
T-5 방법을 위해 HPV L1 단백질을 발현시킨 숙주세포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파쇄한 후 환원제를 첨가하였다. 환원제를 처리한 후 가열 및 냉각(heating and chilling) 과정을 거치게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불순물을 제거한 세포 파쇄액에 포함된 L1 단백질은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heparin chromatography)를 통해 1차 정제하였다. 1차 정제된 L1 단백질은 2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고 순도로 정제하였다.
T-1 방법을 위해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파쇄물 내 L1 단백질은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을 통해 회수되었다. 회수된 분획 내 불순물은 침전물 제거과정(removal of precipitated contaminants)을 통해 제거되었다. 이들 과정을 거친 파쇄물 내 L1 단백질은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되었다.
도 2는 T-5 방법에 의한 정제 결과에 관한 것으로, L1 단백질 발현 숙주세포의 파쇄물에 대해 투석을 행하고, 환원제를 처리한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치고,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 후, SDS-PAGE로 확인한 결과이다.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 후에 고순도의 HPV L1 단백질이 회수되었음을 보여준다. LS는 헤파린 수지에 로딩된 파쇄액(loading sample)을 가리키고, FT는 헤파린 수지에 결합되지 않고 흘러나온 분획(flow-through)을 가리킨다. W는 헤파린 수지를 세척하는 단계에서 흘러나온 분획(wash)이며, E는 1M NaCl이 포함된 완충액으로 HPV L1 단백질을 용출시킨 분획 (elution)을 의미한다.
도 3은 T-5 방법에 의한 정제 결과에 관한 것으로, HPV L1 단백질 발현 숙주세포의 파쇄물에 대해 투석을 행하지 않고, 세포 파쇄물에 대해 직접 환원제를 처리한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치고,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SDS-PAGE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2에서의 결과와 유사하게,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 후에 역시 고순도의 HPV L1 단백질이 회수되었다. LS, FT, W 및 E는 도 2에서와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도 4a는 T-5 방법에 의한 정제 결과에 관한 것으로, HPV L1 단백질 발현 숙주세포의 파쇄물에 환원제를 처리한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치고,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2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SDS-PAGE로 확인한 결과이다. LS와 FT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SDS-PAGE 사진 상부에 표기된 3 부터 18 까지의 숫자는 NaCl에 의한 경사구배(linear gradient) 용출 시 회수된 각각의 분획 숫자를 의미한다.
도 4b는 상기 2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의 프로파일(profile)을 보여준다. 도 4a의 SDS-PAGE의 FT(flow-through)에서는 단백질 밴드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도 4b에서는 FT(flow-through)에서 많은 양의 불순물이 흘러나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도 4b의 결과는 2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상당양의 불순물이 제거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5는 T-1 방법의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의 SDS-PAGE 결과이다.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 전 샘플의 처리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행되었다. LS는 loading sample을 의미한다. 헤파린 수지에 결합한 단백질은 NaCl의 경사구배(linear gradient) 증가에 의한 방법으로 용출되었다. 경사구배 용출은 0.325 M NaCl부터 2 M NaCl까지 진행되었다. SDS-PAGE 결과 상단의 숫자는 용출 분획의 숫자를 의미한다. 분획 11 - 14에서 L1 단백질이 고순도로 용출됨을 보여준다.
도 6a는 종래의 방법(이하 "T-1" 방법으로도 기재함)과 본 발명의 T-5 방법으로 정제된 VLP의 순도를 SDS-PAGE를 통해 비교한 결과이다. "T-1 HPV 16 VLP"는 종래의 공지된 방법[Kim et al. (2010) Protein Expr Purif 70: 68-74; Kim et al. (2009) Arch Pharm Res 32: 1759-1766]을 사용하여 정제된 결과이며, "T-5 HPV 16 VLP"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정제된 결과이다. HPV L1 단백질의 SDS-PAGE 분석을 위해 단백질 정량을 실시한 후 웰당 500 ng, 250 ng, 125 ng, 62 ng의 단백질을 로딩하였다. 독립적으로 2회 반복 실험하였고, 각각 패널 A와 B로 제시하였다. 2회 실험 결과 모두 T-5 HPV 16 VLP의 L1 단백질 밴드의 강도가 T-1 HPV 16 VLP의 것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도 6b는 도 6a의 2회 실험에서 확인된 T-1 HPV 16 VLP와 T-5 HPV 16 VLP의 L1 단백질 밴드 강도를 그래프로 표시한 결과이다.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웰당 500 ng이 로딩된 T-5 HPV 16 VLP의 L1 단백질 밴드의 강도를 100%로 하여 계산하였다. 이 결과는 T-5 방법으로 정제된 VLP의 순도가 T-1 방법으로 정제된 VLP의 순도보다 월등히 우수함을 보여준다.
도 7은 T-1 HPV 16 VLP의 L1 단백질 밴드의 강도가 T-5 HPV 16 VLP의 L1 단백질 밴드의 강도와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로딩하여 SDS-PAGE를 진행한 결과이다.
도 8은 T-1 HPV16 VLP와 T-5 HPV 16 VLP의 전자현미경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T-1 HPV 16 VLP는 20 - 50 nm의 크기로 확인된 반면, T-5 HPV16 VLP는 40 - 65 nm의 크기로 확인되었다. 이는 T-5 HPV 16 VLP의 크기가 원래 HPV가 가지는 크기(50 - 60 nm)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29, 30].
도 9 및 도 10은 다이나믹 광산란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분석 결과이다. 다이나믹 광산란 분석은 VLP가 용액에 존재할 때의 크기를 측정한다. VLP의 용액 내 크기 분포는 DLS-700(도 9)과 ELS-Z2(도 10)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9와 도 10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두 VLP 입자의 크기별 분포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T-5 HPV 16 VLP의 물리적 특성이 T-1 HPV16 VLP와 상이함을 보여 준다.
도 11은 T-1 HPV 16 L1 VLP와 T-5 HPV16 L1 VLP에 대한 단클론 항체들의 반응성을 보여준다. 항-HPV 16 L1 단클론 항체 반응성 조사를 위해 이미 공지된 단클론 항체인 H16.V5와 H16.E70을 사용하였다. 두 항체에 대한 VLP의 반응성의 증가는 면역원성의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6, 32-34]. T-5 HPV 16 VLP의 H16.V5와 H16.E70 항체에 대한 반응성은 T-1 HPV 16 VLP의 두 항체에 대한 반응성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2는 T-1 HPV16 L1 VLP와 T-5 HPV16 L1 VLP의 면역원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면역원성 비교를 위해 각 1 ng의 VLP는 200 μg의 aluminium hydroxide와 같이 마우스에 피하로 투여되었다. 면역은 2주 간격 4회 실시하였다. 3차와 4차 면역 10일 후 혈청으로부터 항-HPV16 L1 IgG 항체역가를 측정하였다. 항-HPV16 L1 IgG 항체역가 측정결과 T-5 HPV16 L1 VLP가 T-1 HPV16 L1 VLP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준으로 항-HPV16 L1 IgG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도 12에서 실시된 면역에서 4차 면역 후 채혈된 혈청의 항-HPV16 중화항체 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T-5 HPV16 L1 VLP로 면역한 마우스 혈청의 중화 활성은 78%인 반면 T-1 HPV16 L1 VLP로 면역한 마우스 혈청의 중화 활성은 33%로 나타났다.
도 14는 세포 파쇄액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조건(non-treatment), 환원제를 처리한 조건(β-ME),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친 조건(β-ME + heating and chilling)에서 정제한 HPV L1 단백질의 순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상기 각 조건을 거친 시료를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용출시키고, 용출된 분획으로부터 동일한 부피(5, 2.5, 1.2 μL)의 단백질을 취하고 젤에 로딩하여 SDS-PAGE 및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행하였다. 도 14의 결과로부터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친 조건(T-5, β-ME + heating and chilling)의 HPV L1 단백질의 순도가 다른 조건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5는 세포 파쇄액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조건(non-treatment), 환원제를 처리한 조건(β-ME),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친 조건(T-5, β-ME + heating and chilling)에서 정제한 HPV L1 단백질의 순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상기 각 조건을 거친 시료를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용출시키고, 용출된 분획으로부터 동일한 양의 단백질 (1, 0.5, 0.25 μg)을 취하고 젤에 로딩하여 SDS-PAGE 및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행하였다. 도 15의 결과로부터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친 조건(T-5, β-ME + heating and chilling)의 HPV L1 단백질의 순도가 다른 조건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6은 세포 파쇄액에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조건 (non-treatment), 환원제를 처리하지 않고 가열 및 냉각 과정만을 거친 조건 (heating and chilling),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및 냉각과정을 거친 조건 (T-5, β-ME + heating and chilling)에서 정제한 HPV L1 단백질의 순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상기 각 조건을 거친 시료를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출된 분획으로부터 동일한 부피의 단백질(5, 2.5, 1.2 μL)을 취하고 젤에 로딩하여 SDS-PAGE 및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을 행하였다. 도 16의 결과로부터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및 냉각 과정을 거친 조건(T-5, β-ME + heating and chilling)의 HPV L1 단백질의 회수율 및 순도가 다른 조건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7은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ize-exclusion chromatography SEC)에 의한 정제 방법,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에 의한 정제 방법(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방법(T-5, β-ME + heating & chilling)에 의한 정제 방법의 과정을 보여준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 방법의 효과를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방법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해 T-5 정제 방법 중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단계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 방법으로 대체하였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 및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에 의한 방법(T-1 방법 기반의 방법)은 기존에 공지된 선행문헌의 방법에 기반한다.
1)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의 선행 문헌
(선행 문헌 1) Park MA, Kim HJ, Kim H-J (2008)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and pur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L1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Protein Expr Purif 59: 175-181.
(선행 문헌 2) 등록특허,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 입자의 생산 및 정제 방법, 출원번호: 10-2008-0026586 (2008.03.21), 등록번호: 1009591450000 (2010.05.13)
2) 암모니움 설페이트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의 선행 문헌
(선행 문헌 1) Kim HJ, Kim SY, Lim SJ, Kim JY, Lee SJ, et al. (2010) One-step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L1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Protein Expr Purif 70: 68-74.
(선행 문헌 2) Kim HJ, Lim SJ, Kim JY, Kim SY, Kim H-J (2009)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ing protein during pur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8 L1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Arch Pharm Res 32: 1759-1766.
(선행 문헌 3) 등록특허, 자궁경부암 백신, 출원번호: 102011-0137242 (2011.12.19), 등록번호: 1011780560000 (2012.08.21)
(선행 문헌 4) 등록특허, 자궁경부암 백신, 출원번호(출원일):102009-0099982 (2009.10.20), 등록번호(등록일): 1011819070000 (2012.09.05)
도 18은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 방법, 환원제만 처리한 방법(β-ME),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 방법(T-5, β-ME + heating & chilling)간의 차이를 보여준다. 각 정제 조건별 1차 크로마토그래피 용출 분획의 순도를 SDS-PAGE 및 웨스턴 블로팅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β-ME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방법으로부터 회수된 L1 단백질의 순도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19는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에 의한 정제 방법과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 방법(T-5, β-ME + heating & chilling)의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를 보여준다. 도 18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방법의 경우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출된 L1 단백질이 높은 순도를 나타낸 반면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 후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 경우 용출된 L1 단백질 분획에 다수의 불순물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웨스턴 블럿 분석 결과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법으로 정제한 경우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에서 L1 단백질이 칼럼 수지에 부착되지 않고 FT(flow-through)로 흘러나온 반면 환원제 처리한 후 가열/냉각 과정을 거친 경우 FT로 L1 단백질이 흘러나오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도 20은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정제 방법(SEC 방법)에서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의 용출 분획을 SDS-PAGE와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분획 3번에서 9번 사이에 L1 단백질이 높은 순도로 용출되어 이 구간의 분획을 모아 비교 분석에 사용하였다.
도 21은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SEC),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에 의한 방법(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과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 방법(T-5, β-ME + heating & chilling)의 1차 크로마토그래피의 L1 단백질 용출 분획을 SDS-PAGE와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1차 크로마토그래피(1st chromatography)를 위해 각 조건의 샘플은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준비되었다.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SEC)을 위해 세포파쇄액은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을 거치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1차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법에 의한 방법(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을 위해 세포 파쇄물은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된 후 침전물 제거과정을 거치고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1차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쳤다.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 방법을 위해 세포 파쇄액은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냉각 과정을 거치고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1차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쳤다. 1차 크로마토그래피의 용출 분획 분석을 위해 각 조건의 분획을 동일부피(0.35, 0.17, 0.08 μL)로 하여 로딩하였다. 분석결과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방법의 L1 단백질 순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2는 도 21의 1차 크로마토그래피 L1 단백질 용출 분획을 2차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정제한 결과이다. 2차 크로마토그래피 후 L1 단백질 용출 분획간의 차이를 SDS-PAGE와 웨스턴 블럿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을 위해 각 정제 조건 용출분획을 동일 부피(2, 1, 0.5 μL)로 로딩하였다. 분석결과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 방법이 L1 단백질 회수율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3은 도 22에서 최종 정제된 L1 단백질들의 단클론 항체(H16.E70) 반응성을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로 분석한 결과이다. 각 정제 조건으로부터 회수된 HPV16 L1 VLP를 동일양으로 코팅하기 위해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방법(SEC),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에 의한 정제 방법(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 방법(β-ME + heating & chilling)으로부터 얻어진 L1 단백질을 동일 농도가 되게 맞추어 준 후 SDS-PAGE와 웨스턴 블럿으로 L1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였다(도 23A). 이후 ELISA를 진행하여 H16.E70에 대한 각 HPV16 L1 VLP의 반응성을 확인하였다(도 23B). 그 결과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조건에 의해 정제된 HPV16 L1 VLP (T-5 HPV16 L1 VLP)의 H16.E70에 대한 반응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HPV16 L1 VLP의 구조적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나타낸다[26].
도 24는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방법(SEC),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에 의한 정제 방법,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 방법의 면역원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각 HPV16 L1 VLP를 마우스에 면역하기 전 L1 단백질의 양은 도 23A에서 확인한 것처럼 동일하게 맞추었다. 1 ng의 HPV16 L1 VLP는 200 μg의 aluminium hydroxide와 혼합된 후 마우스에 피하로 투여되었다. 마우스 면역은 2주 간격 4회 진행되었다. 4회 면역 후 마우스 혈청을 취한 후 기존에 공지된 슈도바이러스 기반의 중화항체 활성 측정법을 통해[26] 각 마우스 그룹의 중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를 통해 얻어진 HPV16 L1 VLP를 면역한 마우스의 중화활성은 16%, 암모니움 설페이트 침전에 의한 정제를 통해 얻어진 HPV16 L1 VLP를 면역한 마우스의 중화활성은 28%,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를 통해 얻어진 HPV16 L1 VLP를 면역한 마우스의 중화활성은 50%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하는 정제법을 통해 얻어진 HPV16 L1 VLP의 중화항체 유도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5는 T-5 방법으로 HPV16 L1 단백질 정제 시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냉각하는 과정에 있어 가열 온도에 따른 효과를 보여준다. 각 가열 온도 조건으로 세포 파쇄물을 15분간 가열하고 냉각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패널 A는 가열 온도에 따른 단백질 농도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패널 B는 각 가열 온도 조건의 샘플을 동일 부피로 로딩하여 SDS-PAGE로 분석한 결과이다. 패널 C는 각 가열 온도 조건의 샘플을 동일 부피로 로딩하여 웨스턴 블럿으로 L1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이다. 패널 D는 각 가열 온도 조건의 샘플을 단백질 정량 한 후 동일양의 단백질을 로딩하여 웨스턴 블럿으로 L1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패널 D는 L1 단백질의 순도를 나타낸다. 이들 결과를 통해 HPV16 L1 단백질은 60℃ 가열 조건 까지 세포파쇄물에 남아있음을 확인하였고 35-50℃로 가열시 L1 단백질의 순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도 26은 T-5 방법으로 HPV18 L1 단백질 정제 시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냉각하는 과정에 있어 가열 온도에 따른 효과를 보여준다. 각 패널에 대한 세부 내용은 도 25와 동일하다. 이들 결과를 통해 HPV18 L1 단백질은 65℃ 가열 조건까지 세포 파쇄물에 남아있음을 확인하였고 45-55℃로 가열시 L1 단백질의 순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도 27은 T-5 방법을 통한 HPV16 L1 VLP 정제에 있어,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냉각하는 과정에서 냉각 과정의 효과를 보여준다. 패널 A는 45℃와 50℃로 가열한 후 냉각 과정을 거친 샘플과(heating & chilling) 냉각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샘플(heating)의 단백질 농도 차이를 보여준다. 패널 B는 45℃로 가열한 후 냉각과정을 거친 샘플과 냉각과정을 거치지 않은 샘플의 웨스턴 블럿상의 L1 단백질 양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패널 C는 50℃로 가열한 후 냉각과정을 거친 샘플과 냉각과정을 거치지 않은 샘플의 웨스턴 블럿상 L1 단백질 양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이들 결과는 냉각과정을 통해 불순물 단백질들이 침전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 과정에서 L1 단백질의 손실은 일어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도 28은 T-5 방법을 통한 HPV16 L1 VLP 정제에 있어,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냉각하는 과정에서 냉각 과정의 효과를 보여준다. 45℃로 가열 후 냉각 과정을 거친 샘플(HC)과 냉각과정을 거치지 않은 샘플(H)의 SDS-PAGE와 웨스턴 블럿 상의 차이를 보여준다. SDS-PAGE와 웨스턴 블럿 결과 냉각 과정을 거친 후 L1 단백질은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불순물 단백질은 감소가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9는 도 28의 SDS-PAGE 상에서 보여지는 불순물 단백질 protein 1, protein 2, protein 3의 밴드 강도를 수치로서 나타낸 결과이다. 이들 결과는 냉각과정을 통해 불순물 단백질의 농도가 감소됨을 보여준다.
도 30은 HPV16 L1 VLP와 HPV18 L1 VLP를 60℃ 가열 조건으로 하여 T-5 방법을 통해 정제한 결과이다. 패널 A는 1차 크로마토그래피의 SDS-PAGE 결과를 보여준다. LS는 칼럼에 로딩한 샘플, FT는 칼럼에 결합하지 않고 흘러나온 샘플을 나타낸다. Elution은 칼럼 수지에 결합한 후 용출된 분획을 의미한다. 화살표는 HPV16 L1과 HPV18 L1의 위치를 나타낸다. 패널 B는 1차와 2차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처 최종 정제된 HPV16 L1과 HPV18 L1을 SDS-PAGE로 분석한 결과이다. 패널 C는 최종 정제산물을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전자 현미경 분석 결과 정제된 L1 단백질이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1은 T-5 방법으로 HPV18 L1을 1차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결과를 보여준다. 각 분획은 SDS-PAGE를 통해 분석되었다. LS는 로딩 샘플, FT는 flow-through, W는 칼럼을 세척한 분획, E는 칼럼에 부착된 단백질을 1 M NaCl을 포함하는 완충액으로 흘려주어 용출시킨 분획을 의미한다. HPV18 L1은 환원제 처리 후 가열/냉각 과정을 거친 후 크로마토그래피 진행 시 높은 순도로 정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2는 도 31의 1차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출된 HPV18 L1 단백질 분획을 2차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후 SDS-PAGE로 분석한 결과이다. LS, FT, W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칼럼 수지에 부착된 단백질들은 0.6, 0.7, 0.8, 0.9, 1 M NaCl이 포함된 완충액을 흘려주어 순차적으로 용출시켰다. HPV18 L1 단백질은 0.9 M과 1 M NaCl 분획에서 용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33은 T-5 방법으로 정제된 HPV18 L1 VLP의 다이나믹 광산란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T-5 HPV18 L1 VLP의 다이나믹 광산란은 ELS-Z2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34는 HPV58 L1을 T-5 정제 방법으로 정제한 결과들을 보여준다. 패널 A는 1차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용출된 L1 단백질 분획을 SDS-PAGE로 분석한 결과이다. 패널 B는 2차 크로마토그래피의 SDS-PAGE 분석 결과이다. 패널 B의 세부 내용은 도 32에 기술한 바와 같다.
도 35는 T-5 정제 방법으로 1차 2차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처 최종적으로 회수된 HPV58 L1 단백질의 SDS-PAGE와 웨스턴 블럿 결과를 보여준다. HPV58 L1은 환원제 처리 후 가열 냉각과정을 거치는 방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정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6은 HPV16 L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HPV16 L1 NG2)을 보여준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는 HPV16 L1 NG2가 삽입된 발현벡로 형질전환되었다. 형질 전환된 세포는 HPV16 L1 단백질의 발현, 정제를 위해 사용되었다. HPV16 L1 핵산 서열은 GenBank KC792555.1로 공지되었다.
도 37은 HPV18 L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HPV18 L1 NG3)을 보여준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는 HPV18 L1 NG3이 삽입된 발현벡로 형질전환되었다. 형질 전환된 세포는 HPV18 L1 단백질의 발현, 정제를 위해 사용되었다. HPV18 L1 핵산 서열은 GenBank KC792556.1로 공지되었다.
도 38은 HPV16 L1 NG2와 HPV18 L1 NG3가 암호화하는 HPV16 L1과 HPV18 L1의 아미노산 서열을 보여준다.
조건 | 세포 파쇄물내의 단백질의 양(mg) |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 로딩 시료내의 단백질의 양 (mg) | 오염물 제거율(%) |
비처리 (Non-treatment) |
196 | 147 | 25 |
β-ME | 196 | 150 | 24 |
β-ME + 가열 및 냉각 | 196 | 67 | 66 |
조건 | 세포 파쇄물내의 단백질의 양(mg) | 1차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 로딩 시료내의 단백질의 양 (mg) | 오염물 제거율(%) |
비처리 (Non-treatment) |
290 | 172 | 40 |
가열 | 290 | 193 | 34 |
β-ME + 가열 및 냉각 | 290 | 89 | 70 |
Claims (16)
- 삭제
- 삭제
-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ⅰ) HPV의 L1 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숙주세포를 배양한 후 배양된 숙주세포를 회수하여 파쇄하는 단계;
(ⅱ) 상기 숙주세포의 파쇄물에 환원제를 첨가하는 단계;
(ⅲ) 상기 환원제가 첨가된 숙주세포의 파쇄물을 가열한 후 냉각시키는 단계; 및
(ⅳ) 상기 가열 및 냉각된 숙주세포의 파쇄물로부터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HPV L1 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HPV는 HPV 타입 6a, HPV 타입 6b, HPV 타입 11, HPV 타입 16, HPV 타입 18, HPV 타입 30, HPV 타입 31, HPV 타입 33, HPV 타입 35, HPV 타입 39, HPV 타입 41, HPV 타입 42, HPV 타입 43, HPV 타입 44, HPV 타입 45, HPV 타입 51, HPV 타입 52, HPV 타입 54, HPV 타입 55, HPV 타입 56, HPV 타입 58, HPV 타입 68 및 HPV 타입 7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숙주세포는 박테리아, 효모세포, 곤충세포, 식물세포 또는 동물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세포는 사카로마에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피키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또는 한세눌라 폴리모르파(Hansenula polymorph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β-머캅토에탄올 (β-mercaptoethanol), DTT (dithiothreitol), 2-머캅토에틸아민-HCl(2-mercaptoethylamine-HCl), TCEP [tris(2-carboxyethyl)phosphine], 시스테인-HCl(cystein-HCl)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β-머캅토에탄올 (β-mercaptoethanol) 또는 DTT (dithiothreit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β-머캅토에탄올(β-mercaptoethanol)은 숙주세포의 파쇄물에서의 최종 농도가 0.1 중량%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TT (dithiothreitol)는 숙주세포의 파쇄물에서의 최종 농도가 2 mM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에서의 가열은 상온(room temperature)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에서의 상온 초과의 온도는 25℃ 초과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에서의 상온 초과의 온도는 25℃ 초과 80℃ 이하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에서의 가열은 10분-72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에서의 냉각은 0-1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헤파린 크로마토그래피 및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affinity chromatograph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PV L1 단백질의 정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3/006823 WO2014021604A1 (ko) | 2012-07-30 | 2013-07-30 |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입자의 고효율 정제방법 |
CN201380040425.9A CN104507956B (zh) | 2012-07-30 | 2013-07-30 | 人乳头瘤病毒病毒样颗粒的高效提纯方法 |
MX2015001413A MX361186B (es) | 2012-07-30 | 2013-07-30 | Metodo de alta eficiencia para purificar particulas similares a virus del virus del papiloma humano. |
JP2015525348A JP6014763B2 (ja) | 2012-07-30 | 2013-07-30 | ヒトパピローマウイルスのウイルス様粒子の高効率精製方法 |
BR112015002126-3A BR112015002126B1 (pt) | 2012-07-30 | 2013-07-30 | Método de purificação das proteínas l1 do papiloma vírus humano |
EP13824788.7A EP2881401B1 (en) | 2012-07-30 | 2013-07-30 | High efficiency method for purifying human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
US14/418,004 US9994618B2 (en) | 2012-07-30 | 2013-07-30 | High efficiency method for purifying human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
CA2880420A CA2880420C (en) | 2012-07-30 | 2013-07-30 | High efficiency method for purifying human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
AU2013297306A AU2013297306B2 (en) | 2012-07-30 | 2013-07-30 | High efficiency method for purifying human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
CL2015000037A CL2015000037A1 (es) | 2012-07-30 | 2015-01-08 | Metodo de alta eficiencia para purificar particulas similares a virus del virus del papiloma humano.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83472 | 2012-07-30 | ||
KR1020120083472 | 2012-07-3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8794A KR20140018794A (ko) | 2014-02-13 |
KR101559622B1 true KR101559622B1 (ko) | 2015-10-13 |
Family
ID=5026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5605A Active KR101559622B1 (ko) | 2012-07-30 | 2013-07-19 |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입자의 고효율 정제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9994618B2 (ko) |
EP (1) | EP2881401B1 (ko) |
JP (1) | JP6014763B2 (ko) |
KR (1) | KR101559622B1 (ko) |
CN (1) | CN104507956B (ko) |
AU (1) | AU2013297306B2 (ko) |
BR (1) | BR112015002126B1 (ko) |
CA (1) | CA2880420C (ko) |
CL (1) | CL2015000037A1 (ko) |
MX (1) | MX361186B (ko) |
WO (1) | WO201402160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191505A2 (en) * | 2014-09-11 | 2017-07-19 | Cadila Healthcare Limited | Superior human papilloma virus antigens with superior immunological properties and vaccine containing it |
WO2016104923A1 (ko) * | 2014-12-26 | 2016-06-30 | 아이진 주식회사 |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유사 입자 제조방법 |
CN105176934B (zh) * | 2015-10-16 | 2018-09-18 | 西南大学柑桔研究所 | 柑桔黄化脉明病毒长期离体保存方法 |
CN109750050B (zh) * | 2017-11-07 | 2023-08-18 | 上海泽润生物科技有限公司 | 重组人乳头瘤病毒45亚型蛋白表达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51533B2 (en) * | 1997-09-05 | 2008-04-01 | Medimmune, Inc. | In vitro method for disassmbly/reassembly of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VLPs). Homogeneous VLP and cavsomere compositions produced by said methods: use thereof as vehicle for improved purification, and delivery of active agents |
WO1999013056A1 (en) * | 1997-09-05 | 1999-03-18 | Medimmune, Inc. | IN VITRO METHOD FOR DISASSEMBLY/REASSEMBLY OF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VLPs) |
DE69931053T2 (de) | 1998-08-14 | 2006-11-23 | Merck & Co., Inc. | Verfahren zur reinigung von menschlichen, dem papillomavirus ähnlichen partikeln. |
US6245568B1 (en) | 1999-03-26 | 2001-06-12 | Merck & Co., Inc. | Human papilloma virus vaccine with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virus-like particles |
US6436402B1 (en) | 1999-10-15 | 2002-08-20 | Merck & Co., Inc. | Process for making human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with improved properties |
WO2001042780A1 (en) | 1999-12-09 | 2001-06-14 | Medimmune, Inc. | IN VITRO METHOD FOR DISASSEMBLY/REASSEMBLY OF PAPILLOMAVIRUS VIRUS-LIKE PARTICLES (VLPs) |
GB0206360D0 (en) | 2002-03-18 | 2002-05-01 | Glaxosmithkline Biolog Sa | Viral antigens |
CN101153280B (zh) | 2006-09-29 | 2015-08-19 | 厦门大学 | 从原核生物中纯化人乳头瘤病毒晚期蛋白l1的方法 |
CN101139570A (zh) | 2007-04-16 | 2008-03-12 | 马润林 | 一种hpv l1蛋白原核表达的高密度发酵方法 |
EP2154148B1 (en) | 2007-05-29 | 2016-06-22 | Xiamen University | A truncated l1 protein of human papillomavirus 11 |
KR100959145B1 (ko) | 2008-03-21 | 2010-05-25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 입자의 생산 및 정제 방법 |
KR20110053340A (ko) | 2008-07-31 | 2011-05-20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바이오로지칼즈 에스.에이. | Hpv에 대한 백신 |
MX2011013566A (es) | 2009-06-19 | 2012-06-28 | Eyegene Inc | Vacunas para cancer cervical. |
KR101178056B1 (ko) | 2011-12-19 | 2012-08-28 | 아이진 주식회사 | 자궁경부암 백신 |
-
2013
- 2013-07-19 KR KR1020130085605A patent/KR101559622B1/ko active Active
- 2013-07-30 US US14/418,004 patent/US9994618B2/en active Active
- 2013-07-30 BR BR112015002126-3A patent/BR112015002126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30 EP EP13824788.7A patent/EP2881401B1/en active Active
- 2013-07-30 AU AU2013297306A patent/AU2013297306B2/en active Active
- 2013-07-30 JP JP2015525348A patent/JP6014763B2/ja active Active
- 2013-07-30 CN CN201380040425.9A patent/CN104507956B/zh active Active
- 2013-07-30 WO PCT/KR2013/006823 patent/WO201402160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7-30 CA CA2880420A patent/CA2880420C/en active Active
- 2013-07-30 MX MX2015001413A patent/MX361186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1-08 CL CL2015000037A patent/CL2015000037A1/es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21604A1 (ko) | 2014-02-06 |
JP2015524817A (ja) | 2015-08-27 |
CN104507956A (zh) | 2015-04-08 |
EP2881401B1 (en) | 2018-04-25 |
EP2881401A1 (en) | 2015-06-10 |
CA2880420A1 (en) | 2014-02-06 |
AU2013297306A1 (en) | 2015-02-05 |
EP2881401A4 (en) | 2016-04-13 |
AU2013297306B2 (en) | 2016-09-29 |
CL2015000037A1 (es) | 2015-07-31 |
BR112015002126A2 (pt) | 2017-07-04 |
MX361186B (es) | 2018-11-29 |
CA2880420C (en) | 2018-02-27 |
MX2015001413A (es) | 2015-11-18 |
US20150266927A1 (en) | 2015-09-24 |
US9994618B2 (en) | 2018-06-12 |
BR112015002126B1 (pt) | 2022-10-04 |
CN104507956B (zh) | 2018-11-06 |
JP6014763B2 (ja) | 2016-10-25 |
KR20140018794A (ko) | 2014-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71397B2 (en) | HPV chimaeric particle | |
Pineo et al. | Immunogenic assessment of plant‐produced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L1/L2 chimaeras | |
CN101487009B (zh) | 用毕赤酵母表达系统制备抗人乳头瘤病毒16型感染的疫苗的方法 | |
Kim et al. | One-step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L1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
KR101559622B1 (ko) |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입자의 고효율 정제방법 | |
CN101487010A (zh) | 用毕赤酵母表达系统制备抗人乳头瘤病毒18型感染的疫苗的方法 | |
CN104212818A (zh) | 一种优化的人乳头瘤病毒31型l1蛋白的基因序列 | |
CN114127092A (zh) | 人乳头瘤病毒多价免疫原性组合物 | |
Kwag et al. | The production and immunogenicity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58 virus-like particles produc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
EP2479187A1 (en) | Genes encoding major capsid protein L1 of human papilloma viruses | |
WO2016026401A1 (zh) | 增强hpv抗原表位肽免疫原性的方法及类病毒颗粒、颗粒制备方法与应用 | |
Kim et al. | Comparison of the size distributions and immunogenicity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L1 virus-like particles produced in insect and yeast cells | |
Kim et al. | The composition of the carbon source and the time of cell harvest are critical determinants of the final yield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L1 protein produced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
KR100959145B1 (ko) | 인유두종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사 입자의 생산 및 정제 방법 | |
CN104211782B (zh) | 截短的人乳头瘤病毒45型l1蛋白 | |
US11213580B2 (en) | Mutant of L1 protei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 |
CN114127100A (zh) | 嵌合的人乳头瘤病毒39型l1蛋白 | |
CN114127097A (zh) | 嵌合的人乳头瘤病毒56型l1蛋白 | |
Fernández-San Millán et al. | Human papillomavirus-like particles vaccine efficiently produced in a non-fermentative system based on insect larva | |
Carpentier et al. | Mutations on the FG surface loop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major capsid protein affect recognition by both type‐specific neutralizing antibodies and cross‐reactive antibodies | |
RU2546242C1 (ru) |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ШТАММ ДРОЖЖЕЙ Hansenula polymorpha - ПРОДУЦЕНТ ГЛАВНОГО КАПСИДНОГО БЕЛКА L1 ВИРУСА ПАПИЛЛОМЫ ЧЕЛОВЕКА ТИПА 18 | |
CN101942496B (zh) | 一种神经坏死病毒的病毒类似物的制备方法 | |
Chang et al. | Effects of downstream processing on structural integrity and immunogenicity in the manufacture of papillomavirus type 16 L1 virus-like particles | |
Kim et al. |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ing protein during purifica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8 L1 protein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
RU2546240C1 (ru) | РЕКОМБИНАНТНЫЙ ШТАММ ДРОЖЖЕЙ Hansenula polymorpha - ПРОДУЦЕНТ ГЛАВНОГО КАПСИДНОГО БЕЛКА L1 ВИРУСА ПАПИЛЛОМЫ ЧЕЛОВЕКА ТИПА 56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