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462B1 -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technology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technology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9462B1 KR101559462B1 KR1020140064535A KR20140064535A KR101559462B1 KR 101559462 B1 KR101559462 B1 KR 101559462B1 KR 1020140064535 A KR1020140064535 A KR 1020140064535A KR 20140064535 A KR20140064535 A KR 20140064535A KR 101559462 B1 KR101559462 B1 KR 101559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al
- dental restoration
- information
- server
- resto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진료용 치아수복물 제조와 같은 치과기공에 사용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NFC를 이용하여 정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치과 및 치과기공소에서 효과적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치과기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use in dental pores such as dental restoration for dental ca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poration such as manufacturing of dental restoration for dental care, which can smoothly flow information using NFC, and effectivel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n dental and dental laboratori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치과에 사용되는 치아수복물은, 치과에서 별도의 치과기공소에 그 제작을 의뢰하고 치과기공소에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Dental restorations used in dentistry are generally made in dental laboratories, commissioned in dental laboratories in separate dental laboratories.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제작 흐름을 설명한다. With reference to Fig. 1, a general production flow will be described.
치과에서는 환자를 진료하는 과정에서 치아수복물의 제작 필요성을 인지하고 형틀을 제작한 후 이를 치과기공소에 배송한다. 이 과정에서 원하는 재료 및 유의사항 등은 유선 전화, 형틀 배송시 기재되는 메모, 또는 이메일의 형식으로 전달된다. In dentistry, the patient is aware of the necessity of dental restor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a dental work, and after making a mold, it is shipped to a dental laboratory. In this process, desired materials and notes ar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wire telephone, a memo to be described at the time of the mold release, or an e-mail.
치과기공소는 형틀을 배송받은 후, 함께 전달받은 유의사항을 참조하여 치아수복물을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모형 제작, 스캔, 디자인, 밀링, 도재축성, 소성 및 연마 공정을 거친다. The dental laboratories prepare the dental restorations by referring to the instructions given to them after they have been delivered. Typically, it involves modeling, scanning, designing, milling, ceramics, firing and polishing processes.
제작이 완료된 치아수복물은 치과로 배송된다. 치과는 치아수복물을 확인한 후 일부 수정이 필요한 경우 직접 간단히 수정하거나 또는 다시 치과기공소에 의뢰하기도 한다. Completed dental restorations are delivered to the dentist. The dentist may check the restor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s and make some modifications if necessary.
그런데 치과기공소 입장에서 살펴볼 경우, 하나의 치과기공소가 거래하는 치과는 5 내지 20개소이고, 하루 의뢰건수는 20 내지 100건이며, 월 평균 600 내지 3000건을 의뢰받는데, 이와 같이 유선 전화 또는 메모 형식으로 전달되는 유의사항들이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when looking at dental laboratories, one dental laboratory deals 5 ~ 20 dental clinics, 20 ~ 100 cases per day, 600 ~ 3000 cases per month, May not be accurately reflected.
또한, 약간의 형태 변화에도 민감한 치아수복물인 만큼, 완성된 치아수복물에 이상이 있음이 치과 진료 과정에서 확인될 경우 책임 소재를 확인하는 것도 어렵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responsibility when the dental treatment process confirms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completed restor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since it is sensitive to slight shape changes.
치아수복물의 재료는 갈수록 다양해지며, 치아수복물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최신장비가 개발되어 생산력이 증가하는 현재의 추세에 비추어, 수많은 치아수복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데 발생하는 어려움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are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and the difficulties of managing information on numerous dental restorations are increasing day by day, in light of the current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equipment used to make dental restorations.
이와 관련한 종래 기술을 살펴본다. Hereinafter, a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2647호는 치과 공정을 시스템화한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본 종래기술에서는 치과 진료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치아수복물을 제작하는 치과기공소와의 협업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지 않는다.Korean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2-0132647 discloses a technique that systemizes a dental process. However, this prior art focuses only on dental care, and does not disclose a technique for collaborating with a dental laboratory that manufactures a dental restoration.
일본공개특허 제2008-304466호는 치과기공소와 치과의 협업 과정을 시스템화한 기술을 개시한다. 다만, 본 기술에서는 치과에서 촬영한 화상정보가 자동으로 치과기공소로 전달되는 것에만 초점을 두었을 뿐 치과기공소에서는 어떠한 정보도 입력할 수 없어 일방향 통신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08-304466 discloses a technique that systemizes a collaboration process between a dental laboratory and a dentist. However, in this technology, only the image information taken by the dentist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dental laboratory, but the dental laboratory can not input any information, which is a limit of one-way communication.
(특허문헌 1) KR2012-0132647 A (Patent Document 1) KR2012-0132647 A
(특허문헌 2) JP2008-304466 A (Patent Document 2) JP2008-304466 A
(특허문헌 3) KR2013-0103850 A (Patent Document 3) KR2013-0103850 A
(특허문헌 4) KR1156733 B
(Patent Document 4) KR1156733 B
이에, 본 발명은 치과와 치과기공소 사이에서 정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유효한 정보가 송수신되도록 하며, 그러한 정보들이 효과적으로 누적됨으로써, 치과 및 치과기공소에서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ystem capable of facilitating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dental and dental laboratories, enabling effectiv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effectively accumulating such information, thereby enabling convenient and effective work in dental and dental laboratorie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아수복물 정보가 입력되는 치과 단말기(110);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는 서버(210); 상기 서버(210)로부터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받으며, NFC 생성기(312)를 통하여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와 매칭되는 NFC 태그(B)를 생성하는 NFC 생성 단말기(311); 상기 서버(210)로부터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받는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 및 상기 NFC 태그(B)의 리딩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NFC 태그(B)가 부착된 박스(C)와 연계된 치아수복물(D) 제작 동안 상기 서버(210) 또는 상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함으로써 상기 리딩된 NFC 태그(B)에 매칭되는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포함하는, NFC를 이용한 치과기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ntal restoration device comprising: a dental terminal (110) to which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s input; A
또한,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서버(210)에 송신하는 데이터는, 상기 치아수복물(D)의 제작 공정별 완료 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서버(210)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상기 치아수복물(D)의 제작 공정별 표준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 transmitted to the
또한, 상기 제작 공정은, 모형 제작 공정, 스캔 공정, 디자인 공정, 밀링 공정, 도재축성 공정, 소성 공정 및 연마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a model making process, a scanning process, a design process, a milling process, a ceramics forming process, a baking process, and a polishing process.
또한, 상기 스캔 공정은 3D 구강스캐닝 장치(S110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C를 이용한 치과기공 관리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canning process is performed through a 3D oral scanning apparatus (S1100).
또한, 상기 치과 단말기(110)에서 입력되는 치아수복물 정보는, 치과기공소 식별자, 치아수복물 재료 및 치아수복물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또한, 상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는 소정의 치과기공소 식별자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상기 열람되는 치아수복물 정보는 각 치아수복물(D)별 제작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ntal
또한, 상기 치과 단말기(110)는 기 생성된 치아수복물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정된 치아수복물 정보는 상기 서버(21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며,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수정된 치아수복물 정보에 매칭되는 NFC 태그(B)를 리딩할 경우, 상기 수정된 치아수복물 정보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NFC 태그(B)가 부착되며, 형틀 및 이에 상응하는 치아수복물(D)이 실장될 수 있는 박스(C)로서, 상기 NFC 태그(B)는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통하여 리딩 가능하며, 리딩시 서버(210) 또는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220)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된 치아수복물 정보가 출력되며, 상기 출력되는 치아수복물 정보는 치아수복물 재료 및 치아수복물 형태를 포함하고, 이는 치과 단말기(110)에서 입력된 것이며, 그리고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가 상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에서 열람 가능한, 치아수복물용 박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x (C) to which an NFC tag (B) is attached and a mold and a corresponding tooth restoration (D) (B) can be read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a) 치과 단말기(110)를 통하여, 치과기공소 식별자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정보가 서버(210)에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서버(210)가 상기 입력된 치아수복물 정보를 상기 치과기공소 식별자에 상응하는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 및 NFC 생성 단말기(311)에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NFC 생성 단말기(311)가 이에 연결된 NFC 생성기(312)를 통하여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와 매칭되는 NFC 태그(B)를 생성하는 단계; (d)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NFC 태그(B)가 부착된 박스(C)를 리딩하는 단계; (e) 상기 리딩된 NFC 태그(B)에 매칭되는 치아수복물 정보가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에서 출력되는 단계; 및 (f)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리딩된 NFC 태그(B)에 매칭되는 치아수복물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C를 이용한 치과기공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ntal restor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inputting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dental laboratory identifier through a dental terminal to a server; (b) transmitting, by the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출력되는 치아수복물 정보는, 상기 리딩된 NFC 태그(B)에 매칭되는 치아수복물(D)의 제작 공정에 상응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미리 저장된 표준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output in the step (e) includes a standard process previously stored in the
또한, 상기 (f) 단계는,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리딩된 NFC 태그(B)에 매칭되는 치아수복물(D)의 제작 공정별 완료 여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ep (f) includes a step of updating whether or not the dental restoration work station
본 발명에 의하여, 치과와 치과기공소 모두 간편하고 편리하게 치아수복물을 의뢰하고, 의뢰된 내용을 확인하며, 의뢰 내용의 수정이 용이하고, 수정한 내용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dental clinic and the dental laboratory can easily and conveniently request the restor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verify the requested contents, easily modify the contents of the request, and check the corrected contents in real time.
특히, 치과기공소에서는 제작하는 치아수복물의 공정 완료시마다 완료 여부를 송신할 수 있어서, 치과 또는 치과기공소의 관리부서는 의뢰 치아수복물의 제조 공정 흐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ental laboratories can transmit completion of the restor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to be completed at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so that the management department of the dental or dental laboratories can confirm the manufacturing process flow of the restoration of the restoration tooth at a glance.
또한, 치과기공소의 제작자는 각 공정별 표준공정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제작 과정의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manufacturers of dental laboratories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standard processes for each process, which can reduce erro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NFC를 이용함으로써, 치과 및 치과기공소 모두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간편하게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다.
By using NFC, both dental and dental laboratories can easily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through portable terminals.
도 1은 종래의 치과기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기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기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ental pore method.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ental po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ntal po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dental por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ntal por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ntal pore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용어의 정의1. Definition of Terms
이하에서, "치과"는 장소의 개념으로서, 이(齒)를 비롯한 치아 및 관련 조직과 입안의 생리, 병리 등을 연구하고 치료하는 모든 장소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term "dentistry" should be understood as a place where all the researches and treatments of teeth, related tissues and mouth physiology, pathology, etc. are included.
이하에서, "치과기공소"는 장소의 개념으로서, 치과 진료에 필요한 충전물, 교정 장치 등과 같은 기공물(技工物)을 제작하거나 수리하는 모든 장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치과기공소 내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는 "관리부서" 및 "제작부서"는 설명을 위하여 구분한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거나 관리 또는 제작에 특화되고 전문화된 부서일 필요는 없으며, 단지 그 각각이 치과기공소에 관련된 정보를 전반적으로 다루는 부서 및 기공물을 제작하는 부서로 이해되면 족하다.In the following, the term "dental laboratory" should be understood as any place where the concept of a place is to produce or repair dental materials such as filling, orthodontic, etc. necessary for dental care. In addition, the "management department" and "production department"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the dental laboratory are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are not necessarily physically separated or specialized or specialized in the production or production, It would be enough to understand the department as a whole that deals wit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aboratory and the department that produces the material.
이하에서, "운영소"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취급하는 장소의 개념이다. 치과 및 치과기공소와 물리적으로 구분된 장소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치과기공소 내에 운영소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달리 표현하면 치과기공소 내에 서버 및/또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operator site" is a concept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ace where a server and a database included therein are handled. It does not have to be a physically separate area of dental and dental laboratories. For example, an operating site may be provided in a dental laboratory, otherwise a server and / or database may be provided in the dental laboratory.
이하에서, "형틀"은 만들려는 물건의 모양대로 속이 비어 있는 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형틀은 치과에서 제작되어 치과기공소에서 기공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치과용 형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체득되는 인상(人像)에 의하여 제작된다. Hereinafter, the term "form frame" means a frame which is hollow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made. Particularly, the mold fram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dental mold frame necessary for producing pores in a dental laboratory. Should be understood. It is usually made by an image of a dentist.
이하에서, "치아수복물"은, 치과기공소에서 제작되는 모든 종류의 기공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치과에서 배송된 형틀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모든 종류의 기공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the term "dental restor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ll kinds of porcelain made in dental laboratories.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as all kinds of porcelain made using a mold sent from a dentist.
이하에서, "NFC"는, "Near Field Communication"의 약자로서, 무선태그(RFID)의 기술의 일종으로 비접촉식 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나, 900Mhz, 125Khz 등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는 크게 제한이 없음을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NFC " is an abbreviation of" Near Field Communication ", which means a contact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s a kind of technology of a radio tag (RFID). Generally speaking, the frequency band of 13.56MHz is used, but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frequency bands such as 900Mhz and 125Khz,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usable frequency band.
이하에서, "휴대용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크기의 단말기를 지칭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치과기공소의 제작부서에서 사용되는 휴대용단말기는 NFC 리딩이 가능하거나 또는 별도의 NFC 리더기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inafter,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of a size that can be carried by an individual. However, as described below, it is desirable that the portable terminal used in the manufacturing department of the dental laboratory is capable of NFC reading or is used with a separate NFC reader.
2. 본 발명에 따른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치과기공Dental surgery 시스템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stem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2, a dental po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장소적인 구분으로서 치과(100), 운영소(200), 치과기공소(30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는 설명을 위한 구분에 불과하며, 치과(100), 운영소(200), 치과기공소(300)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된 장소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치과(100)에 서버(210)나 데이터베이스(220)가 위치할 수도 있으며, 치과(100)와 치과기공소(300)가 동일한 장소일 수도 있음을 언급해둔다.
It is divided into a dental office (100), an administrative office (200), and a dental laboratory (300). However, this is only for explanation, and it is not necessarily the place where the
(1) 치과(1) Dentistry
치과(100)에는 치과 단말기(110)와 치과 휴대용단말기(115)가 위치한다. 치과는 형틀(A)을 제작하는 장소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In the
치과 단말기(110)는 운영소(200)에 구비된 서버(2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치과(100)는 치아수복물(D)을 의뢰하는 장소이기에, 치과 단말기(110)는 치아수복물(D) 의뢰시 그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치아수복물 정보"로 지칭한다. 다시 말해, 치과 단말기(110)는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서버(210)에 송신된다. Since the
치아수복물 정보는 치아수복물(D) 제작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정보를 포함한다. 치아수복물 재료 및 치아수복물 형태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ncludes all kinds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making the dental restoration (D). Teeth restoration material, and dental restoration form.
또한, 치아수복물 정보에는 치과기공소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치과기공소 중에서 의뢰하고자 하는 치과기공소를 식별하는 정보이다.In addition,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dental laboratory identifier. This is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dental laboratories to be requested among a plurality of dental laboratories.
한편, 치과(100)에서는 치아수복물 정보를 서버(210)로 전송함과 아울러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형틀(A)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는 별도의 절차를 통하여 치아수복물(D) 제작을 위하여 치과기공소(200)에 배송된다.Meanwhile, in the
치과 휴대용단말기(120)는 치과(100)에서 간편한 정보 입력 및 확인을 위하여 사용된다. 치과 휴대용단말기(120)는 치과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운영소(200)의 서버(210)와 직접 유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The dental portable terminal 120 is used for easy information input and confirmation in the
(2) 운영소(2) Operator
운영소(200)에는 서버(210)와 데이터베이스(220)가 위치한다.In the
서버(210)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계정을 관리하고, 치아수복물(D)의 공정별 표준공정이 입력되거나 수정되며, 치아수복물 정보 및 이에 매칭되는 NFC 태그(B)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거나 백업한다.
The
(3) 치과기공소(3) Dental laboratory
치과기공소(300)는 운영소(200)의 서버(210)로부터 치아수복물 정보 및 표준공정 등의 데이터를 전달받고, 치과(100)로부터 형틀(A)을 배송받아 치아수복물(D)을 제조한다. The
치과기공소(300)는 관리부서(310)와 제작부서(350)로 구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구분될 필요는 없다.
The
관리부서(310)는 치과기공소(300)의 제반 업무를 관리하는 장소로서, NFC 생성 단말기(311) 및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가 위치한다.The
NFC 생성 단말기(311)는 NFC 생성기(312)와 연동되는데, 이를 통해 서버(210)로부터 치아수복물 정보를 수신한 후 이와 매칭되는 NFC 태그(B)를 생성한다. NFC 생성기(312)가 NFC 태그(B)를 생성하는 과정은 종래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생성된 NFC 태그(B)는 박스(C)에 부착되어 제작부서(350)로 전달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부서(350)의 다수의 제작자 중 선정된 제작자에게 전달된다. 이때에 박스(C)에는 치과(100)에서 배송된 형틀(A)이 실장되어 전달된다. 이후, 제작부서(350)에서는 별도의 휴대용단말기(355)를 이용하여 박스(C)를 리딩함으로써, 정확하게는 박스(C)에 부착된 NFC 태그(B)를 리딩함으로써 해당 박스(C)에 실장된 형틀(A)에 맞추어 제작하여야 하는 치아수복물(D)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generated NFC tag B is attached to the box C and transferred to the
한편, 관리부서(310)의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는 관리자 계정에 의하여 작동되는데 치과기공소(300)에 필요한 모든 종류의 정보 및 치과기공소(300)에서 입력되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통계를 확인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The dental
특히, 치과기공소 관리 휴대용단말기(325)가 간편한 정보 입력 및 확인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는 치과기공소 단말기(321)와 유무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운영소(200)의 서버(210)와 직접 유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제작부서(350)는 실재 치아수복물(D)을 제작하는 장소로서 제작자가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휴대하게 된다. The
제작자는 형틀(A)이 포함된 박스(C)를 전달받는데, 박스(C)를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로 리딩하면, 정확하게는 박스(C)에 부착된 NFC 태그(B)를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로 리딩하면 미리 매칭된 치아수복물 정보들이 서버(210)를 통하여 출력된다. When the box C is read by the
이때에 출력되는 정보는 치아수복물 재료 및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20)에 미리 저장된 표준공정이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output at this time includes the dental restorative material and shape. Also, a standard process stored in advance in the
제작자는 모형 제작 공정, 스캔 공정, 디자인 공정, 밀링 공정, 도재축성 공정, 소성 공정 및 연마 공정을 포함하는 제작 공정을 단계별로 거치는데, 각 공정이 완료될 때마다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통하여 해당 공정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를 통하여 서버(210)에 전달되거나, 또는 서버(210)에 직접 전달된다. 이를 통하여 치과(100) 또는 치과기공소(300)의 관리부서(310)는 특정 치아수복물(D)의 현재 진행 공정을 정학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 manufacturer carries 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luding the modeling process, the scanning process, the design process, the milling process, the ceramics forming process, the baking process and the polishing process step by step. When each process is completed, the mobile terminal 355 ), It is possible to input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This is delivered to the
제작이 완료되면, 제작자는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통하여 제작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하고, 치아수복물(D)을 포함한 박스(C)를 관리부서(310)에 배송하고, 관리부서(310)는 치아수복물(D)만을 치과(100)에 배송한다. When the production is completed, the manufacturer inputs through the
이때에 관리부서(310)는 박스(C) 및 이에 부착된 NFC 태그(B)를 회수하여 초기화한다. 다만, 제작이 완료된 치아수복물(D)에 대한 정보, 즉 치아수복물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20)에 그대로 남게 되며, 이후 치과(100)에서의 치료 및 환자에 부착된 이후에도 꾸준히 그 이력이 관리된다.
At this time, the
3. 본 발명에 따른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치과기공Dental surgery 방법의 설명 Explanation of method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기공 방법을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방법은 예시적일 뿐이며, 이를 수정하거나 변형하는 방법 역시 가능함을 언급해둔다.
3 to 5, a dental por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ote that the methods described below are exemplary only, and you can modify or modify them as well.
(1) 치아수복물의 제작(1) Fabrication of tooth restoration
치과(100)는 제작을 의뢰하고자 하는 치아수복물(D)을 위한 형틀(A)을 제작하고(S110) 이를 치과기공소(300)에 배송한다(S120). 이와 동시에 치과 단말기(110)를 통하여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하여(S130) 운영소(200)의 서버(210)에 송신한다. The
이 때, 치아수복물(D)을 위한 형틀(A) 제작에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디지털 인상장치인 구강스캐닝(digiral impression)(S1100)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일러둔다.At this time, it is described that the digital lifting device (S1100), which is a digital lifting device,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mold A for the dental restoration D, as shown in Figs. 4 and 5.
구강스캐닝(digiral impression)(S1100)은 삼차원 입체 구강스캐닝(3D 구강스캐닝) 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igiral impression (S1100) is three-dimensional solid oral scanning (3D oral scanning).
이와 같은 3D 구강스캐닝(digiral impression)(S1100)의 적용으로 인하여 보다 빠르고 정확한 구강 스캐닝 작업이 가능 해지는 것이다.The application of such a 3D scanning (digial impression) (S1100) enables faster and more accurate oral scanning.
운영소(200)의 서버(210)에 송신된 치아수복물 정보는 치과기공소(300)의 관리부서(310)에 송신됨과 동시에(S140)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S150).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치과기공소(300)의 관리부서(310)에서는, 서버(210)로부터 송신된 치아수복물 정보에 매칭되도록 NFC 태그(B)를 생성하고 이를 박스(C)에 부착하며(S210), 박스(C)에 배송받은 형틀(A)을 포함시켜 제작부서(350)에 배송한다(S220).The
치과기공소(300)의 제작부서(350)에서는, 형틀(A)이 포함된 박스(C)를 배송받은 후, 박스(C)에 부착된 NFC 태그(B)를 리딩한다(S310). 이 때에 서버(210)로부터 치아수복물 정보가 송신되어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통하여 출력된다. 공정별 표준공정이 함께 출력될 수 있다(S320). The
제작부서(350)는 이러한 정보와 형틀(A)을 토대로 치아수복물(D)을 제작한다(S330). 제작 공정, 스캔 공정, 디자인 공정, 밀링 공정, 도재축성 공정, 소성 공정 및 연마 공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인데, 각 공정 완료시마다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통하여 이를 입력하며(340), 이는 운영소(200)의 서버(210)에 송신된다. The
한편, 도 4에서 소성 공정 및 연마 공정이 마쳐진 후 치아수복물 배송이 이루어지기 전에 치아 수복물을 다시 체크하여 수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서야 배송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In FIG. 4,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dental restoration is checked before the delivery of the dental restoration after the firing and polishing processes are completed, and then the restoration is carried out.
최종적인 수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배송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desirable that delivery be made once the final correction has been made.
다시 말해서, 치아수복물(D)의 제작이 완료되기 전, 치과(100)에서 의뢰하는 내용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치과(100)는 수정된 치아수복물 정보를 치과 단말기(100)에 입력하여(S410) 서버(210)에 송신하고(S420), 이는 치과기공소(300)의 관리부서(310) 및/또는 제작부서(350)에 송신된다. 제작부서(350)는 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치아수복물(D)의 제작에 즉각 반영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f the contents requested by the
제작부서(350)에서 치아수복물(D)의 제작이 완료되면(S510), 박스(C)에 이를 담아 관리부서(310)에 배송하고(S520), 관리부서(310)는 치아수복물(D)만을 치과(100)에 배송하며(S530), 박스(C)에 부착된 NFC 태그(B)는 회수하여 초기화한다(S540).
The
(2) 치아수복물의 이력 관리(2) History management of tooth restoration
치아수복물(D)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도 치아수복물 정보는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삭제되지 않고 그 이력이 관리된다. Even after the prepar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D is completed,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s not deleted from the
치아수복물(D)의 제작 완료 시점에 저장되어 있는 치아수복물 정보는, 의뢰한 치과, 치과에서의 의뢰 내용(즉, 의뢰한 치아수복물 재료 및 형태), 치과에서 의뢰하는 치과기공소의 식별자, 치아수복물의 제작자, 치아수복물 제작에 있어서 각 공정별 완료시점, 치아수복물 제작 완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정보들은, 치아수복물(D)의 제작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The restoration inform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that is stored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production of the restoration of the teeth (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requested dentistry, the contents of the request from the dentist (i.e., the requested restoration material and form), the identifier of the dental laboratory requested by the dentist, The completion time of each step in the manufacture of the dental restoration, and the completion date of the restora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Each piece of information is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roduc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D).
또한, 제작 완료 이후 치과기공소(300)에서 촬영한 치아수복물(D)의 사진과 같은 이미지 파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Also, an image file such as a photograph of the dental restoration D photographed by the
이후, 제작 완료된 치아수복물(D)을 치과(100)에서 배송받은 시점이 더 저장될 수 있으며, 해당 치아수복물(D)을 환자에게 시술하였다면, 시술일자 및 환자에 대한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time of delivery of the finished restoration D of the dental restoration can be further stored, and if the restoration D of the dental restoration is performed on the patient, the date of the procedure and information on the patient can be further stored .
치아수복물(D)을 이용한 시술이 완료된 이후, 환자가 치아수복물(D)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 치과(100)는 저장되어 있는 치아수복물(D)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문제가 발생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100)에서 의뢰한 치아수복물 재료가 아닌 다른 재료로 치아수복물(D)이 제작되었다면 치과기공소(300)의 제작자의 실수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의뢰 자체가 잘못된 경우라면 치과(100)의 실수임을 확인할 수 있다. After completing the procedure with the dental restoration D, if the patient complains about the inconvenience of the dental restoration D, the
치과(100)는 치아수복물(D)의 시술 이후 치료 과정에서 치아수복물(D)의 사진 등 관련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서버(210)에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는 효과적인 자료로서 기능할 것이다.
The
(3) 통계 검색(3) Search for statistics
전술한 바와 같은 정보들이 누적되면 치과(100) 및 치과기공소(300)의 관리부서(310)는 유효한 통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통계 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is accumulated, the
- 치과별 치아수복물의 과거/실시간 의뢰량- Past / real-time requests for dental restorations
- 치과기공소별 치아수복물 과거/실시간 제작량- Dental restorations by dental laboratories Past / Real-time production
- 제작자별 치아수복물 과거/실시간 제작량- Dental Restoration by Maker Past / Real Time Production
- 치과기공소별 치아수복물 제작 평균 일수- Average number of days of restoration of tooth restoration by dental laboratories
- 각 공정 흐름별 치아수복물- Tooth restoration for each process flow
- 일정 주기별(예를 들어, 일/주/월/분기/년) 결산 자료 - by period schedule (eg, day / week / month / quarter / year)
- 작업자의 현상
- The worker's phenomenon
물론, 이러한 통계 데이터 이외에도 전술하였던 정보들을 토대로 많은 종료의 통계 데이터가 획득됨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a large amount of statistical data of termination can be acquir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data.
이러한 통계 데이터는 치과 단말기(110) 및 치과 휴대용단말기(120)를 통하여 치과(100)에서 확인할 수도 있으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 및 치과기공소 관리 휴대용단말기(325)를 통하여 치과기공소(300)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The statistical data may be checked at the
따라서, 치과(100) 및 치과기공소(300)에서는 자신의 휴대용단말기(120, 321)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도 의뢰한 또는 의뢰받은 치아수복물(D)의 제작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치과기공소 전체 또는 제작자별 업무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의뢰 내용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언제 어디서도 간편하게 수정하여 신속하게 반영할 수 있다.
Therefore, the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치과병원과 치과기공소의 관리시스템 도입으로 치과기공소 소장이 관리자페이지를 통해 현재공정 및 일정 납기의 체크, 작업자의 업무분장과 결과확인, 치과병원 및 기공소의 결산분석, 치아보철물의 분석 및 주의점 체크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이거니와 치과분석 데이터의 확인 분석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음을 일러두는 바이다.
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introduced a management system of dental hospitals and dental laboratories, so that the director of the dental laboratories can check the current process and schedule delivery time, confirm the work assignment and result of the worker, , The analysis of dental prosthesis and the check of precautions, as well as confirmation and analysis of dental analysis data can be performed.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 형틀
B: NFC 태그
C: 박스
D: 치아수복물
100: 치과
200: 운영소
300: 치과기공소
110: 치과 단말기
115: 치과 휴대용단말기
210: 서버
220: 데이터베이스
310: 치과기공소 관리부서
311: NFC 생성 단말기
312: NFC 생성기
321: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
325: 치과기공소 관리 휴대용단말기
350: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355: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A: Mold
B: NFC tag
C: box
D: Tooth restoration
100: Dentistry
200: Operator
300: Dental laboratory
110: Dental terminal
115: Dental Portable Terminals
210: Server
220: Database
310: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department
311: NFC generating terminal
312: NFC generator
321: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terminal
325: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portable terminal
350: Dental laboratory production department
355: Dental laboratory production department portable terminal
Claims (12)
운영소(200)에 위치하며,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는 서버(210);
치과기공소(300)에 위치하며, 상기 서버(210)로부터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받으며, NFC 생성기(312)를 통하여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와 매칭되는 NFC 태그(B)를 생성하는 NFC 생성 단말기(311);
치과기공소(300) 중 일부인 관리부서(310)에 위치하며, 상기 서버(210)로부터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를 입력받는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 및
치과기공소(300) 중 다른 일부인 제작부서(350)에 위치하며, 상기 NFC 태그(B)의 리딩이 가능하며, 그리고 상기 NFC 태그(B)가 부착된 박스(C)와 연계된 치아수복물(D) 제작 동안 상기 서버(210) 또는 상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함으로써 상기 리딩된 NFC 태그(B)에 매칭되는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를 포함하되,
상기 박스(C)는 형틀(A) 및 이에 상응하는 치아수복물(D)이 실장되는 것이며, 상기 NFC 태그(B)는 상기 박스(C)에 부착 및 회수 가능하며,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서버(210)에 송신하고, 상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가 상기 서버(210)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치아수복물 정보는,
상기 치과 단말기(110)에서 입력되어 상기 서버(210)로 전달되는 정보로서 치과기공소 식별자, 상기 치아수복물(D)의 재료 및 형태 및 상기 치아수복물(D)의 시술일자 및 환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에서 입력되어 상기 서버(210)로 전달되는 정보로서 상기 치아수복물(D)의 제작자, 상기 치아수복물(D)의 이미지 파일, 상기 치아수복물(D)의 배송 시점과,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에서 입력되어 상기 서버(210)로 전달되는 정보로서 상기 치아수복물(D)의 제작 공정별 완료 여부 및 상기 치아수복물(D)의 제작 완료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작 공정은, 모형 제작 공정, 스캔 공정, 디자인 공정, 밀링 공정, 도재축성 공정, 소성 공정 및 연마 공정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치과 단말기(110)는 상기 치아수복물(D)의 제작 동안 완료된 제작 공정 단계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고, 이는 상기 서버(210)에 통계 자료화되어 업데이트되며,
상기 치과기공소 관리 단말기(321)는 소정의 치과기공소 식별자를 포함하는 치아수복물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상기 열람되는 치아수복물 정보는 각 치아수복물(D)별 상기 제작 공정 및 상기 서버(210)에서 입력되는 각 공정별 표준 공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치과 단말기(110)는 기 생성된 치아수복물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정된 치아수복물 정보는 상기 서버(21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며,
상기 치과기공소 제작부서 휴대용단말기(355)가 상기 수정된 치아수복물 정보에 매칭되는 NFC 태그(B)를 리딩할 경우, 상기 수정된 치아수복물 정보가 출력되는,
NFC를 이용한 치과기공 관리 시스템.
A dental terminal (110) which is located in the dental appliance (100) and into which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A server 210 located in the operating site 200 and storing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20;
An NFC generating terminal 311 which is located in the dental laboratory 300 and receives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10 and generates an NFC tag B matching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NFC generator 312 );
A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terminal (321) located in a management department (310) which is a part of a dental laboratory (300) and receives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10); And
And a dental restoration D (D) associated with the box C to which the NFC tag B is attached and which can be read by the NFC tag B is located in the manufacturing department 350, which is another part of the dental laboratories 300, The dental laboratory work station portable terminal 355 capable of updating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matched to the lead NFC tag B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server 210 and the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terminal 321 during manufacture, , ≪ / RTI &
The box C is to be mounted with the mold A and the corresponding dental restoration D and the NFC tag B is attached to and recoverable from the box C,
The dental laboratories production department portable terminal 355 transmits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10 and the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210 by the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terminal 321,
Th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dental terminal 110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10 includes a dental laboratory identifier, a material and a form of the dental restoration D, an operation date of the dental restoration D,
Th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dental laboratory facility management terminal 321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10 is information about the manufacturer of the dental restoration D, the image file of the dental restoration D, the delivery time point of the dental restoration D, ,
Th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355 of the dental laboratory production departmen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10 includes the completion of the dental restoration 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completion date of the dental restoration D,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ludes a model making process, a scanning process, a design process, a milling process, a ceramics forming process, a baking process and a polishing process,
Accordingly, the dental terminal 110 can perform real-time confirm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steps completed during fabrication of the tooth restoration D, which is statistically updated and updated on the server 210,
The dental laboratory management terminal 321 can view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predetermined dental laboratory identifier, and the restored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ach dental restoration D and in the server 210 Includes standard processes for each process entered, and
The dental terminal 110 may modify some or all of the created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The modified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220 via the server 210,
When the portable terminal 355 reads the NFC tag B matched with the corrected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the modified dental restoration information is output.
Dental Technology Management System using NFC.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4535A KR101559462B1 (en) | 2014-05-28 | 2014-05-28 |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technology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
PCT/KR2015/005379 WO2015183024A1 (en) | 2014-05-28 | 2015-05-28 | Dental technology management system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4535A KR101559462B1 (en) | 2014-05-28 | 2014-05-28 |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technology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9462B1 true KR101559462B1 (en) | 2015-10-13 |
Family
ID=5434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4535A Active KR101559462B1 (en) | 2014-05-28 | 2014-05-28 |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technology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9462B1 (en) |
WO (1) | WO2015183024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7392B1 (en) * | 2015-12-01 | 2018-02-08 |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 Denture information generation and history management method of terminal |
KR20200010799A (en) * | 2018-07-23 | 2020-01-31 | (주)큐라움 | Smart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restoration factories in which process sequence is variable according to dental restorations |
KR20200115356A (en) | 2019-03-28 | 2020-10-07 | 주식회사 메디트 | System for Dental Model Manage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52388A (en) * | 2021-01-13 | 2021-04-13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Oral cavity technical room management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779A (en) * | 2000-04-24 | 2001-10-30 | Street Design:Kk | Artificial tooth working system |
JP2012058261A (en) * | 2005-12-19 | 2012-03-22 | Ventana Medical System Inc | Automatic lean method in anatomical pathology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59030A (en) * | 1996-01-02 | 1998-06-02 | Lj Laboratories, L.L.C. | Method for determ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teeth |
KR20130012505A (en) * | 2011-07-25 | 2013-02-04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Dental article, packing of dental article, keeping box of dental article and management system of dental article using rfid tag |
-
2014
- 2014-05-28 KR KR1020140064535A patent/KR101559462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5-28 WO PCT/KR2015/005379 patent/WO201518302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779A (en) * | 2000-04-24 | 2001-10-30 | Street Design:Kk | Artificial tooth working system |
JP2012058261A (en) * | 2005-12-19 | 2012-03-22 | Ventana Medical System Inc | Automatic lean method in anatomical pathology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7392B1 (en) * | 2015-12-01 | 2018-02-08 |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 Denture information generation and history management method of terminal |
KR20200010799A (en) * | 2018-07-23 | 2020-01-31 | (주)큐라움 | Smart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restoration factories in which process sequence is variable according to dental restorations |
KR102131440B1 (en) * | 2018-07-23 | 2020-07-09 | (주)큐라움 | Smart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restoration factories in which process sequence is variable according to dental restorations |
KR20200115356A (en) | 2019-03-28 | 2020-10-07 | 주식회사 메디트 | System for Dental Model Manage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83024A1 (en) | 2015-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2171B1 (en) | System for Dental Model Management | |
KR102121268B1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implant placing guide using server | |
KR101559462B1 (en) | Management system for dental technology using NFC and method thereof | |
KR102227252B1 (en) |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of dentistry prosthetic treatment, and integrates management method using it | |
KR101918015B1 (en) | System for providing dentist medical information and manufacturer information | |
US8527079B2 (en) | On-line system for manufacturing a dental mold | |
KR101277091B1 (en)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integration of dental process | |
KR101619343B1 (en) | System for management of dental prosthetic restoration process | |
KR20080089437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on dental product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 |
US20090023113A1 (en) | Dental Appliance On-Line Ordering Including Display Of End Product Image And Mold Three-Dimensional Scanning For Digital Transmission | |
JP2016071784A (en) | Dental prosthesis ordering system and dental prosthesis ordering method | |
KR102417565B1 (en) | System for Providing of Integration Solution Service of Dental Implant, Service Apparatus thereof, and Method for Procedure Service of Dental Implant of using thereof | |
KR101146998B1 (en) | System for manufacturing teeth mold in on-line and method thereof | |
JP6697200B1 (en) | Instruction sheet management system, instruction sheet management program and instruction sheet management method | |
JP7382582B2 (en) | Automatic technical product design system | |
US2023022255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order processing for dental prosthesis part manufacture | |
KR20170103489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ustomized abutment using internet system | |
CN107111770B (en) | Individual traceable methods and systems for dental implant components | |
CN113456264A (en) |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manufacturing implanted dental crowns based on database files | |
JP2016163689A (en) | Computer system for realizing service for guaranteeing or managing quality of artifact mounted in oral cavity of patient, and method and program to be executed in computer system | |
KR101827392B1 (en) | Denture information generation and history management method of terminal | |
CN112674894B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king implant guide | |
KR20250075156A (en) | Smart system for requesting and producing dental equipment | |
JP7606723B2 (en) | Dental laboratory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system | |
CN110883904A (en) | Preparation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of shell-shaped tooth appli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5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16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07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2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