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239B1 - A holder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A holder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9239B1 KR101559239B1 KR1020140029484A KR20140029484A KR101559239B1 KR 101559239 B1 KR101559239 B1 KR 101559239B1 KR 1020140029484 A KR1020140029484 A KR 1020140029484A KR 20140029484 A KR20140029484 A KR 20140029484A KR 101559239 B1 KR101559239 B1 KR 101559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terminal
- coupling
- support
- coupling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수납장 하부 등에 부착되며 거치대의 전후방의 길이와 좌우방향의 회전조절이 가능하여 다른 일을 하면서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단말기를 안착할 수 있는 단말기안착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구비되는 지지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치대와, 일측에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결합부가 구비되어있고, 타측에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attached to a lower part of a cabinet of a kitchen and can adjust the length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holder and the rotation of the holder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and a cradle including a terminal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receiving the terminal and a supporting portion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And a supporting base having a first rotary coupl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coupling part at one side thereof and a fix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side thereof.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의 상단 수납장의 하부 등에 부착되며 거치대의 전후방의 길이와 좌우방향의 회전조절이 가능하여 다른 일을 하면서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으며, 거치대만 분리하여 다른 위치로 이동하거나 다른 지지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nd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an upper cabinet of a kitchen and can adjust the length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holder and the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which can be separated and used for moving to another position or mounted on another support.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인터넷이나 동영상시청 등을 휴대폰 하나로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휴대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고, 휴대폰을 이용하는 시간은 점점 더 길어지고 있다.As the performance of portabl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or smart pads has improved, it has become an era in which mobile phones and the Internet can be solved by a single mobile phone. So with a mobile phone, you can easily access the information you need, wherever you are, and the time it takes to use your phone is getting longer.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과도하게 몰입하는 경우 건강이나 대인관계 등에 있어서 부작용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적절하게 이용하는 경우에 삶의 질이나 편리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어 유익한 점이 많다.Excessive immersion in portable mobile devices may have side effects in heal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ut it is beneficial to improve quality of life, convenience and efficiency when used properly.
핸드폰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는 작은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근하거나 동영상 등을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단말기가 작기 때문에 손으로 자세를 유지시켜주거나 거치대를 이용하여 지지해 주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거치대가 출시되고 있다.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has an advantage that a small terminal can access the Internet or watch videos at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since the terminal is smal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posture by hand or support it by using a cradle. Recently, various types of cradles for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introduced.
현재 출시되고 있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는 대부분이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서 사용하거나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고, 주방 등에서 가사일을 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거치대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가사일은 싱크대와 가스레인지가 있는 위치를 오가면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근에 흔히 판매되는 거치대와 같이 단말기의 방향조절 등이 자유롭지 못하거나 길이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거치대는 주방 등에서 사용하기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Currently, most of the cradles for mobile devices are used on a desk or table, or mounted on a vehicle. In reality, there are few cradles that can be used while housekeeping in a kitchen. Especially, housework is often carried out with a sink and a gas range. Therefore, it is somewhat difficult to use a kitchen set which is not freely adjustable in direction of the terminal or is not easily adjustable in length, .
가정주부의 경우에 상당시간을 주방에서 보내게 되는데, 주방의 수납장에 결합시켜 주방의 좌우방향 어느 위치에서도 DMB를 시청하거나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있으면 좋을 것이다.
In case of a housewife, it would be good if there is a shelf for a mobile device that can watch DMB or watch video anywhere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f the kitchen by connecting it to the kitchen stor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방의 수납장 등과 같이 소정의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수납장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길이조절 및 방향조절이 가능하여 핸드폰 등을 장착할 경우에 주방의 어느 위치에서든 용이하게 조작하거나 감상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별도의 탈착과정 없이 핸드폰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a cabine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uch as a kitchen cabine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 for a mobile device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or appreciated at any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and can use a mobile phone or the like without a separate detachment process if necessar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단말기를 안착할 수 있는 단말기안착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에 구비되는 지지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거치대와, 일측에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결합부가 구비되어있고, 타측에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body and a cradle including a terminal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receiving the terminal and a supporting portion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And a supporting base having a first rotary coupl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coupling part at one side thereof and a fix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side thereo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몸체에는 단말기고정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단말기고정부는 상기 거치대의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삽입부와, 상기 고정대삽입부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urther includes a terminal fixing part, wherein the terminal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base inserting part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body of the cradle, and a fixing base slidingly mounted on the fixing base inserting part Lt; / RTI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는 제2 회전결합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tation coupl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2 회전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와 상기 고정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second rotationally coupled portion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ount and the fix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는 싱크대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이격되어 설치된 주방수납장의 하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방에서 요리를 하거나 설거지 등을 하면서도 핸드폰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는 전후방향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위치에서 다소 떨어진 위치에서도 길이조절을 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단말기의 좌우방향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의 어디에서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가 지지대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거치대만 분리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지지대결합부에 대응하는 구성이 구비된 다른 종류의 지지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hold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kitchen cabinet spaced apart from a sink by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advantageous that a cell phone can be used while cooking or washing dishes in a kitchen.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in length, the length can be adjusted even at a position slightly away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anywhere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cradle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cradle, the cradle can be separated and moved. If necessary, the cradle can be mounted on other types of supports having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ra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지지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지지대결합부와 제1 회전결합부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지지대와 제2 회전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대가 고정대삽입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고정대가 고정대삽입부에 결합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support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arm engaging portion and the first rotary engager in Figs. 2 and 3. Fig.
Figures 5 and 6 show various embodiments of a support and a second rotational coupling.
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table shown in Fig. 7 is coupled to the fixing table insertion por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table shown in Fig. 7 is coupled to the fixing table insertion por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는 거치대(100)와 상기 거치대(100)에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지지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거치대(100)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하부 전면에 구비되는 단말기안착부(130)와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지지대결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몸체(110)는 단말기를 장착할 경우에 상기 단말기의 후방이 대면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후방으로 치우쳐 있고, 하부가 전방으로 치우쳐 있는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단말기를 경사지게 안착시켜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경사지게 내려다 보기 편하게 하는 구조이다. 몸체(110)의 기울어진 각도나 크기 등은 장착될 단말기의 종류와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몸체(110)에는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단말기고정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단말기고정부(170)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단말기안착부(130)는 몸체(110)의 하부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단말기안착부(130)의 말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말기안착부(130)에 안착된 단말기의 하부를 지지한다. 단말기안착부(130)의 바닥면(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면을 말함)에는 단말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패드(13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기안착부(130)의 가운데부분에는 충전홈(13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마찰패드(133)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이 부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홈(135)은 단말기를 단말기안착부(130)에 안착시킬 때 충전단자부가 위치하는 위치에 상기 단말기안착부(130)의 일부를 관통 또는 절개하여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안착부(130)에 단말기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충전홈(135)을 통하여 충전케이블(미도시)을 통과시켜 단말기의 충전단자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충전홈(135)은 단말기안착부(130)의 중앙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나, 단말기의 충전단자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지지대결합부(150)는 지지대(20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지지대(200)와 함께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지지대(200)는 일측에 지지대결합부(15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결합부(21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고정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200)는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몇가지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지지대(2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2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회전결합부(210)는 지지대결합부(15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대결합부(150)와 제1 회전결합부(210)는 결합 시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한 결합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일측에 상방향으로 원주형상으로 돌출된 제1 회전결합부(210)가 형성되고, 전술하여 설명한 거치대(100)의 몸체(110) 후방에 구비된 지지대결합부(150)는 상기 제1 회전결합부(210)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지지대결합부(150)에 제1 회전결합부(210)가 삽입되면서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결합부(150)와 제1 회전결합부(210)가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거치대(100)가 지지대(200)의 좌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결합부(150)와 제1 회전결합부(210)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지대결합부(150)가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제1 회전결합부(21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지지대결합부(150) 및/또는 제1 회전결합부(210)에는 서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고,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기능을 발휘하는 장치는 공지의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본 발명에 채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대결합부(150)와 제1 회전결합부(210)의 형상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지지대결합부(150)를 원주형상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제1 회전결합부(210)를 원통 또는 원형의 관통홀 형상으로 하여, 상기 제1 회전결합부(210)에 지지대결합부(150)를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회전결합부(210)와 지지대결합부(150)의 접촉평면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원발명에서는 지지대결합부(150)와 제1 회전결합부(2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hapes of the support
지지대(200)의 타측에는 고정부(230)가 구비되며, 고정부(230)는 주방의 수납장 하부 등에 지지대(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230)는 지지대(2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에 2개 이상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에 나사못(미도시)을 결합시켜 수납장 하부에 고정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230)의 상부면에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양면테이프) 등을 구비하여 수납장 등의 하부에 직접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고정부(230)를 부착시키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A fixing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지지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 지지대결합부와 제1 회전결합부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arm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rotary coupling portion in Figs. 2 and 3.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는 지지대(200)의 타측에 제2 회전결합부(250)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00)가 제2 회전결합부(25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대(200)는 두 개의 봉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2 and 3,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제2 회전결합부(250)는 지지대(200)의 타측에 구비되어 고정부(230)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30)의 하부면에 결합돌기(235)가 외주면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할 때 원형이 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2 회전결합부(250)에는 상기 결합돌기(235)가 삽입되는 결합홀(255)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2 회전결합부(250)의 결합홀(255)에 고정부(230)의 결합돌기(235)가 삽입되면서 결합되고, 결합홀(255)과 결합돌기(235)는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돌기(2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결합돌기(235)가 결합홀(255)에 삽입될 때 상기 결합돌기(235)가 내측으로 휘어지면서(오므려지면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례이다. 결합돌기(235)의 말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일단 결합돌기(235)가 결합홀(255)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결합돌기(235)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2 회전결합부(250) 및 고정부(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제2 회전결합부(250) 및 고정부(2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구체적인 형상은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235)가 제2 회전결합부(250)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결합돌기(235)가 삽입되는 구조가 고정부(230)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second
한편, 지지대(200)는 제2 회전결합부(25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pport table 2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대(200)는 일단이 제1 회전결합부(2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제1 회전결합부(210)로부터 연장된 2개의 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결합부(250)에는 2개의 봉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부(253)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딩부(253)는 지지대(200) 보다는 다소 크게 형성된 원통형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53)에 지지대(200)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리하여 지지대(200)를 밀면 상기 지지대(200)가 제2 회전결합부(250)의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제1 회전결합부(210)와 제2 회전결합부(25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지지대(200)를 당기면 상기 지지대(200)가 제2 회전결합부(250)의 전방으로 늘어나면서 제1 회전결합부(210)와 제2 회전결합부(25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는 거치대(100)의 몸체(110) 후방에 구비되는 지지대결합부(150)가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제1 회전결합부(210)를 원하는 위치의 지지대결합부(150)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거치대(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supporting
도 5 및 도 6은 지지대와 제2 회전결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upport and the second rotational joint.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대(200)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00)에 제1,2 회전결합부(210, 2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대(200)의 양측에 원형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일측에 구비된 관통홀이 제1 회전결합부(210)가 되어 지지대결합부(150)가 삽입되면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관통홀이 제2 회전결합부(250)가 되어 고정부(230)의 하부가 회동할 수 있게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구성에서는 지지대(200)의 길이조절은 되지 않지만 거치대(10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5, the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200)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의 타측에 상기 지지대(200)를 지지하면서 고정부(230)의 하부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2 회전결합부(2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지지대(200)는 제2 회전결합부(250)의 하부에 지지대(200)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는 슬라이딩부(25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지지대(200)가 제2 회전결합부(25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움직일 수 있고, 거치대(100)는 지지대(200)에 대하여 좌우측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2 회전결합부(250)는 생략되어 지지대(200)를 전후방향으로 길이조절은 할 수 있지만 고정부(230)에 대하여 회전하지는 않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6, the support table 200 is formed in a plate-like structure and supports the support table 200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table 200 and rotates in a second rotation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는 다양한 형상의 지지대 및 회전결합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00)의 타측에 슬라이딩부(253)가 구비되는지 여부에 따라 지지대(2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게 된다. 지지대(2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지지대(200)의 길이방향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되고, 슬라이딩부(253)는 지지대(200)의 외주면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성되면 된다. 이러한 구성관계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support member and a rotation coupling member having various shapes, and the length of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대가 고정대삽입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고정대가 고정대삽입부에 결합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xing table shown in FIG. 7 is coupled to a fixing table insertion portion, FIG. 9 is a cross-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coupled to the insertion portion. Fig.
단말기고정부(170)는 거치대(100)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몸체(110)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대삽입부(180)와 상기 고정대삽입부(180)에 탈부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장착되는 고정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고정대삽입부(180)는 몸체(110)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슬라이딩홈(18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홈(181)은 후술하여 설명할 고정대(190)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되어 후술하여 설명할 고정대(190)의 결합면(191)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딩홈(181)의 전방에는 고정대(190)의 전방 전체 또는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지지편(18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대삽입부(18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나, 필요에 따라서는 몸체(110)와 나란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xed
고정대(190)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된 결합면(191)과 상기 결합면(191)의 일단에 일측면방향(도 7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 이하 방향표시는 동일한 기준으로 설명됨)으로 절곡된 제1 고정판(193)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판(193)의 끝단에 타측방향으로 절곡된 제2 고정판(19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판(193)은 결합면(191)보다는 폭이 좁게 형성되거나 제1 고정판(193)과 결합면(191)의 연결부가 결합면(191)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면(191)의 일측방향으로도 슬라이딩홈(18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판(193) 및 제2 고정판(194)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거치대(100)에 장착된 단말기의 상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라면 구체적인 형상이나 각도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 고정판(193)의 일측면에는 제3 고정판(19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고정판(195)은 단말기의 전면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고정판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fixing table 190 has a
결합면(191)의 타측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마찰편(19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마찰편(197)은 전부 또는 일부에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마찰계수가 큰 재질이 구비되어 결합면(191)이 슬라이딩홈(181)의 내부에서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마찰편(197)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면(191)의 타측면에 ㄴ자 형상의 탄성구조(196)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탄성구조(196)의 외측(타측면)에 고무나 실리콘 등이 부착된 마찰편(19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결합면(191)이 슬라이딩홈(181)을 따라 이동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없거나 일정수준 이하인 경우에는 탄성편이 슬라이딩홈(181)의 배면을 가볍게 가압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At least one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대(190)는 고정판(193, 194, 195)이 상부를 향하도록 슬라이딩홈(18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이 상부를 향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판과 단말기안착부(13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져서 길이가 긴 단말기를 장착하여 고정하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단말기안착부(130)에 길이가 긴 단말기 또는 길이방향으로 단말기를 안착시킨 후에 고정대(190)를 아래로 내려서 고정하게 된다. 고정대(190)가 슬라이딩홈(181)에서 하강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190)의 제1 고정판(193)의 내측면이 단말기의 상부면을 누르고 제3 고정판(195)이 단말기의 전면을 지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fixing table 190 may be coupled to the sliding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대(190)는 고정판(193, 194, 195)이 하부를 향하도록 슬라이딩홈(18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판이 하부를 향하면 고정판과 단말기안착부(13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서 길이가 짧은 단말기 또는 폭 방향으로 단말기를 장착하여 고정하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단말기안착부(130)에 단말기를 안착시킨 후에 고정대(190)를 아래로 내려서 고정하게 된다. 고정대(190)가 슬라이딩홈(181)에서 하강하면 상기 고정부(230)의 제1 고정판(193)의 외측면이 단말기의 상부면을 누르고 제2 고정판(194)이 단말기의 전면을 지지하게 된다.
9, the fixing table 190 may be coupled to the slid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거치대 110: 몸체
130: 단말기안착부 133: 마찰패드
135: 충전홈 150: 지지대결합부
170: 단말기고정부 180: 고정대삽입부
181: 슬라이딩홈 183: 지지편
190: 고정대 191: 결합면
193: 제1 고정판 194: 제2 고정판
195: 제3 고정판 196: 탄성구조
197: 마찰편 200: 지지대
210: 제1 회전결합부 230: 고정부
235: 결합돌기 250: 제2 회전결합부
253: 슬라이딩부 255: 결합홀100: cradle 110: body
130: terminal mounting portion 133: friction pad
135: filling groove 150:
170: terminal fixing portion 180:
181: sliding groove 183:
190: fixed base 191:
193: first fixing plate 194: second fixing plate
195: third fixing plate 196: elastic structure
197: Friction piece 200: Support piece
210: first rotating coupling part 230:
235: engaging projection 250: second engaging portion
253: sliding portion 255: engaging hole
Claims (4)
일측에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결합부가 구비되어있고, 타측에는 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단말기고정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단말기고정부는 상기 몸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대삽입부와, 상기 고정대삽입부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삽입부는 상부면은 개방되고 전방에는 지지편이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대는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의 일단에 일측방향으로 절곡된 제1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A terminal receiving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or receiving a terminal and having a filling groove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support base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side;
And a support block having a first rotary coupling part detach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coupl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and having a fixing part on the other side thereof,
The body further includes a terminal fixing part, wherein the terminal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base inserting part formed on th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base slidingly mounted on the fixing base inserting part,
The fixing base includes a coupling surface that is formed in a plate-like structur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and a pair of coupling groove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surface, And a first fixing plate bent in a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는 제2 회전결합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rotation coupling part is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support fram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지지대결합부는 상기 몸체의 후방에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racke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ody so that the height of the bracket can be adjus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9484A KR101559239B1 (en) | 2014-03-13 | 2014-03-13 | A holder for mobi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9484A KR101559239B1 (en) | 2014-03-13 | 2014-03-13 | A holder for mobi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7097A KR20150107097A (en) | 2015-09-23 |
KR101559239B1 true KR101559239B1 (en) | 2015-10-14 |
Family
ID=5424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94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9239B1 (en) | 2014-03-13 | 2014-03-13 | A holder for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923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4153A (en) * | 2022-03-24 | 2023-11-07 | (주)익산비철 | Mobile device cradle with variable support poi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7566Y1 (en) * | 2023-05-10 | 2023-12-19 | 임성룡 | Table menu board equipped with mobile phone hold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6895B1 (en) | 2011-04-05 | 2013-02-27 | (주)굿센스 | Holder for mobile phone |
KR200471268Y1 (en) * | 2013-09-27 | 2014-02-11 | 우양섭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
2014
- 2014-03-13 KR KR1020140029484A patent/KR1015592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36895B1 (en) | 2011-04-05 | 2013-02-27 | (주)굿센스 | Holder for mobile phone |
KR200471268Y1 (en) * | 2013-09-27 | 2014-02-11 | 우양섭 |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4153A (en) * | 2022-03-24 | 2023-11-07 | (주)익산비철 | Mobile device cradle with variable support point |
KR102708561B1 (en) | 2022-03-24 | 2024-09-24 | (주)익산비철 | Mobile device cradle with variable support poi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07097A (en) | 2015-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88063B2 (en) | Integrated magnetic tablet stand | |
KR20120061425A (en) | Supporter of portable appliance attachable in bed | |
KR20140007050A (en) | Case for portable device | |
CN103016928B (en) | Can be used as device and the television set of hanger and base | |
KR101559239B1 (en) | A holder for mobile device | |
WO2013074626A1 (en) | Smoothly adjustable tablet stand | |
CN204517897U (en) | A kind of mobile phone clamping device | |
BR102013033029A2 (en) | DISPLAY DEVICE | |
CN207460280U (en) | Intelligent mobile terminal clamping device | |
CN210135398U (en) | Display screen supporting structure and medical equipment | |
CN104580598B (en) | Double-directional supporting mobile phone protective case | |
KR20090075387A (en) | Modulators, stand units, and display devices | |
CN102401220B (en) | Fixed structure of electronic product with display screen | |
KR200474319Y1 (en) |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 |
CN107588311A (en) | A wall hanging device for flat screen TV | |
CN204511919U (en) | The electric fan of tool storage function | |
CN108361529A (en) | Electronic device | |
KR200475759Y1 (en) | A cradle for electronic devices | |
CN207070548U (en) | Intensive circuit board fixing device | |
CN103216708B (en) | Support frame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 |
KR20150144476A (en) | Smartphone Stand | |
CN204785348U (en) | Computer rack | |
KR200474707Y1 (en) | A holder of electronic equipment | |
CN201795254U (en) | Clamping device | |
CN222480019U (en) | Support fr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