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8690B1 -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690B1
KR101558690B1 KR1020130156349A KR20130156349A KR101558690B1 KR 101558690 B1 KR101558690 B1 KR 101558690B1 KR 1020130156349 A KR1020130156349 A KR 1020130156349A KR 20130156349 A KR20130156349 A KR 20130156349A KR 101558690 B1 KR101558690 B1 KR 10155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er
mode
stage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812A (ko
Inventor
김희권
이정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69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6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43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43Speed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주행 특성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특성에 적합한 주행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운전자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량 주행 시 운전자의 가속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운전자의 주행 특성을 선정한 다음, 선정된 주행 특성으로부터 현재 주행 상태에 적합한 최적 주행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인위적인 모드 변경을 통하지 않더라도 주행 특성에 따른 경제 운전을 극대화시켜 주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System for automatic ECO driving according to driver's driving characteristic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운전자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주행 특성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특성에 적합한 주행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운전자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화석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솔린 및 디젤 엔진은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이산화탄소로 인한 지구 온난화, 오존 생성 등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유발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순수 전기자동차나, 엔진과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연료전지 자동차 등의 친환경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어 왔다
최근 상기한 친환경 전기자동차 중 배터리를 충전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순수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각 자동차 제조사마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전기자동차의 상용화와 관련, 1회 충전 시 충분한 주행 거리 확보 및 상품성 확보를 위하여 차량 연비를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비록, 최근 배터리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전기 에너지의 충전량을 늘려 주행거리를 늘려가고 있기는 하나, 이와는 별개로 에코 드라이빙(경제 운전)의 기술 적용 및 회생제동 최대화를 위한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좌우하는 연비 개선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의 에코 드라이빙(Economic Driving) 기술과 관련,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변속기가 필요 없기 때문에 D단-3단-2단-1단 등과 같은 변속단을 구성하는 것이 불필요하며, 따라서 시프트 레버의 구성에 있어서 비교적 자유롭다.
예컨대, 전기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의 구성은 기존 P단, R단, N단과 더불어 D단과 E(Eco)단, B단(=L단)만이 존재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전기 자동차의 시프트 레버의 구성을 살펴보면, D단은 일반적인 차량의 D(Drive)단과 유사한 주행 모드이고, B단은 회생 제동 비율을 크게 가져가는 모드이며, Eco단(이하, E단이라 약칭함)은 주행 환경을 고려하여 회생 제동 비율을 정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프트 레버를 E단으로 조작하게 되면 차량이 에코 모드(경제운전 모드)로 주행하게 되면서 연비가 상대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에코 모드에서는 1) 갑작스런 모터 토크 변동을 억제하여 차량의 급가속을 제한하고, 2) 관성 및 제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버리는 유압제동을 최소화하면서 전기에너지로 회수하는 회생제동을 최대화하여 회생제동 범위를 확대하는 제어 로직이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두 방법의 적용은 동력성능 및 운전성을 약화시키므로 고속도로 등 교회의 주행에서는 적당하지 않으며, 가다 서다(Stop-and-Go)를 반복하는 도심 주행의 경우에만 비교적 적합하다.
한편, 이러한 에코 모드의 주행은 E단으로 차량의 시프트 레버가 설정된 경우에만 주행이 가능하나,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시프트 레버를 조작하는 것은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체감되는 연비 향상에 비하여 동력 성능 및 운전성 제약으로 인한 불편함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에코 모드로의 주행을 유도하는 것에는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량 주행 시 운전자의 가속 특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운전자의 주행 특성을 선정하고, 선정된 주행 특성으로부터 현재 주행 상태에 적합한 최적 주행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인위적인 모드 변경을 통하지 않더라도 주행 특성에 따른 경제 운전을 극대화시켜 주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종방향 가속도 값을 수집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 의하여 결정된 운전자의 주행 성향 정보에 따라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에서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가속도 구간별로 히스토그램화하고, 미리 설정된 히스토그램화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드 결정부에서는 현재 차량의 가속도를 입력받아 차량의 감속,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의 가속도와 주행 성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선택 맵으로부터 최적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행 성향은 방어적, 보통 및 공격적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모드 선택 맵은 방어적인 주행 성향인 경우, 차량 감속 또는 차량 가속 시에는 B단으로 설정되며, 정속 주행시에는 E단으로 설정되고, 보통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B단이며, 가속 시에는 E단이며,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고, 공격적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E단이며,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결정된 최적 모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선택된 모드 변경을 위한 모드 변경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주행 성향에 따라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가속도 구간별로 히스토그램화하고, 미리 설정된 히스토그램화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현재 차량의 가속도를 입력받아 차량의 감속,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의 가속도와 주행 성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선택 맵으로부터 최적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행 성향은 방어적, 보통 및 공격적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모드 선택 맵은 방어적인 주행 성향인 경우, 차량 감속 또는 차량 가속 시에는 B단으로 설정되며, 정속 주행시에는 E단으로 설정되고, 보통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B단이며, 가속 시에는 E단이며,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고, 공격적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E단이며,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선택된 모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모드 변경 입력 시, 기존 가속도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운 가속도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최적 주행 모드를 재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운전자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은 운전자의 주행 특성에 따라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 고유의 주행 특성에 따라 적합한 경제 운전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인위적인 조작없이 자동화된 경제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주행 특성을 주기적 또는 선택적으로 갱신함으로써 실시간 경제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현재 선택된 주행 모드를 유지 또는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경제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에서는 수집된 주행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주행 특성을 고려하여 경제 운전 구간을 극대화함으로써,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경제 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ICT 정보와 연동하여 보다 세분화된 경제 운전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의 바람직한 일구현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운전자 주행 특성을 선정하기 위한 가속도 구간별 가감속 횟수를 나타낸 히스토그램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종가속 특성을 분석하여 타행 주행시의 회생제동 비율을 조절하여 차량의 경제 운전이 가능토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종방향 가속도 특성에 따라 운전자의 주행 특성을 결정하는 한편, 결정된 운전자의 주행 특성에 따라 전기차량의 회생제동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모터 스팬(Span) 영역을 효율적인 영역 내에 두어, 실질적인 주행 가능 거리를 증가시키는 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기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세가지 주행 모드, 즉, 회생제동 비율이 큰 제동모드(B단), 구배를 고려하여 회생제동 비율을 정하는 경제모드(E단), 일반적인 차량(ICE)에서의 drive단과 유사한 모드(D단)로 구분됨을 고려하여, 운전자의 주행 특성에 따라 회생 제동 비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주행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는 종방향 가속도 값을 수집하는 센싱부(10)와 이러한 센싱부(10)에 의하여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20) 및 이러한 분석부(20)에 의하여 제공되는 운전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최적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결정부(3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부(10)에서는 차량에 부착된 G센서 등을 통해 현재 차량의 종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차량의 속도 정보를 부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분석부(20)는 상기 센싱부(10)로부터 수집된 가속도 정보 또는 속도와 가속도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에서는 상기 센싱부(10)로부터 수집된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거리 또는 시간을 단위로 하는 일정 구간에 대한 히스토그램 정보로 취합한 다음, 이를 토대로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분석부(20)에서는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정형화된 2 이상의 성향 모드로 구분하고, 이러한 정형화된 성향 모드에서의 가속도 정보를 나타내는 기준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감가속도 정보는 분석부(20) 내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되며, 비교된 결과에 따라 운전자 주행 특성을 나타내는 주행 성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수집된 가속도 정보로부터 특정 시간 또는 거리 구간 내의 평균 가속도를 산출한 다음, 이를 주행 성향을 구분하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특정 정보 수집 구간 내에서 가속도가 0G ~ 0.4G인 경우에는 방어적(Defensive) 주행 성향으로 구분하는 한편, 가속도가 0.4G ~ 0.8G인 경우에는 보통(Normal), 0.8G 이상인 경우에는 공격적(Offensive) 주행 성향을 갖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센싱부(10)에서 수집된 감가속도 정보를 통해 분석부에서 히스토그램화한 가속도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의 센싱부로부터 수집된 감속도 정보를 히스토그램화하여 나타낸 것의 예시로써, 도 2에서는 0.1m/s2의 크기만큼의 구간별로 가속도를 구분하고, 구분된 구간별로 감가속 횟수 정보를 표시하도록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히스트그램화되어 산출된 가속도 정보는 마찬가지로 히스토그램화되어 분석부 내에 미리 저장된 각 주행 특성별 기준 데이터와 비교된다.
따라서, 각각의 주행 특성을 나타내는 기준 데이터들 중, 현재 가속도 정보와 가장 부합하는 기준 데이터를 선정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현재 가속도 정보와 부합하는 기준 데이터를 선정하는 것은 각 히스토그램 형태의 유사성으로부터 고려되어 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판단을 위한 선정 로직은 유사성을 선정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채용될 수 있다.
차량의 감가속도 정보로부터 운전자의 주행 성향이 결정되면, 결정된 주행 성향과 현재 주행 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최적 주행 모드가 선택된다.
주행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고려될 수 있는 주행 상태 정보로는 가속도 정보를 기반으로 한 주행 상태, 즉, 감속,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아래 표 1는 운전 성향 및 속도 변화에 따라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맵을 예시한 것이다.
방어적(Defensive) 보통(Normal) 공격적(Offensive)
감속 B B E
가속 B E D
정속 E D D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어적인 주행 성향인 경우, 감속의 경우에는 회생 제동을 극대화하는 한편, 가속 시에는 바로 감속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회생 제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B단으로 설정하고, 정속 주행시에는 E단으로 설정한다.
한편, 보통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회생제동을 극대화하는 B단으로 설정하는 한편, 가속 시에는 E단으로 설정하는 한편,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하여 주행 성능을 유지한다.
또한, 공격적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E단으로 설정하는 한편, 주행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D단으로 설정한다.
상기 표 1의 맵핑된 데이터는 하나의 예시이며, 다른 방식으로 운전자의 성향을 고려하여 적합한 주행 모드를 선택적으로 맵핑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감속, 가속, 정속의 3가지 경우로 구분하지 않고, 감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구간을 설정하고, 각 구간 별로 주행 모드를 매칭시킬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생 제동량을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주행 모드를 추가하여, 해당 주행 모드 내에서 가변적인 회생 제동량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에서는 결정된 최적 모드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현재 주행 중인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드 결정부(30)에서는 클러스터에 표시된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 모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주행 모드와 함께 운전자의 성향에 대한 정보 또한 함께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택된 모드 변경을 위한 모드 변경 스위치를 운전석 주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 변경 스위치를 운전자가 누르게 되면, 기존의 가속도 정보는 삭제되고 새로운 모드로의 변경 작업이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에서는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고(S110), 수집된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12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수집된 가속도 정보를 비교 분석하게 되며, 가속도 정보 분석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게 된다.
운전자의 주행 성향이 결정되면, 결정된 주행 성향에 따라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러한 최적 주행 모드 선택 단계에서는 현재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가 고려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현재의 가속도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 가속도 정보와 주행 성향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모드 선택 맵에 따라 최적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운전자에게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S140).
한편, 선택된 모드로 주행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모드 변경 스위치를 입력하게 되면, 모드 변경이 이루어지게 되며(S150), 이 경우 기존 가속도 정보를 삭제(S160)한 다음, 다시 가속도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운전자 주행 성향을 결정하고, 최적 모드를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S110 ~ S140)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요소들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의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수적인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특별한 상황들이나 재료에 대하여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 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10: 센싱부
20: 분석부
30: 모드 결정부
40: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종방향 가속도 값을 수집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 의하여 결정된 운전자의 주행 성향 정보에 따라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결정부에서는 현재 차량의 가속도를 입력받아 차량의 감속,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의 가속도와 주행 성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선택 맵으로부터 최적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서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가속도 구간별로 히스토그램화하고, 미리 설정된 히스토그램화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 성향은 방어적, 보통 및 공격적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모드 선택 맵은 방어적인 주행 성향인 경우, 차량 감속 또는 차량 가속 시에는 B단으로 설정되며, 정속 주행시에는 E단으로 설정되고, 보통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B단이며, 가속 시에는 E단이며,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고, 공격적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E단이며,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정된 최적 모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택된 모드 변경을 위한 모드 변경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8.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차량의 가속도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주행 성향에 따라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에서는 현재 차량의 가속도를 입력받아 차량의 감속,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여부를 결정하고, 차량의 가속도와 주행 성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선택 맵으로부터 최적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수집된 종방향 가속도 정보를 가속도 구간별로 히스토그램화하고, 미리 설정된 히스토그램화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운전자의 주행 성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행 성향은 방어적, 보통 및 공격적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모드 선택 맵은 방어적인 주행 성향인 경우, 차량 감속 또는 차량 가속 시에는 B단으로 설정되며, 정속 주행시에는 E단으로 설정되고, 보통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B단이며, 가속 시에는 E단이며,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고, 공격적인 주행 성향의 경우, 감속 시에는 E단이며, 가속 또는 정속 주행 시에는 D단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최적 주행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
  14. 청구항 8, 청구항 9, 청구항 10, 청구항 12,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드 변경 입력 시, 기존 가속도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운 가속도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최적 주행 모드를 재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방법.
KR1020130156349A 2013-12-16 2013-12-16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155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49A KR101558690B1 (ko) 2013-12-16 2013-12-16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349A KR101558690B1 (ko) 2013-12-16 2013-12-16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12A KR20140001812A (ko) 2014-01-07
KR101558690B1 true KR101558690B1 (ko) 2015-10-07

Family

ID=5013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349A Active KR101558690B1 (ko) 2013-12-16 2013-12-16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8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3758B2 (en) 2017-03-14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ruise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driving cond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547B1 (ko) * 2016-11-16 2021-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오토 크루즈 제어 방법
US11148680B2 (en) * 2017-08-08 2021-10-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defined drive mode changes based on occurring conditions
CN115179950B (zh) * 2021-03-26 2023-09-0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驾驶行为的驾驶模式调整方法和车辆
GB2608627B (en) * 2021-07-07 2025-06-04 Continental Automotive Tech Gmbh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560B1 (ko) * 2007-11-26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제어방법
JP2013033461A (ja) * 2011-06-30 2013-02-14 Nissan Motor Co Ltd 運転状態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560B1 (ko) * 2007-11-26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제어방법
JP2013033461A (ja) * 2011-06-30 2013-02-14 Nissan Motor Co Ltd 運転状態診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3758B2 (en) 2017-03-14 2020-02-18 Hyundai Motor Company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ruise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driving cond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12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 et al. Optimal energy and catalyst temperature management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for minimum fuel consumption and tail-pipe emissions
KR101558690B1 (ko) 운전자 주행 특성을 반영한 자동 경제 운전 장치 및 방법
KR10099275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soc별 최적 운전점 결정 방법
CN104890669B (zh) 一种混合动力汽车动力总成控制方法
CN102596672B (zh) 根据预测的驱动变化向一种混合动力交通工具提供的引擎辅助
Piccolo et al. Optimisation of energy flow management in hybrid electric vehicles via genetic algorithms
JP4689708B2 (ja) 省燃費運転診断装置、原動機の制御装置及び省燃費運転診断方法
Orecchini et al. Energy consumption of a last generation full hybrid vehicl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vehicle in real drive conditions
JP6043249B2 (ja) 車両制御装置
CN110936949A (zh) 基于行驶工况的能量控制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CN108058703A (zh) 用于控制新能源汽车的电动机温度的系统和方法
US10899337B2 (e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rive mode therefore
KR20150001546A (ko) 친환경 자동차의 회생제동량 가변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31564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ehicle using driving information of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CN106143480A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驱动控制装置和方法
Tulpule et al. Effect of traffic, road and weather information on PHEV energy management
US20210253082A1 (en) Dynamic hybrid vehicle system for stabilizing cylinder deactivation or turbocharger boosting
KR20200016560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제어 방법
KR102359578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최적 운전점 결정 방법
Ganji et al. Drive cycl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hybrid electric vehicles
KR20190081176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패턴 판별 방법
US2021033311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motor vehicle
Kum et al. Optimal catalyst temperature management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CN108340905B (zh) 用于控制混合动力车辆的驾驶的方法
CN110131052A (zh) 用于车辆操作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