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316B1 - Manless mast for tower crane - Google Patents
Manless mast for tower cra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8316B1 KR101558316B1 KR1020150059044A KR20150059044A KR101558316B1 KR 101558316 B1 KR101558316 B1 KR 101558316B1 KR 1020150059044 A KR1020150059044 A KR 1020150059044A KR 20150059044 A KR20150059044 A KR 20150059044A KR 101558316 B1 KR101558316 B1 KR 1015583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t
- bolt
- leaning
- vertical beam
- preve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QDOXWKRWXJOMAK-UHFFFAOYSA-N dichromium trioxide Chemical compound O=[Cr]O[Cr]=O QDOXWKRWXJOM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676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141 Ductile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4 ceramic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RVSOGSZCMJSLX-UHFFFAOYSA-L chromic acid Substances O[Cr](O)(=O)=O KRVSOGSZCMJSL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AWJWCTOOIBYHON-UHFFFAOYSA-N furo[3,4-b]pyrazine-5,7-dione Chemical compound C1=CN=C2C(=O)OC(=O)C2=N1 AWJWCTOOIBYHO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60 Gray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584785 Anavitrinella pampin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131 Sphyr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NNRSPGTAMTISX-UHFFFAOYSA-N chro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Cr].[Ni] VNNRSPGTAMTI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77 desulfu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56 desulfu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9 discolorat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NKHSLKYRMDDNQ-UHFFFAOYSA-N halofenoz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N(C(C)(C)C)NC(=O)C1=CC=C(Cl)C=C1 CNKHSLKYRMD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99 photocata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3 whit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14—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 B66C3/16—Grabs opened or closed by driving motors thereon by fluid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E04H12/14—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에 관한 것으로, 마스트의 수직빔들에 설치되어서 수직빔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고 수직빔에 설치되는 슈의 쏠림을 방지하여서 마스트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마스트쏠림방지부가 구비되며, 이 마스트쏠림방지부는, 양측에 형성되어서 수직빔의 대응면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상하측에 형성되고 안착된 슈지지브라켓이 마스트쏠림방지부의 중앙측으로 쏠리도록 하는 한쌍의 슬립유도면과, 한쌍의 슬립유도면 사이에 형성되어서 슈지지브라켓이 지지되는 유동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스트쏠림방지부의 고정면이 수직빔의 대응면에 고정되어서 H빔 형태의 수직빔 두면을 지지하므로 수직빔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슈지지브라켓의 상단부가 마스트쏠림방지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면 슈가 일측으로 쏠려도 슬립유도면에 의해 슈지지브라켓은 항상 마스트쏠림방지부의 유동면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슈가 마스트쏠림방지부에 의해 마스트 일측으로 쏠리지 않게 되므로 마스트에 무리한 휨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전복이 방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which is installed on vertical beams of a mast to prevent warp of a vertical beam and prevents a shoe installed on a vertical beam from leaning, The mast leaning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slip guide surfaces for preventing the shoe support bracket, which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st lean preventing portion, to be fix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And a flow surf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lip guide surfaces to support the shoe support bracket.
Therefore, the fixing surface of the mast-leaning portion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to support the two surfaces of the H beam-shaped vertical beam, thereby preventing the vertical beam from being twisted. Further, when the upper end of the shoe support bracke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st preventing portion, the shoe support bracket is always positioned on the mast escape prevention portion by the slip guide surface even if the shoe is moved to one side. Accordingly, since the shugamast leaning prevention portion prevents the leaning of the mast to one side, the leaning load does not act on the mast, thereby preventing the overturning of the tower cran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H빔 형태의 수직빔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마스트에 무리한 휨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며, 마스트들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슬립이 발생되어도 그 전단력이 볼트의 수나사부에 가해지지 않는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that prevents a vertical beam in the form of an H beam from being twisted and prevents an unreasonable bending load from acting on the ma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in which a shearing force is not applied to a male thread portion of a bolt.
타워크레인은, 항만 하역용이나 고층 건물의 건축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플랜트 공사에서는 벌크(bulk) 작업과 스풀 홀딩(spool holding)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꼭대기 부분의 모양에 따라 지브형(jib type)과 해머헤드형(hammer head type)으로 나눈다. 지브(팔 모양으로 돌출된 것) 형은 탑 꼭대기에 회전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브를 붙여 회전운동이나 트롤리(trolley)의 직선운동으로써 화물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한다. 해머헤드형은 탑 꼭대기에 선회 프레임을 설치하고 여기에 좌우 평형하도록 붐(boom)을 장치한 것으로서 하중의 이동이 수평으로 이루어진다. Tower cranes are often used for harbor harbor construction and for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In plant construction, it is mainly used for bulk work and spool holding. These tower cranes are divided into jib type and hammer head ty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top part. The jibs (protruding arms) have a rotating fram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tower and attached to the jibs to perform lifting or lowering of the cargo by rotational motion or linear movement of the trolley. The hammerhead type is equipped with a revolving frame at the top of the tower, and a boom is installed so as to balance the left and right, and the load is shifted horizontally.
타워크레인은 보통 그 용량을 달아올림 하중으로 나타내고 소형은 3t 미만, 중형은 5t 미만, 대형은 5t 이상으로 나눈다. 작업 범위는 30m 이상이 대부분이며, 그 자립고(Free Standing)는 타워의 강도로 정해지는데 18∼30m 범위가 많다. 데릭 크레인에 비하여 지주와 지지 케이블이 필요 없으며, 인접시설 등에 장해가 없는 상태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작업 범위가 넓고 작업 능력도 다른 크레인에 비하여 2배에 이른다.Tower cranes are usually represented by lifting weights, smaller than 3 tons, medium-sized ones smaller than 5 tons, and larger ones larger than 5 tons. The working range is more than 30m, and the Free Standing is determined by the strength of the tower, which is in the range of 18 ~ 30m. Compared to derrick cranes, it does not require support and support cable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otate 360 degrees without obstacles in adjacent facilities. The work area is wide and the working capacity is twice as high as other cranes.
이러한 타워크레인은 '타워크레인의 방호조치에 관한 기술지침'에 따라 정격하중의 105% 이하에서 작동되는 과부하방지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또 권과방지장치·하강제한장치·선회제한장치·주행제한장치·기복제한장치·로프이완방지장치·지브텔레스코핑 제한장치 등의 운동제한장치와 상승·하강·기복의 속도를 제한하는 성능제한장치가 부가적으로 설치된다.These tower cranes shall be fitted with overload protection devices operating at 105% or less of the rated loa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Guidance on the Protection of Tower Cranes. In addition,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limiting device such as the winding and the preventing device, the falling limit device, the turning limit device, the travel limit device, the undulation limit device, the rope relaxation prevention device, the jib telescoping limit device, An apparatus is additionally installed.
이와 같은 타워크레인은, 기초앵커(basic anchor) 위에 기초마스트(basic mast)가 설치되고 이 기초마스트 상에 다수의 마스트(mast)들이 조립된다. 조립된 마스트들의 상부에는 마스트의 높이를 높일 때 사용되는 텔레스코핑케이지(telescoping cage)가 설치된다. 선회장치의 상부 및 메인지브(main jib)의 바로 하부에는 작업위치 및 선회 반경 표시판이 잘 보이는 위치에 상부에는 운전실이 설치된다.In such a tower crane, a basic mast is installed on a basic anchor and a plurality of masts are assembled on the foundation mast. A telescoping cage is used at the top of the assembled masts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mast. A cab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swivel device and just below the main jib at a position where the working position and turning radius display panel are visible.
운전실 상단에는 켓헤드(cat head)가 설치되며, 이는 메인지브와 카운트지브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상호 지탱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e top of the cab, a cat head is installed, which serves to support the connecting bars connecting the main jib and the count jib.
카운트지브는, 타워크레인의 전,후방의 균형 유지를 위해 메인지브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카운트지브에는 균형추와 윈치를 사용한 권상장치가 설치된다.The counting jig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jig for balanc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tower crane. The counting jig is provided with a balancing machine and a winch hoist.
메인지브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로서, 메인지브의 길이, 즉 선회반경에 따라 권상용량이 결정된다. 풍하중 및 중량의 감소를 위해 트러스 구조로 되어 있다.The main jib is a cantilever type structure around the pivot axis, and the hoisting capacity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main jib, that is, the turning radius. It has a truss structure to reduce wind load and weight.
이 메인지브에는 트롤리가 설치된다. 트롤리는 메인지브를 따라 이송되면서 권상작업을 위한 선회 반경을 결정하는 횡행장치이다. 이러한 트롤리에는 훅어셈블리가 설치된다. 이는, 트롤리에서 내려진 와이어로프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며, 권상장치의 구동시 와이어로프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이 훅어셈블리가 상하로 이송된다. 이러한 훅어셈블리는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서 이를 따라 승강되는 훅블럭과, 이 훅블럭의 하단에 결합되는 훅으로 이루어진다.A trolley is installed in this main jib. The trolley is a traversing device that determines the turning radius for hoisting operations while being transported along the main jib. These trolleys are equipped with hook assemblies. This is installed so as to hang from the wire rope pulled from the trolley, and when the hoisting device is driven, the hook rope is rolled or loosened and the hook assembly is transported up and down. The hook assembly includes a hook block connected to the wire rope and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wire rope, and a hook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ok block.
이러한 타워크레인 중 마스트는, 인접한 단위 마스트들을 길이방향을 따라 맞댄 후 접촉된 마스트들의 단부들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서 결합한다.The mast of these tower cranes engages the bolts and nuts on the ends of the masts that are contacted after the adjacent unit masts are longitudinally engaged.
이와 같은 조립된 마스트는, 외풍이나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흔들릴 경우 마스트들의 이음부위에는 슬립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마스트들에 체결된 볼트의 수나사부에는 전단하중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볼트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When the assembled mast is shak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external wind or external force, a slip occurs at the joint part of the mast. As a result, shear load acts on the male thread of the bolts fastened to the masts, .
볼트의 특성상 인장 및 압축하중에는 매우 큰 힘이 작용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나, 전단하중이 발생될 경우, 쉽게 끊어짐이 발생된다.Due to the nature of the bolt, tensile and compressive loads do not easily break even if a very large force acts on them. However, if a shear load is generated, breakage easily occurs.
따라서, 마스트의 슬립에 의해 하나의 볼트가 파손되면 나머지 볼트들에 전단하중이 가중되면서 쉽게 파손되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타워크레인의 전복과 같은 대형사고의 원인이 된다.
Therefore, if one bolt is damaged by the slip of the mast, the remaining bolts are heavily loaded with the shear load, which is easily damaged. Such a problem causes a serious accident such as overturning of the tower cran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H빔 형태의 수직빔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마스트에 무리한 휨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that prevents a vertical beam in the form of an H beam from being twisted and prevents a bending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ma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의 수나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마스트들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슬립이 발생되어도 그 전단력이 볼트의 수나사부에 가해지지 않도록 한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that prevents the externally exposed externally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and prevents the shear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even if a minute slip occurs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mas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층된 마스트들이 흔들려도 마스트들의 연결부위 사이에 슬립이 방지되도록 한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that prevents slip between connecting portions of masts even when stacked masts are shake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는, 네 측면의 수직모서리를 이루는 수직빔들과, 수직빔들의 상하단에 연결되는 수평파이프들과, 수직빔들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대각파이프들로 이루어진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에 있어서, 마스트의 수직빔들에 설치되어서 수직빔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고, 수직빔에 설치되는 슈의 쏠림을 방지하여서 마스트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마스트쏠림방지부; 마스트의 단부에 구비되고 마스트들의 이음부위에 체결된 볼트들에 전단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스트의 단부에 구비되는 볼트전단하중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ertical beams forming vertical edges on four sides, horizontal pipes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vertical beams, and vertical pipes connected in a zig- A mast for a tower crane comprising diagonal pipes, the mast being installed on the vertical beams of the mast to prevent vertical beams from being warped, preventing the shoe installed on the vertical beams from leaning, part; And a bolt shear load preventing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mast to prevent a shear loa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bolts fastened to the joint part of the mast.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의 다른 특징은, 마스트쏠림방지부는, 양측에 형성되어서 수직빔의 대응면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상하측에 형성되고 안착된 슈지지브라켓이 마스트쏠림방지부의 중앙측으로 쏠리도록 하는 한쌍의 슬립유도면과, 한쌍의 슬립유도면 사이에 형성되어서 슈지지브라켓이 지지되는 유동면으로 이루어진다.Another feature of 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ast leaning prevention portion has a fixing surface formed on both sides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and a shoe support bracket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 flow surf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lip guide surfaces to support the shoe support bracket.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의 또 다른 특징은, 볼트전단하중방지부는, 수직빔의 양단부에 고정되어서 수직빔의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판과, 마감판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수직빔에 고정되며 볼트머리의 체결력을 지지하는 체결판과, 마감판과 체결판 사이에 고정되어서 볼트의 수나사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격판으로 이루어지고; 체결판에는 볼트의 수나사부가 관통되도록 볼트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판에는 네개의 간격확보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마스트에 슬립이 발생되어도 볼트의 수나사부가 간격확보구멍에 부딪히지 않도록, 간격확보구멍은 볼트의 수나사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Another aspect of 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olt shear load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finishing plate fix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eam to finish the end of the vertical beam, A fastening plate for support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 head, and a diaphragm fixed between the finishing plate and the fastening plate so as to block the externally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from the outside; A bolt support hole is formed in the fastening plate so that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bolt is penetrated. Four clearance holes are formed in the finish plate. Even if a slip occurs in the mast, Is formed larger in diameter than the male thread of the bolt.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의 또 다른 특징은, 수직빔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된 마감판에는 슬립방지핀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직빔의 양단 중 타단에 고정된 마감판에는 슬립방지구멍이 형성되어서, 마스트들을 적층시키면 한 마스트의 슬립방지핀이 다른 마스트의 슬립방지구멍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적층된 마스트들이 흔들려도 슬립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Another feature of 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slip prevention pin is protruded outward on a finishing plate fixed to one end of both ends of a vertical beam and a finishing plate fixed to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vertical beam, Holes are formed so that when the masts are stacked, a slip prevention pin of one mast is fitted to the slip prevention holes of the other mast, and slips are prevented even if the stacked masts are shaken.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마스트의 수직빔들에 설치되어서 수직빔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고 수직빔에 설치되는 슈의 쏠림을 방지하여서 마스트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마스트쏠림방지부가 구비되며, 이 마스트쏠림방지부는, 양측에 형성되어서 수직빔의 대응면에 고정되는 고정면과, 상하측에 형성되고 안착된 슈지지브라켓이 마스트쏠림방지부의 중앙측으로 쏠리도록 하는 한쌍의 슬립유도면과, 한쌍의 슬립유도면 사이에 형성되어서 슈지지브라켓이 지지되는 유동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스트쏠림방지부의 고정면이 수직빔의 대응면에 고정되어서 H빔 형태의 수직빔 두면을 지지하므로 수직빔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슈지지브라켓의 상단부가 마스트쏠림방지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면 슈가 일측으로 쏠려도 슬립유도면에 의해 슈지지브라켓은 항상 마스트쏠림방지부의 유동면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슈가 마스트쏠림방지부에 의해 마스트 일측으로 쏠리지 않게 되므로 마스트에 무리한 휨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전복이 방지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mast-leaning preventing unit installed in vertical beams of a mast to prevent warp of a vertical beam and prevent a shoe installed in a vertical beam from leaning to prevent the mast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The mast leaning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slip guide surfaces formed on both sides to fix the shoe support bracket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the center of the mast lean preventive portion, And a flow surface formed between the slip guide surfaces and supported by the shoe support bracket. Therefore, the fixing surface of the mast-leaning portion is fix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to support the two surfaces of the H beam-shaped vertical beam, thereby preventing the vertical beam from being twisted. Further, when the upper end of the shoe support bracke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st preventing portion, the shoe support bracket is always positioned on the mast escape prevention portion by the slip guide surface even if the shoe is moved to one side. Accordingly, since the shugamast leaning prevention portion prevents the leaning of the mast to one side, the leaning load does not act on the mast, thereby preventing the overturning of the tower crane.
또한, 마스트의 단부에는, 마스트들의 이음부위에 체결된 볼트들에 전단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볼트전단하중방지부가 구비되며, 이 볼트전단하중방지부는, 간격확보구멍이 형성된 마감판, 볼트지지구멍이 형성된 체결판, 격판으로 이루어지고, 마스트에 슬립이 발생되어도 볼트의 수나사부가 간격확보구멍에 부딪히지 않도록, 간격확보구멍은 볼트의 수나사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전단하중방지부의 격판에 의해 볼트의 수나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나사부의 손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마감판의 간격확보구멍 직경은 볼트의 수나사부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스트에 슬립이 발생되어도 볼트의 수나사부가 간격확보구멍에 부딪히지 않는다. 따라서, 마스트가 흔들리면서 마스트들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슬립이 발생되어도 그 전단력이 볼트의 수나사부에 가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나사부의 전단 파괴가 방지된다.The bolt shear load preventing portion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st to prevent a shear loa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bolts fastened to the mating portions of the masts. The bolt shear load preventing portion includes a finishing plate having a gap- And the interval ensuring hole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male thread of the bolt so that the male thread portion of the bolt does not hit the space securing hole even if a slip occurs in the mast. Therefore,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bol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diaphragm of the bolt shear load preventing port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of the male screw portion. Further, since the interval-securing hole diameter of the finishing plat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bolt,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bolt does not collide with the interval securing hole even if slippage occurs in the mast. Therefore, even if a slight slip occurs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asts due to the mast shaking, the shear force is not appli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thereby preventing the shear failure of the threaded portion.
그리고, 수직빔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된 마감판에는 슬립방지핀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직빔의 양단 중 타단에 고정된 마감판에는 슬립방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트들을 적층시키면 하나의 마스트 슬립방지핀이 다른 마스트의 슬립방지구멍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적층된 마스트들이 흔들려도 마스트들의 연결부위 사이에 슬립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슬립방지핀 및 슬립방지구멍에 의해, 볼트의 수나사부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트의 수나사부가 확실하게 보호된다.
A slip prevention pin is protruded outward from a finishing plate fix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beam, and a slip prevention hole is formed in a finishing plate fixed to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vertical beam. Therefore, when the masts are stacked, one mast slip prevention pin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slip prevention hole of the other mast, thereby preventing the slip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mast even if the stacked mast is shaken. Therefore, by the slip prevention pin and the slip prevention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hear force from acting on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thereby surely protecting the male threaded portion of the bolt.
도 1은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위를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
도 7은 마스트의 결합부위를 보인 부분 절개 단면도
도 8은 마스트의 상단부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의 사용상태 정면도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2
Fig. 4 is a side view of Fig.
Fig. 5 is a plan view of Fig. 2
FIG. 6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ting part of the mast;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end of the mast
9 is a front view of 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위를 보인 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마스트의 결합부위를 보인 부분 절개 단면도이고, 도 8은 마스트의 상단부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FIG. 4 is a side view of FIG. 2, FIG. 5 is a plan view of FIG. 2, and FIG. 6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end of the mast, and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마스트(10)가 설치되는 타워크레인은, 기초앵커(basic anchor; 2) 위에 기초마스트(basic mast; 3)가 설치되고 이 기초마스트(3) 상에 다수의 마스트(10)들이 조립된다. 조립된 마스트(10)들의 상부에는 마스트(10)의 높이를 높일 때 사용되는 텔레스코핑케이지(telescoping cage; 4)가 설치된다. 마스트(10)의 상부에 설치된 슬루잉유니트(5)에는 상부프레임(6)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프레임(6)에는 카운터지브(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부프레임(6)에는 붐(8)의 하단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A tower crane in which a
마스트(10)는, 수직빔(11), 수평파이프(12), 대각파이프(13), 마스트쏠림방지부(20),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The
수직빔(11)은, 마스트(10)의 네 측면 수직모서리를 이루며, H빔으로 이루어진다. 수평파이프(12)은, 수직빔(11)들의 상하단에 연결되어서 네개의 수직빔(11)들을 지지한다. 대각파이프(13)는 수직빔(11)들에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어서 수직빔(11)들을 지지한다.The
수직빔(11)에는 고정브라켓(14)이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브라켓(14)에 대각파이프(13)의 일단이 고정된다.In the
마스트쏠림방지부(20)는, 마스트(10)의 수직빔(11)들에 설치되어서 수직빔(11)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고, 수직빔(11)에 설치되는 슈(60)의 쏠림을 방지하여서 마스트(10)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시킨다.The mast leaning preventing
이러한 마스트쏠림방지부(20)는, 양측에 형성되어서 수직빔(11)의 대응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과, 상하측에 형성되고 안착된 슈지지브라켓(61)이 마스트쏠림방지부(20)의 중앙측으로 쏠리도록 하는 한쌍의 슬림유도면(22)과, 한쌍의 슬림유도면(22) 사이에 형성되어서 슈지지브라켓(61)이 지지되는 유동면(23)으로 이루어진다.The mast leaking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는, 마스트(10)의 단부에 구비되고 마스트(10)들의 이음부위에 체결된 볼트(70)들에 전단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스트(10)의 단부에 구비된다.The bolt shear
이러한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는, 수직빔(1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서 수직빔(11)의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판(31)과, 마감판(31)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수직빔(11)에 고정되며 볼트머리(72)의 체결력을 지지하는 체결판(33)과, 마감판(31)과 체결판(33) 사이에 고정되어서 볼트(70)의 수나사부(71)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격판(35)으로 이루어진다.The bolt shear
체결판(33)에는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관통되도록 볼트지지구멍(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판(31)에는 네개의 간격확보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마스트(10)에 슬립이 발생되어도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간격확보구멍(32)에 부딪히지 않도록, 간격확보구멍(32)은 볼트(70)의 수나사부(71)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A
수직빔(11)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된 마감판(31)에는 슬립방지핀(36)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직빔(11)의 양단 중 타단에 고정된 마감판(31)에는 슬립방지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스트(10)들을 적층시키면 한 마스트(10)의 슬립방지핀(36)이 다른 마스트(10)의 슬립방지구멍(37)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적층된 마스트(10)들이 흔들려도 슬립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A
마스트(10)의 내부에는 사다리(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사다리(40)는 사다리고정바(41)에 의해 마스트(10)에 고정되어 있다.A
마스트(10) 내부에는 사다리(40)를 오르는 작업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마스트(10)를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플랫폼(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랫폼(50)은 마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마스트(10)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A
이러한 플랫폼(50)은 마스트(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랫폼틀(51)과, 플랫폼틀(51)에 설치되는 발판(54)으로 이루어진다. 플랫폼틀(51)은 발판(54)을 지지하는 직사각형의 하부틀(52)과, 일단이 하부틀(52)에 고정되고 타단이 사다리(40)에 고정되는 플랫폼고정바(53)로 이루어진다.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는, 마스트(10)의 수직빔(11) 일단에 다른 마스트(10)의 수직빔(11) 대응 단부를 안착시키면 두 마스트(10)들의 마감판(31)들이 서로 밀착되며, 마감판(31)들에 형성된 슬립방지핀(36)에 슬립방지구멍(37)이 삽입된다.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nd of the
하나의 마스트(10) 상부에 다른 마스트(10)가 안착되면 볼트 및 너트(73)를 인접한 두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에 체결시킨다. 볼트(70)의 수나사부(71)를 하부 마스트(10)의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로부터 상부 마스트(10)의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 측으로 끼운다. 즉 볼트(70)의 수나사부(71)를 하측 체결판(33)의 볼트지지구멍(34), 하측 마감판(31)의 간격확보구멍(32), 상측 마감판(31)의 간격확보구멍(32), 상측 체결판(33)의 볼트지지구멍(34)을 통과시킨 후 수나사부(71)의 상단부에 너트(73)를 체결시킨다.
When another
이러한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첫째, 본 발명은 마스트(10)의 수직빔(11)들에 설치되어서 수직빔(11)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고 수직빔(11)에 설치되는 슈(60)의 쏠림을 방지하여서 마스트(10)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마스트쏠림방지부(20)가 구비되며, 이 마스트쏠림방지부(20)는, 양측에 형성되어서 수직빔(11)의 대응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과, 상하측에 형성되고 안착된 슈지지브라켓(61)이 마스트쏠림방지부(20)의 중앙측으로 쏠리도록 하는 한쌍의 슬림유도면(22)과, 한쌍의 슬림유도면(22) 사이에 형성되어서 슈지지브라켓(61)이 지지되는 유동면(23)으로 이루어진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따라서, 마스트쏠림방지부(20)의 고정면(21)이 수직빔(11)의 대응면에 고정되어서 H빔 형태의 수직빔(11) 두면을 지지하므로 수직빔(11)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Therefore, the fixing
또한, 슈지지브라켓(61)의 상단부가 마스트쏠림방지부(2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 슈(60)가 일측으로 쏠려도 슬림유도면(22)에 의해 슈지지브라켓(61)은 항상 마스트쏠림방지부(20)의 유동면(23) 위에 위치된다. When the upper end of the
따라서, 슈(60)가 마스트쏠림방지부(20)에 의해 마스트(10) 일측으로 쏠리지 않게 되므로 마스트(10)에 무리한 휨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타워크레인의 전복이 방지된다.Accordingly, since the
둘째, 마스트(10)의 단부에는 마스트(10)들의 이음부위에 체결된 볼트(70)들에 전단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가 구비되며, 이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는, 간격확보구멍(32)이 형성된 마감판(31), 볼트지지구멍(34)이 형성된 체결판(33), 격판(35)으로 이루어지고, 마스트(10)에 슬립이 발생되어도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간격확보구멍(32)에 부딪히지 않도록, 간격확보구멍(32)은 볼트(70)의 수나사부(71)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Second, the bolt shear
따라서,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의 격판(35)에 의해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나사부(71)의 손상이 방지된다. Therefore, the
그리고, 마감판(31)의 간격확보구멍(32) 직경은 볼트(70)의 수나사부(71)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스트(10)에 슬립이 발생되어도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간격확보구멍(32)에 부딪히지 않는다. Since the diameter of the
따라서, 마스트(10)가 흔들리면서 마스트(10)들의 연결부위에 미세한 슬립이 발생되어도 그 전단력이 볼트(70)의 수나사부(71)에 가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수나사부(71)의 전단 파괴가 방지된다.Therefore, even if a slight slip occurs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셋째, 수직빔(11)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된 마감판(31)에는 슬립방지핀(36)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직빔(11)의 양단 중 타단에 고정된 마감판(31)에는 슬립방지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A
따라서, 마스트(10)들을 적층시키면 하나의 마스트(10)의 슬립방지핀(36)이 다른 마스트(10)의 슬립방지구멍(37)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이에 따라 적층된 마스트(10)들이 흔들려도 마스트(10)들의 연결부위 사이에 슬립이 방지된다. Therefore, when the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슬립방지핀(36) 및 슬립방지구멍(37)에 의해, 볼트(70)의 수나사부(71)에 전단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확실하게 보호된다.
Therefore, the
또한 본 발명의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는 마스트(10)들의 이음부위를 강화하는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와, 마스트(10) 자체의 뒤틀림 및 쏠림을 방지하는 마스트쏠림방지부(20)에 의해 조립된 마스트(10)가 매우 견고하다.The mast for an unmanned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lt shear
따라서, 도 1 및 도 9와 같이 붐(8)의 길이를 길게 하여도 안정도에 큰 무리가 없으며, 이에 따라 작업반경이 극대화된다. Therefore, even if the length of the
또한, 붐(8)의 길이가 길어진 만큼 붐(8)의 상승각도가 감소된다. 즉, 종래에는 붐(8)의 각도를 87°정도 유지시켜야만 마스트(10) 연장작업 및 인양물을 마스트(10)에 인접시키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길어진 붐(8)에 의해 붐(8) 각도를 81° 정도만 들어 올려도 마스트(10) 연장작업이 가능하고, 인양물을 마스트(10)에 인접시키는 작업이 가능하다.Further, as the length of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마감판(31)과 체결판(33)의 간격이 수직빔(11)의 폭에 비해 절반 정도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nishing
마감판(31)과 체결판(33)의 간격이 수직빔(11)의 폭의 절반보다 작을 경우, 체결부위가 볼트(70)의 수나사부(71) 일부에만 집중되고 이에 따라 수나사부(71)의 특정부위에 체결력 및 전단 하중이 집중되므로 볼트(70)의 손상이 촉진될 수 있다. 마감판(31)과 체결판(33)의 간격이 수직빔(11)의 폭의 절반보다 클 경우, 볼트(70)의 수나사부(71) 길이가 너무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체결력이 약화된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nishing
따라서, 마감판(31)과 체결판(33)의 간격이 수직빔(11)의 폭에 비해 절반 정도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nishing
한편, 볼트(70)의 수나사부(71)에는 마모방지코팅층이 도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wear-resistant coating layer may be applied to the male threaded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볼트(70)의 수나사부(71)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지고,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며, 경도는 900∼1000HV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The abrasion resistant coating layer is formed by mixing powders of 96 to 98% by weight of chromium oxide (Cr 2 O 3 ) and 2 to 4%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TiO 2 ) by spraying on the
이 마모방지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The wear-resistant coating layer is formed by spraying powder composed of 96 to 98% by weight of chromium oxide (Cr 2 O 3 ) and 2 to 4% by weight of titanium dioxide (TiO 2 ).
볼트(70)의 수나사부(71)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The reason why the ceramic coating is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Chromium oxide (Cr 2 O 3 ) acts as a passivity layer to block oxygen entering the inside of the metal, thereby preventing rusting.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마모방지코팅층이 볼트(70)의 수나사부(71) 외주면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마모방지코팅층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마모방지코팅층의 손상을 방지시킨다.Titanium dioxide (TiO 2 ) is a white pigment because it is very stable physicochemically and has high hiding power. And is also widely used for ceramics having high refractive index because of high refractive index. And has characteristics of photocatalytic property and superhydrophilic property. Titanium dioxide (TiO 2 ) acts as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n antibacterial function, a harmful substance decomposition function, a pollution prevention function, and a discoloration prevention function. Such titanium dioxide (TiO 2 ) ensures that the wear-resistant coating layer is co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chromium oxide (Cr 2 O 3) and when using hayeoseo mixing titanium dioxide (TiO 2), the mixing ratio of these, chrome oxide (Cr 2 O 3) Titanium dioxide (TiO 2) in 96-98% by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볼트(70)의 수나사부(71) 외주면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When the mixing ratio of chromium oxide (Cr 2 O 3 ) is less than 96 to 98%, the coating of chromium oxide (Cr 2 O 3 ) is often broken in an environment such as high temperature, The rust preventive effec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threaded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볼트(70)의 수나사부(71) 외주면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볼트(70)의 수나사부(71) 외주면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dioxide (TiO 2 ) is less than 2 to 4 wt%, the effect of titanium dioxide (TiO 2 ) is insignificant so that the purpose of mixing it with chromium oxide (Cr 2 O 3 ) is discolored. That is, titanium dioxide (TiO 2 ) dissolves and removes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periphery of the male threaded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진 코팅층은, 볼트(70) 수나사부(71)의 둘레에 50∼600㎛의 두께로 이루어지고, 경도는 900∼1000HV, 표면조도는 0.1∼0.3㎛를 유지하도록 플라즈마 코팅된다.The coating layer made of these materials is plasma-coated to have a thickness of 50 to 600 mu m around the
이러한 마모방지코팅층은, 상기의 분말가루와 1400℃의 가스를 마하 2정도의 속도로 볼트(70) 수나사부(71)의 둘레에 제트분사하여서 50∼600㎛으로 용사한다.The wear-resistant coating layer is sprayed by spraying the above-described powdered powder and gas at 1400 DEG C at a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상술한 세라믹 코팅층에 의한 효과가 보장되지 못하게 되며, 마모방지코팅층의 두께가 600㎛을 초과할 경우, 상술한 효과의 증대는 미미한 반면 과다한 세라믹코팅에 의해 작업시간 및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thickness of the wear-resistant coating layer is less than 50 탆, the above-mentioned effect of the ceramic coating layer can not be guaranteed. If the thickness of the wear-resistant coating layer exceeds 600 탆, the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working time and material cost are wasted.
볼트(70)의 수나사부(71)에 마모방지코팅층이 코팅되는 동안 볼트(70) 수나사부(71)의 온도는 상승되는데, 가열된 수나사부(71)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냉각장치(미도시)로 냉각되어서 150∼20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된다.The temperature of the threaded
마모방지코팅층의 둘레에는 금속계 유리 석영 계통으로 이루어진 무수크롬산(CrO3)으로 이루어진 실링재가 더 도포될 수 있다. 무수크롬산은 무기실링재로써 크롬니켈 분말로 이루어진 코팅층 둘레에 도포된다.A sealing material made of anhydrous chromic acid (CrO 3 ) made of a metal-based glass quartz system may further be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abrasion-resistant coating layer. Anhydrous chromic acid is applied as an inorganic sealing material around a coating layer made of chromium nickel powder.
무수크롬산(CrO3)은, 높은 내마모,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이형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 사용되며, 대기중에서 변색이 안되고, 내구성이 크며, 내마모성과 내식성이 좋다. 실링재의 코팅 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3㎛ 미만이면 약간의 스크래치홈에도 실링재가 쉽게 파이면서 벗겨지게 되므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실링재의 코팅두께가 0.5㎛를 초과할 정도로 두껍게 하면 도금면에 핀홀(pin hole), 균열 등이 많게 된다. 따라서 실링재의 코팅두께는 0.3∼0.5㎛ 정도가 바람직하다.Anhydrous chromic acid (CrO 3 ) is used in places that require high abrasion resistance, lubricity,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and releasability, is not discolored in the atmosphere, has high durability, and has good abrasion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preferably about 0.3 to 0.5 mu m. I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less than 0.3 占 퐉, the sealing material easily peels off even in a slight scratch groove, so that the above-mentioned effect can not be obtained. If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made thick enough to exceed 0.5 탆, pin holes, cracks, and the like will increase on the plated surface. Therefore,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is preferably about 0.3 to 0.5 mu m.
따라서 볼트(70)의 수나사부(71)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볼트(70)의 수나사부(71) 외주면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볼트(70)의 수명이 연장된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또한, 고정브라켓(14)은 덕타일주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덕타일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xing
덕타일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덕타일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Dough tile cast iron is a cast iron in which graphite is spherically crystallized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by adding magnesium and the like to the molten metal of the common gray cast iron, so the shape of the graphite is spherical compared to gray cast iron. Since the ductile cast iron has a less notch effect,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is reduced and the strength and toughness ar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14)은 덕타일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The fixing
여기서, 덕타일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덕타일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cast iron of the duck tile is heated to less than 1600 ° C, the entire structure is not sufficiently melted. If the cast iron is heated above 1650 ° C, unnecessary energy is was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heat the dirt tile cast iron to 1600 ~ 1650 ℃.
용융된 덕타일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If the amount of magnesium is less than 0.3% by weight, the effect of injecting the spheroidizing agent is negligible. If the amount of magnesium is more than 0.7% by weight, the effect of injecting spheroidizing ag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xpensive material cost is increased. Therefore, the mixing ratio of magnesium in the spheroidizing agent is preferably about 0.3 to 0.7% by weight.
용융된 덕타일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When the spheroidizing treatment agent is injected into the molten dull tile cast iron, it is subjected to spheroidizing treatment at 1500~1550 ° C. If the spheroidizing treatm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1500 ° C., the spheroidizing treatment is not properly performed. If the spheroidizing treatm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1550 ° C., the spheroidizing treatment effect is not greatly improved, but unnecessary energy is wasted. Therefore, the spheroidization treatm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1500 to 1550 ° C.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14)이 덕타일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Since the fixing
그리고, 수직빔(11), 수평파이프(12), 대각파이프(13)의 둘레에는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릴렌 수지 조성물이 코팅될 수 있다.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gainst external impact or external environment can be coated on the periphery of the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polypropylene random block copolymer composed of 75 to 95% by weight of an ethylene-propylene-alphaolefin random copolymer and 5 to 25% by weight of an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having an ethylene content of 20 to 50% by weight .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The polypropylene random block copolymer is preferably 75 to 95% by weight of the ethylene-propylene-alphaolefin random copolymer and 5 to 25% by weigh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The ethylene- When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is deteriorated. When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is more than 25% by weight, the rigidity is deteriorated do.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Wherein the ethylene-propylene-alpha olefin random copolymer comprises 0.5 to 7% by weight of ethylene and 1 to 15% by weight of an alpha-olefin having 4 to 5 carbon atoms and improves mechanical stiffness and heat resistance of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s shown in Fig. The ethylene content is preferably from 0.5 to 5%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1 to 3%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ethylene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whitening resistance is deteriorated.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7% by weight, .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Further, the alpha olefin means any alpha olefin except ethylene and propylene, and is preferably butene. Whe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s less than 4 or more than 5, the reactivity of the alpha-olefin with the comonomer is low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random copolymer,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the copolymer. Further, it may contain 1 to 15%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3 to 9%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alpha olefin. If the amount of the alpha-olefin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crystallinity becomes higher than necessary and the transparency is lowered. When the amount of the alpha-olefin is more than 15% by weight, the crystallinity and rigidity are lowered and the heat resistance is significantly lowered.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contains 20 to 50% by weight of ethylene and imparts impact resistance to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enables finely dispersing, thereby imparting both whitening resistance and transparency.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ethylene content may preferably be 20 to 40% by weight, and if i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is deteriorated. If it exceeds 50%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and whitening resistance may be deteriorated.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릴렌 수지 조성물이 수직빔(11), 수평파이프(12), 대각파이프(13)의 둘레에 코팅되므로 마스트(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Since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gainst external impact or external environment is coated on the periphery of the
도 10은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의 체결판(33)에 볼트(70) 풀림 방지용 역회전제동와셔(80)이다. 이 역회전제동와셔(80)는 볼트머리(72) 하부에 결합되어서 볼트(70)의 풀림을 방지시키며 하부역회전제동와셔(81)와 상부역회전제동와셔(84)로 구성된다.10 is a reverse
하부역회전제동와셔(81)는 하부면에 볼트(70)의 볼트머리(72) 상면에 접촉되는 하부톱니(82)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볼트(70)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상부캠면(83)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부역회전제동와셔(84)는 상부면에 상부톱니(85)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하부역회전제동와셔(81)의 상부캠면(83)과 맞물리도록 볼트(70)의 나사산 경사각보다 큰 각도의 하부캠면(86)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The lower reverse
따라서, 상부역회전제동와셔(84)의 상부톱니(85)가 체결판(33)에 밀착되도록 하고, 연이어 상부역회전제동와셔(84) 아래에 하부역회전제동와셔(81)를 위치시키되, 상부역회전제동와셔(84)의 하부캠면(86)과 하부역회전제동와셔(81)의 상부캠면(83)이 서로 치합되게 위치시킨 후, 이어서 볼트(70)를 하부역회전제동와셔(81)와 상부역회전제동와셔(84)와 장착면에 관통 체결시킨다.Thus, the
이에 따라, 볼트(70)의 볼트머리(72) 상면에 하부역회전제동와셔(81)의 하부톱니(82)가 밀착됨으로써, 볼트(70)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결국 마스트(10)들의 체결력이 약화되지 않는다.
The
2 : 기초앵커 3 : 기초마스트
4 : 텔레스코핑케이지 5 : 슬루잉유니트
6 : 상부프레임 7 : 카운터지브
8 : 붐 10 : 마스트
11 : 수직빔 12 : 수평파이프
13 : 대각파이프 14 : 고정브라켓
20 : 마스트쏠림방지부 30 : 볼트전단후중방지부
31 : 마감판 32 : 간격확보구멍
33 : 체결판 34 : 볼트지지구멍
35 : 격판 36 : 슬립방지핀
37 : 슬립방지구멍 40 : 사다리
41 : 사다리고정바 50 : 플랫폼
51 : 플랫폼틀 52 : 하부틀
53 : 플랫폼고정바 54 : 발판
60 : 슈 61 : 슈지지브라켓
70 : 볼트 71 : 수나사부
72 : 볼트머리 73 : 너트
80 : 역회전제동와셔 81 : 하부역회전제동와셔
82 : 하부톱니 83 : 상부캠면
84 : 상부역회전제동와셔 85 : 상부톱니
86 : 하부캠면2: foundation anchor 3: foundation mast
4: telescoping cage 5: slewing unit
6: upper frame 7: counter jig
8: Boom 10: Mast
11: vertical beam 12: horizontal pipe
13: diagonal pipe 14: fixed bracket
20: mast preventing portion 30: middle portion after bolt shearing
31: Finishing plate 32: Gapping hole
33: fastening plate 34: bolt support hole
35: diaphragm 36: slip prevention pin
37: Slip prevention hole 40: Ladder
41: ladder fixing bar 50: platform
51: platform frame 52:
53: platform fixing bar 54: foot plate
60: shoe 61: shoe support bracket
70: bolt 71: male thread portion
72: Bolt head 73: Nut
80: Reverse rotation brake washer 81: Lower reverse rotation brake washer
82: lower tooth 83: upper cam face
84: upper reverse rotation brake washer 85: upper teeth
86: lower cam face
Claims (4)
마스트(10)의 수직빔(11)들에 설치되어서 수직빔(11)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고, 수직빔(11)에 설치되는 슈(60)의 쏠림을 방지하여서 마스트(10)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마스트쏠림방지부(20);
마스트(10)의 단부에 구비되고 마스트(10)들의 이음부위에 체결된 볼트(70)들에 전단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스트(10)의 단부에 구비되는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가 더 구비되고;
마스트쏠림방지부(20)는,
양측에 형성되어서 수직빔(11)의 대응면에 고정되는 고정면(21)과, 상하측에 형성되고 안착된 슈지지브라켓(61)이 마스트쏠림방지부(20)의 중앙측으로 쏠리도록 하는 한쌍의 슬림유도면(22)과, 한쌍의 슬림유도면(22) 사이에 형성되어서 슈지지브라켓(61)이 지지되는 유동면(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Horizontal pipes 12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eams 11 and diagonal pipes 13 connected in a staggered manner to the vertical beams 11, A mast for a tower crane, comprising:
The mast 10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eams 11 of the mast 10 to prevent the vertical beams 11 from being warped and to prevent the shoe 60 installed on the vertical beams 11 from leaning, A mast-leaning preventing portion 20 for preventing the mast leaning portion 20;
A bolt shear load preventing portion 30 provided at an end of the mast 10 to prevent a shear loa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bolts 70 provided at the ends of the mast 10 and fastened to the joint portions of the masts 10, ;
The mast-leaning-preventing portion 20,
A pair of fixing surfaces 21 formed on both sides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vertical beam 11 and a pair of shoe supporting brackets 61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be se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mast preventing portion 20 And a flow surface (23) formed between the pair of slip guide surfaces (22) and supported by the shoe support bracket (61).
마스트(10)의 수직빔(11)들에 설치되어서 수직빔(11)의 뒤틀림을 방지시키고, 수직빔(11)에 설치되는 슈(60)의 쏠림을 방지하여서 마스트(10)가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시키는 마스트쏠림방지부(20);
마스트(10)의 단부에 구비되고 마스트(10)들의 이음부위에 체결된 볼트(70)들에 전단하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스트(10)의 단부에 구비되는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가 더 구비되며;
볼트전단하중방지부(30)는,
수직빔(11)의 양단부에 고정되어서 수직빔(11)의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판(31)과, 마감판(31)과 평행하게 이격되고 수직빔(11)에 고정되며 볼트머리(72)의 체결력을 지지하는 체결판(33)과, 마감판(31)과 체결판(33) 사이에 고정되어서 볼트(70)의 수나사부(71)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격판(35)으로 이루어지고;
체결판(33)에는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관통되도록 볼트지지구멍(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감판(31)에는 네개의 간격확보구멍(32)이 형성되어 있고, 마스트(10)에 슬립이 발생되어도 볼트(70)의 수나사부(71)가 간격확보구멍(32)에 부딪히지 않도록, 간격확보구멍(32)은 볼트(70)의 수나사부(71)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Horizontal pipes 12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beams 11 and diagonal pipes 13 connected in a staggered manner to the vertical beams 11, A mast for a tower crane, comprising:
The mast 10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eams 11 of the mast 10 to prevent the vertical beams 11 from being warped and to prevent the shoe 60 installed on the vertical beams 11 from leaning, A mast-leaning preventing portion 20 for preventing the mast leaning portion 20;
A bolt shear load preventing portion 30 provided at an end of the mast 10 to prevent a shear loa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bolts 70 provided at the ends of the mast 10 and fastened to the joint portions of the masts 10, ;
The bolt shear load preventing portion (30)
A finishing plate 31 fixed to both ends of the vertical beam 11 to finish the end of the vertical beam 11 and a bolt head 72 spaced parallel to the finishing plate 31 and fixed to the vertical beam 11, And a diaphragm 35 which is fixed between the finishing plate 31 and the clamping plate 33 and blocks the male threaded portion 71 of the bolt 70 from the outside,
A bolt support hole 34 is formed in the fastening plate 33 so that the male screw portion 71 of the bolt 70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plate 33. Four clearance holes 32 are formed in the finish plate 31, Even if a slip occurs in the bolt 70 of the bolt 70 so that the male thread 71 of the bolt 70 does not hit the gap securing hole 32, Wherein the mast for the unmanned tower crane is formed to be large.
수직빔(11)의 양단 중 일단에 고정된 마감판(31)에는 슬립방지핀(36)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수직빔(11)의 양단 중 타단에 고정된 마감판(31)에는 슬립방지구멍(37)이 형성되어서, 마스트(10)들을 적층시키면 한 마스트(10)의 슬립방지핀(36)이 다른 마스트(10)의 슬립방지구멍(37)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적층된 마스트(10)들이 흔들려도 슬립이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타워크레인용 마스트.
The method of claim 3,
A slip prevention pin 36 protrudes outward on a finishing plate 31 fix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beam 11 and a finishing plate 31 fixed to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vertical beam 11, Prevention holes 37 are formed so that the slip prevention pins 36 of one mast 10 are coupled to the slip prevention holes 37 of the other mast 10 by stacking the masts 10, (10) are prevented from slipping even if they are shak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9044A KR101558316B1 (en) | 2015-04-27 | 2015-04-27 | Manless mast for tower cra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9044A KR101558316B1 (en) | 2015-04-27 | 2015-04-27 | Manless mast for tower cra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8316B1 true KR101558316B1 (en) | 2015-10-12 |
Family
ID=5434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9044A Active KR101558316B1 (en) | 2015-04-27 | 2015-04-27 | Manless mast for tower cra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8316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21139A (en) * | 2018-08-31 | 2018-11-16 | 中昇建机(南京)重工有限公司 | The type of attachment of column crane mast section |
KR102340628B1 (en) * | 2021-06-30 | 2021-12-16 | 김무경 | Safety equipments for lifter used in construction |
KR20220135902A (en) | 2021-03-31 | 2022-10-07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Assembly type tower crane mast using composite materia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9341B1 (en) * | 1998-12-26 | 2003-09-26 | 주식회사 쎄다테크놀로지 |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ting a plurality of steel members using shear rings |
KR100828155B1 (en) * | 2007-04-27 | 2008-05-08 |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 Tower crane mast |
-
2015
- 2015-04-27 KR KR1020150059044A patent/KR10155831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9341B1 (en) * | 1998-12-26 | 2003-09-26 | 주식회사 쎄다테크놀로지 |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ting a plurality of steel members using shear rings |
KR100828155B1 (en) * | 2007-04-27 | 2008-05-08 | 케이엔에프중공업주식회사 | Tower crane mas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21139A (en) * | 2018-08-31 | 2018-11-16 | 中昇建机(南京)重工有限公司 | The type of attachment of column crane mast section |
CN108821139B (en) * | 2018-08-31 | 2024-05-07 | 中昇建机(南京)重工有限公司 | Connection form of standard section of tower crane |
KR20220135902A (en) | 2021-03-31 | 2022-10-07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Assembly type tower crane mast using composite material |
KR102340628B1 (en) * | 2021-06-30 | 2021-12-16 | 김무경 | Safety equipments for lifter used in constru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8316B1 (en) | Manless mast for tower crane | |
CN101913531B (en) | Lifting appliance for large-tonnage concrete blocks and fixing method thereof | |
CN113401799A (en) | Hoisting method of giant thin deck block | |
CN102030270A (en) | Auxiliary tool and method for replacing wire rope of bridge crane | |
CN101100267A (en) | Hoisting device for loop wheel machine | |
KR100828155B1 (en) | Tower crane mast | |
TWI525032B (en) | Double safety cage structure | |
CN213622980U (en) | Lifting device of hoist gantry crane | |
CN212609012U (en) | Anti-corrosion hanging bracket with structural beam | |
KR100833970B1 (en) | Slewing device for tower crane | |
KR101701933B1 (en) | Multipurpose hoist | |
KR101348953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accident of winch bucket | |
CN204281030U (en) | A kind of special hanger lifting section bar | |
CN213865109U (en) | Anti-stall single-beam crane | |
CN207810983U (en) | SC construction hoist falling-proof safety devices | |
CN217172939U (en) | Protection structure for hoisting bridge beam plate | |
JP5517671B2 (en) | How to extend wire life of unloader crane | |
KR20160000016U (en) | Mast coupling of tower crane and cra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
CN220664643U (en) | T-shaped beam steel reinforcement framework lifting appliance | |
CN219384435U (en) | A handle steel sheet for tundish large block casting remains | |
CN216889682U (en) | Cross balance beam for large-tonnage large-span hoisting | |
WO2009020428A1 (en) | Distributed line load-bearing connector | |
CN222374254U (en) | Tower crane overhauls protector | |
CN213060907U (en) | Splash-proof device for main iron runner | |
CN221191300U (en) | Super-limit metallurgical four-beam double-trolley casting cr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16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5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