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224B1 - wheelchair ramp slope - Google Patents
wheelchair ramp slo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8224B1 KR101558224B1 KR1020140053720A KR20140053720A KR101558224B1 KR 101558224 B1 KR101558224 B1 KR 101558224B1 KR 1020140053720 A KR1020140053720 A KR 1020140053720A KR 20140053720 A KR20140053720 A KR 20140053720A KR 101558224 B1 KR101558224 B1 KR 1015582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chair
- wall
- cylindrical
- bottom plate
- safe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미끄러움방지장치와 회전장치는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어 세워지는 벽면에 구성되는 원형돌출프레임을 구성하여 충격흡수기능과 회전기능을 이용하여 추락사고를 해소하고, 슬루프 양쪽끝의 벽면이 훼손되어 날카로와져 발생하는 펑크,등 다양한 안전사고, 스루프와 휠체어의 훼손을 방지하는 목적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바닥판에 미끄러움방지 장치를 구성하여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보호자가 미끄러움으로 인해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로 인한, 부상과 중형보장구와 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움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여 바닥판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인 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lip prevention device and the rotation device used for attaching to the safety slope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lip prevention device and the rotary device, It is composed of a protruding frame to eliminate collision accident by using shock absorbing function and rotation function, and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a puncture caused by sharp edges of both ends of a slope and sharpness, and damage of a wheelchair and a wheelchair The slip preven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slippery slippery slippery on the bottom of the slippery floor due to rain, In the event of a fall, injury or injury to the middleweight seat or the wheels of the wheelchair due to idle or slippery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Titanium to a stable movement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슬루프를 장착한 장애인 전용 차량물건을 보다 쉽게 옮기기 위하여 설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건물내, 외부에 존재하는 높낮이가 다른 단차를 해소하고 물건을 보다 쉽게 옮기거나, 장애인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경사가 있는 장소와 구조물의 간격이 떨어져 있는 장소와 공간에 교각형태로 설치하고, 장애인의 이동을 돕기 위한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이를 돕는 보호자,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안정감을 주기위한 장치이며,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잘못된 구동과 기계조작으로 슬루프에 진입하여 슬루프 설치방향과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져 속도에 따라 벽면충격시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와 슬루프벽면 훼손에 따른 다양한 사고에 있어 이용자에게 최소한의 안전권을 보장해주고, 미끄러움으로 인한 공회전을 해소하며 벽면충격시 충격을 흡수하여 추락사고와 다양한 안전사고를 해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stalling a sled-mounted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handicapp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removing obstacles that are different in height and height existing inside and outside a building, In order to assist the move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y are installed in the form of piers in places and spaces where there is a gap between the place with the slope and the structure, and a disabled person using the wheelchair for the purpose of boarding the vehicle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disabled, It is a device for giving a sense of security to the disabled who have difficulty in walking. It is a device for the disabled who uses the wheelchair to enter the sloe due to erroneous driving and machine oper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loe install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are changed. Users in various accidents due to wall da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lope for solving a stepped wheelchair treadmill in which a minimum safety margin is secured for a driver, a idle rotation due to a slip is solved, and a shock caused by a wall impact is absorbed to solve a falling accident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선천적 장애, 후천적 사고, 노령과 질병 등으로 인해 휠체어에 의지하여 이동하는 사람들에게 이동권 지원을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통약자 이동지원법에 따라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대중교통(저상버스) 장애인 전용 차량인 장애인 콜택시 및 각 단체 수용시설과 개인에게 보급(지원)한 슬루프를 장착한 장애인 전용 차량이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를 이용하여 이동을 하는 장애인이나 보호자에게 있어 슬루프에서 기울어지거나 떨어지는 추락사고와 슬루프와 휠체어의 훼손, 그리고 낙상사고에 따른 다양한 사고를 초래하는 있다.(Low-floor bus), which is easy to ride in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Transportation Under the Law for Supporting Movement, which is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support the people who are moving by wheelchair due to congenital disorder, acquired accident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vehicles dedicated to the disabled nationwide, which are equipped with a call for handicapped persons and a slob that is supplied to individual facilities and individuals. However, there are various kinds of accidents due to fall, falling, falling of sloop and wheelchair, and falling accident due to the sloop for the handicapped or carer who is currently using it.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슬루프를 장착한 장애인전용 차량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의 자동차 회사에서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휠체어 탑승이 용이한 슬루프를 장착한 장애인차량에 이동장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휠체어와 보호자가 상대적으로 손쉽게 이동할수 있는 장치이다,In the case of vehicles for disabled persons equipped with a slope for easy wheelchair access, Korea's automobile companies are currently producing and distributing them. In addition, a mobile device is mounted on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equipped with a slope for easy wheel- And the wheelchair and the protector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easily,
그러나, 종래에 장애인전용차량의 휠체어탑승용 슬루프 경우 판재형태의 바닥에 벽면을 세우거나 평판을 절곡하여 프레임을 이루어 휠체어탑승용 슬루프를 차량에 설치하여 휠체어와 보호자가 상대적으로 손쉽게 이동할수 있으나 당연히 일어날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응하는 안전장치나 구조는 결여 되어있다.However,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slip for a wheelchair for a disabled person's vehicle, a wheelchair and a guardian can relatively easily move by installing a slope for a wheelchair ride on a frame by erecting a wall on the floor in the form of a plate material or bending a flat plate. Safety devices or structures that respond to possible safety accidents are lacking.
따라서,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휠체어를 이용하여 슬루프에 진입할때, 슬루프 위에서 휠체어가 진행방향과 틀어져 측면으로 진행하여 충격시 휠체어바퀴 또는 구동 헨들링이 슬루프 벽면을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와 슬루프 훼손에 따른 다양한 사고에 있어 이용자에게 최소한의 안전권을 보장해주는 장치와 미끄러움으로 인한 공회전과 측면충격시 추락사고를 해소하는 기능등 이용자에게 최소한의 안전권을 보장해주거나 보호해주는 장치는 전무하거나 부족한 실정이다.Therefore, when a disabled person using a wheelchair enters a sloop by using a wheelchair, the wheelchair moves on the side of the slope in a direction that is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causing a falling of the wheelchair wheel or driving handing over the sloven wall surface, In the case of various accidents caused by the damage, there is a device that guarantees the minimum safety right to the user, a function to solve the idling due to the slip and a fall accident in the side impact, It is true.
이는 곧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앞바퀴 2개와 뒷바퀴 2개가 존재하고 앞바퀴 2개가 소정의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뒤에서 밀어주는 힘으로 전진과 후진 좌, 우로 움직이는데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슬루프에 진입할때 휠체어 진행방향과 속도가 다르고 환경과 상황에 따라서 휠체어 진행 방향이 틀어져 벽면으로 측면충격시 휠체어바퀴 또는 구동 헨들링이 슬루프 벽면을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에 따른 방지장치가 없으며 또한,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한 전동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움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고, 수동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어, 이를 돕기위하여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주는데 이때 보호자도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해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 또한 해소하지 못하고 있어 이로 인한, 무릎부상 등 다양한 안전사고 발생을 막아줄 필요성이 있다.In general, a wheelchair has two front wheels and two rear wheels, and two front wheels rotat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to the left and right with a pushing force from behind. When a disabled person using a wheelchair enters a sloop, There is no prevention device due to the falling accident that the wheelchair wheel or driving handing over the wall of the sloe occurs when the side of the wheel is impacted due to the different speed and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circumstances. Also,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chair due to the slip during idling is idling or does not solve the difficulty caused by the slip, and when using a manual wheelchair, it is likely to rain or slip on the floor due to the weather, I have difficulties in helping me with this In this case, the protector is pushed from the back, too, and the protector also does not solve the fall accident in which the slip floor is damp or the slip of the slip causes the slip to slip on the bottom of the slip. There is a need to give.
끝으로, 한국등록특허 제 10-0898390호(2009.05.18); 한국등록특허 제 10-0814684호(2007.07.11); 한국등록특허 제 10-1053219호(2010.08.19);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2013-005760호(2012.03.26)에는; 차량의 리어 플로워의 돌출부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여 수동 휠체어 뿐만 아니라 전동 휠체어도 손쉽게 탑재하고, 차량의 리어 플로워에 리프트와 슬로프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휠체어의 출입공간을 넓혀 휠체어를 안전하게 탑재하도록 하는 휠체어 탑재용 장애인 차량에 대해 개시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 10-0993942호(2010.08.27)에는 건축물의, 계단부아래에 계단부 높이를 낮게 작동시키는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건축물의 계단부를 조절하여 평판상태에서 수동 휠체어 뿐만 아니라 전동휠체어와 몸이불편한자가 쉽게 이동하도록 하는 장애인과 유아를 위한 건축용 계단에 대해개시하고 있다.Finally, Korean Patent No. 10-0898390 (2009.05.18); Korean Patent No. 10-0814684 (2007.07.11); Korean Patent No. 10-1053219 (Aug. 19, 2010);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2013-005760 (March 26, 2012);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of the rear floor of the vehicle is set low so that not only a manual wheelchair but also an electric wheelchair can be easily mounted and a separate space in which a driving device for operating a lift and a slope is installed on the rear floor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mounted handicapped vehicle which is widened to securely mount a wheelchair, and Korean Patent No. 10-0993942 (Aug. 27, 2010)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driving device for operating a step- Discloses a building staircase for a disabled person and an infant, in which a stepped portion of a building is adjusted by a separate space so that an electric wheelchair and an uncomfortable person can easily move as well as a passenger wheelchair in a flat plate state.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건축물의 계단과 차량에 탑승하기 위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이를 돕는 보호자, 보행이 불편한 장애인에게 안정감을 주기위한 안전장치에 대해서는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fails to satisfy a safety device for giving a sense of security to a disabled person who uses a wheelchair to ride on the stairs of a building and a car, a guardian to assist the wheelchair, and a disabled person who is not comfortable walking.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첫째; (문제점,1) 중형보장구와,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주는 수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보호자와 슬루프에 진입하여 휠체어 진행방향이 틀어져 벽면충격시 휠체어바퀴 또는 구동 헨들링이 슬루프 벽면을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를 해소하고, 둘째; (문제점,2)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전동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지는 어려움과, 수동휠체어를 이용하는 경우 또한,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등반이 힘들어 뒤로 밀리거나 헛바퀴를 도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셋째; (문제점,3)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수동휠체어의 등반의 어려움을 돕기위하여 이 수동 휠체어를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줄때 보호자가 미끄러움으로 인해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로 인한, 무릎부상 등 다양한 안전사고 발생을 해소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such a problem, and firstly, (Problems, 1) A middle-sized protector and a handicapped person using an electric wheelchair and a passive wheelchair pushed from behind by a disabled person enter the sloe and the wheelchair is moved in the wrong direction to cause a wheelchair wheel or driven handing on the wall Second, solve the falling accident that occurs over the second; (Problems, 2) When it is raining or the weather is heavy on the bottom of the slope, the wheel of the electric wheelchair tends to idle or slip due to slip during icing, and when using a manual wheelchair, It is hard to climb by slippery when there is a lot of moisture on the floor or when it is freezing, so it solves the difficulty of pushing back or turning the wheel, Third; (Problem 3) When the guard pushes this manual wheelchair from behind in order to help the difficulty of the climbing of the manual wheelchair due to the rain or the dampness on the bottom of the sloe due to the weather or the slippery during icing, the protector slips We want to solve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knee injuries caused by falls on the floor of Josu sloop.
즉, 다음과 같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다양한 보장구를 사용하는 장애인)와, 보호자에게 부상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at is, by providing the following devices, the user can achieve the purpose by eliminating the cause of injury to a user (a disabled person using various protective gear) and a guardian.
본 발명은 설치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1단 또는 2단으로 굴절기능을 구비한 판재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중앙에 보호자가 미끄러움으로 인해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로 인한, 무릎부상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구성하여 (문제점,3)을 해결하고; 상기, 바닥판 양쪽측면에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전동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움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는 미끄럼방지기능을 구성하여 (문제점,2)를 해결하고; 상기, 바닥판의 양쪽끝에 벽면을 세워 중형보장구와,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주는 수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슬루프에 진입하여 휠체어 진행방향이 잘못되어 측면으로 진행되어 휠체어바퀴가 슬루프에서 이탈하여 발생하는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양쪽끝에 벽면에서 중형보장구와, 전동휠체어와 수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휠체어와 중형보장구를 조정함에 있어 휠체어는 앞바퀴 2개와 뒷바퀴 2개가 존재하고 앞바퀴 2개가 소정의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뒤에서 밀어주는 힘으로 전진과 후진 좌, 우로 움직이는데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 슬루프에 진입할때 휠체어 진행방향과 속도가 다르고 환경과 상황에 따라서 휠체어 진행 방향이 틀어져 양쪽끝에 벽면으로 측면충격시 휠체어바퀴 또는 구동 헨들링이 슬루프 벽면을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슬루프 양쪽끝의 벽면이 훼손되어 날카로와져 발생하는 펑크,등 다양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회전장치를 양쪽끝에 벽면의 높은 위치에 구성하여 (문제점,1)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plate made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function of refracting in one or two stages so as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storage, and a lower plate which slides on the bottom of the slob, (Problem 3) is solved by constructing a slip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a knee injury due to an accident; The slip prevention function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wheels of the electric wheelchair from rotating idly or slippery due to rain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or due to slippery at the bottom of the sluff due to the weather, , 2); The wall and the wall of the bottom plate are erected so that the handicapped person and the carer using the middleweight type restraint and the manual wheelchair using the electric wheelchair pushed from the back by the handicapped person and the protector enter the sloe, So as to prevent a falling accident caused by departing from the vehicle; The wheelchair has two front wheels and two rear wheels, and the front wheel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push the rear wheel. In this case, the wheelchair has two front wheels and two rear wheels in order to adjust the wheelchair and the middle- When the disabled person using wheelchair enters the sloop,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heelchair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heelchair.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and the wheelchair wheel or driven handling slacks when the side is impacted on the wall at both ends. A rotating device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a falling accident that occurred over the wall and a puncture caused by the sharpness of the walls of both ends of the slope was formed at the high position of the wall at both ends (Problems 1 and 2) , Solves the same problem.
본 발명의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미끄러움방지장치와 회전장치는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판재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어 세워지는 벽면에 구성되는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추락사고와 슬루프 양쪽끝의 벽면이 훼손되어 날카로와져 발생하는 펑크,등 다양한 안전사고, 스루프와 휠체어의 훼손을 방지하는 목적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바닥판에 미끄러움방지 장치를 구성하여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보호자가 미끄러움으로 인해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로 인한, 부상과 중형보장구와 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움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여 바닥판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인 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lip prevention device and the rotation device used for attaching to the safety slope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lip prevention device, The purpose of the device is to prevent various accidents such as falling accident and punctures caused by damage to the walls of both ends of the slope due to collapsing, and damage to the slop and wheelchair. In the event that the device is configured, it is likely to be caused by a falling accident in which the slippery slippage of the protector causes the slippery person to slip on the floor of the sloop due to rain, Is idle, and the difficulty caused by the slip is solved, and the stable mov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의 사용 용도를 도시한 대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래 장애인휠체어차량 슬루프의 문제점을 도시한 문제점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측면 &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으 로 종래 장애인휠체어차량 슬루프의 문제점을 해결한것을 도시한
설명도1 is a view showing a use of a safety slope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in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problem of a conventional wheelchair vehicle slo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afety sled configuration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in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afety sled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in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an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sled configuration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in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afety sled configuration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in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olves the problem of a conventional wheelchair sled for a disabled person
Explanatory diagram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configurations and techniqu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어 제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allo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transmit and produce the int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는, 장애인의 이동과 물건을 보다 쉽게 옮기는 것을 돕기 위하여 슬루프를 장착한 장애인 전용 차량과 물건을 보다 쉽게 옮기기 위하여 건물내, 외부에 존재하는 높낮이가 다른 단차를 해소하고 경사가 있는 장소와 구조물의 간격이 떨어져 있는 장소와 공간에 교각형태로 설치하거나, 장애인의 이동을 도와주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이를 돕는 보호자와, 보행이 불편한 자들이 장애인전용차량에 탑승할때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에 안전한 구조와 안전장치를 구성하여 추락사고와 다양한 안전사고를 해소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handicapped person and to move the object more easily, the wheelchair step-by-step safety slo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elevation difference i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it is installed in the place where the gap between the sloped place and the structure is spaced apart from the space or in the form of a pier or when a disabled person using a wheelchair to assist the movement of persons with a disability and a guardian for helping th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lope for eliminating a step in a wheelchair of a disabled person who performs a safety structure and a safety device in a safety sloe to solve a falling accident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장애인의 이동을 도와주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이를 돕는 보호자와, 보행이 불편한 자들이 시설물과 장애인전용차량에 탑승할때 사용되어지는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는 판재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잘못된 구동과 기계조작으로 슬루프에 진입하게 될때 슬루프 설치방향과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져 떨어지는 사고를 막기위하여 벽체를 세워지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에 원형돌출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원형돌출 프레임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잘못된 구동과 기계조작으로 슬루프에 진입하게 될때 슬루프 설치방향과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벽체를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와 슬루프충격시 벽체가 훼손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사고에 있어 이를 방지하는 별도의 안전장치를 원형돌출 프레임에 조립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바닥판재와 영구결합하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판재는 양쪽에 이용자가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중형보장구, 전동휠체어 및 수동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뒤로밀리는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기능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판재 중앙에 수레와 휠체어를 밀어줄때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별도의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여 수납과 설치가 용이한 굴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는 바닥판재(10),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60),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60-1),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70),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70-1), 굴절부(80)가 하부를 이루고; 양쪽벽체(20)와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을 관통한 원통막대 통과구멍과 회전베어링(30-1), 고정넛트 수납부(30-2),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수납부(30-3), 원통막대(50), 원통막대 나사산(50-1)에 조립되는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가 상부를 이루어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가 하나의 몸체로이루어져있다.A safety slope for a disabled person who uses a wheelchair to assist the movement of a disabled person, a guardian to help the disabled person, and a disabled person who is uncomfortable to walk in a facility and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When a disabled person or a carer using a wheelchair enters a slope due to a wrong driving or a mechanical operation, a wall is set up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slope installation direction and the wheelchair driving direction are turned off. The circular protruding frame constitutes a protruding frame on the wall, and when the disabled person and the protector using the wheelchair enter the slope due to erroneous driving and machine operation, A separate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wall during the wall impact and the damage of the wall during the accident of the wheelchair and the sloop due to various accidents resulting from the falling of the wall during the wall impact is assembled to the circular protruding frame, ≪ / RTI > and one body; The above-mentioned floorboards prevent the wheels of the medium-sized endurance ball, the electric wheelchair and the manual wheelchair from idling or being slid backward due to the rain on both sides or the weather due to the weather, To form an anti-slip function; And a refracting portion provided with a separate anti-slip portion for preventing falls when the wheelchair and the wheelchair are pushed agains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the refracting portion being easy to store and install; The above-described safety slope for the disabled wheelchair step relief includes a
이러한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에서 상기, 바닥판재(10)와 벽체(20)는 각각의 부속물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1단, 또는 2단으로 제작되고 필요시 굴절부(80)를 이용하여 수납과 설치를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목표지면과 안전하게 접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afety slope for solving the wheelchair step difference, the
즉,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의 사용 용도를 도시한 도,1(대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는 바닥판재(10)와 벽체(20)에 각각의 부속물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어 1단, 또는 2단으로 제작되고 차량과 단차가 존재하는 시설물에 설치되고 필요시 굴절부(80)를 이용하여 수납과 설치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지고 목표지면과 안전하게 접지될 수 있도록 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이를 돕는 보호자와, 보행이 불편한 자들이 단차가 존재하는 시설물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해소하고, 장애인전용차량에 탑승할때 사용되어 지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a representative drawing) showing the use of the safety slope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stepped disability of a disabled person, the safety slope for solving the wheelchair step difference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respective accessories to the
여기서, 종래에 개시된 이동슬루프의 문제점을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시한, 종래 장애인휠체어차량 슬루프의 문제점을 도시한 문제점 설명도(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애인과 이를 돕는 보호자와, 보행이 불편한 자들이 시설물과 장애인전용차량에 탑승할때 사용되어지는 이동 슬루프는 판재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잘못된 구동과 기계조작으로 슬루프에 진입하게 될때 슬루프 설치방향과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져 떨어지는 사고를 막기위하여 벽면을 세워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잘못된 구동과 기계조작으로 슬루프에 진입하게 될때 슬루프 설치방향과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추락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벽체를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와 슬루프충격시 벽체와 휠체어 구동헨들링이 훼손되어 이에 따른 다양한 사고가 발생한다.As shown in FIG. 2 show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lip of the wheelchair for the disabled, which is shown for the sake of mor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roblem of the moving sloe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the disabled person, the guardian assisting the disabled person, Moving slobs used when people board facilities and vehicl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e: a bottom plate in the form of a plate; When a disabled person or a carer using a wheelchair enters a slope due to a wrong driving or a machine operation, the wall and the wheelchair are erroneously operated by a disabled person or a carer using a wheelchair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slope installation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are changed. The slope installation direction and the wheelchair traveling direction are prevented from falling when entering the traveling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direc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peed at which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travels in the wrong direction, when the wall is hit, a falling accident that occurs over the wall, and a wheelchair and slovenly shock, the wall and the wheelchair driving handling are damaged.
또한, 상기 이동슬루프 바닥판재는 이용자가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중형보장구, 전동휠체어 및 수동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뒤로밀리거나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구조와 장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Also, the moving sloop flooring sheet may cause the wheels of the middleweight support, the electric wheelchair and the manual wheelchair to idle, slide backward due to slippery due to rain on the bottom of the sloe due to rain or weather, It does not constitute a structure and device to prevent fall acciden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기호를 표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의 바닥판재(10)는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를 중앙을 기점으로 소정의 공간을 구성하고 양방향으로 사선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재(10)상부에 구성되어진,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의 양쪽측면에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60)와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60-1)를 구성하고; 중앙부에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70)와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70-1)를 구성하여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바닥판재(10)로 구성되어지되; 하부에 굴절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s shown in a top view (FIG. 3)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afety sled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in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유; 일반적으로 바닥판재를 보강하는 방법으로 일직선형태의 l세로방향과ㅡ가로방향으로 보강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이 l세로방향의 경우 보강구조로는 보강의 힘과 청소의 용이함은 있으나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이동수단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뒤로밀리는것과 낙상사고에 취약하고, ㅡ가로방향의 경우, 보강구조로는 보강의 힘과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이동수단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뒤로밀리는것과 낙상사고방지에 있이 유리하지만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배수에 어려움이 있고 날씨에 따라 비가 많이 오거나 결빙물질이 적체되어 이를 제거하는 청소작업에 어려움이 있다.Reason; Generally, it is reinforced structure in vertical direction and horizontal direction in a straight shape by reinforcing the bottom plate material; In the case of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inforcing structure is easy to clean and strengthen but it is susceptible to falling or rolling back of the wheels of the moving means due to slipperiness, and in cas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reinforcement force and the slippery cause the wheels of the vehicle to idle or be pushed backward and to prevent falls. However, it is rainy and it is difficult to drain when there is a lot of moisture on the bottom of the slope, There is a difficulty in a cleaning work for removing a large amount of rain or frozen material.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의 바닥판재(10)를 보강하는 방법으로 일직선형태의 l세로방향과ㅡ가로방향으로 보강구조의 취약점을 해소하는 ㅅ형태의 빗살무늬를 바닥판재(10)에 중앙을 기점으로 소정의 공간을 구성하여 배수와 배출을 돕고 소정의 공간, 양방향으로 ㅅ형태의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를 구성하여 날씨에 따라 비가 많이 오거나 결빙물질이 적체되어 이를 제거하는 청소작업이 용이하고, 유리한 구조를 이루고 바닥판재(10)를 보강하여 튼튼한 구조를 이룬다.As shown in the plan view (FIG. 3)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slope of the disabled wheelchair level ste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reinforcing the
또한,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이동수단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뒤로밀리는 방지기능에 있어, 바닥판재(10)의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양쪽 측면에 11세로형태의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60)프레임을 구성하여 미끄럼방지제의 수명을 오래도록 유지할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 11세로형태의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60)에 ㅡ가로방향,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60-1)를 영구결합하여 ㅡ가로방향,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60-1)가 수명을 오래도록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이는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이동수단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뒤로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등반의 어려움을 해소함이 옳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wheel of the moving means from idling or being pushed backward by the slippery mo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eels from slipping on the both sides of the comb-like bottom plate stiffener 10-1 of the
더불어, 수동휠체어의 등반을 돕기 위하여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주는데 이때 보호자도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로 인하여 무릎부상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닥판재(10)의 중심부를 따라서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에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70)프레임을 미끄럼방지제의 수명을 오래도록 유지할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 구성하고, 미끄럼방지재 고정부(70)에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70-1))를 영구결합하여 보호자가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help the climbing of the manual wheelchair, the protector is pushed from the back. At this time, in order to relieve a knee injury due to a falling accident in which the foot slips on the floor of the sloop, (10-1) Eviscer climbing
종래의 이동 슬루프에 문제점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슬루프에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벽체를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가 슬루프 충격시 벽체와 휠체어 구동 헨들링이 훼손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2차, 안전사고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도,3)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있어 바닥판재(10)에서 연장되어 세워진 벽체(20) 상기, 벽체(20)에 구성되어진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 원통막대 통과구멍과 회전베어링(30-1), 고정넛트 수납부(30-2)를 관통한 원통막대(50); 상기, 원통막대(50)에 구성된 원통막대 나사산(50-1)과 고정기능 넛트(50-2)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로 이루어진다.It is a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moving sloop that a disabled person and a carer using a wheelchair move in a sloping direction in a traveling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travels, As a method of eliminating various secondary safety accidents caused by damage to drive handling; (See FIG. 3)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sled for eliminating the wheelchair level difference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th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sled for eliminating the wheelchair in the disabled con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이유; 종래의 이동 슬루프에 문제점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슬루프에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벽체를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가 슬루프 충격시 벽체와 휠체어 구동 헨들링이 훼손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2차, 안전사고를 소멸시키기 위하여 휠체어를 포함한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모든 이동수단에 존체하는 바퀴는 상,하 좌,우, 관계없이 진행하는 방향에서 바퀴가 중심축에서 위에서 아래로 회전하면서 진행하고 종류에 따라서 4개의 바퀴가 장착되어진 이동수단의 경우 2개의 바퀴가 회전하여 진행방향을 결정하여 운행되어지는 것이 통상적인 방식이다.Reason; It is a problem with the conventional moving sloop that a disabled person and a carer using a wheelchair move in a sloping direction in a traveling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wheelchair travels, In order to extinguish various secondary safety accidents caused by damage to the driving handing, the wheel which exists in all the moving means using the wheel including the wheelchair, In the case of a moving means in which four wheels are mou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rotation, the two wheels are rotated to determine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n travel.
즉. 4개의 바퀴가 장착되어진 이동수단의 경우 2개의 바퀴가 회전하여 진행방향을 결정하여 운행하는 경우, 바닥환경에 따라서 튀어오르거나 한편으로 쏠리는 경우는 항상 존재하고 오르막의 경우 앞바퀴가 들리고 착지할때 지면과 접지하는 순간의 앞바퀴의 위치에 따라서 진행방향이 결정되어진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four wheels, when two wheels turn and determine the direction of travel, there is always a case where the vehicle jumps or jumps according to the floor environment. When the vehicle ascends, the front wheel is heard. And the traveling direc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wheel at the moment of grounding.
여기서, 전동휠체어와 수동휠체어의 앞바퀴는 무동력으로 360도 자유회전하고 전,후, 좌,우로 움직일때 앞바퀴의 중심축과 바퀴가 지면과 접지하는 중심점이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있다. 이는, 무게중심을 분산시켜 앞바퀴의 360도 자유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라한 이유로 의하여 오르막의 경우 앞바퀴가 들리고 착지할때 지면과 접지하는 순간의 앞바퀴가 지면과 접지하는 중심점이 달라져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슬루프에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벽체를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가 슬루프 충격시 벽체와 휠체어 구동 헨들링이 훼손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2차, 안전사고가 발생한다.Here, when the front wheel of the electric wheelchair and the manual wheelchair rotate freely 360 degrees and mov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the central axis of the front wheel and the center of the wheel are ground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out straight line. This is becaus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ont wheel is grounded so that the front wheel can be freely rotated 360 degrees by dispersing the center of gravity. Depending on the speed of entering the slope in the direction of the wrong direction, there are a variety of secondary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a fall that occurs over the wall during a wall impact, and a wheelchair driven handing when the wheelchair slacks.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도,3)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있어 바닥판재(10)에서 연장되어 세워진 벽체(20)와,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에 구멍을 구성하여 원통막대(50)를 통과시키고, 회전기능을 향상시키는 원통막대 통과구멍과 회전베어링(30-1), 고정넛트 수납부(30-2)를 관통한 원통막대(50); 상기, 원통막대(50)에 구성된 원통막대 나사산(50-1)과 고정기능 넛트(50-2)를 이용하여,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수납부(30-3)에 조립되는,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로 이루어진다.So; (See FIG. 3)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sled for eliminating the wheelchair level difference of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th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afety sled for eliminating the wheelchair in the disabled con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이는,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슬루프에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바닥판재(10)에서 연장되어 세워진 벽체(20)에 구성되어진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의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수납부(30-3)에 조립되어 위치하는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가 휠체어바퀴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회전하여 휠체어바퀴와, 휠체어 구동헨들링이 벽체(20)를 타고 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를 완전 소멸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shock absorbing and falling preventing
여기서, 수동휠체어의 등반을 돕기 위하여 보호자가 뒤에서 밀어주는데 이때 보호자도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로 인하여 무릎부상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닥판재(10)의 중심부를 따라서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에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70)프레임을 미끄럼방지제의 수명을 오래도록 유지할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 구성하고, 미끄럼방지재 고정부(70)에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70-1))를 영구결합하여 보호자가 발이 미끄러져 슬루프 바닥에 주저앉는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닥판재(10)에서 연장되어; 세워진 벽체(20)와, 벽체 원형돌출 프레임(30)에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수납부(30-3)와 원통막대 통과구멍과 회전베어링(30-1),을 수납하는 구멍(30-1)을 구성하여 원통막대(50)를 통과시키면서,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수납부(30-3)에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를 조립하고, 원통막대 통과구멍과 회전베어링(30-1)에 회전기능을 향상시키는 베어링과, 원통막대(50)를 수납하여 원통막대 나사산(50-1)과 고정기능 넛트(50-2)로 고정넛트 수납부(30-2)에서 고정하여 고정기능 넛트(50-2)가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게 하여 2단으로 제작되어 사용될때 굴절부(80)를 이용하여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슬루프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이루어진다.Here, in order to help the climbing of the manual wheelchair, the protector is pushed from behind. At this time, in order to solve the knee injury due to the falling accident that the foot slips on the floor of the slob, the comb plate bottom plate stiffener (10-1) Eviscer climbing non-skid fixing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도,3)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도,4),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을 도시한 측면 & 사시도(도,5)에서 확인 할수있다.4 is a plan view (FIG. 3) showing a wheelchair stepped safety slack eliminating safety slack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tional view (FIG. 4) showing a wheelchair step safety slack eliminating safety sl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FIG. 5) showing a safety sled configuration for eliminating a wheelchair in a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 구성으로 종래 장애인휠체어차량 슬루프의 문제점중에 추락사고를 해결한것을 도시한 설명도(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슬루프에 문제점중에 추락사고에 있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과 보호자가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슬루프에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벽체를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와 휠체어가 슬루프 충격시 벽체와 휠체어 구동 헨들링이 훼손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2차, 안전사고를 소멸시키기 위하여 휠체어를 포함한 바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모든 이동수단에 존체하는 바퀴는 상,하 좌,우, 관계없이 진행하는 방향에서 바퀴가 중심축에서 위에서 아래로 회전하면서 진행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장애인과 보호자가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으로 슬루프에 진입하는 속도에 따라 벽체충격시 벽체(20)의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수납부(30-3)에 구성되어진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가 휠체어가 진행하는 방향에서 휠체어바퀴와 구동 헨들링과 함께 중심축에서 위에서 아래로 회전하면서 벽체충격시 벽체를 타고넘어 발생하는 추락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슬루프에 진입하는 속도에 관계없이 휠체어운행 방향이 틀어진 진행방향을 바로 잡아줄수 있는 시간과 안정감을 부여하고 바닥판재의 양쪽에 비가오거나 날씨에 따라 슬루프 바닥에 습기가 많거나 결빙시에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중형보장구, 전동휠체어 및 수동휠체어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거나 미끄러움으로 의하여 뒤로밀리는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기능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판재 중앙에 수레와 휠체어를 밀어줄때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별도의 미끄럼방지부를 구비하여 수납과 설치가 용이한 굴절부로 이루어지진것을 특징으로 구성된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를 도시하였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ich solves a falling accident among problems of a wheelchair vehicle slew of a disabled person with a wheelchair step-by-step safety slack configuration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of a falling accident, a person with a disability and a carer using a wheelchair mov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eelchair travels in the wrong direction, depending on the speed at which the vehicle enters the sloop. In case of a wall crash, In order to extinguish various secondary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damage, the wheel which exists in all the moving means using the wheel including the wheelchair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going upwards, downwards, leftwards and rightwards, By using the characteristic of mov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handicapped person and his / The shock absorbing and falling preventing cylindrical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 바닥판재
10-1 ;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
20 ; 벽체
30 ; 양쪽벽체 원형돌출프레임
30-1; 원통막대 통과구멍과 회전베어링
30-2; 고정넛트 수납부
30-3;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수납부
40 ;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
50 ; 원통막대
50-1; 원통막대 나사산
50-2; 고정기능 넛트
60 ;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
60-1;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
70 ;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
70-1;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
80 ; 굴절부10; Floor plate
10-1; A comb-like bottom plate stiffener
20; Wall
30; Two-wall circular protruding frame
30-1; Cylindrical through-hole and rotating bearing
30-2; Fixed nut receiving portion
30-3; Shock absorption and fall prevention cylinder rotating rod compartment
40; Shock absorber and anti-fall cylinder bar
50; Cylindrical bar
50-1; Cylindrical bar thread
50-2; Fixed nut
60; Wheel Climbing
60-1; Wheel climbing slip resistant
70; Pedestrian climbing anti-slip device
70-1; Pedestrian climbing slip resistant
80; Refraction part
Claims (1)
판재형태로 이루어진 바닥판재(10)를; 보강하고 청소가 용이한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 상기, 빗살무늬 바닥판 보강재(10-1)에 결합되어 낙상사고를 방지하는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70)와 보행자 등반 미끄럼방지재(70-1)가 이동과 운송수단의 바퀴의 공회전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 고정부(60)와 바퀴 등반 미끄럼방지재(60-1)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바닥판재(10)를 이루고; 상기, 바닥판재(10)에서 연장되어 세워진 추락사고를 방지하는 벽체(20); 상기 벽체(20), 프레임으로는 벽채충격시 충격을 흡수하고 벽체를 타고 넘는 추락사고를 소멸하는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의 수납공간을 구성한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되;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에 원통막대 통과구멍과 회전베어링(30-1)을 수납하는 구조를 구성하여 벽체 원형돌출프레임을 관통한 원통막대(50)에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와 회전베어링(30-1)이 결합되고,
단차해소 안전슬루프의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 양끝에 구성되어진, 고정넛트 수납부(30-2)에 벽체 원형돌출프레임(30)을 관통한 원통막대 나사산(50-1)을 구성하고 있는 원통막대(50)를 고정기능 넛트(50-2)로 고정시켜
상기 충격흡수 및 추락방지 원통회전막대(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휠체어 단차해소 안전슬루프.Elimination of wheelchair level steps for disabled persons In safety sloop,
A bottom plate 10 made of a plate material; A comb-like bottom plate stiffener (10-1) which is reinforced and easy to clean; The pedestrian climbing non-skid member 70 and the pedestrian climbing non-skid member 70-1, which are coupled to the comb-like bottom plate stiffener 10-1 to prevent falls, (60) and a wheel climbing slip-off preventing member (60-1) for preventing slippage of the wheel climbing non-skid steer (60) and the wheel climbing slip-off preventing member (60-1) to form a bottom plate (10); A wall 20 extending from the bottom plate 10 to prevent a falling accident; The wall 20 and the frame are made of a wall circular protruding frame 30 constituting a storage space for the shock absorbing and falling preventing cylindrical rotary bar 40 absorbing the shock when the wall was impacted and disappearing the falling accident over the wall I will; A cylindrical bar protruding frame 3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bar passing hole and a rotary bearing 30-1 so as to house a cylindrical rod 50 passing through the wall circular protruding frame and a shock absorbing and falling preventing cylindrical bar 40 And a rotary bearing 30-1,
The wall of the stepped relief safety slope 30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holding protrusion 30-2 of the cylindrical protruding frame 30 at the both ends of the cylindrical protruding frame 30, The rod 50 is fixed with the fixed function nut 50-2
Characterized in that said shock absorbing and fall preventing cylindrical swing rod (40) is rotat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720A KR101558224B1 (en) | 2014-05-03 | 2014-05-03 | wheelchair ramp slo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3720A KR101558224B1 (en) | 2014-05-03 | 2014-05-03 | wheelchair ramp slo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8224B1 true KR101558224B1 (en) | 2015-10-13 |
Family
ID=5434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3720A Active KR101558224B1 (en) | 2014-05-03 | 2014-05-03 | wheelchair ramp slo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822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94530U1 (en) * | 2019-10-08 | 2019-12-13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ЛОСС" | Folding electric ramp |
RU194558U1 (en) * | 2019-10-08 | 2019-12-16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ЛОСС" | Folding electric ramp |
CN111481359A (en) * | 2020-05-15 | 2020-08-04 |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 Wheelchair back lifting structure, wheelchair and wheelchair bed |
KR20210034330A (en) * | 2019-09-20 | 2021-03-30 | 한창이웨이(주) | Wheelchair lift for disable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8747B1 (en) | 2007-03-23 | 2007-12-26 | 주식회사 오텍 | Vehicles for the Disabled with Electric Slopes |
KR100814684B1 (en) | 2007-07-11 | 2008-03-18 | 주식회사 오텍 | Handicapped vehicles with manual slopes |
-
2014
- 2014-05-03 KR KR1020140053720A patent/KR10155822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8747B1 (en) | 2007-03-23 | 2007-12-26 | 주식회사 오텍 | Vehicles for the Disabled with Electric Slopes |
KR100814684B1 (en) | 2007-07-11 | 2008-03-18 | 주식회사 오텍 | Handicapped vehicles with manual slopes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34330A (en) * | 2019-09-20 | 2021-03-30 | 한창이웨이(주) | Wheelchair lift for disabled |
KR102282965B1 (en) * | 2019-09-20 | 2021-07-29 | 한창이웨이(주) | Wheelchair lift for disabled |
RU194530U1 (en) * | 2019-10-08 | 2019-12-13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ЛОСС" | Folding electric ramp |
RU194558U1 (en) * | 2019-10-08 | 2019-12-16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КОЛОСС" | Folding electric ramp |
CN111481359A (en) * | 2020-05-15 | 2020-08-04 |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 Wheelchair back lifting structure, wheelchair and wheelchair bed |
CN111481359B (en) * | 2020-05-15 | 2022-06-14 |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 Wheelchair back lifting structure, wheelchair and wheelchair b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8224B1 (en) | wheelchair ramp slope | |
KR101943180B1 (en) | Running gear and electric vehicles and toys equipping the same | |
US7316405B2 (en) | Stair-climbing apparatus | |
US20170347622A1 (en) | Pet ramp system | |
US9827153B2 (en) | Personal wheelchair motorized vehicle system | |
US20030116927A1 (en) | Stair-climbing wheelchair | |
DE29808096U1 (en) | Electric motor powered wheelchair suitable for stairs | |
JP2010029705A (en) | Roller coaster type amusement park | |
JP4461330B2 (en) | Vehicle forced stop device and vehicle forced stop method using the device | |
DE102011018152A1 (en) | Solar-active electrical vehicle e.g. multi-track bicycle, for use by e.g. handicapped persons for telemedical therapy measures, has saddle supporting backrest to transfer handicapped person from wheelchair to saddle when wall is dismantled | |
US20070131463A1 (en) | Wheelchair | |
DE3303817A1 (en) | Step-climbing wheelchair system | |
EA014575B1 (en) | Safety system for vehicles | |
JP3103514U (en) | Platform Assistance Device | |
DE20114733U1 (en) | Device for coupling a roller unit to a wheelchair vehicle for the purpose of pushing | |
EP0638475B1 (en) | Scooter | |
KR200432951Y1 (en) | Parking block with stop | |
US20210212871A1 (en) | Folding electric wheelchair | |
KR102020275B1 (en) | High-level road for bicycle | |
DE102019126097A1 (en) | vehicle | |
US11938411B2 (en) | Accessible swing | |
DE4230905C1 (en) | ||
JP4020671B2 (en) | Tire roller | |
KR200406022Y1 (en) | Deck for Motor Board | |
JP2020084442A (en) | Erroneous start vehicle sto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20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42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