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7345B1 -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45B1
KR101557345B1 KR1020140040671A KR20140040671A KR101557345B1 KR 101557345 B1 KR101557345 B1 KR 101557345B1 KR 1020140040671 A KR1020140040671 A KR 1020140040671A KR 20140040671 A KR20140040671 A KR 20140040671A KR 101557345 B1 KR101557345 B1 KR 10155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ody
assembly
magnetic
contact pins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 휴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이컴퍼니 filed Critical (주) 휴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4004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4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가 설치되고, 일측에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단자와, 타측 표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제1 콘택핀을 포함하는 제1 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콘택핀이 형성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가 수용되는 이동 공간과 상기 정방향 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설치되는 제3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4 자성체를 갖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체와 상기 제2 조립체가 결합할 때,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간의 자력과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립체와 상기 제2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되고; 상기 제1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2 조립체가 분리될 때, 상기 이동체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접속단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 접속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onnector having a double-divided structure, which comprises a USB terminal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body and a second magnetic body and inserted into a USB port of an electronic device on one side,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 first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r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nd a third magnetic body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and a second magnetic body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body, the third magnetic body be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A second assembly having four magnetic bodies; Wherein when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are engaged,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ntact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through the opening, and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is maintained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as the moving body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second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ssembly. do. Thus, the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reduced to prevent the connection terminal from being damaged.

Description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0001]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0002]

본 발명은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자기기에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에서 접속단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여 접속단자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커넥터의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connector having a double-divide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data cable to an electronic device, which reduces stress appli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To a USB connector having a dual separation structure.

둘 이상의 전자제품 간 전원 공급 또는 데이터 신호전달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의 예로 USB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컴퓨터와 같은 전자제품에 마련된 USB 포트에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전자제품,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마련된 USB 단자를 삽입하여 연결시킴으로써 두 전자제품을 연결한다. Various types of connectors are used for power supply or data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wo or more electronic products. An example of such a connector is a USB connector. By inserting and connecting a USB terminal provided at the end of a data cable connected from another electronic product, for example, a smart phone, to a USB port provided in an electronic product such as a computer, Connect the product.

그런데, 데이터 케이블의 USB 단자가 전자제품의 USB 포트에 삽입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 USB 단자 또는 USB 포트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와 잦은 움직임에 의해 커넥터를 손상시켜 제품 간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However, if the USB cable of the data cable is frequently inserted into the USB port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USB terminal or the USB port may be damaged, and the connector may be damaged due to carelessness and frequent movements of the user, .

이러한 문제에 따라,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129488호(공개일 2012년 11월 28일, 마그네틱 커넥팅 장치)에서는 외부기기의 커넥터와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결합시 통신단자가 접촉되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커넥팅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According to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29488 (published on November 28, 2012, magnetic connecting device) magnetically couples with a connector of an external device, Discloses a connecting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서의 커넥터는 마그네트(자성체)에 의해 결합되긴 하지만, 마그네트에 의한 결합 부위에서 결합에 따른 기계적 스트레스를 온전히 받게 되므로, 분리가 용이하지 않거나, 접촉되는 통신단자에 물리적 손상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although the connector in this manner is coupled by the magnet (magnetic body), since the mechanical stress due to the coupling is fully received at the coupling portion by the magnet, the connector is not easily separated, .

한편으로,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마그네트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는 커넥터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에 연결하는 확장성에 제약이 발생한다. 예로, 커넥터는 제품화된 전자기기 전용의 커넥터로 개발되는 경우, 종래에 사용하던 USB 방식의 데이터 케이블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어 다양한 전자기기에 범용으로 이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rior art, a connector in which a connection is made by a magnet is limited in scalability to be connected to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when a connector is developed as a dedicated conne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the conventional USB data cable can not be used as it is, which pose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 general-purpose electronic devic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성체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커넥터를 통해 단자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전기적 접점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damage of a terminal and maintain an electrical contact through a connector that is coupled using a magnetic body.

또한, 자성체를 통한 결합에 있어 결합된 부품을 분리할 때, 자성체의 결합을 해제하는데 요구되는 물리적 힘을 줄여 용이한 분리가 가능한 이중 분리 구조의 USB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B connector of a double-split structure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by reducing the physical force required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magnetic body when the coupled parts are separated in the coupling through the magnetic bod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가 설치되고, 일측에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단자와, 타측 표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제1 콘택핀을 포함하는 제1 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콘택핀이 형성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가 수용되는 이동 공간과 상기 정방향 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설치되는 제3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4 자성체를 갖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체와 상기 제2 조립체가 결합할 때,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간의 자력과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립체와 상기 제2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되고; 상기 제1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2 조립체가 분리될 때, 상기 이동체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로부터 분리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USB terminal having a first magnetic body and a second magnetic body and inserted into a USB port of an electronic device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exposed on the other surface A first assembly for receiving the first assembly;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r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nd a third magnetic body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and a second magnetic body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body, the third magnetic body be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A second assembly having four magnetic bodies; Wherein when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are engaged,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ntact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through the opening, and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is maintained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Wherein the second magnetic bod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sequentially as the moving body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second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ssembly, Lt; RTI ID = 0.0 > USB < / RTI >

여기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이동체에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econd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USB port formed on a side of the moving body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are form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한편,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2 콘택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 콘택핀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케이블과,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형성된 데이터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assembly further includes a data cable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ntact pin is formed in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in of the moving object and a data port formed at an end of the data cable It is also possible to do.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moving body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이동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상기 탄성체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이 상기 개구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moving body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the elastic body being provid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press the moving body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so that th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housing.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가,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또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제3 자성체 및 상기 제4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영구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may be provided as permanent magnets.

또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와,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상대적 세기는 상호 대응하는 자성체의 이격 거리에 의해 정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relative intensities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and the magnetic forces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may be determined by the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bodies .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체에 따라 결합되어 콘택트 핀이 전기적으로 접점을 형성하므로, 포트에 단자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전자기기 간의 연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자 및 포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pi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gnetic material, the terminals are inserted into the ports, thereby preventing the terminals and the ports from being damaged .

또한, 결합된 커넥터의 자성체 들을 순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커넥터의 분리에 요구되는 물리적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sequentially separating the magnetic bodies of the coupled connector, the physical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connector can be reduced.

또한,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체가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된 상태에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콘택트 핀만 일차적 분리가 일어나므로, 비교적 작은 움직임으로 인한 커넥터 전체의 분리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so, since the movable body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only the contact pins that form the electrical contac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coupling between the assemblies is maintained. Therefore, separation of the entire connector due to relatively small movements can be prevented.

또한, 탄성체에 의해 이동체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지지되므로, 전기적 접점의 유지가 용이하며, 조립체간 분리된 상태에서 이동체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이동체의 손상 및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movable body is supported by the elastic body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t is easy to maintain the electrical contact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movement of the moving body in a state where the moving bodi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moving body and noise caused by movement of the moving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배치된 이격거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magnetic bod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distance of the magnetic bod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in FIG. 7,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1s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자성체(113,114,123,124)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 Fig. 1 to 3,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ssembly 110 and a second assembly 120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bodies 113, 114, 123 and 124.

제1 조립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20)와 같은 전자기기의 USB 포트(21)에 삽입되는 것으로, 제1 자성체(113)와 제2 자성체(114)가 설치되고, 전자기기의 USB 포트(21)에 대응하여 일측에 전자기기의 USB 포트(21)에 삽입되는 USB 단자(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조립체(110)는 타측 표면에 제2 조립체(120)를 향해 노출되는 복수의 제1 콘택핀(112)을 포함한다.The first assembly 110 is inserted into a USB port 21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the PC 20 as shown in FIG. 2 and includes a first magnetic body 113 and a second magnetic body 114, A USB terminal 111 inserted into the USB port 21 of the electronic device is form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USB port 21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first assembly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112 exposed on the other surface toward the second assembly 120.

제2 조립체(120)는 제1 조립체(11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22)와 하우징(121)을 포함한다. The second assembly 120 is coupled to the first assembly 110 and includes a moving body 122 and a housing 121 as shown in Fig.

이동체(122)에는 제1 조립체(110)의 제1 콘택핀(112)과 마주하는 면에 복수의 제1 콘택핀(112)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콘택핀(1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 콘택핀(112)과 제2 콘택핀(125)은 상호 대응하는 암수형의 콘택핀(112,125)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호 접점(C)을 이루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125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11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oving body 122 facing the first contact pins 112 of the first assembly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act pin 112 and the second contact pin 125 are illustrated as corresponding female and male contact pins 112 and 125,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하우징(121)에는, 내부에서 이동체(122)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체(122)가 수용되는 이동 공간과 상기 정방향 측으로 개방된 개구(O)가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O)는 하우징(121)의 일측 전면이 개방된 것이 아닌 이동체(122)가 정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housing 121 is formed with a moving space in which the moving body 122 is received so that the moving body 122 can move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and an opening O opened toward the normal direction. Here, the opening O is form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moving body 122 can be restricted so that the moving body 122 is not separated from the forward direction.

하우징(121)에 형성된 개구(O)를 통해 제2 콘택핀(125)이 노출됨에 따라 자성체(113,114,123,124)에 의해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가 결합될 때, 제1 콘택핀(112)과 제2 콘택핀(125)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점(C)을 이루게 된다. When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are coupled by the magnetic bodies 113, 114, 123, and 124 as the second contact pins 125 ar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 formed in the housing 121, The pin 112 and the second contact pin 125 form a contact C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자성체(113)는 제1 콘택핀(112)에 인접하도록 제1 조립체(110)의 중앙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자성체(114)는 제1 콘택핀(112)이 형성된 제1 조립체(110)의 중심으로부터 외부측에 복수로 배치되는데, 중앙측에 배치된 제1 자성체(113)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of the first assembly 11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contact pin 112. A plurality of second magnetic bodies 114 are disposed on the outer sid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assembly 110 having the first contact pins 112. The first magnetic bodies 113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제1 조립체(110)와 대응하여 제2 조립체(120)의 이동체(122) 내부로 제1 자성체(113)에 대응하는 제3 자성체(123)가 배치되고, 하우징(121)의 개구(O) 상측과 하측에 제2 자성체(114)에 대응하는 제4 자성체(124)가 각각 배치된다. The third magnetic body 1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113 is disposed inside the moving body 122 of the second assembly 120 in correspondence to the first assembly 110. The third magnetic body 1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113 is disposed inside the moving body 122 of the second assembly 120, O) and a fourth magnetic body 124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간에 형성되는 자력과, 제2 자성체(114)와 제4 자성체(124) 간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결합된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는 분리될 때 순차적으로 분리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조립체(110)에서 상기 제2 조립체(120)가 분리될 때, 이동체(122)가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3 자성체(123)가 제1 자성체(113)로부터 분리된 후, 제4 자성체(124)가 제2 자성체(114)로부터 분리된다.The first assembly 110 coupled by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And the second assembly 120 are sequentially separated when they are separat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cond assembly 1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ssembly 110, as the moving body 122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third magnetic body 123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113 ,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여기서 제1 자성체(113)로부터 제3 자성체(123)의 분리는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에 대한 문턱값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일어난다. 마찬가지로 제4 자성체(124)가 제2 자성체(114)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제4 자성체(124)와 제2 자성체(114)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에 대한 문턱값 이상의 힘이 요구되며, 그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 분리된다.Here, the separation of the third magnetic body 123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113 occurs when a force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for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is applied. Similarly, in order to separate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from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 force not less than a threshold value for the magnitude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is required, Are separated.

예로,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간에 형성된 자력의 세기가 3이고, 제2 자성체(114)와 제4 자성체(124) 간에 형성된 자력의 세기가 7이라고 하면,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은 대략 10이라고 볼 수 있는데, 종래의 단일 분리되는 방식의 커넥터에서는 10의 결합력을 가지면, 분리를 위해서는 10 이상의 문턱값이 요구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3 자성체(123)와 제4 자성체(124)가 순차적으로 제1 자성체(113)와 제2 자성체(114)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 간의 결합력은 10이 유지되고, 분리에 있어서는 7 이상의 문턱값만이 요구되므로 분리에 있어 보다 용이함이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is 3 and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is 7, The coupling force of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due to the magnetic force is approximately 10. In the conventional single separation type connector, if the coupling force is 10, a threshold value of 10 or more is required for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10 and 120 Is maintained at 10, and separation is required for separation because only a threshold value of 7 or more is required.

그리고, 종래의 자성체에 의해 결합된 커넥터 분리에 요구되는 결합력 10을 넘어서는 문턱값이 가해질 때 콘택핀(112,125)의 분리가 동시에 일어남에 따라 접점(C)을 이루는 콘택핀(112, 125)에서의 손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나,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의 분리에 순차적인 자성체의 분리가 일어남에 따라, 콘택핀(112,125)의 접점이 해지된 상태에서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가 분리 되므로, 콘택핀(112,125)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hreshold value exceeding the coupling force 10 required for detaching the connector coupled by the conventional magnetic body is applied, the separation of the contact pins 112 and 125 occur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ntact pins 112 and 125 on the contact C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As a result of the sequential separation of the magnetic bodies from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Since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10 and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amage to the contact pins 112 and 125 can be prevented.

도 1을 재차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100a)에서 이동체(122)는 이동체(122)의 제2 콘택핀(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제2 콘택핀(125)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케이블(128)과, 데이터 케이블(128)의 끝단에 형성된 데이터 단자(129)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단자(129)를 갖는 데이터 케이블(128)이 이동체(1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전자기기에 연결되는데, 전자기기에는 데이터 단자(129)에 대응하는 데이터 포트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USB connector 100a having a dual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ody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in 125 of the moving body 122 A data cable 128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ntact pin 125 is formed and a data terminal 129 formed at the end of the data cable 128. A data cable 128 having a data terminal 12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ving body 122 an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data port corresponding to the data terminal 129 is formed in the electronic device.

한편, 제2 조립체(120)는 하우징(121) 내부에서 이동체(122)를 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26)를 더 포함한다. 탄성체(126)는 이동체(122)를 정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콘택핀(125)이 제1 콘택핀(112)과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assembly 12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body 126 elastically pressing the moving body 122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121. The elastic body 126 presses the moving body 122 in the positiv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contact pin 125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in 112. [

또한 탄성체(126)는,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체(122)가 하우징(121) 내부의 이동공간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2 콘택핀(125)의 손상과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elastic body 126 may b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body 122 moves in the moving space inside the housing 121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le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10 and 120 are not engage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amage and noise of the second contact pin 125. [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는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가 결합된 상태로서 이동체(122)가 정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제1 콘택핀(112)과 제2 콘택핀(125)이 접점(C)을 형성하는 상태이다. (b)는 데이터 케이블(128)이 역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체(122)만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콘택핀(112)과 제2 콘택핀(125)의 접점(C)이 해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c)는 제2 조립체(120)가 제1 조립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moving body 1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contact pin 112 and the second And the contact pin 125 forms the contact point C. [ only the moving body 122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10 and 120 being coupled with each other as the data cable 128 is pu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act C of the second contact pin 125 is released and the second assembly 120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assembly 110.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는, 전자기기 간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부주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콘택핀(112,125)의 손상 및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의 비의도적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데, 앞서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 3과, 제2 자성체(114)와 제4 자성체(124) 간의 자력에 의한 결합력 7의 예시를 이용하여 추가로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USB connector having the double-divid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contact pins 112 and 125, which may occur due to carelessness while being connected through cables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and damage to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10 and 120, The coupling force 3 due to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coupling force 3 due to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can be prevented, 7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일례로서, 걸림발생과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움직임 발생으로 케이블을 당기는 5라는 힘이 커넥터에 가해졌을 경우, 문턱값 3을 넘어섰으나, 문턱값 7을 넘어선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자성체(113)와 제2 자성체(114)는 분리되어 이동체(122)가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문턱값 7을 넘어선 것은 아니므로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의 분리가 일어나지는 않고, 도 4의 (b)에 해당하는 접점(C) 해지 상태가 된다.As an example, if a force of 5, which pulls a cable due to a user's careless movements, such as a jam, is applied to the connector, i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3 but does not exceed the threshold value 7.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moving body 122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However, since the threshold value 7 is not exceeded,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is not disconnected but the contact C corresponding to Fig. 4 (b) is released.

또한 이동체(122)가 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거리 내의 범위 내에서 문턱값 10을 넘어서더라도 제1 콘택핀(112)과 제2 콘택핀(125)의 일시적인 분리만 일어날 뿐,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역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사라질 때, 재차 접점(C)을 형성하게 되어 비의도적인 분리에 따른 재결합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in 112 and the second contact pin 125 are only temporarily separated even if the movable body 122 moves beyond the threshold value 10 within a range within which the movable body 122 is movable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second assembly 120 is maintained in a non-disengaged state, when the force applied in the reverse direction disappears, the contact C is formed again,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recombination due to unintentional disconnection.

만약 문턱값 10을 넘어서고, 이동체(122)의 역방향 이동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는 도 4의 (a)->(b)->(c) 순으로 분리된다. If the threshold value is exceeded and the moving range of the moving body 122 is exceeded,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es 110 and 120 are moved in the order of (a) - (b) - (c) .

한편, 이동체(122)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가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체(126)는 상기 돌출부(P)와 하우징(121)의 내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체(122)를 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제2 콘택핀(125)이 개구(O)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돌출부(P)가 상기 하우징(121)에 걸리게 되어 이동체(122)가 하우징(121)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a protruding portion P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moving body 122. The elastic body 126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P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21 to elastically press the moving body 122 in the forward direction. At this time, the protrusion P is caught by the housing 121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125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 thereby preventing the moving body 122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1 do.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가, 제2 자성체(114)와 제4 자성체(124)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3 자성체(123)와 제4 자성체(124)가 순차적으로 제1 자성체(113) 및 제2 자성체(114)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자성체의 예로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에 의해 자화되는 일시자석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 Accordingly,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Examples of the magnetic body to be used include a permanent magnet and a permanent magnet, Can be used.

영구자석은 그 자체가 자석의 성질을 갖는 자석이며, 일시자석은 자화를 받는 동안에만 자석의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본 발명에서의 일시자석은 영구자석에 의해 자화되며 자성을 갖는 것을 예로 한다. The permanent magnet itself is a magnet having the property of a magnet, and the temporary magnet is a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magnetism only while being magnet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magnet is magnetized by the permanent magnet and has magnetism.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제1 자성체(113), 제2 자성체(114), 제3 자성체(123), 제4 자성체(124)가 모두 영구자석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제2 조립체(120)의 제3 자성체(123)와 제4 자성체(124)가 영구자석으로 배치되고, 제1 조립체(110)의 제1 자성체(113)와 제2 자성체(114)가 제3 자성체(123)와 제4 자성체(124)에 의해 자화되는 일시자석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c)는 제1 조립체(110)의 제1 자성체(113)와 제2 자성체(114)가 영구자석으로 배치되고, 제2 조립체(120)의 제3 자성체(123)와 제4 자성체(124)가 제1 자성체(113) 및 제2 자성체(114)에 의해 자화되는 일시자석으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d)는 제1 자성체(113)만 일시자석으로 배치된 경우이고, (e)는 제3 자성체(123)만 일시자석으로 배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agnetic bod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gnetic body 113,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are all disposed as permanent magnets, and FIG. 2 assembly 120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are arranged as permanent magnets and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of the first assembly 11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hird magnetic body 123, Magnetized by the first magnetic body 123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 (c)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of the first assembly 110 are disposed as permanent magnets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of the second assembly 120 ) Are disposed as temporary magnets which are magnetized by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d) shows a case in which only the first magnetic body 113 is disposed as a temporary magnet, and (e) shows an example in which only the third magnetic body 123 is disposed as a temporary magnet.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제3 자성체(123) 및 제4 자성체(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영구자석으로 마련하고, 대응하는 자성체를 일시자석으로 마련함에 따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도 5의 (d)와 (e)와 같이 배치함에 따라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간에 형성된 자력의 세기와 제2 자성체(114)와 제4 자성체(124) 간에 형성된 자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차이가 나도록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is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5 (d) and 5 (e),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magnetic body 114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can be made relatively different.

단, (d)와 (e)의 경우, 사용된 각각의 영구자석은 동일한 자력의 세기를 갖는 경우이다. However, in case of (d) and (e), each permanent magnet used has the same magnetic force.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와, 제2 자성체(114)와 제4 자성체(124)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상대적 세기는 상호 대응하는 자성체(113,114,123,124)의 이격 거리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13 and the third magnetic body 123 and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114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124 correspond to each other Can be determined by the spacing distance of the magnetic bodies 113, 114,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배치된 이격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자성체(114)와 제4 자성체(124)와의 이격 거리인 d1은, 제1 자성체(113)와 제3 자성체(123)와의 이격 거리인 d2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각각의 자성체(113,114,123,124)는 동일한 자력의 세기를 갖는 경우이며, 상호 대응하는 자성체와의 이격 거리가 커짐에 따라 결합력은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한다. 상호 대응하는 자성체의 이격 거리를 통해 결합력이 결정되므로,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에서 요구되는 결합력과 순차적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다.  FIG. 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d distance of the magnetic bodi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distance d1 between the second magnetic material 114 and the fourth magnetic material 124 may be narrow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magnetic material 113 and the third magnetic material 123 have. In this example, each of the magnetic bodies 113, 114, 123, and 124 has the same magnetic force and uses a principle that the coupling force becomes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corresponding magnetic body increases. The coupling force is determined through the spacing distance of the corresponding magnetic bodies so that the coupling force required for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can be easily designed to be sequentially separated.

한편, 제1 조립체(110)는 체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는 제1 조립체의 USB 단자(111)가 USB 포트(21)에 삽입된 상태로 제1 조립체(110)를 전자기기(2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제1 조립체(110)가 전자기기(20)의 USB 포트(21)에서 비의도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점(C)에서의 분리를 통해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게 된다.
Meanwhile, the first assembly 110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not shown). The fastening part fastens the first assembly 110 to the electronic device 20 with the USB terminal 111 of the first assembly inserted into the USB port 2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assembly 110 is prevented from being unintentionally drawn out from the USB port 21 of the electronic device 20, so that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10,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2 Second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100b)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100b)를 설명하는데 있어,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a USB connector 100b having a dual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FIG. Here, in describing the USB connector 100b having the double-spli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f necessary .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100b)는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b)를 포함한다.FIG. 7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USB connector 100b having the dual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ssembly 110 and a second assembly 120b.

여기서 제1 조립체(1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ssembly 11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조립체(120b)는 이동체(122)와 하우징(121)이 포함된다. 다만, 이동체(122)에는 복수의 제2 콘택핀(125)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되, 복수의 제2 콘택핀(12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127)를 더 포함한다. USB 포트(127)에는 전자기기로부터 연결된 케이블(10)의 끝단에 USB 포트(127)에 대응하는 USB 단자(11)가 구비된다. The second assembly 12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moving body 122 and the housing 121. [ The moving body 122 further includes a USB port 127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125 are form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125. The USB port 127 is provided with a USB terminal 11 corresponding to the USB port 127 at the end of the cable 10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USB 단자(11)와 제2 조립체(120b)의 USB 포트(127)는 Type A를 예시하였으나, Type B, Mini-A, Mini-B, micro-A, micro-B 와 같은 다른 타입의 USB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USB port 11 and the USB port 127 of the second assembly 120b exemplify Type A, other types of USB such as Type B, Mini-A, Mini-B, micro-A, and micro- Of course, can be applied.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배치되는 자성체와, 대응하는 자성체 간의 이격거리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같이 구현가능하다.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etic body dispos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corresponding magnetic body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제2 조립체(120b)의 USB 포트(127)에 종래의 데이터 케이블(10)로 연결된 USB 단자(11)가 삽입된 상태로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b)가 결합된 상태로서 이동체(122)는 자력 및 탄성체(126)에 의해 정방향으로 밀착됨에 따라 제1 콘택핀(112)과 제2 콘택핀(125)이 접점(C)을 형성하는 상태이다. (b)는 데이터 케이블(128)이 역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체(122)만 역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콘택핀(112)과 제2 콘택핀(125)의 접점(C)이 해지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c)는 제2 조립체(120)가 제1 조립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shows a state in which the USB terminal 11 connected to the USB port 127 of the second assembly 120b by the conventional data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The first contact pin 112 and the second contact pin 125 form a contact point C as the moving body 122 is tightly contacted by the magnetic force and the elastic body 126 in the normal direction . only the moving body 122 is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b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s the data cable 128 is pu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act C of the second contact pin 125 is released and the second assembly 120 is disconnected from the first assembly 110. [

여기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조립체(110)에서 제2 조립체(120)는 (a)→(b)→(c) 순으로 분리됨은 동일하다. 다만 (b)과정과 (c) 과정에서 데이터 케이블(10)의 USB 단자(11)는 제2 조립체(120b)의 USB 포트(127)에서 분리되지 않고, USB 단자(11)가 USB 포트(127)에 삽입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1 조립체(110)와 제2 조립체(120b)가 분리된다.Here,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 are separated in the order of (a) → (b) → (c). The USB terminal 11 of the data cable 10 is not disconnected from the USB port 127 of the second assembly 120b and the USB terminal 11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127 The first assembly 110 and the second assembly 12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100b)는 종래의 USB 단자를 갖는 데이터 케이블(10)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두 대의 전자기기 연결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전자기기 간의 확장성에 따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B connector 100b having the dual separ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connect two electronic devices while utilizing the data cable 10 having the conventional USB terminal as it is, Can be solved.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inciples and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커넥터 110 : 제1 조립체
111 : USB 단자 112 : 제1 콘택핀
113 : 제1 자성체 114 : 제2 자성체
120 : 제2 조립체 121 : 하우징
122 : 이동체 123 : 제3 자성체
124 : 제4 자성체 125 : 제2 콘택핀
126 : 탄성체 127 : USB 포트
128 : 데이터 케이블 129 : 데이터 단자
C : 접점 O : 개구
P : 돌출부
100: connector 110: first assembly
111: USB terminal 112: first contact pin
113: first magnetic body 114: second magnetic body
120: second assembly 121: housing
122: Moving body 123: Third magnetic body
124: fourth magnet body 125: second contact pin
126: elastic body 127: USB port
128: Data cable 129: Data terminal
C: Contact point O: Opening
P: protrusion

Claims (8)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가 설치되고, 일측에 전자기기의 USB 포트에 삽입되는 USB 단자와, 타측 표면에 노출되는 복수의 제1 콘택핀을 포함하는 제1 조립체와;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콘택핀이 형성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동체가 수용되는 이동 공간과 상기 정방향 측으로 개방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설치되는 제3 자성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제2 자성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4 자성체를 갖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체와 상기 제2 조립체가 결합할 때,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1 콘택핀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간의 자력과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 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조립체와 상기 제2 조립체 간의 결합이 유지되고;
상기 제1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2 조립체가 분리될 때, 상기 이동체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가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자성체 및 상기 제2 자성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A first assembly including a first magnetic body and a second magnetic body, a USB terminal inserted into a USB port of the electronic device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exposed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r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And a third magnetic body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and a second magnetic body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ic body, the third magnetic body being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ic body, A second assembly having four magnetic bodies;
Wherein when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are engaged,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contact the plurality of first contact pins through the opening, and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is maintained by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ar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as the moving body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second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ssembly. A USB connector with a bi-split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이동체에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USB port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a surface of the moving body o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are form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2 콘택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 콘택핀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케이블과,
상기 데이터 케이블의 끝단에 형성된 데이터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assembly
A data cable exten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second contact pin is form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in of the moving body;
And a data terminal formed at an end of the data cab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assembl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moving body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상기 정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콘택핀이 상기 개구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5. The method of claim 4,
A protrusion protruding radially outward is formed on the moving body;
The elastic body is provided between the projection and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press the moving body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is caught by the housing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contact pin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가,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strength of a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is smaller than a strength of a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제3 자성체 및 상기 제4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and at least one of the thir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is provided as a permanent magn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3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세기와, 상기 제2 자성체와 상기 제4 자성체 간에 형성되는 자력의 상대적 세기는 상호 대응하는 자성체의 이격 거리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분리 구조를 갖는 USB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relative intensity of a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third magnetic body and a magnetic force formed between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fourth magnetic body is determined by a dista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magnetic bodies. USB connector with detachment structure.
KR1020140040671A 2014-04-04 2014-04-04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Expired - Fee Related KR101557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71A KR101557345B1 (en) 2014-04-04 2014-04-04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671A KR101557345B1 (en) 2014-04-04 2014-04-04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345B1 true KR101557345B1 (en) 2015-10-05

Family

ID=5434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6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7345B1 (en) 2014-04-04 2014-04-04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4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7031A (en) * 2015-10-13 2015-12-30 东莞市洛联电子科技有限公司 A connection structure of a data line connector
CN107492748A (en) * 2017-08-02 2017-12-19 肇庆市源臻自动化设备有限公司 A kind of new multi-function magnetic suction nozzle mobile phone charging wire
KR20190060143A (en) 2017-11-24 2019-06-03 노서호 A USB with a magnet configured with a magnet and a LED
KR20200027931A (en) * 2018-06-14 2020-03-13 (주)주파집 A Magnetic Type of a Charging Connector
KR20220052475A (en) * 2020-10-21 2022-04-2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Connector of electronic equipment, receptacle of connector and plug of connec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214B1 (en) 2011-07-13 2011-11-01 에스지피코리아 (주) Coupler to connect electronics and connec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214B1 (en) 2011-07-13 2011-11-01 에스지피코리아 (주) Coupler to connect electronics and connector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7031A (en) * 2015-10-13 2015-12-30 东莞市洛联电子科技有限公司 A connection structure of a data line connector
CN105207031B (en) * 2015-10-13 2018-11-27 东莞市洛联电子科技有限公司 Connection structure of data line joint
CN107492748A (en) * 2017-08-02 2017-12-19 肇庆市源臻自动化设备有限公司 A kind of new multi-function magnetic suction nozzle mobile phone charging wire
KR20190060143A (en) 2017-11-24 2019-06-03 노서호 A USB with a magnet configured with a magnet and a LED
KR20200027931A (en) * 2018-06-14 2020-03-13 (주)주파집 A Magnetic Type of a Charging Connector
KR102353541B1 (en) * 2018-06-14 2022-01-20 (주)주파집 A Magnetic Type of a Charging Connector
KR20220052475A (en) * 2020-10-21 2022-04-28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Connector of electronic equipment, receptacle of connector and plug of connector
KR102500798B1 (en) 2020-10-21 2023-02-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Connector of electronic equipment, receptacle of connector and plug of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7385B2 (en) Magnetic connection device
US9077105B2 (e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KR101348932B1 (en) USB memory apparatus with non-insertion type connecter and gender connecting thereof
KR101557345B1 (en) Usb connector with double separation structure
US8348678B2 (en) Magnetic cable connector systems
US7607920B1 (en) Connecting device for interconnecting electronic devices
US7758370B1 (en) Quick release electrical connector
US8529274B2 (en) Electrical coupler
CA2965885C (en) Twist-lock electrical connector
US8348700B1 (en) Cable connector having a metallic shield slidably disposed in a groove
KR101536888B1 (en) Portable terminal charging apparatus attached by magnetic force
CN105914509B (en) high-voltage electric connector
US9478908B2 (en) Electrical connector
PH22013500001Y1 (en) Plug connector assembly
US8602828B2 (en) Connector assembly
US20190027873A1 (en) Magnetically activated power socket and plug combination
US20170256886A1 (en) Electrical connectors
US10164372B1 (en) Electrical connecting assembly
US20160126665A1 (en) Magnetic electrical appliance connecting structure
CN107666092A (en) Connector
KR101239215B1 (en) Magnetic connector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8002568B2 (en) Connector frame
JP3226008U (en) Buckle connector
US7695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I452783B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chanical switch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6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