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6910B1 -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910B1
KR101556910B1 KR1020130118574A KR20130118574A KR101556910B1 KR 101556910 B1 KR101556910 B1 KR 101556910B1 KR 1020130118574 A KR1020130118574 A KR 1020130118574A KR 20130118574 A KR20130118574 A KR 20130118574A KR 101556910 B1 KR101556910 B1 KR 10155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boat
hull
jack
lifting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047A (ko
Inventor
김홍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9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9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63B19/19Hatch cover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38Transport of boats to dav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40Use of lowering or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잭업 리그의 선체 하부에 구명보트를 탑재하는 탑재공간을 제공하고,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명보트를 진수시키는 데빗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Apparatus for Launching Life Boat and Method for Operating Life Boat for Jack-up Rig}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잭업 리그에서 해양사고가 발생한 경우 잭업 리그에서 구명보트를 안정적으로 진수 시킬 수 있는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유가 및 육상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해양자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자원을 채취할 수 있는 작업설비를 갖춘 선박 등 해양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상구조물 중에서 잭업 리그(Jack-up)는 해상 작업시 해수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해상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해양에 설치된 잭업 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잭업 리그(Jack-up)은 선체(Hull, 1) 및 복수 개의 레그(Leg, 2)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1)에는 해상작업을 위한 타워(T), 헬기 착륙장(F) 및 승무원의 숙박시설(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레그(Leg, 2)는 해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선체(1)을 해수면으로부터 대략 69m 이상에서 지탱한다. 이에 따라, 해수면에서부터 상당한 높이(H)에 선체가 위치함으로써, 상기 선체(1) 상부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이 파도에 의한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한편, 해상구조물은 국제 규정에 따라 승무원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구명보트 등 구명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해상구조물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할 경우 승무원들은 구명장비에 탑승하여 해상으로 탈출을 시도하게 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명보트(B)는 숙박시설(3)의 일측에 구비되며, 선체의 바닥에서부터 구명보트(B)까지의 높이가 대략 28.5 m(f)가 된다. 이러한 구명보트(B)에서 해수면까지의 총 거리는 대략 98.5m 이상이 되어 구명보트를 자유 낙하시킬 경우, 구명보트와 구명보트에 탑승한 대피자에게 큰 충격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체에 설치된 윈치(4)를 이용하여 와이어에 연결된 구명보트(4)를 하강시키는 경우, 구명보트(B)를 해수면까지 진수시키기 위한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됨으로, 작은 각도의 와이어의 흔들림에서도 구명보트(B)가 흔들리는 정도가 매우 커지게 되어 구명보트(B)를 안전하게 하강시키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9781호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상구조물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상구조물에서 구명정을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잭업 리그의 선체 하부에 구명보트를 탑재하는 탑재공간을 제공하고,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된 탑재부, 상기 탑재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명보트를 진수시키는 데빗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해치는 상기 탑재부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수밀판 및 상기 제1 수밀판과 힌지 결합되는 제2 수밀판을 포함하는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상기 제1 수밀판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구동부는 상기 제1 수밀판과 결합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잭업 리그의 선체를 해수면에서 제1 설정높이로 상승시키는 제1 선체 상승단계, 상기 잭업 리그의 선체의 일측에 구비된 구명보트를 해수면으로 하강시키는 구명보트 하강단계, 상기 구명보트를 상기 탑재부로 인양하는 구명보트 인양단계, 상기 잭업 리그의 선체가 상기 해수면에서 제2 설정높이로 승강하는 제2 선체 승강단계 및 해양사고 발생시,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구명보트를 상기 해수면으로 진수하는 구명보트 진수단계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체 상승단계에서는 상기 구명보트가 상기 선체의 하측에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명보트 하강단계 이후, 상기 선체의 하부에 상기 구명보트를 탑재하는 탑재부의 하측 영역으로 상기 구명보트가 이동하는 구명정 이동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명보트 인양단계는 상기 탑재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구부 개방단계, 상기 구명보트를 와이어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권양하는 와이어 권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선체의 하부에 구명보트를 탑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구명보트와 해수면과의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명보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해수면에 진수시킬 수 있다.
또한, 해치를 구성하는 제1 수밀판과 제2 수밀판이 힌지결합됨에 따라 상기 해치가 접히게 됨으로써, 상기 해치를 수용되는 탑재부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은 선체의 일측에 구비된 구명보트를 선체의 하부의 탑재부로 인양함으로써, 하나의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잭업리그의 운영 상황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해양에 설치된 잭업 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해치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해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운항 중인 잭업 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잭업 리그의 선체가 해수면에서 제1 설정높이로 상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구명보트가 탑재부로 인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잭업 리그가 해수면에서 제2 설정높이로 상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 보트 진수 장치는 탑재부(100), 데빗(200) 및 해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잭업 리그(Jack-up)는 선체(Hull, 1) 및 복수 개의 레그(Leg, 500)를 구비하며, 상기 선체(1)에는 각종 작업 장치 및 승무원의 숙박시설(3)을 구비할 수 있다.
탑재부(100)는 상기 잭업 리그의 선체(1) 하부에 구명보트(B)를 탑재하는 탑재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재부(100)는 후술할 데빗(200)과 해치(300)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재부(100)는 하측으로 개구된 개구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20)의 크기는 상기 구명보트(B)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명보트(B)는 상기 개구부(120)를 통하여 상기 탑재부(100)에 수용되거나 해수면을 향하여 하강될 수 있다.
데빗(200)는 상기 탑재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구명보트(B)를 인양하거나 진수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빗(200)는 권양부(210) 및 와이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양부(210)는 상기 와이어(220)를 권양하거나 권취할 수 있도록 드럼(미도시) 및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20)는 상기 권양부(210)와 상기 구명보트(B)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20)는 복수 개일 수 있고, 상기 권양부(210)는 상기 와이어(220)의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220)를 권양하거나 권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명보트(B)는 상기 데빗(200)을 이용하여 상기 탑재부(100)로 인양되거나 상기 해수면을 향하여 진수될 수 있다.
해치(300)는 상기 탑재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1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해치(300)는 상기 잭업 리그가 운항중인 경우,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하여 해수가 상기 탑재부(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잭업 리그가 해상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기 레그(500)를 이용하여 해수면에서 상승한 경우, 상기 개구부(120)를 개방하여 상기 탑재부(100)에 탑재된 상기 구명보트(B)를 상기 해수면을 향하여 진수시킬 수 있다. 상기 해치(300)에 관하여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상기 선체(1)의 하부에 상기 구명보트(B)를 탑재함에 따라 상기 선체(1)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서 해수면을 향하여 상기 구명보트(B)를 진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양 사고시 상기 구명보트(B)를 보다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명보트(B) 및 상기 구명보트(B)에 탑승한 대피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해치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해치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해치(300)는 제1 수밀판(310) 및 제2 수밀판(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밀판(310)은 상기 탑재부(100)의 하단부(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밀판(310)은 상기 개구부(120)의 대략 절반을 크기에 해당되며, 상기 제1 수밀판(310)의 일단부(312)는 상기 탑재부(100)의 하단부(11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밀판(3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탑재부의 하단부(110)와 밀착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수밀판(310)은 상기 탑재부(100)의 하단부(110)와 제1 힌지부(340)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수밀판(310)은 상기 제1 힌지축(3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1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밀판(320)은 상기 제1 수밀판(310)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수밀판(310)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밀판(320)의 일단부(322)는 상기 탑재부의 하단부(110)의 일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수밀판(3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탑재부의 하단부(110)와 밀착되어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밀판(310) 및 상기 제2 수밀판(3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탑재부의 하단부(110)에 접촉하는 부분에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해치(300)가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할 경우,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밀판(320)은 제2 힌지부(330)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수밀판(3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20)를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수밀판(310)이 상기 제1 힌지부(34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수밀판(310)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되고, 상기 제1 수밀판(310)에 힌지 결합된 제2 수밀판(320)은 상기 제1 힌지부(340)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세워지게 된다.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방법은 상기 전술한 반대과정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수밀판(320)은 상기 제1 수밀판(310)과 함께 상기 개구부(12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는 상기 제1 수밀판(31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구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구동부(400)는 지지부(401), 피스톤(410) 및 실린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1)는 상기 탑재부의 하단부(110)에 설치되며, 후술할 실린더(4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피스톤(410)는 상기 제1 수밀판(310)과 제3 힌지부(41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20)는 내부에 상기 피스톤(41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41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린더(420)는 유체를 이용하는 유압실린더 또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실린더일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420)는 상기 피스톤(410)을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실린더(420)를 작동시켜 상기 피스톤(410)을 상기 실린더(420)의 외측으로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면, 상기 피스톤(410)은 상기 제1 수밀판(410)을 밀게 되어 상기 제1 수밀판(310)은 상기 개구부(120)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수밀판(320)은 상기 제1 수밀판(310)이 밀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수밀판(320) 역시 상기 개구부(120)를 향하여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밀판(310)과 상기 제2 수밀판(320)은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를 폐쇄하는 방법은 상기 전술한 반대과정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해치(300)는 상기 탑재부(100)의 외측에 설치되지 않고, 상기 탑재부(100)의 내측에서 세워져서 수용됨으로써, 상기 구명보트(B)를 인양하는 경우, 상기 해치(300)에 상기 구명보트(B)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운항 중인 잭업 리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잭업 리그는 다른 선박에 의해 해상 작업을 위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운항 중인 잭업 리그는 해양사고시 상기 선체(1)의 일측에 구비된 구명보트(B)를 이용하여 상기 잭업 리그에서 탈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구명보트(B)를 진수시키는 데빗(600)은 상기 선체(1)에 구비된 숙박시설(3)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잭업 리그가 해상 작업을 위한 장소에 도착한 경우, 레그(500)를 이용하여 상기 선체(1)를 상당한 높이로 상승시킨다. 이러한 경우, 배경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박시설(3)의 일측에 설치된 구명보트(B)를 해수면에 향하여 진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은 제1 선체 상승단계, 구명보트 하강단계, 구명정 이동단계, 구명보트 인양단계, 제2 선체 승강단계 및 구명보트 진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잭업 리그의 선체가 해수면에서 제1 설정높이로 상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잭업 리그는 복수 개의 레그(500)를 가지며, 상기 복수 개의 레그(500)는 제1 레그(510) 및 제2 레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잭업 리그가 해상 작업을 위한 장소에 도착하면, 상기 복수 개의 레그(500)를 해저면에 내려 놓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레그(510)는 일측에 랙기어(530)가 형성되고, 상기 선체(1)에는 피니언기어(540)가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레그(520)도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40)가 상기 랙기어(530)에 맞물려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선체(1)는 상기 제1 레그(51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레그(500)는 상기 선체(1)의 무게의 의해 해저면 아래로 박히게 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선체 상승단계는 상기 선체(1)를 해수면에서 제1 설정높이(K)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높이(K)는 상기 해수면에서 상기 선체(1)의 하단까지 높이를 의미하며, 상기 구명보트(B)가 상기 선체(1)의 하단에서 운항될 수 있는 높이에 해당될 수 있고, 대략 3~4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선체 상승단계에서는 상기 구명보트(B)가 상기 선체(1)의 하측에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명보트 하강단계는 상기 선체(1)의 일측에 구비된 구명보트(B)를 해수면으로 하강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1)에는 상기 숙박시설(3)가 구비되고, 상기 숙박시설(3)의 일측에 설치된 데빗(600)을 이용하여 상기 구명보트(B)를 진수시킨다.
상기 구명보트 이동단계에서는 상기 선체(1)의 하부에 상기 구명보트(B)를 탑재하는 탑재부(100)의 하측 영역으로 상기 구명보트(B)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명보트(B)는 자항능력을 갖추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220)에 연결될 수 있는 지점까지 이동한다.
도 7은 구명보트가 탑재부로 인양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구명보트 인양단계는 상기 구명보트(B)를 상기 탑재부(100)로 인양한다. 상기 구명보트 인양단계는 개구부 개방단계, 와이어 연결단계 및 와이어 권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개방단계는 상기 탑재부의 개구부(120)를 개방한다. 상기 탑재부의 개구부(1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치(300)를 상기 회동구동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탑재부(100)에 접어서 수납함으로써,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연결단계는 상기 데빗(200)에 연결된 와이어(220)를 해수면으로 하강시켜, 상기 구명보트(B)에 와이어(220)를 연결한다. 상기 구명보트(B)는 상기 와이어(220)와 연결되도록 고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권양단계는 상기 데빗(200)을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를 권양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명보트(B)는 상기 해수면에서 인양되어 상기 탑재부(100)로 탑재될 수 있다.
도 8은 잭업 리그가 해수면에서 제2 설정높이로 상승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 선체 승강단계에서는 상기 구명보트(B)가 상기 탑재부(100)에 탑재되면, 상기 잭업 리그가 해상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기 잭업 리그의 선체를 상기 해수면에서 제2 설정높이로 승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 설정높이(H)는 상기 잭업 리그가 파도 등 해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높이이다. 즉, 상기 제2 설정높이(H)는 상기 잭업 리그가 파도에 의해 상기 선체(1)의 각종 장치가 영향을 받지 않을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제2 설정높이(H)는 대략 69m 이상일 수 있다.
해상사고 발생시, 상기 구명보트 진수단계에서는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구명보트를 상기 해수면으로 진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은 상기 선체의 일측에 구비된 구명보트(B)를 상기 탑재부(100)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선체의 일측에서 상기 탑재부(100)까지의 거리(f)를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체의 일측에서 상기 탑재부(100)까지의 거리(f)는 대략 28.5m에 해당되므로, 상기 구명보트(B)를 진수시키는 높이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구명보트(B)를 보다 안정적으로 진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명보트(B)에 연결된 와이어(20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200)의 흔들림에 의한 진폭을 감소시켜 상기 구명보트(B)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탑재부 120: 개구부
200: 데빗 210: 권양부
220: 와이어 300: 해치
310: 제1 수밀판 320: 제2 수밀판
330: 제2 힌지부 340: 제1 힌지부
400: 회동구동부 410: 피스톤
420: 실린더 500: 레그
600: 데빗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잭업 리그의 선체를 해수면에서 제1 설정높이로 상승시키는 제1 선체 상승단계;
    상기 잭업 리그의 선체의 일측에 구비된 구명보트를 해수면으로 하강시키는 구명보트 하강단계;
    상기 구명보트를 탑재부로 인양하는 구명보트 인양단계;
    상기 잭업 리그의 선체가 상기 해수면에서 제2 설정높이로 승강하는 제2 선체 승강단계; 및
    해양사고 발생시,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구명보트를 상기 해수면으로 진수하는 구명보트 진수단계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 상승단계에서는 상기 구명보트가 상기 선체의 하측에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 하강단계 이후,
    상기 선체의 하부에 상기 구명보트를 탑재하는 탑재부의 하측 영역으로 상기 구명보트가 이동하는 구명정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보트 인양단계는
    상기 탑재부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구부 개방단계;
    상기 구명보트를 와이어에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권양하는 와이어 권양단계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운용 방법.
KR1020130118574A 2013-10-04 2013-10-04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Active KR10155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574A KR101556910B1 (ko) 2013-10-04 2013-10-04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574A KR101556910B1 (ko) 2013-10-04 2013-10-04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47A KR20150040047A (ko) 2015-04-14
KR101556910B1 true KR101556910B1 (ko) 2015-10-02

Family

ID=5303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574A Active KR101556910B1 (ko) 2013-10-04 2013-10-04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127A (ko) 2022-03-25 2023-10-05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잭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8167A1 (en) 1985-12-04 1987-07-08 O'Brien, Daniel P. Off-shore drilling installation evacuation system
WO1999061308A1 (en) * 1998-05-27 1999-12-02 Toermaelae Pasi Evacuation refuge
JP2012056489A (ja) * 2010-09-10 2012-03-22 Kayaba System Machinery Kk 揚艇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28167A1 (en) 1985-12-04 1987-07-08 O'Brien, Daniel P. Off-shore drilling installation evacuation system
WO1999061308A1 (en) * 1998-05-27 1999-12-02 Toermaelae Pasi Evacuation refuge
JP2012056489A (ja) * 2010-09-10 2012-03-22 Kayaba System Machinery Kk 揚艇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하대학교 선박해양공학연구소, "고등학교 선박의장", p78(2006.03.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127A (ko) 2022-03-25 2023-10-05 케이.엘.이.에스 주식회사 잭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047A (ko) 201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8530B (zh) 浮体结构物作业系统、浮体结构物、作业船及浮体结构物的作业方法
JP5639557B2 (ja) 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用船舶並びに海洋構造物の運搬および設置方法
CN105000479B (zh) 具有升沉补偿和张力保护功能的缆控潜水器甲板吊放系统
KR101563693B1 (ko) 펜더 대빗 장치
TWI649237B (zh) 具有可潛的船尾艙門的船艇
KR101487296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KR101497444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763691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US5097788A (en) Method and device for fishing up an immersed body
RU24669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якорей
KR101556910B1 (ko) 잭업 리그용 구명보트 진수 장치 및 구명보트 운용 방법
KR101497442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EP3554939B1 (en) Boat transfer system
KR20130057642A (ko)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RU125548U1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под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KR200481469Y1 (ko) 구명정 진수 장치
EP2714505A1 (en) A launch and retrieval system
NL2008473C2 (en) Vessel comprising a crane.
RU231204U1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подъема подвод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в ледовых условиях
KR20190043975A (ko) 해난 구조용 부유식 구조물
NL2000096C2 (nl) Transportinrichting.
KR101964835B1 (ko) 해양구조물 진수 설비 및 해양구조물 진수 방법
SU1368225A2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садки людей в спасательные средства
KR101422235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 프로텍터 격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6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