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398B1 - Driving System - Google Patents
Driv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6398B1 KR101556398B1 KR1020130016442A KR20130016442A KR101556398B1 KR 101556398 B1 KR101556398 B1 KR 101556398B1 KR 1020130016442 A KR1020130016442 A KR 1020130016442A KR 20130016442 A KR20130016442 A KR 20130016442A KR 101556398 B1 KR101556398 B1 KR 1015563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rection determining
- traveling
- rail
- unit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59 shock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행 시스템은 호이스트 유닛이 주행부의 제1 및 제2 주행부의 상부에 각기 배치되며 결정된 방향에 따라 각도를 변경하는 방향 결정 주행부와,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를 좌,우측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방향 결정부와, 안내부에 배치되며 레일 및 보조 레일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방향 결정 주행부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주행로는 직선 레일에 직선 보조레일이 형성되고 곡선 레일에 곡선 보조레일이 형성되므로 정확한 좌,우 분기를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방향 결정휠의 높이 및 무게를 줄여 호이스트 유닛이 급제동 및 가속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trav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ist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ing parts of the traveling part and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determining traveling part for changing the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direction and a direction for moving the direction determining traveling part left and right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ails and the auxiliary rails and a pair of sensor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part and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part, , A straight auxiliary rail is formed on the straight rail and a curved auxiliary rail is formed on the curved rai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ccurate left and right branching. In addition, by reducing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wheel, Can be performed smooth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이스트의 분기부 곡선 및 직선 통과시 주행부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급제동 및 가속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vel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falling of a traveling portion during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a branching curve of a hoist, and also capable of smoothly performing rapid braking and acceleration.
종래, 호이스트(HOIST)는 물품을 로딩시켜 소정위치로 이동한 후 언로딩시키는 장치로서, 물류 창고, 부두, 철도역 등에서 화물의 운반이나 공장에서의 기계 분해, 조립 및 반도체 물류 이송에 사용된다.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hoist is a device for loading an article, moving it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n unloading it, and is used for transporting cargoes in a warehouse, a pier, a railway station, or the like.
천정 주행용 호이스트는 천정에 호이스트가 주행하게 될 레일이 설치되고, 호이스트의 주행부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품을 이송하게 된다. 상기 호이스트는 구동력을 제공받아 레일을 주행하는 주행부와, 물품을 들어 올리는 파지부로 이루어지게 된다.An overhead traveling hoist is provided with a rail on which a hoist is to travel, and the traveling part of the hoist moves along the rail to transport the article. The hoist includes a traveling part that travels on the rails in response to a driving force, and a grip part that lifts the article.
호이스트가 방향을 바꾸고자 하면, 분기 레일을 이용하고 분기 휠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분기 레일만을 이용하는 경우 출발지에서 목적지 까지의 이동 경로가 길어져 효율적이지 못하게 된다.When the hoist wants to change direction, it uses the branch rail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ranch wheel to move. However, when only the branch rail is used, the travel path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becomes long, which is not efficient.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05978호(특허문헌 1)는 호이스트 유닛과, 호이스트 유닛이 주행하며, 교차로가 형성되는 주행로를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 유닛은 교차로 통과시 호이스트 유닛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보조 주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차로는 보조 주행부가 주행하는 보조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05978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hoist unit, a traveling path in which the hoist unit travels, and an intersection is formed, and the hoist un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hoist unit from falling And the auxiliary driving part includes an auxiliary rail on which the auxiliary driving part travels.
상기 선행기술은 보조 주행부 및 보조 레일을 형성시키므로 교차로 통과시 주행부가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prior art forms the auxiliary runn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ra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unning portion from falling when passing through the intersection.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주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이스트 유닛이 분기부 곡선 및 직선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veling system in which a hoist unit can easily pass a branching curve and a straight l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 결정 주행부의 방향 결정휠의 높이를 줄임에 의해 방향 제약성을 해소하고 개수를 줄임에 의해 무게를 줄여 호이스트의 급제동 및 가속이 용이하도록 한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veling system in which the directional limitation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wheel is reduced to reduce the directional restriction and reduce the weight by reducing the number of wheels, thereby facilitating rapid braking and acceleration of the hois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시스템은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한 쌍의 전방 및 후방 주행휠을 각기 갖는 제1 및 제2 주행부로 이루어진 주행부로 이루어진 호이스트 유닛과, 상기 호이스트 유닛이 주행하며, 직선 레일 및 곡선 레일이 형성된 주행로를 갖는 주행시스템에서, 상기 호이스트 유닛은 주행부의 제1 및 제2 주행부의 상부에 각기 배치되며 결정된 방향에 따라 각도를 변경하는 방향 결정 주행부와,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를 좌,우측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방향 결정부와, 안내부에 배치되며 레일 및 보조 레일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방향 결정 주행부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행로는 직선 레일에 직선 보조레일이 더 형성되고 곡선 레일에 곡선 보조레일이 더 형성되는 점에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rav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ist unit comprising a grip portion for gripping an article, a traveling portion including first and second traveling portions each having a pair of front and rear traveling wheels, The hoist unit comprising: a direction determining unit arrang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ing units of the traveling unit and chang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rection; A sensor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rails and the auxiliary rails,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ails and the auxiliary rails,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 Wherein the traveling path includes a linear auxiliary rail further formed on the linear rail, and the curved rail It is in that the curved auxiliary rail is further formed.
본 발명의 방향 결정 주행부는 가이드 판과, 상기 가이드 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지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 판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휠축에 각기 끼워진 방향 결정휠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The direction determining runn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late, a guide shaft fitt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guide plate, and a direction determining wheel sandwiched between wheel shaf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본 발명의 방향 결정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구동랙과, 상기 회전 구동랙과 치합되어 회전 구동랙의 이동에 따라 피치 이동하는 종동 피니언 부재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The direction determ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enoid valve, a rotary drive rack movably installed on a base plate disposed above the solenoid valve, a driven pinion member coupled to the rotary drive rack and pitch- .
본 발명의 주행 시스템은 방향 결정 주행부의 높이를 줄이고 방향 결정휠의 개수를 줄여 호이스트의 주행시 급제동 및 가속 등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trav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reduce the height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part and reduce the number of direction determining wheels, thereby facilitating rapid braking and accelerating when the hoist is traveling.
또한, 본 발명의 주행 시스템은 방향 결정부에 의해 방향 결정 주행부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분기 통과가 수월한 이점이 있다. Further, the trav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direction determining portion can accurately control the direction determining traveling por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branching pass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시스템의 호이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호이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호이스트의 방향 결정 주행부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호이스트가 곡선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호이스트가 직선레일에서 직진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ist of a trave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ist a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run of the hoist of Fig. 1 is chang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is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urved roa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hoist goes straight on the straight rail. Fig.
이하, 본 발명의 주행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un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주행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유닛(100)이 주행로(600)를 따라 주행하며, 이때 호이스트 유닛(100)이 물품(도시되지 않음)을 파지한 파지부(150)도 이동하게 되므로 소정의 위치에 물품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to 3, the trav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veling system in which the hoist
상기 호이스트 유닛(100)은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150)와, 한 쌍의 전방 및 후방 주행휠(212,212; 222,222)를 각기 갖는 제1 주행부(210)와 제2 주행부(220)로 이루어진 주행부(200)와, 상기 주행부(200)의 제1 및 제2 주행부(210,220)의 상부에 각기 배치되며 결정된 방향에 따라 각도를 변경하는 방향 결정 주행부(300)와,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300)를 좌,우측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방향 결정부(400)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hoist
또한, 상기 호이스트 유닛(100)은 안내부에 배치되며 레일 및 보조 레일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240)와, 방향 결정 주행부(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방향 결정 주행부(30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센서(540)를 더 구비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센서(540)는 후술하는 가이드 판(320)의 하부에 양측에 배치된 브라켓(555)에 각기 한 개씩 설치된다.The hoist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레일(380)이 긴 경우에는 직선 레일(380)상에서 이동하게 되지만, 일부 직선 레일(380)구간에서는 직선 레일(380)에 설치된 직선 보조레일(360)을 따라 이동하며, 곡선 레일(390)구간에서는 곡선 레일(390)에 설치된 곡선 보조레일(37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직선 레일(380)이 긴 경우라는 것은 주행로(600)에서 직선 레일(380)에 직선 보조레일(36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방향 결정 주행부(300)는 직선 레일(38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일부 직선 레일(380)구간이라는 것은 주행로(600)에서 직선 보조레일(360)이 형성된 직선 레일(390) 구간에 해당되는 것으로 방향 결정 주행부(300)가 직선 보조레일(36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 보조레일(360) 및 곡선 보조레일(370)은 분기로 및 곡선로 구간에 설치하게 된다.4 and 5, the
In addition, the linear
상기 주행부(200)의 후방 일측에 제1 및 제2 주행부(210,220)의 한 쌍의 전방 및 후방 주행휠(212,212; 222,222)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방 및 후방 주행모터(214,224)가 각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및 후방 주행모터(214,224)는 서로 엇갈리게(교차되게) 설치되어 제1 및 제2 주행부(210,22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주행부(210,220)의 하부에 설치된 미설명 부호 270은 복수개의 주행 가이드휠이다. Front and
상기 제1 주행부(210)의 전면에는 주행부(200)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235)를 갖는 안내부(230)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230)의 일측에는 보조레일(50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240)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부(23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와 브라켓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댐퍼(235)는 서로 다른 주행부(200)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 완충재를 적용하게 된다.A
상기 센서(240)는 주행로(600)상에 설치된 표시 마크(도시되지 않음)를 인식하여 직선로(610)인지 곡선로(620)인지를 판단하고 다른 표시 마크(도시되지 않음)를 인식하여 우측분기 인지 좌측분기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센서(240)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와 무선 통신 또는 라인으로 통신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 마크 인식방법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와 제어부를 이용하여 직선로(610)인지 곡선로(620)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상기 센서(240)가 곡선로(620)라고 판정하게 되면, 방향 결정 주행부(300,300)의 가이드 판(320,320)을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킬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센서(240)가 다른 표시 마크(도시되지 않음)를 인식하여 우측분기 인지 좌측 분기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When the
예를 들어, 진행방향 기준으로 좌측 분기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판(320)을 +90도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2쌍의 휠(330,330; 330,330)이 곡선 보조레일(37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진행방향 기준으로 우측 분기인 경우에는 가이드 판(320)을 -90도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2쌍의 휠(330,330; 330,330)이 곡선 보조레일(370)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left branch on the basis of the traveling direction, the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판(320)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휠축(324)에 한 쌍의 방향 결정휠(330,33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2, a pair of
상기 가이드 판(320)의 중앙에는 관통홀(342)이 형성되고, 관통홀(342)에는 가이드 축(344)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 판(320)은 가이드 축(344)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축(344)의 상부에는 베어링(346)과 커버(348)가 배치되고, 가이드 축(344)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회전판(44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 판(3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그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아울러 방향 결정휠(330,33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방향 결정휠(330,330)의 크기 및 무게도 줄일 수 있다.A through
한편,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300)의 방향을 결정하는 수행하는 방향 결정부(400)는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405)와, 솔레노이드 밸브(405)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판(4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구동랙(410)과, 상기 회전 구동랙(410)에 연결되며 회전 구동랙(410)의 이동에 따라 피치 이동하는 종동 피니언 부재(420)로 구성된다.The
상기 회전 구동랙(410)은 베이스판(412)의 상부에 배치되고,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이빨(416)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구동랙(410)은 솔레노이드 밸브(405)에 연결된 축(407)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게 된다.The
상기 종동 피니언 부재(420)는 회전판(440)의 일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캠팔로우(442)와 너트(444)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종동 피니언 부재(420)는 회전 구동랙(410)의 치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회전 구동랙(410)의 이빨(4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팔로우(442) 및 너트(444)로 이루어진 종동 피니언 부재(420)에 치합되므로 회전 구동랙(410)의 동작에 따라 종동 피니언 부재(420)도 피치 이동하게 되므로 가이드 판(32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50은 물품을 로딩 및 언로딩 하기 위한 파지부이다.The drive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시스템의 동작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rave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호이스트 유닛(100)이 주행로(600)에서 직진 주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the hoist
호이스트 유닛(10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600)의 직선 레일(380)을 진행하면서 직선로(560)나 곡선로(550)를 만나게 되면, 센서(240)는 주행로(600)상에 설치된 표시 마크(도시되지 않음)를 인식하여 직선로(560)인지 곡선로(550)인지를 판단하게 된다(즉, 센서(24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어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센서(240)가 직선로(560)라고 판단하게 되면, 방향 결정 주행부(300,300)의 가이드 판(320,320)을 직진 방향으로 그대로 유지하고 진행하게 된다. 5, when the hoist
그리고, 호이스트 유닛(100)이 주행로(600)에서 곡선 주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ow,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urve running of the hoist
호이스트 유닛(1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유닛(100)의 진행방향에서 우측으로 분기된 곡선로(550)를 만나게 되면, 센서(240)는 우측으로 분기된 곡선로(560)라고 판단하게 되고 가이드 판(320)이 초기상태에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호이스트 유닛(100)의 방향 결정휠(330,330)은 곡선 보조레일(370)의 안내를 받으면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hoist
한편, 호이스트 유닛(100)의 진행방향에서 좌측으로 분기된 곡선로(550)를 만나게 되면, 센서(240)는 좌측으로 분기된 곡선로(560)라고 판단하게 되고 가이드 판(320)이 초기 상태에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호이스트 유닛(100)의 방향 결정휠(330,330)은 다른 곡선 보조레일(370)의 안내를 받으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제, 호이스트 유닛(100)의 방향 결정 주행부(300)와 방향 결정부(40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호이스트 유닛(100)에서, 방향 결정 주행부(300)를 동작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Operation of the
사용자에 의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방향 결정부(400)의 솔레노이드 밸브(405)를 동작시키게 되면, 베이스판(412)의 상부에 위치된 회전 구동랙(410)이 종동 피니언 부재(420)과 맞물려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405)와 연결된 축(407)에 연결된 회전 구동랙(410)의 이빨(416)이 종동 피니언 부재(420)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종동 피니언 부재(420)는 기존 피니언과는 달리 캠팔로우(442)와 너트(444)를 이용하여 구성하게 되므로 회전 구동랙(410)의 이빨(tooth)(416)이 캠팔로우(442)의 중간 부분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정확하게 가이드 판(320)의 회동시키게 된다. When the
상기 베이스판(4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로 회동하게 되므로 가이드축(344)에 끼워진 종동 피니언 부재(420)도 좌,우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판(412)의 회동 방향은 가이드 판(320)의 분기 방향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판(320)의 회전 방향도 정해지게 된다. The
따라서, 곡선레일(390)의 분기 방향에 따라서 방향 결정휠(330,330)이 설치된 가이드 판(320)은 종동 피니언 부재(420)의 이동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축(344)의 상부에 베어링(346)이 설치되므로 가이드 판(320)의 회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가이드 판(320)의 좌,우 방향의 회동은 브라켓(555)에 설치된 한 쌍의 센서(540,540)에 의해 감지하며, 그 회동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하게 된다.The rotation of the
이와 같이, 주행로(600)에 설치된 호이스트 유닛(100)이 파지부(150)를 이용하여 물품(도시되지 않음)을 로딩하고, 주행로(600)의 직선 레일(380)과 곡선 레일(390)을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센서(240)에 의해 우측분기 인지 좌측 분기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로 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아 방향 결정 주행부(300)와 방향 결정부(400)를 이용하여 정해진 분기로 이동시키고 정해진 분기를 따라 주행하여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물품을 언로딩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The hoist
본 발명의 주행 시스템은 물품을 이송하는 호이스트 장치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로딩/언로딩하는 물류 및 자동차 분야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The trave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hoist device for transporting an article, and also widely applicable to a logistics and automobile field for loading / unloading various kinds of articles.
100: 호이스트 유닛 200: 주행부
210,220: 제1 및 제2 주행부 212,222: 전방휠 및 후방휠
214,224: 전방 및 후방 주행모터 300: 방향 결정 주행부
320: 가이드 판 330: 방향 결정휠
344: 가이드축 400: 방향 결정부
405: 솔레노이드 밸브 410; 회전 구동랙
420: 종동 피니언 부재 540: 센서
600: 주행로 610: 직선로
620: 곡선로100: Hoist unit 200:
210, 220: first and second running
214,224: front and rear running motor 300: direction determining running part
320: guide plate 330: direction determining wheel
344: guide shaft 400: direction determining unit
405:
420: a driven pinion member 540: a sensor
600: Driving route 610: Straight line
620: With a curve
Claims (7)
상기 호이스트 유닛은 주행부의 제1 및 제2 주행부의 상부에 각기 배치되며 결정된 방향에 따라 각도를 변경하는 방향 결정 주행부와,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를 좌,우측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방향 결정부와, 상기 제1 주행부의 전면에 설치된 안내부에 배치되며 레일 및 보조 레일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방향 결정 주행부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한 쌍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는 가이드 판과, 상기 가이드 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지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 판의 양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휠축에 각기 끼워진 방향 결정휠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향 결정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상부에 배치된 베이스판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구동랙과, 상기 회전 구동랙과 치합되어 회전 구동랙의 이동에 따라 피치 이동하는 종동 피니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주행로는 직선 보조레일이 형성되지 않은 직선 레일에서는 직선 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되고, 직선 보조레일이 형성된 직선 레일에서는 직선 보조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되며, 곡선 레일구간에서는 곡선 레일에 설치된 곡선 보조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시스템.A hoist unit comprising a hoist unit comprising a grip portion for gripping an article and a running portion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running portions each having a pair of front and rear running wheels and a running road on which the hoist unit travels and on which linear rails and curved rails are formed The traveling system comprising:
The hoist unit includes a direction determining uni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raveling units of the traveling unit and changing an angle according to a determined direction, a direction determining unit for operating the direction determining traveling unit to the left and right, A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ails and the auxiliary rails and a pair of sensor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part and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part are disposed in a guide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unning part Including,
Wherein the direction determining run portion comprises a guide plate, a guide shaft fitt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guide plate, and a direction determining wheel sandwiched between wheel shaf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plate,
The direction determining unit includes a solenoid valve, a rotary drive rack movably installed on the base plate disposed above the solenoid valve, and a driven pinion member meshed with the rotary drive rack and pitch-shifted as the rotary drive rack moves And,
Wherein the traveling path is configured to move along a linear rail in a linear rail without a linear auxiliary rail and to move along a linear auxiliary rail in a linear rail in which a linear auxiliary rail is formed and in a curved rail section, And to move along the auxiliary rail.
상기 방향 결정 주행부의 가이드축은 상부에는 베어링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종동 피니언 부재가 삽입 배치되며, 가이드 판은 가이드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earing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cruising portion, and a driven pinion member is inserted and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guide plate is rotated about a guide shaft.
상기 한 쌍의 센서는 가이드 판의 양측 하부에 배치된 브라켓에 각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sensors are installed on brackets disposed at both lower sides of the guide plate.
상기 방향 결정부의 회전 구동랙은 부채꼴 형태로 구성되고, 일측에 이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ry drive rack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unit is formed in a fan shape and teeth are formed on one side.
상기 방향 결정부의 종동 피니언 부재는 캠팔로우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회전판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n pinion member of the direction determining portion is formed of a cam follower and a nut, and is formed at intervals on the rotating pl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442A KR101556398B1 (en) | 2013-02-15 | 2013-02-15 | Driv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442A KR101556398B1 (en) | 2013-02-15 | 2013-02-15 | Driv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2924A KR20140102924A (en) | 2014-08-25 |
KR101556398B1 true KR101556398B1 (en) | 2015-09-30 |
Family
ID=5174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64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6398B1 (en) | 2013-02-15 | 2013-02-15 | Driv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639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3730A (en) | 2020-01-20 | 2021-07-28 | (주)휴민텍 | Driving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3382A (en) | 2015-06-05 | 2016-12-14 | 주식회사 대성엔지니어링 | Driving System |
KR102058945B1 (en) * | 2018-05-31 | 2019-12-24 | 에이피에스홀딩스 주식회사 | Transfer system |
CN113581763A (en) * | 2020-04-30 | 2021-11-02 | 盟立自动化股份有限公司 | Suspension type conveying system and multi-section type convey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838B1 (en) | 2005-12-14 | 2006-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nveyer |
-
2013
- 2013-02-15 KR KR1020130016442A patent/KR10155639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838B1 (en) | 2005-12-14 | 2006-12-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Convey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3730A (en) | 2020-01-20 | 2021-07-28 | (주)휴민텍 | Driv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02924A (en) | 2014-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72404B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US9394114B2 (en) | Transport device with controllable conveying element | |
TWI564196B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KR101556398B1 (en) | Driving System | |
JP6280385B2 (en) | Car warehousing equipment and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equipped with it | |
JP2010247685A (en) | Conveyance vehicle system | |
KR101833310B1 (en) | Curve section navigation system | |
TWI492011B (en) | Van | |
JP2016074507A (en) | Unmanned carrier for container | |
KR20160143382A (en) | Driving System | |
JP5521381B2 (en) | Transport vehicle system | |
KR101423146B1 (en) | Transportation vehicle system | |
KR20140070027A (en) | Driv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 |
JP2010059707A (en) | Device for correcting vehicle position | |
JP6263416B2 (en) | How to stop a transport carriage in a parking system | |
JP2014238685A (en) | Unmanned transfer vehicle | |
JP2007279936A (en) | Carrying vehicle system | |
JP3701843B2 (en) | Bag lifting device | |
KR20150124315A (en) | Apparatus for moving robot on horizontal and vertical rail | |
JP4220948B2 (en) | Trackless automatic traveling cart | |
CN217229224U (en) | AGV trolley provided with carrying mechanism | |
JP4308746B2 (en) | Automatic traveling cart | |
JP4667669B2 (en) | Self-propelled portal crane and its travel control method | |
KR200151328Y1 (en) | Steering device of unmanned vehicle | |
JP2007072572A (en) | Article conveyance fac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