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377B1 - Regenerative brake system - Google Patents
Regenerative brak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5377B1 KR101555377B1 KR1020090022095A KR20090022095A KR101555377B1 KR 101555377 B1 KR101555377 B1 KR 101555377B1 KR 1020090022095 A KR1020090022095 A KR 1020090022095A KR 20090022095 A KR20090022095 A KR 20090022095A KR 101555377 B1 KR101555377 B1 KR 101555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ing
- front wheel
- master cylinder
- actuator
- press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7/00—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24—Single initiating means operating on more than one circuit, e.g. dua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을 포함하는 모든 전기 자동차에 적용되는 전륜과 후륜 제동이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운전자의 페달감(Pedal Feel)이 저하되는 현상을 제거한 회생 제동 장치로서, 제동 유압의 과 상승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를 고려하여야 하는 전륜쪽 전동 동력의 과도한 발생을 차단해 설계의 편리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시 압력 상승을 근본적으로 차단해 마스터 실린더는 물론, 유압 계통(Hydraulic Unit)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ive braking device in which front and rear wheel braking applied to all electric vehicles including a hybrid vehicle are independently implemented to eliminate a phenomenon in which a pedal feel of a driver is lowered, (ABS), which is designed to prevent excessive power generation on the front wheel,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design of the anti-brake system, Hydraulic Unit).
회생, 모터, 케이블 Regeneration, motor, ca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국내 출원한 출원번호 10-2009-0012388(2009.2.16)에 관련되어, 액추에이터를 통해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마스터 실린더의 보호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ng function of a master cylinder which forms a braking hydraulic pressure through an actuator, in connection with the patent application 10-2009-0012388 (2009.2.16)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본 출원인이 국내 출원한 출원번호 10-2009-0012388(2009.2.16)은 비용 증가와 페달감 저하 방지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요구하는 EHB(Electro-Hydraulic Brake)나,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프리미엄 같은 장치를 적용하지 않아,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별도의 분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운전자의 페달감(Pedal Feel)을 저하시키지 않는 회생 제동 장치를 제공한다.Application No. 10-2009-0012388 (2009.2.16)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rected to an electro-hydraulic brake (EHB) or an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ESC) premium which requires a separate device for cost increase and prevention of pedal depress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generative braking device that does not apply the same device, is low in manufacturing cost, and does not lower the pedal feel of a driver without using a separate separating device.
상기와 같은 회생 제동 장치는 운전자가 페달을 밟으면, 전륜은 전동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고, 후륜은 운전자의 페달력에 의해 작동되는 독립적이면서 협조 제어를 구현하는 방식이다.Such a regenerative braking system is a system in which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pedal, the front wheel is operated by the electric actuator and the rear wheel is operated by the driver's pedaling force.
이를 위해 전륜쪽에 제동 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는 전동 부스터를 적용한다.For this purpose, an electric booster is used for the actuator that generates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on the front wheel side.
하지만, 액추에이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전륜쪽은 마스터 실린더 보호를 위한 세심한 제어가 요구되는 어려움을 갖는다.However, the front wheel side, which uses the power of the actuator, has a difficulty in requiring careful control for protecting the master cylinder.
일례로, 제동 과정에서 액추에이터의 과도한 작동이 일어나거나 또는,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과 같이 휠 실린더쪽 유량이 마스터 실린더로 유입되는 경우는, 마스터 실린더내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될 수 있는 여지를 가지므로, 설계시 이러한 점을 고려해 주어야 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an excessive operation of the actuator occurs in the braking process or a flow rate of the wheel cylinder is introduced into the master cylinder, such as a reduction in pressure of the ABS (Anti Brake System), the pressure in the master cylinder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Th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signing.
만약,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마스터 실린더내 압력 상승이 과도하게 일어나면, 심할 경우 마스터 실린더는 물론, 유압 계통(Hydraulic Unit)에 대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설계시 유압 계통 파손 방지를 위한 대책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If the pressure rise in the master cylinder excessively occurs due to the above-mentioned reason, the master cylinder may cause damage to the hydraulic cylinder as well as the master cylinder. Therefore, There is a difficult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페달 조작력을 이용한 후륜 제동과 달리, 전동 동력을 이용하는 전륜 제동에서 과도한 전동 동력이 형성되는 위험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해, 전동 동력이 제동 유압을 과도하게 상승하지 않도록 하는 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회생 제동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king system for braking a braking system which, unlike a rear wheel braking system using pedal operation force, basically blocks the risk that excessive braking force is generated in front braking using the braking force, There is an object to provide a regenerative brak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design to prevent excessive increase of the speed of the regenerative brak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전동 동력을 이용하는 전륜 제동에서 마스터 실린더내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도록 해, 휠 실린더쪽 유량이 마스터 실린더로 유입되어 압력을 상승시키는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시에도 마스터 실린더는 물론, 유압 계통(Hydraulic Unit)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회생 제동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ressure in the master cylinder from rising above a certain level in the front wheel braking using the electric power, and even when the depressurization of the ABS (Anti Brake System)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generative braking device that does not cause damage to a hydraulic system (hydraulic unit) as well as a master cylind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페달(1)의 답입에 의하여 제동 작용을 수행하는 후륜 제동부(5)와, 상기 페달(1)의 작동을 감지한 ECU(20)를 통한 액추에이터(11)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후륜 제동부(5)와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제동 작용을 수행하는 전륜 제동부(10)로 구성된 회생 제동 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brake system including a rear wheel braking unit for performing a braking action by depression of a pedal, an actuat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pedal, And a front wheel braking section (10) installed to be driven independently of the rear wheel braking section (5) by the driving of the rear wheel braking section (11) to perform a braking action,
상기 전륜 제동부(10)는 상기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피스톤(33)을 이동시키는 간접 방식으로,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제동 유압을 생성하는 제동 압력 제어기(3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는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이용해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에 내장된 피스톤(33)을 잡아당기고, 잡아 당겨진 상기 피스톤(33)이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액압실 체적을 줄여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는 액추에이터(11)를 통해 구동되는 동력 매체(31)와, 상기 동력 매체(31)를 통해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에 내장된 피스톤(33)을 잡아당겨 유압을 생성시키는 연결 부재(32)와,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벽과 상기 피스톤(3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리턴 스프링(34)으로 구성 된다.The
상기 동력 매체(31)는 상기 액추에이터(11)를 통해 회전되어 상기 연결 부재(32)를 당기거나, 회전력을 축 방향 이동력으로 전환해 상기 연결 부재(32)를 당기는 방식이되, 상기 연결 부재(32)는 일단이 상기 피스톤(3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동력 매체(31)에 결합된 케이블로 구성한다.The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에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과도한 압력 상승시 오일 리저버(13)쪽으로 유압 통로를 열어주는 릴리프 밸브(35)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릴리프 밸브(35)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와 오일 리저버(13)간 연결된 오일 라인에 설치된다.The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페달 조작력을 이용한 후륜 제동과 달리 전륜쪽 제동 유압을 생성하는 전동 동력이 과도하게 발생하지 않아, 제동 유압의 과 상승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를 고려하지 않는 편리한 효과가 있고, 특히 휠 실린더쪽 유량이 마스터 실린더로 유입되어 압력을 상승시키는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시에도 마스터 실린더는 물론, 유압 계통(Hydraulic Unit)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rear wheel braking using the pedal operation force, the electric power for generating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on the front wheel is not excessively generated, and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of not considering the design for avoiding the overrun of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The damper of the hydraulic cylinder (hydraulic unit) as well as the master cylinder is prevented from occurring even when the depressurization of the ABS (Anti Brake System), in which the flow rate of the wheel cylinder flows into the master cylinder and raises the pressure, is realiz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생 제동 장치가 전기 자동차에 적용된 설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회생 제동 장치에 적용된 페달(1)은 운전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비해 증대된 페달비를 갖도록, 서로 연동되는 한 쌍의 페달로 이루어진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installation configuration in which a regenerativ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electric vehicle. The pedal 1 applied to the regenerative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 And a pair of pedal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일례로, 본 실시예에 적용된 페달(1)은 본 출원인이 국내 출원한 출원번호 10-2009-0012388(2009.2.16)와 같이, 운전자 조작용 프라이머리(Primary) 페달과, 상기 프라이머리 페달에 연동하는 세컨더리(Secondary) 페달로 한 쌍을 이루며, 상기 프라이머리 페달과 세컨더리 페달이 조합된 상태에서 높은 페달비를 갖도록 설계한다.For example, the pedal 1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river's primary pedal and a primary pedal, such as the application number 10-2009-0012388 (2009.2.16)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 pair of secondary pedal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designed to have a high pedal ratio in a state where the primary pedal and the secondary pedal are combined.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의 회생 제동 장치는 상기 페달(1)의 스트로크(Stroke)를 직접적으로 받아 후륜 브레이크(B)로 공급되는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후륜 제동부(5)와, 상기 페달의 스트로크(Stroke)에 따라 전륜 브레이크(A)에서 요구되는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전륜 제동부(10)를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regenerative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ar
상기와 같은 전·후륜 제동부(5,10)는 본 출원인이 국내 출원한 출원번호 10-2009-0012388(2009.2.16)와 같이, 전륜 제동과 후륜 제동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현되고, 레이 아웃을 고려해 통상 전륜 제동부(10)쪽으로 설치한 1개의 오일 리저버(13)를 공용으로 사용한다.The front and rear
또한, 상기 후륜 제동부(5)가 페달과 마스터 실린더 사이에 부스터 없이 운전자 힘만을 이용한 마찰 제동으로 후륜 제동을 수행하는 반면, 전륜 제동부(10)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므로, 전륜쪽 유압 제동력이 가변하여도 후륜측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운전자의 페달감(Pedal Feel)도 저하되지 않는다. Further, the rear
이와 같은 후륜 제동부(5)는 오일 리저버(13)에 리저버 라인(7)으로 연결되어, 페달(1)이 밟혀질 때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후륜 마스터 실린더(6)를 갖추고, 좌·우 후륜을 제동하는 후륜 브레이크(B)쪽으로 각각 이어지는 한 쌍의 좌·우 유압 라인(8a,8b)으로 이루어진 후륜 유압 라인(8)을 갖춘다.The rear
그리고, 상기 전륜 제동부(10)는 페달(1)의 스트로크(Stroke)에 따른 동력을 발생하는 액추에이터(11)와, 상기 액추에이터(11)의 전달 동력으로 전륜 브레이크(A)의 제동 유압을 생성하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와,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로 공급되는 오일을 저장한 오일 리저버(13) 및,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에서 생성된 제동 유압을 전륜 브레이크(A)로 공급하는 전륜 유압 라인(14)으로 구성한다.The front
상기 액추에이터(11)는 모터를 적용한다.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륜 유압 라인(14)은 좌·우 전륜으로 각각 이어지는 좌·우 유압 라인(14a,14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 유압 라인(14a,14b)은 휠 디스크에 장착된 전륜 브레이크(A)인 캘리퍼(또는 드럼)에 연결한다.The front wheel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륜 제동부(10)쪽에 제동 압력 제어기(30)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는 액추에이터(11)의 전동 동력이 전륜 제동부(10)를 구성하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에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내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즉,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는 제동 유압을 생성하는 액추에이터(11)의 과도한 동력 형성을 방지하고, 휠 실린더쪽 유량이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로 유입되어 압력을 상승시키는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시에도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는 물론, 유압 계통(Hydraulic Unit)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는 안전 기능을 구현한다.That is, the
이를 위해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는 액추에이터(11)를 통해 구동되는 동력 매체(31)와, 상기 동력 매체(31)를 통해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에 내장된 피스톤(33)을 잡아당겨 유압을 생성시키는 연결 부재(32)와,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벽과 상기 피스톤(3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리턴 스프링(34)으로 구성한다.The
상기 동력 매체(31)는 다양하게 구현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 유닛을 적용하고, 상기 기어 유닛은 상기 액추에이터(11)를 통해 회전되고 연결 부재(32)를 당기는 1개로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액추에이터(11)를 통해 회전되는 기어와 더불어, 회전하면서 연결 부재(32)를 당기는 기어와 같이 2개 이상으로 다양하게 구현한다.Although the
일례로, 상기 기어 유닛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액추에이터(11)를 통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이에 결합된 제2기어로 구성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을 통해 연결 부재(32)가 감겨지면서 피스톤(33)을 잡아당기도록 구성한다.For example, when the gear unit is composed of two or more gear units, the gear unit includes a first gear rotated through the
이때, 상기 제1기어의 역 방향 회전으로 제2기어가 연결 부재(32)를 풀어 피스톤(33)이 리턴 스프링(34)의 작용으로 뒤로 밀려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gear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first gear to release the connecting
이와 달리 상기 동력 매체(31)는 회전력을 축 방향 이동력으로 전환하는 스크류 축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액추에이터(11)를 통해 회전되는 제1스크류 축과, 상기 제1스크류 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에 결합되어 제1 스크류 축의 회전으로 제2스크류 축이 연결 부재(32)를 통해 피스톤(33)을 앞으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구현한다.Alternatively, the
이때, 상기 제1스크류 축의 역 방향 회전으로 제2스크류 축이 연결 부재(32)를 통해 피스톤(33)을 뒤로 밀어 주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crew shaft pushes the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32)도 다양하게 구현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을 이용하며, 상기 케이블은 일단이 피스톤(33)에 고정되고, 타단은 동력 매체(31)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 매체(31)의 운동 방향에 따라 피스톤(32)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밀게된다. In this embodiment, a cable is used. The cable is fixed at one end to the
이에 더해,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에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방지하도록 릴리프 밸브(35)를 더 설치하며, 상기 릴리프 밸브(35)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와 오일 리저버(13)간 연결된 오일 라인에 설치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상기 릴리프 밸브(35)는 특히,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시 휠 실린더쪽 유량이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로 유입되더라도, 이로 인한 내부 압력 상승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
즉,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가 휠 실린더쪽에서 유입되는 유량으로 일정 값을 초과하는 내부 압력을 형성할 때,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압력으로 릴리프 밸브(35)가 열려 오일 리저버(13)쪽으로 유량을 배출시켜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내 압력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That is, when the front
상기와 같은 릴리프 밸브(35)의 개방 압력은 작동 조건에 따라 결정되지만, 통상적으로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내 압력이 약 160bar ~ 200bar 정도 일 때 작동한다.The opening pressure of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생 제동 장치는 도 1과 같이 ECU(20)를 이용해 제어하며, 이러한 ECU(20)는 주행중인 차량을 제어하는 종류인 ECU이지만, 필요에 따라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다른 제어 유닛도 적용한다.The regenerativ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trolled by the
상기와 같은 ECU(20)는 페달(1)의 스트로크(Stroke)를 감지한 페달 센서(4)의 신호를 받아, 상기 전륜 제동부(10)의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제어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ECU(20)는 페달 센서(4)와 더불어, 상기 후륜 제동부(5)와 전륜 제동부(10)에 설치된 다수의 압력 센서와 회로를 형성한다.The ECU 20 receives the signal of the pedal sensor 4 that senses the stroke of the pedal 1 and controls the power of the
상기 ECU(20)가 형성하는 회로 구성은 본 출원인이 국내 출원한 출원번호 10-2009-0012388(2009.2.16)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후륜 제동부(5)쪽에 1개의 후륜 압력 센서(9)가 설치되고, 상기 전륜 제동부(10)에는 한 쌍의 좌·우 전륜 압력 센서(15,16)가 설치된다.The circuit configuration formed by the
상기 후륜 압력 센서(9)는 ECU(20)에서 페달(1)의 스트로크(Stroke) 감지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며, 상기 페달 센서(4)에 대한 페일-세이프(Fail-Safe)를 구현하는 개념이므로, 실제적으로는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rear wheel pressure sensor 9 contributes to increase the stroke sensing accuracy of the pedal 1 by the
하지만, 상기 한 쌍의 좌·우 전륜 압력 센서(15,16)는 최대한 좌·우 전륜에 근접된 위치로 설치하며, 이는 상기 ECU(20)가 좌·우 전륜 압력 센서(15,16)를 이용해 제동 유압을 모니터링(Monitoring)하고, 제동 과정동안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변화시키면서 목표 제어하기 위함이다.However, the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회생 제동 장치는 본 출원인이 국내 출원한 출원번호 10-2009-0012388(2009.2.16)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페달(1)을 밟으면 마찰 제동을 구현하는 후륜 제동과 동시에, 회생 제동을 구현하는 전륜 제동이 동시에 일어난다.The regenerativ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ar wheel brake (not shown) for implementing friction braking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pedal 1, as described in Application No. 10-2009-0012388 (Feb. 16, 2009) At the same time, front wheel braking that implements regenerative braking occurs at the same time.
즉, 운전자가 페달(1)을 밟아 스트로크 변화가 일어나면, 상기 페달(1)의 답입력을 통한 후륜 제동과 동시에, 상기 페달(1)의 스트로크 변화량에 의한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통한 전륜 제동을 구현한다.That is, when the driver depresses the pedal 1 to change the stroke, the rear wheel braking through the input of the pedal 1 is performed, and the front wheel braking through the power of the
본 실시예에 따라 높은 페달비로 운전자의 답입력이 크게 배력된 페달(1)을 통해 작동된 후륜 마스터 실린더(6)에서 제동 유압이 발생되면, 좌·우 후륜에 각각 장착된 후륜 브레이크(B)는 한 쌍의 좌·우 유압 라인(8a,8b)을 통해 공급된 유압으로 제동을 구현한다.When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rear wheel master cylinder 6 operated through the pedal 1 whose answer input is greatly enhanced by the high pedal ratio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ar wheel brake B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Implements braking wit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pair of left and right
이와 같이 페달(1)을 통해 구현되는 후륜 제동은 후륜쪽에 제동 유압을 항상 공급하므로, 만약 전륜 제동을 위한 액추에이터(11)가 고장(Fail)난 경우라도 별도의 페일-세이프(Fail-Safe)장치 없이 어느 정도 페일-세이프(Fail-Safe)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rear wheel braking implemented through the pedal 1 always supplies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rear wheel side, even if the
이러한 후륜 제동 시 ECU(20)는 페달 센서(4)를 통해 페달(1)의 스트로크를 산출함과 동시에, 후륜 압력 센서(9)를 통해 후륜 브레이크(B)로 공급되는 제동 유압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값을 이용해 액추에이터(11)를 구동하여 전륜을 제동시켜 준다.During the rear wheel braking, the ECU 20 calculates the stroke of the pedal 1 via the pedal sensor 4 and calculates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rear wheel brake B through the rear wheel pressure sensor 9 , And drives the
이러한 전륜 제동시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는 액추에이터(11)의 구동력을 직접 받지 않고, 상기 액추에이터(11)를 통해 작동되는 제동 압력 제어기(30)를 이용한 간접 방식으로 제동 유압을 발생시켜 준다.The front
이와 같이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를 거쳐 전륜 마스터 실린더(12)가 작동되면, 상기 제동 압력 제어기(30)가 액추에이터(11)의 동력 과다를 우선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부 압력 과상승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front
즉, ECU(20)를 통해 액추에이터(11)가 구동되면, 상기 액추에이터(11)를 통해 동력 매체(31)가 작동되고, 상기 동력 매체(31)는 피스톤(33)을 잡아당겨 전륜 마스터 실린더(12)가 작동된다.That is, when the
이러한 과정은 도 2와 같이, 동력 매체(31)가 피스톤(33)을 액추에이터(11)쪽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피스톤(33)은 리턴 스프링(34)을 인장시키면서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액압실을 좁히게 된다.2, when the
상기와 같은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액압실 체적 축소는 내압을 상승시켜 제동 유압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동 유압은 한 쌍의 좌·우 유압 라인(14a,14b)을 통해 좌·우 전륜에 각각 장착된 전륜 브레이크(A)로 공급되어, 전륜을 제동하는 제동력으로 작용한다.The reduction of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front
이러한 전륜 제동시에는 회생 제동이 이루어지는 특성상, 상기 ECU(20)는 좌·우 전륜의 제동력을 가변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제어해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에 대한 목표 제어를 수행한다.The
이를 위해 상기 ECU(20)는 페달 센서(4)와 후륜 압력 센서(9)를 이용한 페달(1)의 스트로크 검출 값과 함께, 한 쌍의 좌·우 전륜 압력 센서(15,16)를 이용한 전륜 브레이크(A)쪽 제동 유압 검출 값을 제어 인자로 이용한다.To this end, the
즉, 상기 ECU(20)는 한 쌍의 좌·우 전륜 압력 센서(15,16)를 통해 측정 당시 제동 유압 크기를 산출하고, 페달 센서(4)와 후륜 압력 센서(9)를 통해 산출된 페달(1)의 스트로크 변화값을 고려해 요구되는 제동력 크기를 산출한 다음, 이에 맞추어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변화시킨다.That is, the
일례로, 상기 ECU(20)가 액추에이터(11)의 전류 공급을 증대하면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제동 유압 크기도 증대하고, 반대로 상기 ECU(20)가 액추에이터(11)의 전류 공급을 줄이면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제동 유압 크기가 감소되는 방식이다.For example, when the
하지만, 전륜 제동시 전륜쪽 제동력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라도, 페달(1)쪽과 기구적인 연결 구성이 없어 제동력 변화로 인한 페달(1)의 페달감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다.However, even when the front wheel braking force change occurs in front wheel braking, there is no mechanical connection structure with the pedal 1 side, so that the pedal deterioration of the pedal 1 does not occur due to the braking force change.
그리고, ECU(20)가 액추에이터(11)의 동력을 해제하면, 피스톤(33)은 동력 매체(31)를 통한 힘 작용이 없으므로, 인장되었던 리턴 스프링(34)이 다시 압축되어 피스톤(33)을 잡아끌어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 주게된다. When the
이러한 전륜 제동 시 전륜 마스터 실린더(12)는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는 안정성이 구현되는데, 이는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와 오일 리저버(13)의 유압 라인간에 설치된 릴리프 밸브(35)의 작용으로 구현된다.In this front
즉,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시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쪽으로 휠 실린더쪽 유량의 역 유입이 일어나고, 이러한 역 유량 증가는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키지만, 내부 압력 상승은 약 160bar ~ 200bar를 초과하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depressurization of the ABS (Anti Brake System) is implemented, reverse flow of the flow rate toward the wheel cylinder toward the front
이는, 상기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부 압력이 약 160bar ~ 200bar 영역으로 상승되면, 상승 압력으로 릴리프 밸브(35)가 열려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부 유량이 오일 리저버(13)쪽으로 배출되고,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부 압력이 약 160bar ~ 200bar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릴리프 밸브(35)가 다시 닫히는 작동을 반복 구현함에 기인한다. This is because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ront
이와 같은 릴리프 밸브(35)의 작용은 전륜 마스터 실린더(12)의 내부 압력을 약 160bar ~ 200bar 이하로 항상 유지하므로, ABS(Anti Brake System)의 감압 구현시에도 마스터 실린더는 물론, 유압 계통(Hydraulic Unit)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생 제동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regenerativ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륜 제동부를 이루는 액추에이터와 마스터 실린더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actuator and a master cylinder constituting a front wheel brak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 페달 4 : 페달 센서 1: Pedal 4: Pedal sensor
5 : 후륜 제동부 6,12 : 후·전륜 마스터 실린더5: rear wheel braking unit 6,12: rear / front wheel master cylinder
7 : 리저버 라인 8,14 : 후·전륜 유압 라인7:
8a,8b : 좌·우 유압 라인9 : 후륜 압력 센서8a, 8b: left and right hydraulic line 9: rear wheel pressure sensor
10 : 전륜 제동부 11 : 액추에이터10: front wheel brake 11: actuator
13 : 오일 리저버 14a,14b : 좌·우 유압 라인13:
15,16 : 좌·우 전륜 압력 센서 15,16: Left and right front wheel pressure sensor
20 : ECU 30 : 제동 압력 제어기20: ECU 30: braking pressure controller
31 : 동력 매체 32 : 연결 부재31: power medium 32: connecting member
33 : 피스톤 34 : 리턴 스프링33: piston 34: return spring
35 : 릴리프 밸브35: relief valve
A,B : 전·후륜 브레이크A, B: front and rear brak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095A KR101555377B1 (en) | 2009-03-16 | 2009-03-16 | Regenerative brak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22095A KR101555377B1 (en) | 2009-03-16 | 2009-03-16 | Regenerative brake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3986A KR20100103986A (en) | 2010-09-29 |
KR101555377B1 true KR101555377B1 (en) | 2015-09-23 |
Family
ID=4300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20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5377B1 (en) | 2009-03-16 | 2009-03-16 | Regenerative brak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537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181B1 (en) * | 2012-05-18 | 2019-01-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mart booster brake device and pressure control method in case of emergency brake using smart booster brake device |
KR101940178B1 (en) * | 2012-07-04 | 2019-01-1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Pressure control method in case of brake using smart booster brake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3206A (en) * | 2005-12-07 | 2007-06-21 | Toyota Motor Corp | Brake control device |
-
2009
- 2009-03-16 KR KR1020090022095A patent/KR10155537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53206A (en) * | 2005-12-07 | 2007-06-21 | Toyota Motor Corp | Brake contro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3986A (en) | 2010-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84647B2 (en) |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brake system | |
US8468820B2 (en) | Brake actuating unit | |
US11904819B2 (en) | Vehicle brake system | |
CN111565986B (en) | Method for performing diagnostic tests to determine leaks in a brake system | |
US7976109B2 (en) | Failsafe operation of a hybrid brake system for a vehicle | |
CN104816716B (en) | Brake control | |
JP4762283B2 (en) | Brake control device | |
KR20140122671A (en) | Brake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brake system | |
KR101634413B1 (en) | 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9132819B2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 |
US20230112527A1 (en) | Vehicle brake system and self-diagnostic testing | |
KR20120037478A (en) |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having a hydraulically actuated operating braking system and an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braking system | |
US7780246B2 (en) | Brake system | |
CN102414064A (en) | Brake device | |
KR20110079681A (en) | Combined vehicle brake system with wheel brakes hydraulically and electromechanically operable | |
EP1352799B1 (en) | Hybrid brake system for a vehicle | |
JP2013514932A (en) | Brake master cylinder for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master cylinder | |
KR101555377B1 (en) | Regenerative brake system | |
KR20220050208A (en) | Operating method and brake system of a brake system with integrated parking brake | |
JPH1198608A (en) | Vehicle braking device and braking method | |
US20030019694A1 (en) | Dry interface corner vehicle braking system | |
EP1170186B1 (en) | Electro-hydraulic braking system | |
KR101554746B1 (en) | Fail-safe implementation of braking system for regenerative braking | |
KR101914302B1 (en) | Electric Booster type Brake System Including Fail - Safe Val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3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