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2996B1 - 멀티 단면 관찰 홀더 - Google Patents

멀티 단면 관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996B1
KR101552996B1 KR1020150050723A KR20150050723A KR101552996B1 KR 101552996 B1 KR101552996 B1 KR 101552996B1 KR 1020150050723 A KR1020150050723 A KR 1020150050723A KR 20150050723 A KR20150050723 A KR 20150050723A KR 101552996 B1 KR101552996 B1 KR 10155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ample
rear end
space
pede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형철
Original Assignee
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즈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즈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996B1/ko
Priority to JP2015117534A priority patent/JP5828056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9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공정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멀티 단면 관찰 홀더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시료(1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시료장착부(110); 및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장착부(110)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밀대(116); 전단에는 제 1 시료 누름판(125) 및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밀대(116)와 연결된 X형 지렛대(120); 및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 사이에 형성된 고정턱(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고정턱(114)의 일면 사이에 상기 시료(11)가 장착될 수 있는 제 1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과 상기 고정턱(114)의 타면 사이에 상기 시료(11)가 장착될 수 있는 제 2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멀티 단면 관찰 홀더{MULTI CROSS SECTION HOLDER}
본 발명은 멀티 단면 관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공정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의 제조공정은 확산공정, 산화공정, 금속공정 등이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이에 따라, 웨이퍼 상에는 다양한 종류의 재료, 예를 들면, Al, Ti, W 등의 금속막질, 질화막, 산화막 등의 절연막질 등이 적층된다.
다수의 적층된 막질 가운데 일부 막질에 이상이 있는 경우, 후속공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동작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이상 여부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분석, 검증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반도체 소자가 더욱 집적화됨에 따라 미세한 원인으로 반도체 소자에 이상이 생길 수 있으며, 반도체 장치에 발생될 수 있는 불량을 분석하는 데 따르는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웨이퍼에 형성된 막이나 패턴의 분석 및 검증을 위해, 투과 전자 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또는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과 같은 장비가 이용될 수 있다.
투과 전자 현미경은 전자빔을 시료에 조사하여 투과된 전자빔으로 영상을 얻고 회절된 전자빔에서 얻어진 회절도형(Diffraction Pattern)으로 상의 결정구조를 해석하는 장비이다.
주사 전자 현미경은 전자총을 이용하여 가속 에너지(normal ~ 30KV)를 갖는 전자류를 발사하고, 각종 전자계 렌즈, 조리개 등을 이용하여 전자빔의 초점(focus)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전자빔을 관찰하고자 하는 대상 샘플(sample)에 주사(scan)하고 배율을 조절한다. 대상 샘플에서 형성된 2차 전자, 후방산란 전자, 투과전자, 특성 X-ray 등을 검출하면 대상 샘플의 표면을 관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주사 전자 현미경의 기본적으로 전자 컬럼(Electron Column)과 샘플챔버(Sample Chamber), 진공펌프와 진공계, 전자 컬럼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부, 화상 처리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전자 컬럼은 전자총, 렌즈, 조리개, 신호 검출기 등으로 구성되고, 진공펌프는 대기의 가스분자에 의한 전자빔의 산란 및 방전, 오염 등의 각종 장애를 제거하기 위한 초고진공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주사 전자 현미경의 전자총은 열전자총, 냉음극 전계 방출총(CFE-Gun), 쇼트키 방출총(SFE-Gun) 등이 있으며, 전자총의 종류에 따라 주사 전자 현미경의 성능 및 구성이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CFE-Gun과 SFE-Gun을 사용하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열전자총을 사용하는 것을 Normal SEM 이라고 칭한다.
렌즈는 크게 집속렌즈(Condenser Lens)와 대물렌즈(Objective Lens)의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집속렌즈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1차로 집속하여 최초 초점을 형성하고, 샘플에 도달하는 주사 전류량(Probe Current) 등을 제어하며, 일반적으로 1 ~ 2 개로 구성되어 있다. 대물렌즈는 집속렌즈에서 형성된 전자빔이 대상 샘플에 정확하게 초점이 맞도록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대상 샘플에 주사되는 전자빔의 주사 면적을 제어하여 배율을 형성시키는 주사코일이 함께 구성된다.
조리개는 고정형 조리개와 홀의 크기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조리개로 구성된다. 고정형 조리개는 제조사의 설계상의 구조에 따라 다수가 전자 컬럼 내에 용도별로 위치한다. 가변형 조리개는 일반적으로 대물렌즈 조리개라고 칭하고, 대물렌즈 상에 위치하여 대물렌즈로 유입되는 빔의 전류량 제어 및 초점 크기 조절, 각종 수차를 줄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 컬럼에서 각 분석 목적에 따른 가속 전압을 가진 전자빔이 초점 형성 및 축소되어 대상 샘플에 주사되면 대상 샘플이 가진 고유 특성에 따라 2차 전자와 입사빔이 후방 산란된 신호(BSE)가 발생한다. 이 신호를 2차 전자 검출기 또는 BSE 검출기로 포집 및 증폭하여 신호량에 따른 Contrast 및 Brightness를 부여하고 영상을 처리하면 표면의 형태학적인 영상을 모니터로 확대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입사빔이 대상 샘플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각 원소의 특성 X-Ray를 검출(EDXS)하면 정성 및 정량 분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따라 투과 전자 검출기(STEM)를 부착하면 대상 샘플의 구조 분석 등 다양한 응용을 할 수 있다.
도 1은 Out-Lens와 Semi-In-Lens 타입의 FE-SEM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In-Lens 타입의 FE-SEM을 나타낸 도면이다. FE-SEM은 반도체, 디스플레이(LCD, LED, OLED 등), 태양광, 각종 나노 소재, 생물, 의학, 전자, 기계, 물리, 화학 소재 분야, 각종 재료 및 소재 연구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FE-SEM은 전자총(31), Beam Monitor Aperture(32), 제 1 집속렌즈(33), 에어 로크 밸크(Air Lock Valve)(34), Objective Movable Aperture(35), 제 2 집속렌즈(36), 편향코일(37), EXB(38), 대물렌즈(39), 2차 전자 검출기(45) 등으로 구성된다. 도 2의 In-Lens 타입의 FE-SEM은 대물렌즈코일(40), Beam Blanking(41) 등을 더 포함하며, Dark Field STEM Detector(42), Bright Field Aperture(43), Bright Field STEM Detector(44)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Out-Lens와 Semi-In-Lens 타입의 FE-SEM의 경우에는 시료(11)가 대물렌즈의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작업거리(WD)가 길고 큰 사이즈의 샘플을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거리가 멀기 때문에 영상 분해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 3의 In-Lens 타입의 FE-SEM의 경우에는 시료(11)가 대물렌즈 내부에 위치하며, 작업거리가 짧고 작은 사이즈 샘플만을 관찰할 수 있으나, 초고분해능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시료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나사(set screw)(12)를 이용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즉, 시료(11)와 고정나사(12) 사이에 스페이서(spacer)(11a)를 넣은 후 시료(11)를 조이는 방식으로 시료(11)를 홀더에 고정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고정나사(12)가 매우 작기 때문에 홀더에 고정되는 시료(11)의 높이나 수평을 적당하게 조정하기 어렵고, 고정나사(12) 및 스페이서(11a)의 분실의 우려가 크며, 고정나사(12)가 쉽게 마모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판 스프링(Leaf Spring)(14)의 장력을 이용하여 시료(11)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즉, 홀더에 시료(11)를 장착하고 Latch Hole(13)을 후진시키면 고정쇠(15)가 뒤로 밀리면서 판 스프링(14)의 장력에 의하여 시료(11)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시료(11)가 홀더에 고정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판 스프링(14)의 장력이 약해져서 시료(11)가 홀더에서 이탈할 위험이 있었으며, Image Drift가 발생하여 선명한 영상을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식은 두께가 얇은 시료(11)를 고정시키기에는 어려운 구조로서 그 활용에 제약이 존재하였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시료의 단면 관찰에 사용되는 시료 홀더"를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8455호). 종래 개발된 "시료의 단면 관찰에 사용되는 시료 홀더"에 의하면, 시료장착부가 개방되어 시료 누름판과 고정턱 사이에 제 1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에 시료가 장착될 수 있으며, 시료 누름판과 고정턱을 이용하여 시료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허발명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료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하나의 시료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대량의 웨이퍼 검사에 많은 시간가 노력이 투자되어야 한다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공정의 효율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시료 홀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274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실안공보 제20-1999-002779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56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61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84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공정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몸체와 받침대를 결합시킴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복수의 시료를 고정시켜 복수의 시료의 단면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멀티 단면 관찰 홀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시료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선명하고 정밀한 확대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관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례와 관련된 멀티 단면 관찰 홀더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시료(1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시료장착부(110); 및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장착부(110)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밀대(116); 전단에는 제 1 시료 누름판(125) 및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밀대(116)와 연결된 X형 지렛대(120); 및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 사이에 형성된 고정턱(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고정턱(114)의 일면 사이에 상기 시료(11)가 장착될 수 있는 제 1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과 상기 고정턱(114)의 타면 사이에 상기 시료(11)가 장착될 수 있는 제 2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에 상기 시료(11)를 장착한 후 상기 밀대(116)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이 이동되어 상기 제 1 공간에 장착된 시료(11)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이동되어 상기 제 2 공간에 장착된 시료(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11)의 단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시료(11)가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에 고정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된 시료(11)의 단면의 관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X형 지렛대(120)는, 전단에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이 설치될 수 있는 제 1 시료 누름판 설치부(123)가 형성되고,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지렛대(121); 및 전단에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설치될 수 있는 제 2 시료 누름판 설치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지렛대(1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부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부는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는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중간부는 상기 지렛대축(128)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대(116)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슬라이딩 홈(1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 상기 밀대(116)의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밀대(11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이 상기 밀대(116)의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지렛대(121)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가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지렛대(121)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X형 지렛대(120)는, 일단은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지렛대 스프링(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렛대 스프링(127)의 탄성력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에 작용하여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지고, 상기 제 1 지렛대(121)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지렛대(122)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진다.
또한, 상기 밀대(116), 상기 X형 지렛대(120),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 및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배치된 시료장착 공간부(112)의 측면 중 일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부의 측면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부의 측면이 상기 시료장착 공간부(112)의 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제 1 지렛대(121)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대(116)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에 힘을 작용하여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아지고, 상기 제 1 지렛대(121)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지렛대(122)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아진다.
또한, 상기 몸체(100)와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한 받침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받침대(200)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부(210); 및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면에 설치되고, 개구된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가 상기 받침대(200)에 체결되어 상기 관통홀(222)에 상기 시료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몸체(100)가 상기 받침대(2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밀대(116)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220)의 상면 중 일부인 제 1 부분(223)은 상기 체결부(220)의 상면 중 상기 제 1 부분(223)을 제외한 제 2 부분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223)은 상기 관통홀(222)에 삽입된 상기 시료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부분의 양측 부분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시료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공정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몸체와 받침대를 결합시킴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하게 복수의 시료를 고정시켜 복수의 시료의 단면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멀티 단면 관찰 홀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에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시료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선명하고 정밀한 확대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Out-Lens와 Semi-In-Lens 타입의 FE-SEM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In-Lens 타입의 FE-SEM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홀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홀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종래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시료를 고정하는 시료 홀더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개발된 시료의 단면 관찰에 사용되는 시료 홀더의 시료장착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 및 받침대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시료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밀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X형 지렛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X형 지렛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받침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받침대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체결부의 분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지지대의 분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가 체결되기 전 시료장착부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 체결 시 시료장착부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시료장착부에 시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가 분리되어 시료장착부에 시료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례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일반적인 반도체 소자의 제작 공정에서 있어서, 시료 홀더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웨이퍼의 분석 및 검사 시 시료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시료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시료의 높이나 수평의 조절이 어렵고, 작은 크기의 고정나사를 사용하게 되어 고정이 풀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고정나사의 분실이나 마모의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판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여 시료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판 스프링의 장력이 약해짐에 따라 Image Drift를 유발시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 시료가 쉽게 이탈할 수 있고, 얇은 두께의 시료에 적용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8455호의 특허발명을 등록받은 바 있으며, 상기 특허발명은 그것의 효율적인 설계구조에 의하여 업계에서 큰 호응을 받고 있으나, 출원인은 그보다 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였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시료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시켜 반도체 소자 제작 공정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를 제안하고자 한다.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구성>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 및 받침대가 체결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는 크게 몸체(100)와 받침대(200)로 구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시료(1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시료장착부(110)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료장착부(110)에 고정된 시료(11)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시료장착부(110)와 손잡이부(140)를 연결하는 결합부재(150), 하우징(13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200)는 몸체(100)와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받침대(200)가 몸체(100)가 체결되는 경우, 사용자는 몸체(100)의 시료장착부(110)에 시료(11)를 장착할 수 있다. 몸체(100)가 받침대(200)에서 분리되는 경우, 몸체(100)의 시료장착부(110)에 장착된 시료(11)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몸체(100)와 받침대(200)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를 구성하는 몸체(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의 몸체(100)는 길이방향으로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시료장착부(110), 탄성부재(130), 손잡이부(140), 결합부재(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몸체(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시료장착부(110)는 몸체(100)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사 전자 현미경은 시료(11)를 매우 크게 확대 관찰하므로 시료(11)를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시료(11)의 정밀한 관찰을 위하여 시료장착부(110)는 시료(11)를 장착하고, 장착된 시료(11)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시료장착부(110)에는 시료(11)의 표면과 이면이 고정되므로 시료(11) 단면 부분이 위를 향하게 되고, 사용자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료(11)의 단면을 관찰할 수 있다.
시료장착부(1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11 내지 도 13을 먼저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시료장착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밀대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X형 지렛대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X형 지렛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시료장착부(110)는 고정턱(114), 이동 가능한 밀대(116), 회전 가능한 X형 지렛대(120), 시료(11)의 표면을 고정시키는 시료 누름판(125, 126), 지렛대 스프링(127) 등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들은 시료장착 공간부(112)에 위치한다. 시료장착부(110)가 개방되어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고정턱(114)의 일면 사이에 제 1 공간이 형성되고 제 2 시료 누름판(126)과 고정턱(114)의 타면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에 시료(11)를 장착할 수 있다. 이렇게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에 장착된 복수의 시료(11)는 시료 누름판(125, 126)과 고정턱(114)에 의하여 고정된다.
고정턱(114)은 시료장착 공간부(11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제 2 시료 누름판(126) 사이에 위치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턱(114)은 사각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시료장착부(110)가 개방되어 제 1 시료 누름판(121)과 고정턱(114)의 일면 사이에 제 1 공간이 형성되고, 제 2 시료 누름판(122)과 고정턱(114)의 타면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 각각에 시료(11)를 장착할 수 있다. 제 1 시료 누름판(121)은 제 1 공간에 장착된 시료(11)의 표면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 2 시료 누름판(122)은 제 2 공간에 장착된 시료(11)의 표면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밀대(116)는 연결부재(132)를 통하여 탄성부재(130)와 연결되어 있으며, 밀대(116)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밀대(116)는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의 밀대(116)의 저면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116)의 하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V"자 형상의 슬라이딩 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은 제 1 지렛대(121)의 후단 및 제 2 지렛대(122)의 후단과 연결되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 및 제 2 지렛대(122)의 후단은 "V"자 형상의 슬라이딩 홈(11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밀대(116)의 상부에는 단차(11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단차(117)는 관통홈(222)의 일부를 막고 있는 걸림부재(224)의 걸림돌기(225)와 맞닿을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X형 지렛대(120)와 시료 누름판(125, 126)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되는 X형 지렛대(120)와 시료 누름판(125, 126)의 구성이 상기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X형 지렛대(120)는 제 1 지렛대(121)와 제 2 지렛대(122)로 구성된다. 제 1 지렛대(121)의 전단에는 제 1 시료 누름판 설치부(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에는 제 2 시료 누름판 설치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시료 누름판(125, 126)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에 형성된 홈은 제 1 시료 누름판 설치부(123)와 맞물리고, 나사와 같은 결합장치가 삽입되어 제 1 지렛대(121)와 제 1 시료 누름판(125)을 결합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에 형성된 홈은 제 2 시료 누름판 설치부(124)와 맞물리고, 나사와 같은 결합장치가 삽입되어 제 2 지렛대(122)와 제 2 시료 누름판(126)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 1 지렛대(121)와 제 2 지렛대(122)는 각각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제 2 시료 누름판(126)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 1 지렛대(121) 및 제 2 지렛대(122)가 회전함에 따라 그 전단부에 설치된 제 1 시료 누름판(125) 및 제 2 시료 누름판(126)은 이동될 수 있다.
제 1 지렛대(121)의 중간부와 제 2 지렛대(122)의 중간부는 지렛대축(128)에 결합되며, 제 1 지렛대(121)는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 2 지렛대(122)는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 1 지렛대(121)와 제 2 지렛대(1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X형 지렛대(120)는 마치 가위와 같이 동작된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지렛대(121)의 전단부와 제 2 지렛대(122)의 전단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와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 1 지렛대(121) 및 제 2 지렛대(122)가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1 지렛대(121)의 단부와 제 2 지렛대(122)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변화된다.
X형 지렛대(120)의 후단부에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지렛대 스프링(127)이 설치된다. 지렛대 스프링(127)의 일단은 제 1 지렛대의 후단부(121)와 연결되고, 지렛대 스프링(127)의 타단은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와 연결된다.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깔때기 형상의 시료장착부(110)의 끝부분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료장착부(110) 끝부분의 홈에는 자연산 사파이어 재질의 첨단부(119)가 접착되어 있으며, 첨단부(119)의 접착에는 Quick-Drying Glue가 이용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사 전자 현미경에도 깔때기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시료장착부(110)의 끝부분이 삽입될 수 있으며, 주사 전자 현미경의 깔대기 형상의 공간의 첨단도 사파이어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주사 전자 현미경에 시료장착부(110)의 끝부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사파이어 재질의 첨단부(119)와 주사 전자 현미경의 사파이어 재질 부분이 서로 만나게 된다. 따라서, 시료장착부(110)가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시료(11)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탄성부재(130)은 스프링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구성으로서, 몸체(100)의 하우징(134) 내부에 위치한다. 탄성부재(130)의 전단은 밀대(116)와 연결며, 탄성부재(130)의 후단은 결합부재(150)의 전단에 형성된 결합부재 끼움부(150a)에 연결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부재(130)의 전단과 밀대(116) 사이에는 연결부재(132)가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재(132)의 전단은 상기 밀대(116)와 연결되며, 연결부재(132)의 후단은 탄성부재(130)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렇게 밀대(116)는 탄성부재(130)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밀대(116)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밀대(116)는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밀대(116)의 일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130)가 압축되므로 밀대(116)가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밀대(116)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부재(130)의 탄성에 의하여 밀대(116)는 다시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손잡이부(140)는 시료장착부(110)의 반대편인 몸체(100)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사용자가 편하게 몸체(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잡이부(140)의 표면은 용이한 파지를 위하여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40)에는 내부로 인입된 형상의 고정홈(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것과 같이 상기 고정홈(142)은 지지대(230)의 고정돌기(233)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150)는 몸체(100)의 손잡이부(140)와 하우징(134)을 연결하며,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재(15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주사 전자 현미경의 규격에 따라 적절한 길이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150)의 일단에는 결합부재 끼움부(150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 끼움부(150a)는 탄성부재(130)를 둘러싸는 하우징(13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 끼움부(150a)는 주사 전자 현미경의 챔버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부재(150)와 하우징(134)의 연결단에는 오링(O-Ring)(154)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오링(154)은 주사 전자 현미경의 챔버가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결합부재(150)에는 포지션 핀(152)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포지션 핀(152)은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의 몸체(100)를 주사 전자 현미경에 장착할 때, 시료(11)가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즉, 포지션 핀(152)이 주사 전자 현미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가도록 함으로써 시료(11)가 주사 전자 현미경의 챔버 내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의 하우징(134)은 인청동 재질의 구리 계열 소재로 이루어진다. 주사 전자 현미경 이용 시 자성에 의하여 초점이 맞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화가 되지 않는 재질을 이용한다. 하우징(134) 내부에 있는 탄성부재(130)도 인청동 재질로 이루어진다. 몸체(100) 내부에 있는 부품은 신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150)는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를 구성하는 받침대(200)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받침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받침대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의 받침대(200)는 길이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이스부(210), 체결부(220), 지지대(230), 거치대(24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받침대(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베이스부(210)는 받침대(200)의 하부를 이루며 받침대(2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10)의 상면과 하면은 지면에서 안정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부(210)의 상면에는 체결부(220), 지지대(230), 거치대(240) 등의 받침대(200)의 주요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210)에는 체결부(220)와 결합될 수 있는 홈(210a, 210b, 210c, 210d)과 지지대(230)와 결합될 수 있는 홈(210e, 210f, 210g, 210h)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220)와 결합될 수 있는 홈(210a, 210b, 210c, 210d)은 체결부(220)의 하단에 결합을 위하여 위치한 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30)와 결합될 수 있는 홈(210e, 210f, 210g, 210h)은 지지대(230)의 하단에 결합을 위하여 위치한 홈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홈(210a 내지 210h)에 나사와 같은 결합장치를 삽입하여 체결부(220) 및 지지대(230)에 베이스부(210)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220)는 베이스부(210)의 전단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몸체(100)와 받침대(200)가 체결되는 경우 몸체(100)의 시료장착부(110)가 위치하는 부분에 체결부(220)가 설치된다.
체결부(22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17을 먼저 살펴본다. 도 17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체결부의 분해도이다.
체결부(220)에는 관통홈(222)이 형성되어 있어 시료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부(220)에 형성되는 관통홈(222)은 시료장착부(110)가 삽입되기에 적절한 크기로 설계된다. 체결부(220)의 관통홈(222)에 시료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경우 시료장착부(110)가 개방되면서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핀셋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복수의 시료(11)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부(220)의 상면 중 일부인 제 1 부분(223)은 체결부(220)의 상면 중 상기 제 1 부분(223)을 제외한 제 2 부분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부분(223)은 관통홀(222)에 삽입된 시료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부분의 양측 부분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관통홈(222)에 삽입된 시료장착부(110)의 일부는 제 1 부분(223)의 측벽을 가이드라인으로 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홈(222)에 삽입된 시료장착부(110)를 낮게 형성된 제 2 부분 쪽으로 회전함으로써 용이하게 시료(11)를 장착할 수 있으며, 장착된 시료(11)의 수평을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체결부(220)에는 제 1 체결부 끼움홈(220a)과 제 2 체결부 끼움홈(22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 끼움홈(220a)과 제 2 체결부 끼움홈(220b)은 체결부(220)를 후술할 걸림부재(224)와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걸림부재(224)에는 체결부(220)에 형성된 관통홈(222)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걸림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시료장착부(110)가 관통홈(222)에 삽입되는 경우, 걸림부재(224)의 걸림돌기(225)는 밀대(116)에 형성된 단차(117)와 맞닿게 된다. 걸림돌기(225)와 단차(117)가 맞닿게 되면 밀대(116)는 진행이 막히게 되며, 상기 밀대(116)는 탄성부재(130)를 압축하며 뒤쪽으로 이동한다. 밀대(116)가 뒤로 이동되면서 제 1 지렛대(121) 및 제 2 지렛대(122)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시료 누름판(125, 126)이 이동한다.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고정턱(114)의 일면 사이에 제 1 공간이 형성되고, 제 2 시료 누름판(126)과 고정턱(114)의 타면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면 사용자는 핀셋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시료(11)를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224)에는 제 1 걸림부재 끼움홈(224a)과 제 2 걸림부재 끼움홈(224b)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걸림부재 끼움홈(224a)과 제 2 걸림부재 끼움홈(224b)은 각각 체결부(220)에 형성된 제 1 체결부 끼움홈(220a)과 제 2 체결부 끼움홈(220b)과 맞물리며, 체결부 나사(221a, 221b)와 같은 결합장치를 삽입하여 체결부(220)와 걸림부재(22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부(220)의 하면에는 제 3 체결부 끼움홈(220c), 제 4 체결부 끼움홈(220d), 제 5 체결부 끼움홈(220e), 제 6 체결부 끼움홈(220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체결부 끼움홈 내지 제 6 체결부 끼움홈(220c 내지 220f)은 베이스부(210)의 일단에 형성된 홈(210a, 210b, 210c, 210d)과 맞물리며, 나사와 같은 결합장치가 삽입되어 체결부(220)를 베이스부(2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대(230)는 베이스부(210)의 후단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몸체(100)와 받침대(200)가 체결되는 경우 몸체(100)의 손잡이부(140)가 위치하는 부분에 지지대(23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230)에는 몸체(100)의 손잡이부(140)가 거치되므로, 체결부(220)의 반대편에 지지대(230)가 형성된다. 베이스부(210) 상면에 형성된 지지대(230)와 체결부(220) 사이의 간격은 몸체(100)의 길이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와 받침대(200)가 체결되는 경우, 몸체(100)는 수평을 이루며 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지대(230)와 체결부(220)의 높이는 몸체(100)를 수평으로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다.
지지대(23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 18을 먼저 살펴본다.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지지대의 분해도이다.
몸체(100)의 손잡이부(140)를 거치하는 지지대(230)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대 받침(231)과 지지대 상부(232)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 받침(231)에는 레버홈(2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홈(231a)은 지지대 상부(232)에 형성된 회전홈(232a)과 맞물려서 지지대 받침(231)과 지지대 상부(23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대 받침(231)에는 스프링홈(2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홈(231b)에는 지지대 상부(232)와 연결되는 제 1 지지지대 스프링(236)이 결합된다.
지지대 상부(232)에는 회전홈(23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홈(232a)은 지지대 받침(231)의 레버홈(231a)과 맞물리며, 지지대 나사(230a) 및 제 2 지지대 스프링(230b) 등과 같은 결합장치를 삽입하여 지지대 받침(231)과 지지대 상부(23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지지대 상부(232)는 지지대 나사(230a)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대 상부(232)의 상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돌기(23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233)는 손잡이부(140)의 고정홈(142)가 맞물려서 몸체(100)가 받침대(20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돌기(233)는 내부로 인입된 형상의 고정홈(1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33)의 형상은 반드시 고정홈(142)의 형상과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고정돌기(233)가 고정홈(142)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고정돌기(233)와 고정홈(142)을 결합시킴으로써 몸체(100)와 받침대(200)의 체결이 더욱 용이하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대 상부(232)에는 레버(2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지지대 스프링(236)이 연결되어 있다. 레버(234)는 지지대 상부(232)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는 레버(234)를 손으로 누를 수 있다. 사용자가 레버(234)를 누르는 경우, 지지대 상부(232)가 지지대 나사(230a)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이는 지지대(230)에 거치된 손잡이부(140)를 지지대(230)에서 분리시킨다. 손잡이부(140)가 지지대(230)에서 분리된 후 사용자가 레버(234)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제 1 지지대 스프링(236)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대 상부(232)는 원위치로 되돌아간다. 즉, 사용자가 레버(234)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면, 지지대 상부(232)는 지지대 나사(230a)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회전하면서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지지대 상부(232)에 형성된 레버(234)를 눌러 손잡이부(140)를 지지대(230)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몸체(100)와 받침대(200)의 분리가 더욱 용이하고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지지대 받침(231)의 하부에는 제 1 지지대 받침 끼움홈(231c), 제 2 지지대 받침 끼움홈(231d), 제 3 지지대 받침 끼움홈(231e), 제 4 지지대 받침 끼움홈(231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지지대 받침 끼움홈 내지 제 4 지지대 받침 끼움홈(231c 내지 231f)은 베이스부(210)의 상면에 형성된 홈(210e, 210f, 210g, 210h)과 맞물리며, 나사와 같은 결합장치를 삽입하여 지지대(230)와 베이스부(2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거치대(240)는 몸체(100)가 받침대(200)에 체결되는 경우 몸체(100)를 받쳐주는 구성으로서, 베이스부(2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거치대(24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220)와 지지대(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서는 거치대(240)가 두 개 형성된 받침대(200)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에 적용될 수 있는 거치대(240)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거치대(240)에는 몸체(100)의 적어도 일부가 거치될 수 있으므로, 체결부(220), 지지대(230)와 함께 몸체(100)를 수평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240) 상면에는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0)의 일부가 상기 반원형의 홈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200)에 체결된 몸체(100)가 쉽게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거치대(240)에 형성된 반원형의 홈은 몸체(10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일반적으로 시료장착부(110) 부분 보다는 손잡이부(140) 부분이 굵게 형성되므로, 거치대(240)가 위치한 부분에 따라 거치대(240)에 형성된 홈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몸체(100)와 받침대(200)가 체결되는 경우 몸체(10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220)에 형성된 관통홈(222)의 높이, 지지대(230)와 거치대(240)의 높이가 설계되어야 한다.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동작>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에 시료(11)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몸체(100)와 받침대(200)를 체결시켜야 하고, 장착된 시료(11)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몸체(100)를 받침대(200)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 단면 관찰 홀더(10)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도 19 내지 도 2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밀대(11)의 단차(17)는 도시하지 않았다.
먼저,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가 체결되기 전 시료장착부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몸체(100)와 받침대(200)를 체결시키기 위하여 받침대(220)의 거치대(240)에 몸체(100)의 일부를 거치시킨다. 거치대(240) 상면에는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0)의 일부가 상기 반원형의 홈에 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몸체(100)의 일부를 거치대(240)에 거치하면 몸체(100)의 시료장착부(110)는 체결부(220)의 관통홈(222)이 형성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가 받침대(200)에 체결되기 전에는 밀대(116)는 앞으로 전진한 상태에 있다.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제 2 지렛대(122)의 후단은 슬라이딩 홈(118)의 중심 부분에 위치하며, 지렛대(121, 122)의 전단에 설치된 시료 누름판(125, 126)과 고정턱(114)의 측면은 거의 맞닿아 있으므로 시료(11)를 장착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시료 누름판(125, 126)을 양측으로 벌어지게 하기 위하여 몸체(100)를 앞으로 밀어 넣어 관통홈(222)에 시료장착부(110)의 일부를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2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 체결 시 시료장착부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체결부(220)에 형성된 관통홈(222)에 몸체(100)의 시료장착부(110)를 삽입함으로써 몸체(100)와 받침대(2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시료장착부(110)의 일부를 관통홈(222)에 삽입하는 경우, 밀대(116)에 외부로 돌출 형성된 단차(117)는 관통홈(222)의 일부를 막고 있는 걸림부재(224)의 걸림돌기(225)와 맞닿게 된다. 밀대(116)는 연결부재(132)를 통하여 탄성부재(1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밀대(116)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밀대(116)는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시료장착부(110)가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밀대(116)는 탄성부재(130)를 압축하며 뒤로 이동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장착부(110)를 관통홈(222)에 충분히 삽입하면 밀대(116)는 뒤로 더 이동한다. 밀대(116)가 뒤로 이동되면 지렛대 스프링(127)의 탄성력이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 및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에 작용하며, 제 1 지렛대(121)는 시료장착 공간부(112) 내에서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지렛대(122)는 시료장착 공간부(112) 내에서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한다.
시료장착 공간부(112)의 측면 중 일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 1 지렛대(121)와 제 2 지렛대(122)의 회전에 따라 제 1 지렛대(121)의 전단부의 측면과 제 2 지렛대(122)의 전단부의 측면이 상기 시료장착 공간부(112)의 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접하게 된다. 이렇게 시료장착 공간부(112) 측면의 일부를 개방한 것은 제한된 면적을 차지하는 시료장착부(110)에 복수의 시료(11)를 장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 1 지렛대(1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지렛대(122)가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1 지렛대(121)의 단부와 제 2 지렛대(122)의 단부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지게 된다. 즉, 제 1 지렛대(121)의 전단과 제 2 지렛대(122)의 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지고,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제 2 지렛대(122)의 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측면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고정턱(114)의 일면 사이에 시료(11)를 장착하기에 충분한 제 1 공간이 형성되고, 제 2 시료 누름판(126)과 고정턱(114)의 타면 사이에 시료(11)를 장착하기에 충분한 제 2 공간이 형성된다.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이 형성된 후 손잡이부(140)를 받침대(200)의 지지대(230)에 거치한다. 손잡이부(140)에는 내부로 인입된 형상의 고정홈(142)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230)의 상면에는 외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돌기(2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142)과 고정돌기(233)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홈(142)과 고정돌기(233)가 결합되면, 손잡이부(140)와 지지대(230)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몸체(100)와 받침대(200)의 체결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시료장착부에 시료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몸체(100)와 받침대(200)가 체결되면, 사용자는 핀셋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복수의 시료(11)를 장착할 수 있다.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장착된 시료(11)는 단면 부분이 위를 향하게 되며, 사용자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료(11)의 단면을 관찰할 수 있다.
시료(11)의 단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료(11)를 절단하는 경우, 시료(11)의 절단면이 반듯하지 않게 절단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시료(11)가 기울어진 채로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시료(11)의 정확한 관찰을 위해서는 수평을 맞추어 시료(11)를 제 1 공간 및 제 2 공간에 장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몸체(100)를 약 80˚ 가량 회전시킨 후 시료(11)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체결부(220)의 상면 중 제 2 부분은 제 1 부분(223)보다 낮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시료장착부(110)의 상면이 제 2 부분 쪽을 향하도록 몸체(100)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의 몸체와 받침대가 분리되어 시료장착부에 시료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몸체(100)를 받침대(20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손잡이부(140)를 잡고 지지대 상부(232)의 외부로 돌출 형성된 레버(234)를 누른다. 사용자가 레버(234)를 누르는 경우 상기 레버(234)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지지대 상부(232)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하강된 지지대 상부(232)는 지지대(230)에 거치된 손잡이부(140)를 지지대(2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레버(234)를 눌러 손잡이부(140)가 지지대(230)로부터 분리된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부(140)를 잡고 천천히 몸체(100)를 후진시켜 몸체(100)를 받침대(2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몸체(100)를 받침대(20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은 몸체(100)가 회전된 상태에서 수행된다.
관통홈(222)에서 시료장착부(110)를 빼내는 경우, 밀대(116)의 단차(117)와 걸림부재(224)의 걸림돌기(225)가 분리되면서 밀대(116)의 단차(117)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고, 탄성부재(130)의 탄성에 의하여 밀대(116)는 다시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밀대(116)가 앞으로 이동되면서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이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제 2 지렛대(122)의 후단에 힘을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작용되는 힘에 의하여 제 1 지렛대(121)는 시료장착 공간부(112) 내에서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지렛대(122)는 시료장착 공간부(112) 내에서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1 지렛대(121)와 제 2 지렛대(122)가 회전하면서 그 단부에 연결된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제 2 시료 누름판(126)도 함께 이동되며, 시료 누름판(125, 126)이 시료(11)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 1 공간에 장착된 시료(11)는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고정턱(114)의 일면에 의하여 고정되고, 제 2 공간에 장착된 시료(11)는 제 2 시료 누름판(126)과 고정턱(114)의 타면에 의하여 고정된다. 사용자는 고정된 시료(11)를 주사 전자 현미경에 적용하여 정밀한 시료(11) 단면의 확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례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례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례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멀티 단면 관찰 홀더
11: 시료
100: 몸체
110: 시료장착부
112: 시료장착 공간부
114: 고정턱
116: 밀대
117: 단차
118: 슬라이딩 홈
120: X형 지렛대
121: 제 1 지렛대
122: 제 2 지렛대
125: 제 1 시료 누름판
126: 제 2 시료 누름판
127: 지렛대 스프링
128: 지렛대축
130: 탄성부재
132: 연결부재
134: 하우징
140: 손잡이부
142: 고정홈
150: 결합부재
200: 받침대
210: 베이스부
220: 체결부
222: 관통홈
224: 걸림부재
225: 걸림돌기
230: 지지대
231: 지지대 받침
232: 지지대 상부
233: 고정돌기
240: 거치대

Claims (12)

  1.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시료(1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시료장착부(110); 및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장착부(110)는,
    상기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밀대(116);
    전단에는 제 1 시료 누름판(125) 및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밀대(116)와 연결된 X형 지렛대(120); 및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 사이에 형성된 고정턱(114);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고정턱(114)의 일면 사이에 상기 시료(11)가 장착될 수 있는 제 1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과 상기 고정턱(114)의 타면 사이에 상기 시료(11)가 장착될 수 있는 제 2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에 상기 시료(11)를 장착한 후 상기 밀대(116)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이 이동되어 상기 제 1 공간에 장착된 시료(11)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이동되어 상기 제 2 공간에 장착된 시료(11)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11)의 단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상기 시료(11)가 상기 제 1 공간 및 상기 제 2 공간에 고정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된 시료(11)의 단면의 관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X형 지렛대(120)는,
    전단에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이 설치될 수 있는 제 1 시료 누름판 설치부(123)가 형성되고,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1 지렛대(121); 및
    전단에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설치될 수 있는 제 2 시료 누름판 설치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 2 지렛대(1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부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부는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는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중간부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중간부는 상기 지렛대축(128)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116)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슬라이딩 홈(1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 상기 밀대(116)의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11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이 상기 밀대(116)의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 1 지렛대(121)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가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1 지렛대(121)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과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X형 지렛대(120)는,
    일단은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지렛대 스프링(1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렛대 스프링(127)의 탄성력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부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부에 작용하여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지고,
    상기 제 1 지렛대(121)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지렛대(122)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116), 상기 X형 지렛대(120), 상기 제 1 시료 누름판(125) 및 상기 제 2 시료 누름판(126)이 배치된 시료장착 공간부(112)의 측면 중 일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부의 측면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부의 측면이 상기 시료장착 공간부(112)의 측면의 개방된 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제 1 지렛대(121)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116)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홈(118)의 외벽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 및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에 힘을 작용하여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아지고,
    상기 제 1 지렛대(121)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지렛대(122)는 상기 지렛대축(128)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지렛대(121)의 전단과 상기 제 2 지렛대(122)의 전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한 받침대(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받침대(200)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부(210); 및
    상기 베이스부(210)의 상면에 설치되고, 개구된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가 상기 받침대(200)에 체결되어 상기 관통홀(222)에 상기 시료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밀대(116)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몸체(100)가 상기 받침대(2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밀대(116)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20)의 상면 중 일부인 제 1 부분(223)은 상기 체결부(220)의 상면 중 상기 제 1 부분(223)을 제외한 제 2 부분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분(223)은 상기 관통홀(222)에 삽입된 상기 시료장착부(11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부분의 양측 부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단면 관찰 홀더.
KR1020150050723A 2015-04-10 2015-04-10 멀티 단면 관찰 홀더 Active KR10155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23A KR101552996B1 (ko) 2015-04-10 2015-04-10 멀티 단면 관찰 홀더
JP2015117534A JP5828056B1 (ja) 2015-04-10 2015-06-10 マルチ断面観察ホルダ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723A KR101552996B1 (ko) 2015-04-10 2015-04-10 멀티 단면 관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996B1 true KR101552996B1 (ko) 2015-09-15

Family

ID=5424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723A Active KR101552996B1 (ko) 2015-04-10 2015-04-10 멀티 단면 관찰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28056B1 (ko)
KR (1) KR101552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8633A (ja) 2011-06-27 2013-01-10 Jeol Ltd 試料ホルダーおよび透過電子顕微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15B1 (ko) * 2001-06-20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료 홀더, 시료 홀더 내에 시료 고정을 위한 보조장치 및이들을 이용한 시료 고정방법
KR100447447B1 (ko) * 2002-01-31 2004-09-07 최한주 웨이퍼 검사용 시료 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8633A (ja) 2011-06-27 2013-01-10 Jeol Ltd 試料ホルダーおよび透過電子顕微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28056B1 (ja) 2015-12-02
JP2016201346A (ja)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455B1 (ko) 시료의 단면 관찰에 사용되는 시료 홀더 및 그 제어방법
KR101398456B1 (ko) 시료의 표면 관찰에 사용되는 시료 홀더 및 그 제어방법
US9251996B2 (en) Charged particle beam device, position adjusting method for diaphragm, and diaphragm position adjusting jig
US7767979B2 (en) Method for coupling and disconnecting a co-operative composite structure of a sample carrier and a sample holder
EP2555221A1 (en) Method of studying a sample in an ETEM
US20100224780A1 (en) Beam device system comprising a particle beam device and an optical microscope
JP3965761B2 (ja) 試料作製装置および試料作製方法
JP2007066902A (ja) 粒子光学装置におけるレンズエラー決定方法
US20230326707A1 (en) Examining, analyzing and/or processing an object using an object receiving container
EP2012341A1 (en) Modular gas ion source
CN108140525A (zh) 具备电子能量损失谱仪的扫描透射型电子显微镜及其观察方法
JP5450357B2 (ja) 走査電子顕微鏡
KR101552996B1 (ko) 멀티 단면 관찰 홀더
US20100025580A1 (en) Grid holder for stem analysis in a charged particle instrument
KR20170071652A (ko) 주사 전자 현미경
JP2014044967A (ja) 走査電子顕微鏡および試料ホルダ
JP4016969B2 (ja) 試料作製装置および試料作製方法
US7381970B2 (en) Specimen stage for charged-particle scanning microscopy
JP4016970B2 (ja) 試料作製装置および試料作製方法
US8502142B2 (en) Charged particle beam analysis while part of a sample to be analyzed remains in a generated opening of the sample
CN104335321A (zh) 样品保持件以及观察用样品固定方法
JP3794985B2 (ja) X線顕微鏡試料ホルダーおよびステージ
JP2002190269A (ja) 試料台
JP2006049010A (ja) 標本用先端および先端保持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