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2727B1 -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727B1
KR101552727B1 KR1020090014316A KR20090014316A KR101552727B1 KR 101552727 B1 KR101552727 B1 KR 101552727B1 KR 1020090014316 A KR1020090014316 A KR 1020090014316A KR 20090014316 A KR20090014316 A KR 20090014316A KR 101552727 B1 KR101552727 B1 KR 10155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wedge
receiving groove
central circular
gear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171A (ko
Inventor
황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01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7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7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2웨지블록(71,72)이 회전할 때에 상기 제1,2웨지블록(71,72)의 웨지돌기(71c,72c)가 그리스수용홈(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그리스수용홈(24)에 충진된 그리스(G1)를 상기 그리스수용홈(24)으로부터 빼내게 되고, 상기 그리스수용홈(24)으로부터 빠져나온 그리스(G1)는 상기 제1,2웨지블록(71,72)의 회전시에 부품들간에 서로 접촉을 이루는 습동부로 스며들게 되므로, 부품들간 습동부의 그리스(G1) 부족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리클라이닝장치는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리클라이닝장치, 습동부, 그리스

Description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Reclin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시트백의 각도조절을 가증하게 하는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들간에 서로 접촉을 이루는 습동부로 그리스를 보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과, 엉덩이에서 허벅다리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백은 리클라이닝장치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이 연접하는 위치에서 시트의 좌우 측부에 각각 장착되며, 시트의 좌우 측부에 각각 장착된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는 한 개의 샤프트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과 시트쿠션이 연접하는 부위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크기나 두께는 시트의 크기를 고려하여 콤팩트하게 제작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다수개의 부품이 콤팩트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부품간에는 서로 접촉하는 습동부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습동부에는 그리스(grease)가 도포되어 있다.
하지만, 습동부에 도포된 그리스는 리클라이닝장치의 용접 작업시(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 및 시트백프레임과 용접되어 설치된다.)용접열에 의해 녹아서 습동부가 아닌 곳으로 흘러가서 고이게 되고, 이로 인해 습동부의 윤활이 감소됨으로 인해 습동부의 마찰저항 증가 및 심한 경우 리클라이닝장치의 작동불량과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간에 서로 접촉을 이루는 습동부로 그리스를 보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리클라이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부품들간 습동부의 그리스 부족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리클라이닝장치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중앙원형돌기와 안쪽면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그리스수용홈이 형성된 인터널기어브라켓과; 상기 그리스수용홈내에 충진된 그리스와; 상기 중앙원형돌기의 바깥 둘레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중앙원형돌기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그리스수용홈으로 삽입되는 웨지돌기를 각각 구비한 제1웨지블록 및 제2웨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에 의하면, 제1,2웨지블록이 회전할 때에 상기 제1,2웨지블록의 웨지돌기가 그리스수용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그리스수용홈에 충진된 그리스를 상기 그리스수용홈으로부터 빼내게 되고, 상기 그리스수용홈으로부터 빠져나온 그리스는 상기 제1,2웨지블록의 회전시에 부품들간에 서로 접촉을 이루는 습동부로 스며들게 되므로, 부품들간 습동부의 그리스 부족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리클라이닝장치는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작동불량 및 파손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샤프트(1),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 인터널기어브라켓(20), 소켓블록(30), 베어링(40), 동력전달유니트, 커버플레이트(50), 가이드브라켓(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은 용접을 통해 시트백프레임과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부재로서, 그 중앙에는 중앙홀(11)이 형성되고 안쪽면에는 다수의 기어이빨로 된 내접기어 형식의 익스터널기어(12)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터널기어브라켓(20)은 시트백프레임과 연접하는 시트쿠션프레임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부재이며, 그 중앙에는 상기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을 향해 돌출된 중앙원형돌기(21)가 형성되고,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익스터 널기어(12)와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는 외접기어 형식의 인터널기어(22)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인터널기어(22)는 상기 익스터널기어(12)보다 작은 수의 기어이빨 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소켓블록(30)은, 상기 샤프트(1)가 관통하면서 상기 샤프트(1)와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며 상기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의 중앙홀(11)을 관통하여 상기 인터널기어브라켓(20)의 중앙원형돌기(21)속으로 삽입 설치되는 소켓돌기(31)와, 상기 소켓돌기(31)가 중앙원형돌기(21)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중앙원형돌기(21)의 바깥 둘레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는 작동돌기(32)와, 상기 소켓돌기(31)와 작동돌기(32)를 일체로 연결하는 한편 후술하는 웨지스프링(90)이 덧대여지는 연결판(33)과, 상기 연결판(33)의 일면에서 상기 소켓돌기(31)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연결판(33)에 덧대여진 웨지스프링(90)을 고정시키는 스프링돌기(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베어링(40)은 메탈베어링으로서 상기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의 중앙홀(11)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유니트는, 상기 작동돌기(32)에 의해 감싸여지지 못한 상기 중앙원형돌기(21)의 나머지 바깥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기 베어링(4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샤프트(1)의 회전시 작동돌기(32)와의 접촉으로 중앙원형돌기(21)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을 인터널기어브라켓(20)에 대해 회전시키도록 동작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0)는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의 후방을 밀폐시킴으로써 소켓블록(30)과 캠(40) 및 동력전달유니트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60)은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을 포함하여 인터널기어브라켓(20)과 커버플레이트(50)의 바깥 둘레면을 감싸서 이들을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유니트는, 상기 작동돌기(32)와 함께 중앙원형돌기(21)의 바깥 둘레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샤프트(1)의 회전시 작동돌기(3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중앙원형돌기(21)를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웨지블록(70)과, 상기 웨지블록(70)의 외측에 덧대여지면서 상기 베어링(40)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캠(80)과, 상기 소켓블록(30)에 덧대여지면서 절곡된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70)에 각각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웨지블록(70)을 외측으로 벌려주도록 힘을 제공하는 웨지스프링(9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70)은 1/4 원호모양으로 각각 형성된 제1웨지블록(71) 및 제2웨지블록(7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웨지블록(71,72)은 중간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쐐기형상이면서 편심을 가지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제1,2웨지블록(71,72)은 서로 마주 대하는 일단에 상기 웨지스프링(90)이 끼워지는 스프링홈(71a,72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작동돌기(32)와 접촉하는 돌기접촉부(71b,72b)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캠(80)은 반원의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정지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6과 같이 웨지스프 링(90)의 힘에 의해 힘에 의해 제1,2웨지블록(71,72)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힘을 갖게 됨으로써, 제1,2웨지블록(71,72)의 바깥 둘레면이 각각 캠(80)의 안쪽면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접촉점 P1,P2), 아울러 인터널기어브라켓(20)의 인터널기어(22)와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의 익스터널기어(12)가 두 군데(접촉점 P3,P4)에서 강한 치합을 이룬 상태이므로, 익스터널기어(12)와 인터널기어(22)사이의 백래쉬(backlash)를 없앨 수 있게 되며 이 결과 시트백 유격에 따른 진동 소음 현상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상태에서 샤프트(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7과 같이 소켓블록(30)의 작동돌기(32)가 제1웨지블록(71)을 밀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웨지블록(71)과 캠(80) 사이에는 갭이 발생하게 되고, 웨지스프링(90)의 좌측 끝단은 우측 끝단을 향해 오므라들게 되며, 동시에 웨지스프링(90)의 우측 끝단은 좌측 끝단으로부터 멀어지려는 힘을 갖게 된다.
이 힘에 의해 제2웨지블록(72)과 캠(8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은 인터널기어브라켓(20)에 대해 잇수 차이만큼의 회전 비를 발생시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이 회전하면 시트백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클라이닝장치는 콤팩트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제1,2웨지블록(71,72), 캠(80), 베어링(40)등 다수의 부품들은 익스터널기어브라 켓(10)과 인터널기어브라켓(20)사이의 공간에서 서로 접촉을 이루는 습동부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부품들간 습동부에는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그리스(grease)가 도포된다.
하지만, 상기 습동부에 도포된 그리스는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과 인터널기어브라켓(20)을 시트백프레임과 시트쿠션프레임에 용접 결합시 고온의 용접열에 의해 녹아서 습동부가 아닌 익스터널기어브라켓(10)과 인터널기어브라켓(20)사이의 빈공간(S1; 도 5에 도시됨)으로 흘러가서 고이게 된다.
이에 따라, 부품들간에 서로 접촉하는 습동부는 그리스의 감소로 인해 마찰저항이 증가하고, 이 결과 리클라이닝장치는 내구성 저하와 작동불량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인터널기어브라켓(20)에서 중앙원형돌기(21)와 안쪽면(23)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그리스수용홈(24)을 형성시키고, 상기 그리스수용홈(24)에는 그리스(G1;grease)를 충진시키며, 상기 제1,2웨지블록(71,72)에는 상기 그리스수용홈(24)으로 삽입되는 웨지돌기(71c,72c)를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구조이다.
상기 그리스수용홈(24)은 상기 중앙원형돌기(21)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원형 트랙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샤프트(1)가 회전함에 따라 소켓블록(30)이 회전하고, 상기 소켓블록(30)이 회전함에 따라 제1,2웨지블록(71,72)이 회전할 때에, 상기 제1,2웨지블록(71,72)의 웨지돌기(71c,72c)가 그리스수용홈(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그리 스수용홈(24)에 충진된 그리스(G1)를 상기 그리스수용홈(24)으로부터 빼낼 수 있게 밀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그리스수용홈(24)으로부터 빠져나온 그리스(G1)는 상기 제1,2웨지블록(71,72)의 회전시에 부품들간에 서로 접촉을 이루는 습동부로 스며들게 되는 바, 이로 인해 부품들간 습동부의 그리스(G1) 부족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리클라이닝장치는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작동불량 및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 샤프트 10 - 익스터널기어브라켓
20 - 인터널기어브라켓 21 - 중앙원형돌기
23 - 안쪽면 24 - 그리스수용홈
71 - 제1웨지블록 72 - 제2웨지블록
71c,72c - 웨지돌기 G1 - 그리스

Claims (2)

  1. 중앙원형돌기(21)와 안쪽면(23)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그리스수용홈(24)이 형성된 인터널기어브라켓(20)과;
    상기 그리스수용홈(24)내에 충진된 그리스(G1)와;
    상기 중앙원형돌기(21)의 바깥 둘레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면서 상기 중앙원형돌기(21)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그리스수용홈(24)으로 삽입되는 웨지돌기(71c,72c)를 각각 구비한 제1웨지블록(71) 및 제2웨지블록(72);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스수용홈(24)은 상기 중앙원형돌기(21)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원형 트랙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보충기능을 갖춘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2. 삭제
KR1020090014316A 2009-02-20 2009-02-20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552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316A KR101552727B1 (ko) 2009-02-20 2009-02-20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316A KR101552727B1 (ko) 2009-02-20 2009-02-20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71A KR20100095171A (ko) 2010-08-30
KR101552727B1 true KR101552727B1 (ko) 2015-09-11

Family

ID=4275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3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2727B1 (ko) 2009-02-20 2009-02-20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7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186B1 (ko) 2011-12-21 2013-07-05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KR101569625B1 (ko) * 2013-06-27 2015-11-1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70139B1 (ko) 2017-09-28 2019-04-22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216952B1 (ko) * 2020-10-07 2021-02-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KR102442453B1 (ko) * 2020-11-10 2022-09-13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1894A (ja) * 2004-02-12 2007-08-09 カイペ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2008194281A (ja) 2007-02-14 2008-08-28 Toyota Boshoku Corp 連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1894A (ja) * 2004-02-12 2007-08-09 カイペル ゲーエムベーハ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JP2008194281A (ja) 2007-02-14 2008-08-28 Toyota Boshoku Corp 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71A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727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KR20090017775A (ko)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US9481269B2 (en) Recliner for vehicle seat
JP5369261B2 (ja) シート角度調整器及びこの角度調整器を有するシート
US7648204B2 (en) Recliner adjuster
JP2007014760A (ja) 回転式リクライナー
KR20200064261A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JP3838003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060006717A1 (en) Recliner adjuster
KR20150003100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504456B1 (ko) 차량 시트를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
CN111231786A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装置
KR20100113839A (ko)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작동장치
JP4336503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28318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KR101034308B1 (ko)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JP5028037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970139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034309B1 (ko)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WO2019082877A1 (ja) シートリフター及びシート
JP2011220505A (ja) ダンパ
KR101659231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8833116A (zh) 一种汽车座椅用电驱动铰链机构
KR10125183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125179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2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