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2352B1 -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 Google Patents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352B1
KR101552352B1 KR1020150013817A KR20150013817A KR101552352B1 KR 101552352 B1 KR101552352 B1 KR 101552352B1 KR 1020150013817 A KR1020150013817 A KR 1020150013817A KR 20150013817 A KR20150013817 A KR 20150013817A KR 101552352 B1 KR101552352 B1 KR 10155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knitted
heel
pressing
s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화신섬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섬유(주) filed Critical 화신섬유(주)
Priority to KR102015001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3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5Hosiery made essentially of a multi-ply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다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발 투입구(110)와; 다리의 각 부위에 적합하게 압박을 가하는 압박부(120)와; 뒷꿈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소정의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뒷꿈치부(130);로 이루어지는 압박용 양말의 제직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 투입구(110)는 발 크기에 따라 기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편성하고, 압박부(120)는 동일한 압박을 유지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각각 1000~1800TM을 준 상태에서 상호 연사시켜 편성하되 정강이 및 종아리로부터 발목까지 직경이 점차 협소해지도록 편성하며, 뒷꿈치부(130)는 압박부를 편성하는 니들 실린더의 니들 중 해당 니들 실린더의 니들 선택에 의존하여 일부만 이동되어 편성하고, 상기 뒷꿈치부를 편성한 니들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발바닥 및 발등에 해당하는 영역에 압박부(120)를 편성한 후 해당 압박부 선단에 마감부(140)를 더 편성하여 발바닥과 압박부의 이원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Description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Weaving method for compression socks 5.25inch}
본 발명은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에 적합한 압박이 실시될 수 있도록 5.25inch의 사이즈로 제직하여 착용시 불편함을 감소시키되, 다리 부위에 동일한 압박을 가하여 혈류의 배류를 촉진시키는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용 양말 제품은 사용자의 하지에 치료 효과를 제공하고자 조제되고 선택적으로 국소화된 압박 작용(containment action)을 적용하도록 고안되고 구조화되어 특수한 양말 제품이다.
이러한 양말 제품들은 주로 선택적으로 예비 긴장된 탄성사(stretch yarn)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미학적 효과를 가지면서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편성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치료용 양말 제품을 제직하기 위해서는 양말 편직기인 환편기를 사용하여 제직하는바, 상기 환편기는 바늘이 니들 실린더에 설치되고, 상기 바늘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가 회전하면서 바늘들이 레이스홈을 따라 차례로 승하강하면서 원통형으로 양말이 제직된다.
한편, 적절하지 못한 탄성사를 이용한 종래의 양말의 경우는 장시간 활동, 운동 및 등산시에는 양말의 저탄성으로 인하여 땀 또는 습기를 머금지않은 상태에서도 발과의 이원화현상으로 인한 불편함과 양말(특히 발바닥부분)의 땀을 흡수할 경우, 이로 인한 발과 양말과의 이원화 현상의 심화로 극단적인 경우 새로운 양말로 갈아 신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는 물리적 문제가 발생하고 그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양말의 발보호기능의 저하는 물론 오히려 피부에 물리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9790호에 "압박 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양말 편직시 뒷굼치 부분을 제외한 발등 및 발바닥의 중간부터 발목 상단 일정 높이까지 탄성압박부를 편직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탄성압박부는 면사 및 스판덱스사, 피복고무사 등으로 이루어지는바, 이는 과도한 압박이 실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장시간 착용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탄성사의 편성없이 적절한 압박이 실시되도록 하여 치료기능 및 착용감이 향상된 양말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 등록번호 제20-019979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신체의 적절한 압박 작용을 실시되도록 하여 장기간 착용에도 사용자의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발 투입구(110)와; 다리의 각 부위에 적합하게 압박을 가하는 압박부(120)와; 뒷꿈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소정의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뒷꿈치부(130);로 이루어지는 압박용 양말의 제직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 투입구(110)는 발 크기에 따라 기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편성하고, 압박부(120)는 동일한 압박을 유지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각각 1800TM을 준 상태에서 상호 연사시켜 편성하되 정강이 및 종아리로부터 발목까지 직경이 점차 협소해지도록 편성하며, 뒷꿈치부(130)는 압박부를 편성하는 니들 실린더의 니들 중 해당 니들 실린더의 니들 선택에 의존하여 일부만 이동되어 편성하고, 상기 뒷꿈치부를 편성한 니들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발바닥 및 발등에 해당하는 영역에 압박부(120)를 편성한 후 해당 압박부 선단에 마감부(140)를 더 편성하여 발바닥과 압박부의 이원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발 투입구(110); 뒷꿈치부(130); 마감부(140)는 압박부(120)의 밀도보다 확장 형성되며, 겉실과 속실이 1:1 제직비를 갖는 늑골조직으로 편성된다.
상기 뒷꿈치부(130)는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중에 선택적으로 편성하고, 상기 발 투입구(110) 및 마감부(140)는 신축성을 위해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연사시켜 편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1000~1800TM의 꼬임을 준 폴리에스테르사 및 나일론사을 상호 연사시켜 5.25inch의 사이즈의 양말을 제직하여 신체에 적합한 압박 작용을 야기시켜 장시간의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박용 양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박용 양말의 조직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허벅지형으로 제공되는 압박 양말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팬티형으로 제공되는 압박 양말 사시도.
본 발명은 1000~1800TM의 꼬임을 준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을 상호 연사시킴으로써 5.25inch의 양말을 제직됨에 따라 신체에 적합한 압박 작용을 야기시켜 하지정맥류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가 발생시킴과 더불어 착용감 또한 대폭 향상되어 장시간의 착용에도 불편함이 없는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인 압박용 양말(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압박용 양말(100)은 상하 관통 형성되어 하지의 유입을 유도하여 피부에 압착된 상태에서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발 투입구(110);와, 발 투입구의 선단으로부터 발등 및 발바닥에 해당하는 영역까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압박을 실시하는 압박부(120);와, 압박부가 제공하는 영역에서 확장 형성되어 뒷꿈치를 수용하는 뒷꿈치부(130);와, 상기 압박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해당 압박부와 발바닥의 이원화 현상을 방지하는 마감부(14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압박부(120)는 착용시 늘어남 때문에, 예를 들면 비벼지거나 미끄러지는 등의 다양한 응력 때문에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모든 응력들의 결과에 대항하기에 충분하도록 발 투입구의 선단으로부터 발등 및 발바닥에 해당하는 영역까지 동일한 압박을 실시하고 해당 발 투입구(110)가 이를 보완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종아리 및 정강이부터 발목 부위까지 긴밀하게 압착됨을 보장한다.
또한, 상기 압박부(120)의 발등 및 발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은 지면, 신발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이원화 현상이 생김에 마감부(140)가 이를 보완하여 어떠한 상황에서도 발등과 발바닥에 압착됨을 보장한다.
상기 압박부(120)가 1000~1800TM을 준 나일론사 및 폴리에스테르사가 상호 연사되는 방식으로 편성되어 있어, 예를 들면, 비교적 예민한 발목부위의 근육 손상을 입은 사용자가 착용시 보행 및 가벼운 운동을 함에 다친 발목부위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압박고정시켜주기 때문에, 보다 빠른 시일 내에 발목관절의 근력을 향상시키며 또한 부상재발 등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해당 압박부(120)는 탄성사가 없이 5.25inch로 제직되는바, 즉 신체부위인 다리 사이즈에 대응되는 5.25inch로 제직되어 신체에 국소부위인 다리에 적절한 압박작용을 야기시킨다.
상술된 압박용 양말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다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발 투입구(110)와; 다리의 각 부위에 적합하게 압박을 가하는 압박부(120)와; 뒷꿈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소정의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뒷꿈치부(130);로 이루어지는 압박용 양말을 제직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 투입구(110)는 발 크기에 따라 기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편성하고, 압박부(120)는 동일한 압박을 유지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각각 1000~1800TM을 준 상태에서 상호 연사시켜 편성하되 정강이 및 종아리로부터 발목까지 직경이 점차 협소해지도록 편성하며, 뒷꿈치부(130)는 압박부를 편성하는 니들 실린더의 니들 중 해당 니들 실린더의 니들 선택에 의존하여 일부만 이동되어 편성하고, 상기 뒷꿈치부를 편성한 니들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발바닥 및 발등에 해당하는 영역에 압박부(120)를 편성한 후 해당 압박부 선단에 마감부(140)를 더 편성하여 발바닥과 압박부의 이원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발 투입구(110)는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연사시켜 편성함으로써 신축성 및 탄성 회복력을 상승되어 해당 발 투입구가 위치 고정되는 무릎과 정강이 사이 영역에서 흘러내림이 적극 방지되어 피부와 발 투입구 간에 이원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가 선택적으로 겉실과 속실로 구분되어 1:1 제직비를 갖는 늑골조직으로 편성함으로써 미려하고 부드러운 표면으로 형성되어 피부를 보호한다.
이로써, 제직이 완료된 발 투입구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압박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봉제선을 편성한다. 상기 봉제선은 소정의 밀도를 갖으면서 적은 수의 스티치(stitch)로 형성되는바, 즉, 봉제선을 통해 발투입구와 압박부가 상호 고정 연결됨으로써 상호 스티치(stitch)의 편중을 방지한다. 이때 봉제선은 리브편(rib knitting)으로 형성되어 겉실과 속실이 교차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통풍 및 신체의 크기에 적합한 길이로 연장되도록 한다.
상기 발 투입구(110)와 연결된 압박부(120)는 동일한 압박을 유지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각각 1000~1800TM을 준 상태에서 상호 연사시켜 편성하되 정강이 및 종아리로부터 발목까지 직경이 점차 협소해지도록 편성하는바, 즉, 본 발명은 탄성사가 개재되지 않음으로써 제직공정을 단순화시키되 탄성사 없이도 신체 부위에 적절한 압박이 실시되게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탄성이 매우 큰 나일론사에 강도 높은 폴리에스테르사에 각각 1000~1800TM의 꼬임을 준 후 상호 연사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나일론사와 폴리에스테르사는 탄성 회복력이 향상되고 내구성이 보다 높아져 탄성사 없이도 신체 부위에 적절한 압박이 실시된다.
한편, 나일론사 및 폴리에스테르사에 1000~1800TM 이하의 꼬임을 준다면 적절한 압박이 실시되지 못하여 일반 기능성 양말과 별 다른 차이점을 보이지 못하며, 1000~1800TM 이상의 꼬임을 준다면 과도한 압박이 실시되어 착용시 불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박부(120)는 정강이 및 종아리로부터 발목까지 직경이 점차 협소해지도록 편성되어 신체 부위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바, 이로써 각기 다른 신체부위에 동일한 압박이 실시되어 혈류의 배류를 도모하고 압박에 의한 의인성 위험(iatrogenic risk)이 방지된다.
상기 뒷꿈치부(130)는 압박부를 편성하는 니들 실린더의 니들 중 해당 니들 실린더의 니들 선택에 의존하여 일부만 이동되어 편성하는데 나일론사 내지 폴리에스테르사 중에 선택적으로 편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뒷꿈치부는 신체 부위인 뒷꿈치 부위를 수용함에 따른 내구성이 큰 재질을 사용해야된다. 따라서, 강도 및 내구성이 좋은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편성함이 바람직하지만 나일론사를 이용하여 편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뒷꿈치부(130)는 사용자의 보행 중 신발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마모가 가장 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뒷꿈치부는 1:1 제직비를 갖으면서 늑골조직으로 편성되어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켜 마모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장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뒷꿈치부(130)는 기설정된 데이터에 의하며, 미리 정해진 니들 실린더의 니들의 일부가 편성하며 뒷꿈치부를 편성한 니들의 일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압박부를 이어서 편성한다.
상기 압박부(120)는 다리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강도로 압박될 수 있도록 봉제선 없이 종아리 및 정강이부터 발등 및 발바닥 부위까지 연결 편성되고 뒷꿈치(130) 부위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니들 실린더의 니들의 일부가 뒷꿈치부를 편성하는 것이다. 뒷꿈치부(130)를 편성한 일부 니들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니들 실린더에 의해 선택된 니들이 발목에서부터 발등과 발바닥에 해당하는 영역의 압박부(120)를 뒷꿈치부(130)와의 봉제선 없이 연결 편성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시 탄성적으로 동일한 압박으로 다리를 둘러싸 그에 따라 보행 중에도 다리 부분이 주름 형성 없이 착용되고 상대적으로 한쪽으로 편중되는 슬립현상이 방지된다.
더불어, 상기 압박부(120)의 선단에는 마감부(140)가 더 형성되어 발바닥 및 발등에 밀착됨에 따라 발가락을 제외하고 편성되는 압박부의 보행 중 주름이 형성됨을 방지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을 연사시키는 방식을 통해 신축성을 향상시키되 겉실과 속실이 1:1 제직비를 갖으면서 늑골조직으로 편성됨에 따라 압박력 향상 및 마모율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마감부(140)는 압박부(120)와 봉제선으로 연결 편성되는데 해당 마감부는 봉제선에 의해 소정의 직경만큼 확장된 후 점차 직경이 협소해지는 형상으로 편성되는바, 이는, 장기간 사용시 마감부 선단이 마모되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의 발 폭에 따라 적절한 압박을 실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제직방법을 위해 하나 이상의 피드를 갖는 환편기를 사용하며, 해당 환편기의 니들 실린더는 니들을 1:1, 2:1, 3:1, 1:3, 1:2 선택 등에 따라 니들 실린더의 원주 상 연장선으로 균일하게 분배되어 있는 환편기의 니들 실린더의 바늘 중 단지 일부만이 편성하도록 된다. 실시에 있어서 니들 실린더는 니들 실린더 축을 중심으로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섹터들로 이상적으로 분배되고, 이때, 각각의 섹터는 2개 이상의 니들을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니들 선택을 가지고 니들 실린더의 축을 중심으로 균일하게 이격된 다양한 군의 니들이 활성 위치로 움직임으로써 제직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이러한 원리로 제직된 압박 양말은 5.25inch로 제직되어 국소적인 신체부위에 적절한 압박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허벅지형으로 제공되는 압박 양말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팬티형으로 제공되는 압박 양말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박 양말은 보다 다양한 활용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허벅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 도 4에서처럼 팬티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발 투입구 120 : 압박부
130 : 뒷꿈치부 140 : 마감부

Claims (3)

  1. 다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발 투입구(110)와; 다리의 각 부위에 압박을 가하는 압박부(120)와; 뒷꿈치에 해당하는 영역에 소정의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뒷꿈치부(130);로 이루어지는 압박용 양말의 제직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 투입구(110)는 발 크기에 따라 기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편성하고, 압박부(120)는 동일한 압박을 유지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각각 1000~1800TM을 준 상태에서 상호 연사시켜 편성하되 정강이 및 종아리로부터 발목까지 직경이 점차 협소해지도록 편성하며, 뒷꿈치부(130)는 압박부를 편성하는 니들 실린더의 니들 중 해당 니들 실린더의 니들 선택에 의존하여 일부만 이동되어 편성하고, 상기 뒷꿈치부를 편성한 니들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발바닥 및 발등에 해당하는 영역에 압박부(120)를 편성한 후 해당 압박부 선단에 마감부(140)를 더 편성하여 발바닥과 압박부의 이원화 현상을 방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압박용 직경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120)는 발 투입구(110);와, 뒷꿈치부(130);와, 마감부(140)의 밀도에 비해 조밀하게 형성되며, 겉실과 속실이 1:1 제직비를 갖는 늑골조직으로 편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압박용 직경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꿈치부(130)는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중에 선택적으로 편성되고, 상기 발 투입구(110) 및 마감부(140)는 신축성을 위해 폴리에스테르사와 나일론사를 연사시켜 편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압박용 직경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KR1020150013817A 2015-01-28 2015-01-28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Active KR10155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17A KR101552352B1 (ko) 2015-01-28 2015-01-28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817A KR101552352B1 (ko) 2015-01-28 2015-01-28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352B1 true KR101552352B1 (ko) 2015-09-10

Family

ID=5424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817A Active KR101552352B1 (ko) 2015-01-28 2015-01-28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3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6892A (zh) * 2022-05-20 2022-08-02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袜跟的编织方法及袜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73Y1 (ko) 2003-06-21 2004-04-03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US20070113593A1 (en) 2003-12-30 2007-05-24 Jeong Chang M Functional compression socks
KR101178028B1 (ko) 2012-01-10 2012-08-29 박철환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73Y1 (ko) 2003-06-21 2004-04-03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US20070113593A1 (en) 2003-12-30 2007-05-24 Jeong Chang M Functional compression socks
KR101178028B1 (ko) 2012-01-10 2012-08-29 박철환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6892A (zh) * 2022-05-20 2022-08-02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袜跟的编织方法及袜跟
CN114836892B (zh) * 2022-05-20 2024-05-28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袜跟的编织方法及袜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651B2 (en) Compression fabrics with tailored comfort
TWI586288B (zh) Leg support belt
US10094054B1 (en) Stitch-size controlled knit product
CN107709644B (zh) 具有预配置压缩区段和一体式结构图案的训练紧身衣
JP6076995B2 (ja) 圧迫足用ガーメントおよび踵痛を低減するための治療方法
US6158253A (en) Seamless, form fitting foot sock
US8856969B2 (en) Selectively feltable garment
US4561267A (en) Knitted sock
US20070033711A1 (en) Sock, especially athletic sock
JP2024124502A (ja) ニット滑り止め品
US7775069B1 (en) Therapeutic stocking
CN110662439B (zh) 压力袜
US20060218973A1 (en) Socks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CA3100984A1 (en) Containing fabric, garments comprising such fabric, and related production methods
RU2732437C2 (ru) Текстильный ортез с бортиком
KR101552352B1 (ko) 압박용 5.25inch 양말의 제직방법
CN203040702U (zh) 一种绢棉舒适运动袜
JP4621467B2 (ja) 靴下
KR102544788B1 (ko) 발목 압박양말
CA2558157A1 (en) Sock, especially athletic sock
KR101542565B1 (ko) 하지정맥류 치료용 4~4.5inch 압박 양말의 제직방법
KR200481570Y1 (ko)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JPH1143805A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KR101880512B1 (ko) 가변형 더블 싱커캠을 갖는 싱커커버에 의한 기능성 발가락 양말 제조방법
CA3224496A1 (en) Flatknitted compression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