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084B1 -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2084B1 KR101552084B1 KR1020150041310A KR20150041310A KR101552084B1 KR 101552084 B1 KR101552084 B1 KR 101552084B1 KR 1020150041310 A KR1020150041310 A KR 1020150041310A KR 20150041310 A KR20150041310 A KR 20150041310A KR 101552084 B1 KR101552084 B1 KR 1015520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soning
- storage
- case
- supply container
-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3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53 second to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8—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 B65B37/1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rotary feeders of screw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16—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 B65B37/18—Separating measured quantities from supply by weig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수납홈이 형성된 수납몸체 및 그 수납몸체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테이블(120)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수납홈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특정 종류의 양념을 저장하고 자동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양념저장공급용기(200)와; 수납몸체의 수납홈에 양념저장공급용기(200)가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된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양념이 토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토출작동부(300)와; 몸체부(10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한 양념저장공급용기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슬라이더(410)를 가지는 슬라이더이송부(400)와; 슬라이더(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슬라이더(410)에 안착되는 계량용기(U)로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센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easo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soning automatic feeder, comprising: a main body 100 composed of a storage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and a table 120 spaced apart from a lower side of the storage body; A plurality of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200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torage grooves and storing and discharging a specific type of seasoning automatically; A discharging operation part 300 for discharging the seasoning from the combined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container 200 when the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container 20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of the housing body; A slider transferring part 400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00 and having a slider 410 transferred to a lower side of a specific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And a weight sensor 500 mounted on the slider 41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easoning discharged to the weighing container U seated on the slider 410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weight signal.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양념을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easo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eason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various kinds of seasoning by a predetermined amount.
음식을 요리할 때 다양한 맛을 구현하기 위하여 소금, 설탕, 고춧가루, 후추가루, 간장등 다양한 양념을 사용한다. 이러한 양념은 음식의 종류나 양에 따라 사용되는 양이 다르며, 통상 요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의하여 스푼으로 떠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양념은 통상 독립적인 양념통에 저장되며, 요리시 특정 양념통를 꺼낸 후 뚜껑을 열어서 양념을 꺼내어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42965호나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9105호에 양념통이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When cooking food, various spices such as salt, sugar, red pepper powder, black pepper powder and soy sauce are used to create various flavors. These spices are used in different amounts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food, and are usually mixed with a spoon by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who cooks. These sauces are usually stored in independent saucepans, and when a dish is taken out, a saucepan is opened and the sauce is taken out by opening the lid. The prior art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42965 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9105 under the name of seasoning.
그런데 음식 요리시 사용하는 양념의 양은 요리하는 사람의 경험에 따라 다르므로, 요리경험이 없는 사람은 양념의 양을 정확히 특정하지 못하여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없었다. However, since the amount of spices used in cooking depends on the experience of the person who cooks, a person who does not have cooking experience could not cook delicious food because he could not accurately specify the amount of spice.
또한 양념통에서 양념을 꺼내기 위하여 양념통을 열고 닫는 과정을 반복하는데, 이 과정에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공기가 유입되고, 또한 스푼에 묻은 특정 양념이 투입되어 변질이 쉽게 일어난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spice container is repeated to remove the spice from the spice container. In this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substances or air are introduced into the spice container, and certain spices adhered to the spoon are put into the spic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여러종류의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자동으로 토출되게 함으로서, 초보자라도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soning automatic feeding apparatus which can accurately prepare various kinds of seasonings so as to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dispense delicious food even for a beginner do.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념이 저장된 양념저장공급용기를 열지 않아도 되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념을 꺼내는 과정에서 다른 종류의 양념이 혼합될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서,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or air from entering outside and to prevent mixing of other kinds of seasoning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seasoning, And to provide a seasoning automatic feeding device which can prevent the season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자동 공급장치는, 다수의 수납홈이 형성된 수납몸체 및 그 수납몸체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테이블(120)로 구성된 몸체부(100); 상기 수납홈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특정 종류의 양념을 저장하고 자동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양념저장공급용기(200); 상기 수납몸체의 수납홈에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가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된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양념이 토출되도록 해당 양념저장공급용기를 작동시키는 토출작동부(300); 상기 수납몸체의 하부측에서 상기 테이블(120)을 직선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20)과, 상기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에서 토출되는 양념을 저장하는 계량용기(U)를 지지하는 슬라이더(410)와, 상기 슬라이더(410)를 상기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왕복구동부(430)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이송부(400); 및 상기 슬라이더(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슬라이더(410)에 안착되는 계량용기(U)로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센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토출하고자 하는 양념의 양을 세팅하는 세팅부(600); 및 상기 무게센서(500)에서 발생되는 무게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세팅부(600)에서 세팅된 양념의 무게만큼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작동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7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가루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1수납홈(111)에 착탈되는 것으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1케이스(211)와, 상기 제1케이스(21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1토출관(212)과, 상기 제1토출관(21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213)와, 상기 제1케이스(21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스크류(213)의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스크류회전단(214)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가 상기 제1수납홈(111)에 결합될 때, 상기 스크류회전단(214)과 결합되어 그 스크류회전단(214)을 회전시키는 제1토출작동부(3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액상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2토출관(222)과, 상기 제2토출관(222)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223)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22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작동단자(224)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상기 제2작동단자(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2토출작동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액상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노즐(222a')이 형성된 제2토출관(222')과, 상기 케이스(221')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에어펌프(223')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설치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펌프(22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작동단자(224')와, 상기 제2케이스(2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양념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이 제2토출관(222')과 연결되며 양념의 상부측에서 굴곡단(225a)을 가지는 유로단(225')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상기 제2작동단자(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2토출작동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액상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2토출관(222")과, 상기 제2토출관(2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밸브(223")와, 상기 작동밸브(223")의 후방측의 힌지(h)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축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2토출관(222")을 개폐하도록 상기 작동밸브(223")를 작동시키는 레버(224")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상기 레버(224")를 가압하기 위하여 그 레버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돌부를 포함하는 제2토출작동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반죽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3수납홈(113)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3케이스(231)와, 상기 제3케이스(23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32)와, 상기 제3케이스(23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3토출관(233)과, 상기 제3케이스(231)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234)과, 상기 덮개(23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234)을 상기 제3토출관(233) 측으로 이송시키는 피스톤구동부(235)와, 상기 제3케이스(2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피스톤구동부(23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작동단자(236)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가 상기 제3수납홈(113)에 결합될 때, 상기 제3작동단자(2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2토출작동부(330)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tomatic spice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soning storag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soning storag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so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son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soning storage 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에 다양한 종류의 양념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세팅하거나 저장된 레시피정보에 따라 특정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자동으로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보자라도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토출되므로, 양념을 준비하거나 계량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빠른 시간내에 요리가 가능하고,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inds of seasonings can be stor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and can be automatically and accurately discharged according to the set amount of the specific seasoning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or stored recipe information. Thus, even a beginner can cook delicious food. Especially, since the specific seasoning is automatically discharged by the set amount,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preparing or measuring the seasoning, so that cooking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and the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또한 양념이 저장된 양념저장공급용기를 열지 않아도 되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념을 꺼내는 과정에서 다른 종류의 양념이 혼합될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서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container storing the seasoning,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or air from entering the outside, and avoiding the possibility of mixing other kinds of seasoning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seasoning.
또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를 제1,2,3수납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양념을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다. Also,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ed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using bodi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ed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can be easily cleaned and used hygienically.
그리고 몸체부에 냉장가동부(900)를 채용함으로써, 양념을 냉장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By adopting the refrigerated moving part 900 in the body part, the spice can be stored in a refrigerated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본 측면도,
도 6은 도 2의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의 제1양념저장공급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5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5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는 도 5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b 는 도 10a 의 작동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도 5의 제3양념저장공급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5의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2,3,토출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수납몸체에 결합되는 양념저장공급용기를 냉장하기 위한 냉장가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도 1에 있어서, 계량용기가 슬라이더에 의하여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pice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asoning automatic feeder of FIG. 1;
FIG. 3 is a top view of the seasoning automatic feeder of FIG. 1,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easoning automatic feeder of FIG. 3;
5 is a side view along line VV 'of FIG. 4,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ipe information reflecting control unit of FIG. 2;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FIG. 10A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FIG. 10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valve of FIG. 10A,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operation parts for oper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of FIG. 5;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ing moving part for refrigerating a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container coupled to the housing body of FIG. 1;
Figs. 14 and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in Fig. 1 that the weighing container is transport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by a slid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자동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n automatic seasoning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라 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of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easoning automatic feeder of FIG. 3, FIG. 5 is a side view of FIG. 4 taken along the line VV ',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ipe information reflecting controller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자동 공급장치는, 다수의 수납홈이 형성된 수납몸체 및 그 수납몸체의 하부측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테이블(120)로 구성된 몸체부(100)와; 수납홈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특정 종류의 양념을 저장하고 자동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양념저장공급용기(200)와; 수납몸체의 수납홈에 양념저장공급용기(200)가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된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양념이 토출되도록 작동시키는 토출작동부(300)와; 몸체부(10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정한 양념저장공급용기의 이송되는 슬라이더(410)를 가지는 슬라이더이송부(400)와; 슬라이더(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슬라이더(410)에 안착되는 계량용기(U)로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센서(500)와;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토출하고자 하는 양념의 양을 세팅하는 세팅부(600)와; 무게센서(500)에서 발생되는 무게신호에 연동되어 세팅부(600)에서 세팅된 양념의 무게만큼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작동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700)와; 외부에서 입력된 레시피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레시피정보에 따라 작동제어부(700)를 제어하는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 수납몸체에 결합된 양념저장공급용기(200)를 냉장시키기 위한 냉장가동부(900)와; 상기한 세팅부(600)에서 세팅되는 상황, 작동제어부(700)에서 제어되는 상황,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에서 반영되는 상황, 냉장가동부(900)의 작동상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일반적으로 요리에 사용되는 양념은 크게 가루형태의 양념, 예를 들면 소금, 설탕, 고추가루, 후추가루등의 양념과; 액상형태의 양념, 예를 들면 간장, 식초, 기름등의 양념과; 반죽형태의 양념, 예를 들면 된장, 고추장등의 양념으로 이루어진다. In general, the spices used in cooking are mainly spices such as salt, sugar, red pepper powder, and black pepper powder; Liquid seasoning such as soy sauce, vinegar, oil and the like; And a seasoning such as dough-like seasoning such as miso or kochujang.
본 실시예의 양념 저장 공급장치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한 가루형태의 양념, 액상형태의 양념 및 반죽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가루형태의 양념이나, 액상형태의 양념이나, 반죽 형태의 양념을 독립적으로 채용하거나,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asoning of powdery seasoning, the seasoning of liquid seasoning and the seasoning of kneading form are stored and automatically discharged for easy explanation.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if necessary, the powdery seasoning, the liquid seasoning, and the kneading seasoning may be independently employed or combined.
몸체부(100)는, 크기가 다른 다수의 수납홈을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제1,2,3수납홈(111)(112)(113)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홈(111)에는 후술할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수납홈(112)에는 후술할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수납홈(113)에는 후술할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몸체부(100)는 많은수의 제1,2,3수납홈(111)(112)(113)을 채용하기 위하여, 제1,2,3수납홈이 형성되고 대칭되는 2개가 수납몸체(110)(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수납몸체(110)(110')는 테이블120) 상에서 지지대(130)에 의하여 지지된다. In order to adopt a large number of first, second and third receiving
상기 제1,2,3수납홈(111)(112)(113)의 개수는 양념의 종류에 따라 많아지거나 적어질 수 있고, 2개의 수납몸체(110)(110')는 길게 연결되어 1개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number of the first, second and
테이블(120)은, 수납몸체(110)(110')가 지지되는 메인테이블(120a)과, 슬라이더(410)가 대기하는 대기테이블(120b)로 구성된다. 후술할 슬라이더(410)는 대기테이블(120b) 상에서 대기하고 잇다가 메인테이블(120a) 상에서 왕복이송된 후 다시 대기테이블(120b)로 귀환한다. The table 120 includes a main table 120a on which the
슬라이더이송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테이블(120), 더욱 엄밀하게는 대기테이블(120b)과 메인테이블(120a)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더(4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420)과, 슬라이더(410)를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왕복 이송시키는 왕복구동부(430)를 포함한다. 3 and 4, the
슬라이더(410)의 하부측에는 가이드레일(420)이 끼어지는 베어링브라켓(411)이 설치되어 그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된다. A
왕복구동부(430)는 대기테이블(120b) 상에서 대기하고 있던 슬라이더(410)를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메인테이블(120a) 상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왕복이송시킨다. 즉 왕복구동부(430)는 슬라이더(410)의 무게센서(500)에 안착된 계량용기(U)를 메인테이블(120a) 상의 다수의 양념저장공급용기, 더욱 상세하게는 후술할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의 하부측에서 왕복이송시킨다. 이러한 왕복구동부(43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이드레일(420) 사이에서 회전되는 스크류 및 그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슬라이더(410)에 연결되는 벨트를 움직이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The
무게센서(500)는, 슬라이더(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로부터 계량용기(U)로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무게신호는 작동제어부(700)로 전송된다. The
무게센서(500)는, 계량용기(U)로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를 반복적으로 측정하는데, 예를 들면, 특정한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에서 해당 양념이 계량용기(U)로 토출되었을 때 그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1무게신호를 발생하고, 다른 특정한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로부터 해당 양념이 계량용기(U)로 토출되면 그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2무게신호를 발생하며, 또 다른 특정한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로부터 해당 양념이 계량용기(U)로 토출되면 그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제3무게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되는 제1,2,3무게신호는 후술할 작동제어부(700)로 전송된다.The
세팅부(600)는,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토출하고자 하는 양념의 양을 세팅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메뉴 및 양을 선택하기 위한 제1선택버튼(610), 토출시키고자 하는 양념의 종류를 선택하는 다수의 제2선택버튼(620), 선택된 양념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증감버튼(630)등의 다수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1,2선택버튼(610)(620)을 조작하여 특정한 음식 또는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를 선택하고, 증감버튼(630)을 조작하여 토출되는 양념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선택버튼(610)을 조작하여 불고기 3인분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1000)에는 불고기에 해당되는 양념의 목록이 표시되고, 제2선택버튼(620)을 조작하여 취향에 따라 다른 양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증감버튼(630)을 조작하여 토출되는 양념의 양을 세팅할 수 있는 것이다. The
또한 세팅부(600)는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기 전에, 계량용기(U) 자체의 무게를 제로로 만드는 초기화버튼(6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초기화버튼(640)을 채용함으로써, 계량용기의 무게가 다양하더라도 그 계량용기에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The
작동제어부(700)는, 계량용기(U)로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에 따라 무게센서(500)에서 발생되는 제1,2,3 무게신호에 연동되어 세팅부(600)에서 세팅되는 양념의 양만큼 토출될 수 있도록 토출작동부(300), 엄밀하게는 제1,2,3토출작동부(310)(320)(330)를 제어한다. 즉 작동제어부(700)는 무게센서(500)로부터 전송된 제1,2,3무게신호에 연동하여, 세팅부(600)에서 세팅된 양만큼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로부터 양념들이 토출되도록 제1,2,3토출작동부(310)(320)(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The
또한 작동제어부(700)는 세팅부(600)에서 세팅한 값에 연동되어, 무게센서(500)에 안착된 계량용기(U)가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 사이에서 왕복이송되도록 슬라이더이송부(400)를 제어한다. 즉 작동제어부(700)는 슬라이더이송부의 왕복구동부(430)를 조작함으로써, 무게센서(500)가 설치된 슬라이더(410)를 특정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의 사이에서 왕복이송시키는 것이다.The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는 외부에서 입력된 레시피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레시피정보에 따라 작동제어부(700)를 제어한다. 이러한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되는 레시피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810)와, 메모리(810)에 저장된 레시피정보를 선택하는 레시피선택부(820)와, 선택된 레시피정보에 연동되어 작동제어부(700)를 제어하는 레시피제어부(830)를 포함한다. 또한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등으로부터 레시피정보를 수신하는 레시피정보수신부(8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동으로 레시피정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The recipe information
메모리(810)에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공받는 레시피정보가 저장되며, 이러한 레시피정보는 특정 음식을 만들 때 필요한 양념 종류, 양념의 무게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이때 메모리(810)는 레시피정보가 저장된 SD 카드니 USB 카드등과 같은 보조저장정치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레시피선택부(820)는 사용자가 메모리(810)에 저장된 특정 레시피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레시피제어부(830)는 선택된 특정 레시피에 의하여 작동제어부(700)를 제어한다.The
디스플레이(1000)는 상기한 세팅부(600)에서 세팅되는 상황이나, 작동제어부(700)에서 제어되는 상황이나,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에서 반영되는 상황이 표시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00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되어, 각종 조작버튼이 일체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소금, 설탕, 고추가루, 후추가루와 같은 가루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와; 간장, 식초, 기름등과 같은 액상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와; 고추장, 된장과 같은 반죽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seasoning storage and
상기한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는 제1수납홈(111)에 착탈되고,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며,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는 제3수납홈(113)에 착탈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 각각은 8개로 도시되어 있고,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는 2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irst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도 7은 도 5의 제1양념저장공급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는, 가루 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시킨다. 이러한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는, 수납몸체(110)(110')의 제1수납홈(111)에 착탈되는 것으로 양념이 수용되는 제1케이스(211)와, 제1케이스(21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1토출관(212)과, 제1토출관(21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213)와, 제1케이스(21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스크류(213)의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스크류회전단(214)과, 제1토출관(212)의 토출구(212a) 선단에 힌지연결된 것으로서 양념이 토출될 때 열리고 양념이 토출되지 않으면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도어(215)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first season storage and
제1케이스(211)는 저장된 양념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되며, 이에 따라 저장된 양념의 종류 및 저장된 양을 외부에서 알 수 있다. 제1토출관(212)은 제1케이스(211)의 하단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는 개구된 토출구(212a)가 형성된다. 스크류(213)는 제1토출관(212) 내부에서 회전됨으로써, 토출관(212)으로 유입되는 양념을 토출구(212a)로 이송시켜 그 토출구(212a)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게 한다. 스크류회전단(214)은 제1케이스(211)의 후방측에 위치된 것으로서,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가 제1수납홈(111)에 결합될 때, 수납몸체(110)(110') 내측벽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1토출작동부(310)에 결합된다. 도어(215)는 양념이 토출되지 않을 때, 즉 평소에 토출구(212a)를 폐쇄하여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토출구(212a)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크류(213)가 회전되면 제1토출관(212)으로 유입된 양념은 토출구(212a) 측으로 이송되고, 스크류(213)의 회전이 멈추면 양념은 제1토출관(212)으로부터 토출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스크류(213)의 회전이 멈추면 제1토출관(212)을 폐쇄함으로서 외부의 이물질이 제1토출관(2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도 8은 도 5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의 일실시예는, 액상 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시킨다. 이러한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수납몸체(110)(110')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2토출관(222)과, 제2토출관(222)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223)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22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작동단자(224)를 포함한다. As shown, one embodiment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제2케이스(221)는 저장된 양념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되며, 이에 따라 저장된 양념의 종류, 저장된 양을 외부에서 알 수 있다. 제2토출관(222)은 제2케이스(221)의 하단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는 솔레노이드밸브(223)가 설치된다. 솔레노이드밸브(223)는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제2토출관(222)을 개폐하고, 이에 따라 제2토출관(222)으로 유입된 양념을 외부로 토출 또는 차단한다. 제2작동단자(224)는,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수납몸체(110)(110')의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제2수납홈 내측벽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2토출작동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2토출작동부(320)로 인가되는 전원은 제2작동단자(22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밸브(223)로 공급된다.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223)가 작동되면 제2토출관(222)으로 유입된 양념을 토출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223)의 작동이 멈추면 제2토출관(222)을 폐쇄한다. 이때 솔레노이드밸브(223)는 제2토촐관(222)을 폐쇄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제2토출관(22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도 9는 도 5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의 다른 실시예는, 액상 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시킨다. 이러한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수납몸체(110)(110')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노즐(222a')이 형성된 제2토출관(222')과, 케이스(221')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에어펌프(223')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에어펌프(22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작동단자(224')와, 제2케이스(2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양념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이 제2토출관(222')과 연결되며 양념의 상부측에서 굴곡단(225a)을 가지는 유로단(225')을 포함한다. As shown,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seasoned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20 'stores and automatically dispenses liquid spices. The second sauce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20 'includes a second case 221'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제2토출관(222')은 제2케이스(221')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는 양념이 토출되는 노즐(222a')이 설치된다. 에어펌프(223')는 제2케이스(221')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제2케이스(221') 내측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2작동단자(224)는,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수납몸체(110)(110')의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수납몸체 측벽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2토출작동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2토출작동부(320)로 인가되는 전원은 제2작동단자(224')를 통하여 에어펌프(223')로 공급된다. 유로단(225')는 일측이 양념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이 제2토출관(222')와 연결되며 양념의 상부측에 굴곡단(225a)을 가진다. 즉 유로단(225')은 양념 상부측에서 굴곡단(225a)을 형성함으로써, 평소에는 양념이 굴곡단(225a')에 의하여 제2토출관(222')으로 토출되지 않게 되나, 양념의 상부면으로 대기압보다 큰 공기압이 인가되면 양념은 굴곡단(225a')에서 선회한 후 제2토출관(222')으로 흐르게 된다. The second discharge pipe 22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221', and a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에어펌프(223')가 작동되면 케이스(221') 내측의 양념 상부면에 대기압보다 큰 공기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양념은 유로단(225')을 통하여 제2토출관(222') 및 노즐(222a')을 통하여 토출된다.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air pump 223 'is operated, air pressure great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auce inside the case 221', and thus the sauc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222 'and the
그리고 에어펌프(223')의 작동이 멈추면 양념은 굴곡단(225a) 하부측에 위치되면서 양념이 제2토출관(222')으로 더 이상 토출되지 않게 된다. 즉 굴곡단(225a')이 양념의 상부측에 위치되므로, 에어펌프(223')가 멈추어 케이스(223') 내부가 대기압과 동인상태가 되면 양념은 굴곡단(225a')에서 막힌 상태를 유지하여 유로단(225')을 통하여 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pump 223 'is stopped, the seasoning is positioned below the
도 10a 는 도 5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의 또 다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b 는 도 10a 의 작동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0A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structure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5, and FIG. 10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of the operation valve of FIG. 10A.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액상 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시킨다. 이러한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수납몸체(110)(110')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2토출관(222")과, 제2토출관(2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밸브(223")와, 상기 작동밸브(223")의 후방측의 힌지(h)에 결합되어 힌지(h)를 축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토출관(222:)을 개폐하도록 작동밸브(223")를 작동시키는 레버(224")를 포함한다.As shown,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제2토출관(222")은 제2케이스(221")의 하단에 설치되며, 일측 선단에는 양념이 토출되는 노즐(222a")이 설치된다. The
작동밸브(223")는 레버(224")에 의하여 연동되어 제2케이스(221")에 저장된 양념을 제2토출관(222")의 노즐(222a")을 통하여 토출되게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정수기에 설치되는 급수밸브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작동밸브(223")는, 예를 들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토출관(222")에 설치되는 밸브몸체(223a")와, 밸브몸체(223a")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레버(224")에 의하여 가압되는 로드(223b")와, 로드(223b)를 레버(224") 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223c")와, 로드(223b)의 전방에 연결되어 노즐(222a")의 토출공(222b")과 밸브몸체(223a") 사이에서 위치되는 밸브(223d")를 포함한다. The operating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평소 스프링(223c")에 의하여 로드(223b)가 밸브몸체(223a")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밸브(223d")는 노즐의 토출공(222b")를 폐쇄하고 있다. With this structure, the
그리고 후술할 제2토출작동부(320)가 레버(224")를 전방측으로 가압하며 레버(224")는 로드(223b")를 전방측으로 이송시키고, 로드와 연결된 밸브(223d")는 토출공(222b")을 개방한다. 이에 딸 양념은 토출공(222b") 및 노즐(222a")를 통하여 토출된다. The second
도 11은 도 5의 제3양념저장공급용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는, 반죽 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시킨다. 이러한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는, 수납몸체(110)(110')의 제3수납홈(113)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양념이 수용되는 제3케이스(231)와, 제3케이스(23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32)와, 제3케이스(23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3토출관(233)과, 제3케이스(231)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234)과, 덮개(23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피스톤(234)을 제3토출관(233) 측으로 이송시키는 피스톤구동부(235)와, 제3케이스(2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피스톤구동부(23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작동단자(236)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third season storage and
제3케이스(23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며, 상부측에는 덮개(232)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3케이스(231)에는 저장된 양념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윈도우(230a)가 설치되며, 따라서 저장된 양념의 종류, 저장된 양을 외부에서 알 수 있다. 제3토출관(233)은 제3케이스(231)의 하단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저장된 양념이 토출된다. 피스톤(234)은 제3케이스(231) 내주면에 밀착되어 양념을 제3토출관(233) 측으로 가압한다. 피스톤구동부(235)는 제3작동단자(236)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피스톤(234)이 하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피스톤구동부(235)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동식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작동단자(236)는,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가 제3수납홈(113)에 결합될 때, 수납몸체 측벽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3토출작동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제3토출작동부(330)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3작동단자(236)를 통하여 피스톤구동부(235)로 흐르게 된다. The
상기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는 제1,2,3수납홈(111)(112)(113)에서 탈부착 가능하므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를 분리하여 세척이 가능하고, 또한 양념의 보충이 용이하다.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또한 각각의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에 저장된 양을 측정하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센서는 후술할 디스플레이(1000)에 각각의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에 남아있는 양념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에 저장된 양념이 비게 되면, 특정 양념저장공급용기를 보충하라는 경보신호나 멘트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이는 다수의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는 대형화되어 잘 보이지 않는 장소에 설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에 저장된 양념의 양을 확인하기가 어려울 경우 적용될 것이다. Also, a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amount stored in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may be provided. Each sensor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The amount of the seasoning remaining in the storage supply container can be displayed. When the seasoning stor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becomes empty, an alarm signal or an annunciation signal to supplement a specific seasoning storage supply container may be generated. This is becau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uce storage and supply vessels are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y are large and invisible,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amount of sauce stor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uce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도 12는 도 5의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2,3,토출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operation parts for oper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작동부(300)는, 제1수납홈(111)에 결합된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에 저장된 양념이 자동으로 토출되게 하는 다수의 제1토출작동부(310)와; 제2수납몸체(121)에 결합된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에서 저장된 양념이 자동으로 토출되게 하는 다수의 제2토출작동부(320)와; 제3수납몸체(131)에 결합된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에서 저장된 양념이 자동으로 토출되게 하는 다수의 제3토출작동부(330);을 포함한다. The
제1토출작동부(310)는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가 상기 제1수납홈(111)에 결합될 때, 스크류회전단(214)과 결합되어 그 스크류회전단(214)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제1토출작동부(310)는 제1수납홈(111) 내측벽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회전단(214)과 제1토출작동부(31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능한 클러치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제2토출작동부(320)는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제2케이스(22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제2작동단자(224)(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제2작동단자(224)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2토출작동부(320)는 제2수납홈(112) 내측벽에 형성되는 전극 형태로 된다. The second discharging
또한 제2토출작동부(320')는 도 10a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도 10b의 레버(224")를 선택적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제2토출작동부(320')는 레버(224")를 가압하기 위하여 그 레버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돌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돌부는 기어모터에 의하여 전후진하거나, 전자석에 연동되어 전후진 하는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ing operation portion 320 'selectively presses the lever 224' 'of FIG. 10B when the second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container 220' 'of FIG. 10A is engaged with the
제3토출작동부(330)는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가 제3수납홈(113)에 결합될 때, 제3케이스(231)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제3작동단자(2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제3작동단자(236)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제3토출작동부(330)는 제3수납홈(131a) 내측벽에 형성되는 전극 형태로 된다. The third
도 13은 도 1의 수납몸체에 결합되는 양념저장공급용기를 냉장하기 위한 냉장가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ion section for refrigeration of a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coupled to the housing body of FIG. 1;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가동부(900)는, 수납몸체(110)(110')의 수납홈에 결합된 양념저장공급용기(200)를 냉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냉장가동부(900)는, 수납몸체(110)(110')의 소정부에 고정되는 고정블럭(910)과, 고정블럭(910)에 설치되는 열전소자(920)와, 수납몸체(110)(110') 외측에서 고정블럭(910)에 연결되는 방열블럭(930)과, 수납몸체(110)(110') 내측에서 고정블럭(910)에 연결되는 흡열블럭(940)을 포함한다. 이때 수납몸체(110)(110') 내측에는 흡열블럭(940)을 경유하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팬(95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열전소자(920)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열전소자(920)의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냉열에 의하여 흡열블럭(940)은 수납몸체(110)(110')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그 수납몸체(110)(110') 내부를 냉장시키고, 열전소자(920)의 타측면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방열블럭(930)을 통하여 외부로 방열된다. 이때 수납몸체(110)(110') 내부에서 순환팬(950)이 작동하면, 흡열블럭(940)에서 만들어진 냉기는 수납몸체(110)(110') 내부를 순환하면서 수납홈의 내측면을 냉각시키고, 이에 따라 수납홈에 결합된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냉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장가동부(900)는 설치위치에 따라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 모두를 냉장시킬 수도 있고, 특정한 양념저장공급용기를 냉장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rigerated moving part 900 is for refrigerating the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다음, 상기한 양념 자동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easoning automatic feed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14 및 도 15는 도 1에 있어서, 계량용기가 슬라이더에 의하여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14 and 1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in Fig. 1 that the weighing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by the slider.
다양한 종류의 가루형태의 양념은 다수의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에 저장되고, 다양한 종류의 액상형태의 양념은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에 저장되며, 다양한 종류의 반죽형태의 양념은 다수의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에 저장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는 수납몸체의 제1수납홈(111)에 결합되고,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제2수납홈(112)에 결합되며,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는 제3수납몸체의 제3수납홈(113)에 결합된다. Various kinds of powdery seasoning are stored in a plurality of first seasoning storage and
사용자가 세팅부(600)는 조작하여 특정한 음식메뉴 및 그에 해당되는 양념을 특정한 양만큼 토출하도록 세팅한다. 그러면 작동제어부(700)는 슬라이더이송부(400)를 제어하여, 계량용기(U)가 안착된 슬라이더(410)를 특정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 사이에서 왕복이송되도록 한다. The user sets the
이후 계량용기(U)가 특정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의 하부측에 위치되면, 작동제어부(700)는 토출작동부(300)가 특정 양념저장공급용기에서 해당 양념이 계량용기(U)로 토출되도록 작동되게 하고, 토출된 양념의 양에 따라 무게센서(500)에서는 대응되는 특정 무게신호를 발생하여 작동제어부(7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무게센서(500)에 세팅된 무게만큼 양념의 토출이 완료되면, 작동제어부(700)는 특정 양념저장공급용기에서 해당 양념이 더 이상 토출되지 않도록 토출작동부(300)를 제어한다. When the weighing container U is locat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the
이후 작동제어부(700)는 슬라이더이송부(400)를 제어하여 계량용기(U)가 다음 특정 양념저장공급용기로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한 방식을 반복함으로써 계량용기(U)에 양념들이 순차적으로 토출되게 한다.Thereafter, the
한편 사용자가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에 저장된 특정한 레시피를 지정하면,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800)는 저장된 레시피정보에 따라 특정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에서 특정 양념이 계량용기(U)로 토출되도록 작동제어부(700)를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esignates a specific recipe stored in the recipe information
그리고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를 제1,2,3수납홈(111)(112)(113)에서 분리한 후 양념을 보충하거나, 세척을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에서 양념을 보관할 수 있다. After separat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au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자동 공급장치에 따르면,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에 다양한 종류의 양념을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세팅하거나 저장된 레시피정보에 따라 특정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정확히 자동으로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보자라도 맛있는 음식을 요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특정 양념이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토출되므로, 양념을 준비하거나 계량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빠른 시간내에 요리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편리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utomatic seasoning suppl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ore various kinds of seasoning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또한 양념이 저장된 양념저장공급용기를 열지 않아도 되어, 외부의 이물질이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념을 꺼내는 과정에서 다른 종류의 양념이 혼합될 가능성을 배제함으로서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open the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container storing the seasoning,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or air from entering the outside, and avoiding the possibility of mixing other kinds of seasoning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seasoning.
또한 제1,2,3양념저장공급용기(210)(220)(230)를 제1,2,3수납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양념을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다. Also,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asoning storage and
그리고 몸체부(100)에 냉장가동부(900)를 채용함으로써, 양념을 냉장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By using the refrigerating and moving part 900 i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몸체부 110, 110' ... 수납몸체
111, 112, 113 ... 제1,2,3수납홈 120 ... 테이블
120a ... 메인테이블 120b ... 대기테이블
130 ... 지지대
200 ... 양념저장공급용기 210 ... 제1양념저장공급용기
211 ... 제1케이스 212 ... 제1토출관
213 ... 스크류 214 ... 스크류회전단
215 ... 도어
220 ... 제2양념저장공급용기 221 ... 제2케이스
222 ... 제2토출관 223 ... 솔레노이드밸브
224 ... 제2작동단자
220' ... 제2양념저장공급용기 221' ... 케이스
222' ... 토출관 222a' ... 노즐
223' ... 에어펌프 224' ... 제2작동단자
225' ... 유로단 225a' ... 굴곡단
220" ... 제2양념저장공급용기 221" ... 제2케이스
222" ... 제2토출관 222a" ... 노즐
222b" ... 토출공 223" ... 제3작동밸브
223a" ... 밸브몸체 223b" ... 로드
223c" ... 스프링 223d" ... 밸브
224" ... 레버
230 ... 제3양념저장공급용기
231 ... 제3케이스 232 ... 덮개
233 ... 제3토출관 234 ... 피스톤
235 ... 피스톤구동부 236 ... 제3작동단자
300 ... 토출작동부 310, 320, 330 ...제1,2,3토출작동부
400 ... 슬라이더이송부 410 ... 슬라이더
411 ... 베어링브라켓 420 ... 가이드레일
430 ... 왕복구동부 500 ... 무게센서
600 ... 세팅부 610 ... 제1선택버튼
620 ... 제2선택버튼 630 ... 증감버튼
640 ... 초기화버튼 700 ... 작동제어부
800 ... 레시피정보반영제어부 810 ... 메모리
820 ... 레시피선택부 830 ... 레시피제어부
840 ... 레시피정보수신부 900 ... 냉장가동부
910 ... 고정블럭 920 ... 열전소자
930 ... 방열블럭 940 ... 흡열블럭
950 ... 순환팬 1000 ... 디스플레이100 ...
111, 112, 113 ... First, second, and
120a ... main table 120b ... waiting table
130 ... support
200 ... sauce
211 ...
213 ... screw 214 ... screw rotating stage
215 ... Door
220 ... second season sauce
222 ...
224 ... second working terminal
220 '... second season sauce storage supply container 221' ... case
222 '...
223 '... air pump 224' ... second operating terminal
225 '...
220 "... second season sauce
222 "...
222b "...
223a "...
223c "...
224 "... lever
230 ... Third spice storage supply container
231 ...
233 ...
235 ...
300 ...
400 ...
411 ... bearing
430 ... reciprocating
600 ... setting
620 ...
640 ...
800 ... Recipe information
820 ...
840 ... Recipe information receiving unit 900 ... East of refrigerator
910 ... fixed block 920 ... thermoelectric element
930 ...
950 ...
Claims (8)
상기 수납홈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특정 종류의 양념을 저장하고 자동으로 토출하는 다수의 양념저장공급용기(200);
상기 수납몸체의 수납홈에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가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된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양념이 토출되도록 해당 양념저장공급용기를 작동시키는 토출작동부(300);
상기 수납몸체의 하부측에서 상기 테이블(120)을 직선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20)과, 상기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에서 토출되는 양념을 저장하는 계량용기(U)를 지지하는 슬라이더(410)와, 상기 슬라이더(410)를 상기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왕복구동부(430)를 포함하는 슬라이더이송부(400); 및
상기 슬라이더(4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슬라이더(410)에 안착되는 계량용기(U)로 토출되는 양념의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센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A body part 100 composed of a storage body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and a table 12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 lower side of the storage body;
A plurality of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200)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torage grooves for storing and automatically discharging a specific type of seasoning;
A discharge operation part 300 for operating the seasoning storage / supply container so that the seasoning storage / supply container 200 is discharged when the seasoning storage / supply container 200 is coupled to the storage groove of the storage body;
A guide rail 420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storage body in a direction to linearly cross the table 120 and a guide rail 420 which is conveyed along the guide rail 420 to store spices discharged from the seasoning storage / And a reciprocating driving unit 430 reciprocatingly moving the slider 410 along the guide rail 420. The slider 410 includes a slider 410 for supporting the weighing container U, And
And a weight sensor 500 mounted on the slider 410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seasoning discharged to the weighing container U seated on the slider 410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weight signal Automatic seasoning supply.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에서 토출하고자 하는 양념의 양을 세팅하는 세팅부(600); 및
상기 무게센서(500)에서 발생되는 무게신호에 연동되어 상기 세팅부(600)에서 세팅된 양념의 무게만큼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토출작동부(300)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제어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tting unit 600 for setting the amount of the seasoning to be discharged in the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0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700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peration unit 300 so as to be discharged by the weight of the seasoning set in the setting unit 600 in conjunction with a weight signal generated by the weight sensor 500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supply of seasonings is provided.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가루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1수납홈(111)에 착탈되는 것으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1케이스(211)와, 상기 제1케이스(21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1토출관(212)과, 상기 제1토출관(21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213)와, 상기 제1케이스(21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스크류(213)의 회전축과 축결합되는 스크류회전단(214)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1양념저장공급용기(210)가 상기 제1수납홈(111)에 결합될 때, 상기 스크류회전단(214)과 결합되어 그 스크류회전단(214)을 회전시키는 제1토출작동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210) for storing and automatically discharging powdery seasoning;
The first season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10 includes a first case 211 in which the seasoning is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first housing groove 111 of the housing body, A screw 213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discharge pipe 212 and a screw 213 which protrudes to the rear of the first case 211 And a screw rotating stage (214) axially coupl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shaft
The discharging operation part 300 is coupled with the screw rotating end 214 to rotate the screw rotating end 214 when the first seasoning storing and supplying container 210 is coupled 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1. [ And a first discharging operation part (310) for rotating the first discharging operation part (310).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액상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2토출관(222)과, 상기 제2토출관(222)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223)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밸브(22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작동단자(224)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상기 제2작동단자(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2토출작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220 for storing and automatically discharging liquid seasoning spices;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20 includes a second case 221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12 of the housing body and accommodates the seasoning, A solenoid valve 22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discharge pipe 222 and a second solenoid valve 223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ase 221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actuating terminal (2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solenoid valve (223);
The discharge operation par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 terminal 224 to supply power when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20 is coupled 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12 And a second discharge operation part (320).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액상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노즐(222a')이 형성된 제2토출관(222')과, 상기 케이스(221') 내측으로 공기를 유입하는 에어펌프(223')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설치되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펌프(223')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작동단자(224')와, 상기 제2케이스(22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이 양념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이 제2토출관(222')과 연결되며 양념의 상부측에서 굴곡단(225a)을 가지는 유로단(225')을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상기 제2작동단자(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2토출작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soning storage supply contain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easoning storage supply containers 220 'for storing and automatically discharging liquid seasoning spices;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20 'includes a second case 221',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housing recess 112 of the housing body and accommodates the seasoning, and the second case 221 ' A second discharge pipe 222 'formed with a nozzle 222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221 ', an air pump 223'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case 221 ' A second operation terminal 2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pump 223' and a second operation terminal 224 'provided inside the second case 22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222 'and has a curved end 225a at the upper side of the spice;
The discharge operation par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 terminal 224 'when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20' is coupled to the second storage groove 112, And a second discharging operation part (320) for supplying the second discharging operation part (320).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액상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2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2수납홈(112)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2케이스(221")와, 상기 제2케이스(22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관형의 제2토출관(222")과, 상기 제2토출관(2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작동밸브(223")와, 상기 작동밸브(223")의 후방측의 힌지(h)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h)를 축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제2토출관(222")을 개폐하도록 상기 작동밸브(223")를 작동시키는 레버(224")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2양념저장공급용기(220")가 상기 제2수납홈(112)에 결합될 때, 상기 레버(224")를 가압하기 위하여 그 레버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돌부를 포함하는 제2토출작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soning storage supply contain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easoning storage supply containers 220 "for storing and automatically discharging liquid seasoning spices;
The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20 "includes a second case 221",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12 of the housing body and accommodates the seasoning, and a lower case 221 " A second discharge pipe 222 "form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valve 223", a second discharge pipe 22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ration valve 223", a second discharge pipe 222 " (224 ") operable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discharge pipe (222") as it is pivoted about the hinge (h)
The discharging operation portion 300 is provided with a valve mechanism for opening or closing the lever 224 "to push the lever 224 " when the second seasoning storage supply container 220" is engaged with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12 And a second discharging operation part (320 ') including a protruding part which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art for carrying out the automatic discharging operation.
상기 양념저장공급용기(200)는 반죽형태의 양념을 저장 및 자동 토출하는 다수의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는, 상기 수납몸체의 제3수납홈(113)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양념이 수용되는 제3케이스(231)와, 상기 제3케이스(231)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232)와, 상기 제3케이스(231)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3토출관(233)과, 상기 제3케이스(231)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234)과, 상기 덮개(23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234)을 상기 제3토출관(233) 측으로 이송시키는 피스톤구동부(235)와, 상기 제3케이스(231)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피스톤구동부(23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작동단자(236)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작동부(300)는, 상기 제3양념저장공급용기(230)가 상기 제3수납홈(113)에 결합될 때, 상기 제3작동단자(2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2토출작동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자동 공급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s 230 for storing and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dough-shaped seasoning;
The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30 includes a third case 231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ird housing recess 113 of the housing body and accommodates the seasoning, A third discharge pipe 23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ird case 231, a piston 234 provided inside the third case 231, A piston driving part 235 which is installed in the second case 232 and transfers the piston 234 to the third discharge pipe 233 and a second case 231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hird case 231 and supplies power to the piston driving part 235 And a third actuating terminal (236) for supplying the second actuating terminal (236);
The discharge operation par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operation terminal 236 to supply power when the third seasoning storage and supply container 230 is coupled to the third storage recess 113 And a second discharge operation part (3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310A KR101552084B1 (en) | 2015-03-25 | 2015-03-25 |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1310A KR101552084B1 (en) | 2015-03-25 | 2015-03-25 |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2084B1 true KR101552084B1 (en) | 2015-09-09 |
Family
ID=5424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13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2084B1 (en) | 2015-03-25 | 2015-03-25 |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2084B1 (en)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0386A (en) * | 2017-03-29 | 2018-10-10 | 신주성 | Food source feeder |
KR20180110387A (en) * | 2017-03-29 | 2018-10-10 | 신주성 | Spices supply |
CN108946200A (en) * | 2018-05-04 | 2018-12-07 | 兰州理工大学 | A kind of control device for steel silo cloth |
KR20190000012U (en) * | 2017-06-23 | 2019-01-03 | 손성근 |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
KR102050468B1 (en) * | 2018-06-21 | 2019-11-29 | 조병래 | Discharging Device For Powder Type Seasoning |
KR20190143764A (en) * | 2018-06-21 | 2019-12-31 | 조병래 | A Spice Suppl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Seasoning Dispensing Apparatuses Are Interlocked |
CN110652236A (en) * | 2018-06-29 | 2020-01-07 |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 Seasoning rack |
CN113666135A (en) * | 2020-10-29 | 2021-11-19 | 湖南省博世康中医药有限公司 | Automatic medicine taking device |
KR102360350B1 (en) * | 2020-09-09 | 2022-02-09 |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 Apparatus for supplying raw material |
KR102393530B1 (en) * | 2021-06-29 | 2022-05-06 | 주식회사 파인테이블 | Making method for apricot balsamic vinegar |
WO2024128758A1 (en) * | 2022-12-14 | 2024-06-20 | 만다린로보틱스 주식회사 | Dispenser capable of supplying liquid source and powder sour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3423Y1 (en) * | 1996-05-21 | 1999-06-15 | 성재갑 | Weighing container |
-
2015
- 2015-03-25 KR KR1020150041310A patent/KR1015520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3423Y1 (en) * | 1996-05-21 | 1999-06-15 | 성재갑 | Weighing container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8284B1 (en) * | 2017-03-29 | 2019-08-07 | 주식회사 케이원 | Food source feeder |
KR20180110387A (en) * | 2017-03-29 | 2018-10-10 | 신주성 | Spices supply |
KR102008288B1 (en) * | 2017-03-29 | 2019-10-21 | 주식회사 케이원 | Spices supply |
KR20180110386A (en) * | 2017-03-29 | 2018-10-10 | 신주성 | Food source feeder |
KR20190000012U (en) * | 2017-06-23 | 2019-01-03 | 손성근 |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
KR200489146Y1 (en) * | 2017-06-23 | 2019-05-07 | 손성근 | Automatic seasoning dispenser |
CN108946200A (en) * | 2018-05-04 | 2018-12-07 | 兰州理工大学 | A kind of control device for steel silo cloth |
KR102050468B1 (en) * | 2018-06-21 | 2019-11-29 | 조병래 | Discharging Device For Powder Type Seasoning |
KR20190143764A (en) * | 2018-06-21 | 2019-12-31 | 조병래 | A Spice Suppl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Seasoning Dispensing Apparatuses Are Interlocked |
KR102140987B1 (en) * | 2018-06-21 | 2020-08-04 | 조병래 | A Spice Supply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Seasoning Dispensing Apparatuses Are Interlocked |
CN110652236A (en) * | 2018-06-29 | 2020-01-07 |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 Seasoning rack |
KR102360350B1 (en) * | 2020-09-09 | 2022-02-09 |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 Apparatus for supplying raw material |
CN113666135A (en) * | 2020-10-29 | 2021-11-19 | 湖南省博世康中医药有限公司 | Automatic medicine taking device |
KR102393530B1 (en) * | 2021-06-29 | 2022-05-06 | 주식회사 파인테이블 | Making method for apricot balsamic vinegar |
WO2024128758A1 (en) * | 2022-12-14 | 2024-06-20 | 만다린로보틱스 주식회사 | Dispenser capable of supplying liquid source and powder sour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2084B1 (en) |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 |
CN109475247B (en) | Automatic meal production system and equipment | |
KR101233092B1 (en) | Spice feeding apparatus of food-making system using internet | |
US9820615B2 (en) | Automatic dosing device | |
US10064521B1 (en) | Automated multi-dish cooking machine | |
US5404796A (en) | Apparatus for providing french fried potatoes | |
US1074355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food patty | |
AU2005311484B2 (en) | Beverage dispenser with additive dispensing | |
KR20130065745A (en) | Spice supply apparatus of internet interlock cooking aid system | |
KR20190104070A (en) | System and method for incorporating trace ingredient distribution functions in a bulk ingredient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 |
CN106805814B (en) | Automatic seasoning discharging device | |
US20040026447A1 (en) | Any protein and energy powder supplement cold dispensing coin operated vending machine | |
US20170039797A1 (en) | Smoothie Delivery Vending System | |
US20140212566A1 (en) | Frozen drink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frozen drinks | |
JPH024697A (en) | Post-mixing juice distributing system | |
JPH01315325A (en) | Post-mixing juice preparing system | |
US20190062138A1 (en) | Beverage delivery vending system | |
KR101462045B1 (en) | Food spice automatic supply apparatus and application executing method of device thereof | |
EP2447644A2 (en) | Beverage-making insert with built-in water bypass | |
KR101512942B1 (en) | Automatic spice feeding apparatus | |
KR102715860B1 (en) | Device for the automatic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and method of offering and/or selling such a food product | |
CN110720828A (en) | Cooking machine | |
US1216201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grinding a food product | |
US20020152896A1 (en) | Apparatus and system for vending pasta and sauce with powdered sauce | |
JPH0198097A (en) | Vending machine for hot french fried potat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3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