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2000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000B1
KR101552000B1 KR1020120131217A KR20120131217A KR101552000B1 KR 101552000 B1 KR101552000 B1 KR 101552000B1 KR 1020120131217 A KR1020120131217 A KR 1020120131217A KR 20120131217 A KR20120131217 A KR 20120131217A KR 101552000 B1 KR101552000 B1 KR 10155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stand
back cover
shap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64182A (en
Inventor
윤승현
박충석
류인근
성재현
이재기
남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000B1/en
Priority to US13/711,408 priority patent/US9711752B2/en
Priority to CN201410319171.0A priority patent/CN104091523B/en
Priority to EP14002354.0A priority patent/EP2790240A1/en
Priority to CN201280043401.4A priority patent/CN103814403B/en
Priority to EP12861035.9A priority patent/EP2737471B1/en
Priority to DE202012013225.3U priority patent/DE202012013225U1/en
Priority to PCT/KR2012/010857 priority patent/WO2013094933A1/en
Priority to US14/163,776 priority patent/US20140140023A1/en
Priority to US14/276,778 priority patent/US9320138B2/en
Publication of KR20140064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1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000B1/en
Priority to US15/091,127 priority patent/US9608231B2/en
Priority to US15/612,345 priority patent/US10181575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며 좌우 양 끝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지는 백 커버; 상기 곡면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백 커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 커버의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백 커버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탠드와, 일단이 상기 스탠드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 또는 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는 스탠드 서포터를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enhancing a feeling of immersion of a user, including a flat panel display module; A back cover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 curved shape with both left and right ends projecting forward;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back cover so that the curved shape is maintained. The display module is ben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ack cover. The fixing part includes a plate coupled to the back of the back cover, And a stand support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ta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ack of the plate or the back cover.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PDP),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display devices. Display) have been studied and used.

또한, 최근에는 입체 영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환경 및 기술에서도 입체 영상 기술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 문헌>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023676호
In addition, various studies on stereoscopic imag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and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has become more common and practical in various other environments and technologies as well as computer graphics.
&Lt; Related Prior Art Literature >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023676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a user's immersion fee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백커버의 배면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미들 커버;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휘어진 형상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가 다수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바는 적어도 2회 절곡되는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바의 절곡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치면에 놓이는 스탠드와, 일단이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연결되는 스탠드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는 다수 개가 간격을 두어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바는 다수 개가 간격을 두어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곡률 반경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양 측단부가 중심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module having a curved surface shape and outputting an image; A back cover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 shape bent along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plate member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having a shape bent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A middle cover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back cover; And a fixing ba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o maintain a bent shape of the plate member, wherein the fixing bar has a longitudinal section shape bent at least twice so that the fixing ba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olded surfaces, The folding line of the fixing bar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fixing bar coupled to the plate member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nd plac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and a stand support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ate member.
And a plurality of the fixing bars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space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the fixing ba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plate member.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plate member is larger than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display module.
The displa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display module are round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projected for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형상의 백 커버를 이용해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이 일정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함으로써, 3D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display module is bent to have a certain curvature by using the curved back cover, thereby enhancing the user's immersion feeling when viewing various images such as 3D.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의 형상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6은 고정 바아가 다른 형태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고정 바아가 또 다른 형태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고정 바아가 또 다른 형태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of a displa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of a displa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ack surfa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Fig.
6 is a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in which the fixing bars are coupled in different forms.
7 is a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in which the fixing bar is combined in another form.
8 is a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unit in which the fixing bar is combined in another form.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를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may be mor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3 and 4,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 including a display module 11 and a back cover 12, ) To maintain the bent state.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에 대해 설명한 뒤, 도3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고정부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ck cover 12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the fix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형상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module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를 이용한 OLED 패널로서,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and may have a curved surface shape having a certain curvature R.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면 형상은 사용자의 시청 위치(P)와 패널의 전면 사이의 거리들(d1, d2, d3)이 동일 또는 유사한 값을 가지도록 상기 곡률(R)이 정해질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상기 정해진 곡률(R)에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curved surfac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1 is determined such that the curvature 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uch that distances d1, d2, and d3 between the viewing position P of the use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have the same or similar values. And the display module 11 may have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curvature R. [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3D 영상의 시청시 사용자의 몰입감이 상기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곡면 형상에 의해 크게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user when view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 Particularly, when the 3D image is viewed, the user's immersion feeling is greatly improved by the curved surfac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11 as described above .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기능성 박막 형태의 유기 발광층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양극에서 정공이 주입되고 음극에서 전자가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 내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이 형성되고 이 엑시톤이 발광 재결합하면서 빛을 내는 소자이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 the form of a functional thin film is inserted between an anode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and holes are injected from the anode and electrons are injected from the cathode, And holes are combined to form an exciton, and the exciton emits light while recombining light.

풀컬러(Full Color)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독립 발광 방식, 컬러 필터(Color Filter) 방식, 색변환 방식 등이 있다. 독립 발광 방식은 R, G, B 각각의 발광 재료를 정교하게 패턴이 되어있는 메탈 새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열증착을 함으로써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컬러 필터 방식은 백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R, G, B 컬러 필터를 패터닝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색변환 방식은 청색 발광층을 형성하고 청색을 녹색과 적색으로 변화하는 색변환층을 사용하여 R, G, B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As a method of implementing a full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ere are an independent light emitting method, a color filter method, and a color conversion method. In the independent light emission method, R, G, and B are implemented by performing thermal deposition using a metal shadow mask in which light emitting materials of R, G, and B are precisely patterned. In the color filter method, R, G, and B are implemented by forming a white light emitting layer and patterning R, G, and B color filters. In the color conversion method, R, G, and B are implemented using a color conversion layer in which a blue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and a blue color is changed to green and 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1)은 곡률이 0에 가까운 값을 가지는 평평한 형상의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은 곡면 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휘어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일정 곡률(R)을 가지는 곡면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dule 11 may be a flat-shaped display module 11 having a curvature close to zero, and the flat panel display module 11 may have a curved shape It can be curved by a separate frame and maintained in a curved shape having a certain curvature 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단면도로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1)이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 커버(12)가 양 끝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2 (a), the display module 11 is a flat panel display module 11 and includes a back cover 12 (see Fig. 2 (a)) disposed at the back of the display module 11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both ends protruding forward.

도 2의 (c)를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을 가지는 백 커버(12)가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은 상기 백 커버(12)의 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2C, the back cover 12 having a curved shape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11, so that the display module 11 has the curved shape of the back cover 12 As shown in Fig.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이외에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한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module 11 and a back cover 12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various components.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 커버(1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백 커버(12)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백 커버(12)의 곡면 형상이 유지됨에 따라 전방의 디스플레이 모듈(11)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일정 곡률(R)을 유지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back cover 12 so that the back cover 12 maintains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2, As the curved surface shape is maintained, the front display module 11 can maintain a certain curvature 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백 커버(12)는 디스플레이 모듈(11)의 후방에 결합되는 단일의 판상의 부재로서, 전방을 향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CFRP(Carbon Fiber-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ck cover 12 is a single plate-like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display module 11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be bent forward. For example,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그러나, 상기 백 커버(12)가 반드시 단일의 판상의 부재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판상의 부재 또는 복수의 판상의 부재에 다른 구성이 결합된 어셈블리로 이해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back cover 12 is not necessarily made of only a single plate-like member, but may be understood as an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members or a plurality of plate-like members are combined with another structure.

이하,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백 커버(12)의 곡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3 to 5,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for maintaining the curved shape of the back cover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surface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and FIG. 5 is a plan view of FIG.

상기 고정부는,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플레이트(6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세워진 채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탠드(620)와, 상기 스탠드(620)와 상기 플레이트(610)를 연결하는 스탠드 서포터(640)와, 상기 플레이트(610)의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 바아(630)를 포함한다.The fixing unit includes a plate 61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0, a stand 620 supporting the display unit 10 from below to support the display unit 10 standing up, A stand supporter 640 for connecting the plate 610 and a fixing bar 630 coupled to the rear of the plate 610.

이들 각각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플레이트(61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백 커버(12)의 배면에 부착된다. First, the plate 6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12.

상기 스탠드(6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스탠드(620)는 중앙 부분이 후방으로 후퇴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62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 또는 상기 플레이트(610) 사이의 거리는, 중앙 부분에서 더 멀고, 좌우 방향 단부에서 더 가깝다.The stand 620 is provided below the display unit 10. The stand 620 has a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retracted rearward.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stand 620 and the display portion 10 or the plate 610 is farther from the center portion and closer to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예컨대, 상기 스탠드(620)는 좌우 양단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되고, 중앙 부분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휘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tand 620 may protrude forward toward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ends, and the center portion may be bent in a shape such that it relatively retracts backward.

이 경우, 상기 스탠드(620)가 휘어진 정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가 휘어진 정도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즉, 상기 스탠드(620)의 곡률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곡률보다 더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extent to which the stand 620 is warped may be larger than the degree to which the display unit 10 is warped. That is, the curvature of the stand 620 may be larger than the curvature of the display unit 10.

스탠드(620)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 인해, 상기 스탠드(620)는, 좌우 방향 끝단 부근의 일 지점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좌우 방향 끝단 부근의 일 지점과 결합되며, 중앙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후방으로 이격된다.Since the stand 620 has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and 620 has one point near the left and right ends coupled with a point near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splay unit 10, Ar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display unit 10.

한편, 상기 스탠드(62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620)는 합성 수지를 사출하여 만들 수 있다.Meanwhile, the stand 620 may have a rounded shape as a whole. Also, the stand 620 can be made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스탠드 서포터(640)는 상기 스탠드(620)와 상기 플레이트(6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 및 상기 플레이트(610)가 휘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and supporter 640 is coupled to the stand 620 and the plate 610 so that the display unit 10 and the plate 610 can maintain a curved shape.

즉, 휘어진 상기 플레이트(610)의 중앙 부분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휘어진 디스플레이부(10)가 플랫(flat) 상태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6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That is, it functions to fix the plate 610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urved plate 610 moves forward and prevents the display unit 10, which is curved, from spreading in a flat state.

이를 위해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대략 상하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결합부(641)와, 상기 플레이트(610) 결합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스탠드 결합부(642)를 포함한다.The stand supporter 640 includes a plate engaging portion 641 extending substantially vertically and vertically and a stand engaging portion 64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late 610 and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toward the rear ).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상하로 복수개 구비된다. 이 관통공은 상기 플레이트(610)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된다.The plate engaging portion 64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vertically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The through hole is a hole through which the bolt passes for coupling with the plate 610.

따라서,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610)와 면접촉 하며, 상기 플레이트(610) 중앙 부분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는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The stand supporter 64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late 610 through the plate engaging portion 641 and restricts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610. [ At this time, the plate coupling portion 641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12.

한편,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의 하단에는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642a)가 구비되며, 이 수평 연장부(642a)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642b)이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이 관통공(642b)은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와 상기 스탠드(620)의 결합을 위해 볼트가 통과하는 구멍이 된다.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642a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rea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tand coupling portion 642. A through hole 642b formed in the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642a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 642b is a hole through which the bolt passes for coupling the stand supporter 640 and the stand 620. [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641)와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는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고 강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engaging portion 641 and the stand engaging portion 642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can be formed of a highly rigid metal which hardly causes elastic deformation.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정열되며,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스탠드 서포터(640)에 비해 좌우 방향 가장자리쪽에 가깝게 위치하는 스탠드 서포터(640)의 전후 방향 길이가 더 짧아질 수 있다.A plurality of stand supporters 640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stand supporter 640 located closer to the left and right edges than the stand supporters 640 located at the center can be further shortened.

예컨대,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는 좌우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앙 쪽에 2개, 사이드 쪽에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중앙 쪽에 배치되는 스탠드 서포터(640)에 비해 사이드 쪽에 구비되는 스탠드 서포터(640)의 전후 방향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의 길이를 더 짧게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스탠드 결합부(642)의 경사를 보다 수직에 가깝도록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tand supporter 64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tand 640 in the center and two on the side of the stand supporter 640. In this case, the stand supporter 640 may include a stand supporter 640 The length of the stand coupling portion 642 may be shorter or the inclination of the stand coupling portion 642 may be mor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have.

한편, 상기 플레이트(610)의 상단 부근 후방에는 고정 바아(63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 바아(63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 강성을 갖는 부재로서, 플레이트(610)가 휘어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 바아(630)는 예를 들면, 티타늄 또는 탄소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fixing bar 63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plate 610. The fixing bar 630 is a member having a high rigidity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serves to fix the plate 610 so as to maintain the bent shape. The fixing bar 630 may be made of, for example, titanium or carbon steel.

이를 위해, 상기 고정 바아(630)는, 상기 플레이트(610) 및 디스플레이부(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즉, 좌우 방향 단부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되고,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For this, the fixing bar 630 ha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te 610 and the display unit 10. In other words, it has a shape such that it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towar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end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relatively backward.

이때, 상기 고정 바아(630)는 전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전면만이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휘어지고 후면은 휘어짐이 없는, 전체적으로는 직선 형태을 갖는 바아 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bar 630 may have a curved shape as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fixing bar 630 may be a bar having a curved shape as a whole and a curved rear surface without curving.

상기 고정 바아(630)는 스크류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이트(6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ing bar 630 may be coupled to the plate 610 using a screw bolt.

한편, 도면 부호 650은 플레이트(620)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650)로서, 상기 스탠드 서포터(640)의 플레이트 결합부(641)는 상기 리어 커버(650)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620)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백 커버(12)의 배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Reference numeral 650 denotes a rear cover 650 coupled to the rear of the plate 620. The plate coupling portion 641 of the stand supporter 64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650, Or may be coupled to the backside of the plate 620. Further, it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12.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고정부에 의해 휘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몰입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isplay unit 10 can be maintained in a bent state by the fixing unit, and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user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고정 바아(630)는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xing bar 630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S. 6 to 8.

도6 내지 도8은 고정 바아가(630)가 각각 다른 형태로 다른 위치에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다.Figs. 6-8 illustrate the back side of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ixed bars 630 are applied in different positions, respectively, in different forms.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바아(63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백 커버(12)의 배면 상단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바아(630)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도 있으며, 복수개의 고정 바아(630)가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6, the fixing bar 630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12.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fixing bars 630 may be plural, and the plurality of fixing bars 630 may be arranged vertically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도7을 참조하면, 고정 바아(630)는 서로 교차하는 2개의 대각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어느 하나의 고정 바아(630)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서 좌측 상단부터 우측 하단까지 연장되며, 다른 하나의 고정 바아는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서 우측 상단부터 좌측 하단까지 연장된다.Referring to FIG. 7, the fixed bar 630 may be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in two diagonal lin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One of the fixed bars 630 extends from the left upper end to the lower right en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and the other fixed bar extends from the right upper end to the lower left en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도8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 바아(630)는 복수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결합되며, 그 중 일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나머지 일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plurality of the fixing bars 630 are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and some of the fixing bars 630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s thereof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9 내지 도12는 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9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고정부는 고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미들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9 to 12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portion. 9 to 12, the fix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middle cover made of a highly rigid material.

도9는 미들 커버(71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단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middle cover 710 is applied, showing a top part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미들 커버(710)는,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의 사이에 일부가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티타늄 또는 탄소강등의 강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 및 백 커버(12)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미들 커버(710)는 전체적으로 좌우 양단이 상대적으로 전방쪽으로 돌출되고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The middle cover 710 is coupled to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ck cover 12 so as to be positioned therebetween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such as titanium or carbon steel, (12) can be maintained in a bent state. To this end, the middle cover 710 has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iddle cover 710 are relatively protruded forward and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bent so as to protrude relatively rearward.

상기 미들 커버(7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과 백 커버(12)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711)와, 상기 삽입부(711)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711)의 연장 방향과 대략 수직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커버부(712)를 포함한다.The middle cover 710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711 insert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11 and the back cover 12 and a cover 711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711, And an end cover portion 71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상기 단부 커버부(712)의 외측면은 디스플레이부(10)의 외측 단부를 감싸는 부분으로, 미려환 외관을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은 삽입부(711)를 기준으로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end cover portion 712 may surround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10 and may be rounded to have a rounded outer appearance. The rear portion can be formed to be stepped.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가장자리에는 전후 방향 중앙 부분에 상기 삽입부(711)가 삽입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0)의 가장자리에서 전후 방향 중앙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홈을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space through which the insertion portion 711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portion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at is, a part of the cent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display unit 10 may be recessed inward to form a groove.

상기 홈은, 백 커버(12)의 가장자리에서 전후 방향 폭이 좁게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백 커버(12)의 전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며, 단차진 부분이 상기 삽입부(711)가 삽입되기 위한 홈이 될 수 있다.The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e edge of the back cover 12. [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cover 12 is formed to be stepped, and the stepped portion can be a groove for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711.

한편, 상기 미들 커버(7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상측 단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하 좌우 방향 단부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상기 미들 커버(710)가 디스플레이부(1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전방을 향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휘어짐 없이 직선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들 커버(710)는 디스플레이부(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단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기능도 함께 갖고 있기 때문에, 휘어짐 없이 좌우 양단에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The middle cover 710 may be provided only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10,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r at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middle cover 710. [ 710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display unit 10, they may have a shape bent toward the front, and when they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0, they may have a shape extending straight without warping. The middle cover 710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display unit 10 so as to protect the end of the display unit 10 and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unit 10. Therefore, It is.

한편, 상기 미들 커버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The middle cover may be modified as shown in FIGS. 10 to 12.

도10은 미들 커버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middle cover.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 커버(7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721)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커버부(722)와, 상기 단부 커버부(722)의 전단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삽입부(721)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723)를 포함한다.10, the middle cover 720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721 to be inserted into the display portion 10, and a middle cover 720 coupled to the outer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front- And a front extended portion 723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insertion portion 721 i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end cover portion 722. [

도9에 도시된 예와 비교할 때, 전방 연장부(723)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Compared to the example shown in Fig. 9,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except that the forward extension portion 723 is provided, so that repetitiv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전방 연장부(723)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더욱 큰 힘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디스플레이부(10)의 단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Since the forward extension 723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er force that can fix the warped state of the display unit 10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through the end of the display unit 10 The effect can also be obtained.

도11은 미들 커버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middle cover.

도11을 참조하면, 상기 미들 커버(730)는, 상기 미들 커버(7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삽입되는 삽입부(731)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의 연장방향과 대략 수직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 커버부(732)와, 상기 단부 커버부(732)의 후단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삽입부(721)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733)를 포함한다.11, the middle cover 730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731 to be inserted into the display portion 10, a middle cover 730 coupled to the oute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rear extension portion 733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insertion portion 721 inwardly from a rear end of the end cover portion 732. The rear cover portion 732 extends in the front- .

도9에 도시된 예와 비교할 때, 후방 연장부(733)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9, except that the rear extension portion 733 is provided, the repetitiv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상기 후방 연장부(733)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더욱 큰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Since the rear extension portion 733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greater force that can fix the warped state of the display unit 10. [

도12는 미들 커버(7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 커버(12)에 리브(12a)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rib 12a is provided on a back cover 12 coupled to the rear of the middle cover 710. As shown in FIG.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백 커버(12a)의 가장자리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리브(12a)가 구비되며, 상기 리브(12a)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리브(12a)는 백 커버(12)가 리브(12a)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가 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더욱 큰 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2에 도시된 예에서, 리브(12a)를 제외한 다른 모든 구성은 도9를 통해 설명한 예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12, a rib 12a protruding rearward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back cover 12a, and the rib 12a is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rib 12a serves to prevent the back cover 12 from being de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ib 12a and to prevent the display portion 10 from being bent The more power you have, the more you can get.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2, all other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rib 12a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xampl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so repetitiv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였으나, 도 3 내지 도 12는 디스플레이부(10)의 휘어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의 구성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3 내지 도12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여러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3 to 12 illustrate a configuration of the fixing unit for fixing the warped state of the display unit 10 to the center (center) of the display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 디스플레이부 11: 디스플레이 모듈
12: 백 커버 12a: 리브
610: 플레이트 620: 스탠드
630: 고정 바아 640: 스탠드 서포터
641: 플레이트 결합부 641a: 관통공
642: 스탠드 결합부 642a: 수평 연장부
642b: 관통공 650: 리어 커버
710, 720, 730: 미들 커버 711, 721, 731: 삽입부
712, 722, 732: 단부 커버부 723: 전방 연장부
733: 후방 연장부
10: display part 11: display module
12: back cover 12a: rib
610: Plate 620: Stand
630: Fixed bar 640: Stand supporter
641: plate engaging portion 641a: through hole
642: stand coupling portion 642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642b: through hole 650: rear cover
710, 720, 730: middle cover 711, 721, 731:
712, 722, 732: an end cover portion 723:
733: rear extension

Claims (13)

곡면 형상을 가지며,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 부착되며, 상기 백커버의 배면을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 부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백커버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미들 커버;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휘어진 형상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가 다수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바는 적어도 2회 절곡되는 종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고정바의 절곡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바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배면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module having a curved surface shape and outputting an image;
A back cover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display module and having a shape bent along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 plate member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and having a shape bent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cover;
A middle cover at least partially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and the back cover;
And a fixing ba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to maintain the bent shape of the plate member,
Wherein the fixing bar has a longitudinal section shape bent at least twice so that the fixing bar has a plurality of folded surfaces, the folding line of the fixing bar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module,
Wherein the fixing bar coupled to the plate member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설치면에 놓이는 스탠드와,
일단이 상기 스탠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플레이트 부재에 연결되는 스탠드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and on the mounting surface,
And a stand support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ta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ate memb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다수 개가 간격을 두어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xing bars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space therebetween.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다수 개가 간격을 두어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Wherein a plurality of the fixing ba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a space therebetwe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ar cover covering at least a part of the plat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곡률 반경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plate member is larger than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displa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양 측단부가 중심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module is rounded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display module protrude for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KR1020120131217A 2011-12-19 2012-11-19 Display apparatus Active KR101552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17A KR101552000B1 (en) 2012-11-19 2012-11-19 Display apparatus
US13/711,408 US9711752B2 (en) 2011-12-19 2012-12-11 Display apparatus
PCT/KR2012/010857 WO2013094933A1 (en) 2011-12-19 2012-12-13 Display apparatus
CN201280043401.4A CN103814403B (en) 2011-12-19 2012-12-13 Display device
EP12861035.9A EP2737471B1 (en) 2011-12-19 2012-12-13 Display apparatus
DE202012013225.3U DE202012013225U1 (en) 2011-12-19 2012-12-13 display
CN201410319171.0A CN104091523B (en) 2011-12-19 2012-12-13 Display device
EP14002354.0A EP2790240A1 (en) 2011-12-19 2012-12-13 Display apparatus
US14/163,776 US20140140023A1 (en) 2011-12-19 2014-01-24 Display apparatus
US14/276,778 US9320138B2 (en) 2011-12-19 2014-05-13 Display apparatus
US15/091,127 US9608231B2 (en) 2011-12-19 2016-04-05 Display apparatus
US15/612,345 US10181575B2 (en) 2011-12-19 2017-06-02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217A KR101552000B1 (en) 2012-11-19 2012-11-19 Display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871A Division KR101663428B1 (en) 2015-07-28 2015-07-28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82A KR20140064182A (en) 2014-05-28
KR101552000B1 true KR101552000B1 (en) 2015-09-09

Family

ID=5089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217A Active KR101552000B1 (en) 2011-12-19 2012-11-19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00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548B1 (en) * 2014-06-20 2015-10-02 김묘라 module base for curved tv and the manufacturing methoe thereof
KR102552317B1 (en) 2015-10-23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676A (en)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Display-adjus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20281367A1 (en) * 2010-07-12 2012-11-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Non-Flat Panel Display Module and Back Frame Support Stru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3676A (en)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Display-adjus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20281367A1 (en) * 2010-07-12 2012-11-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Non-Flat Panel Display Module and Back Frame Support Stru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82A (en)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428B1 (en) Display apparatus
US10181575B2 (en) Display apparatus
US10359817B2 (en) Display device
US8827472B2 (en) Display apparatus, optical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member
KR102715417B1 (en) Display device
CN104392670B (en) Unit display screen, spliced display screen and display device
US9301411B2 (en) Display device using sandwich honeycomb panel
KR102557654B1 (en) Display device
US20190029129A1 (en) Display device
EP2682839A2 (en) Display apparatus
US10665814B2 (en) Display device with slidable cover
KR101552000B1 (en) Display apparatus
KR20180011447A (en) Display device
KR102547734B1 (en) Display device
KR102513104B1 (en) Multivision frame assembly
JP2013069544A (en) Connector and integral molding
TW201305637A (en) Light-emitting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US20130128592A1 (en) Reflector Plate and Backlight System
KR20140095316A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50058990A (en) Rear cov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638987B1 (en) Mold frame for a large display device
CN105491917A (en) Groove and tongue system for a shelving wall of a shelving system
JP2004177881A (en) Combination type display device, plane display panel, light blocking part constituting means, and method for combining plane display panel
KR101484612B1 (en) Sign channel mounting frame
KR20160149080A (en) Curv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2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7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4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4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10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