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1129B1 -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129B1
KR101551129B1 KR1020140161903A KR20140161903A KR101551129B1 KR 101551129 B1 KR101551129 B1 KR 101551129B1 KR 1020140161903 A KR1020140161903 A KR 1020140161903A KR 20140161903 A KR20140161903 A KR 20140161903A KR 101551129 B1 KR101551129 B1 KR 10155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human body
high frequency
insulating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철희
임석원
Original Assignee
원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철희 filed Critical 원철희
Priority to KR102014016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1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1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관절과 같이 굴곡진 신체 부위에 맞도록 밀착성을 향상시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고주파 치료를 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고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통해 인체 부위에 대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절연 전극부, 및 상기 절연 전극부에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제어하는 고주파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로서, 상기 고주파 제어기는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절연 전극부가 인체의 굴곡진 부위에 따라서 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되는 고주파를 효율적으로 인체 부위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 부위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전력을 절연 전극부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면서도 최대의 효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체 부위마다 다른 공진주파수에 맞춰 실시간으로 공급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인체 부위에 맞춰진 알맞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를 팔과 다리과 같이 원통형의 부위에서 감아서 절연 전극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인체 부위의 바깥으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심부열 발생을 최대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HIGH-FREQUENCY THERAPY DEVICE USING FEEDBACK CIRCUIT AND FLEXIBLE ELECTRODE}
본 발명은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관절과 같이 굴곡진 신체 부위에 맞도록 밀착성을 향상시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되는 고주파를 발생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고주파 치료를 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치료는 인체에 직접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병을 치료하는 전기요법을 가리킨다.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치료는 평류전기, 감응전기 및 교류전기의 세 종류의 전기가 있으며,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의 세기,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인가되는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치료장치와 저주파 치료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저주파 치료장치는 수 Hz 내지 1,00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고주파 치료장치는 10,000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인체의 특정부위를 치료하여 왔다.
이중에서, 특히 고주파 치료장치는 인체의 병변 부위에 고주파 신호를 인가하여 심부에 열을 가하여 감각신경 및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인체내의 불편함을 줄임과 동시에 근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신체 조직안의 특정 부위를 가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장치는 일반적으로 고주파의 전류를 발생시키는 본체와 치료용 전극 및 대극판 등으로 구성되어, 본체에서 발생된 전류를 치료용 전극과 대극판 사이를 통하여 신체 내에 심부열을 발생시키켜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 치료장치는 동일한 양의 고주파 전류를 전극에 통전시키면 직경이 작은 전극은 전류 밀도가 높기 때문에 화상과 같은 위험을 초래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무엇보다도, 상기 전극은 구부러지 않는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굴곡진 부위, 예컨대 다관절 부위에 제대로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착용감이 떨어지고, 치료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신체의 다관절 부위에 대한 고주파 자극이 제대로 가해지지 않아 치료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고주파 치료장치의 경우 인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인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고주파 치료 장치가 인체에 가하는 열 발생의 온도가 인체에 적정한 온도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생열에 대하여 불편함을 느끼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더 나아가, 인체의 부위마다 저항값이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심부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인체 부위에 맞는 고주파 전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실시간으로 바뀌는 인체 부위의 저항값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고주파 치료 장치의 경우 인체 부위에 맞춰서 적절한 전류값을 결정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주파 치료시 환자의 다관절 부위에 맞도록 유연한 패치형 전극과 절연 패드 구조로 만듬과 동시에 전극의 절연성을 높일 수 있는 절연 패드 구조를 갖는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 장치가 인체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에 맞춘 적절한 열을 발생시키는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고주파 치료 장치가 사용되는 인체의 부위에 적합한 고주파 구동 전류를 결정하여 해당 부위에 고주파 정도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다관절 부위로의 밀착성을 높임과 동시에 진동자에 의한 감각신경자극을 줄 수 있는 유연한 패치형 전극과 절연 패드의 구조를 갖는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고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통해 인체 부위에 대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절연 전극부; 및 상기 절연 전극부에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제어하는 고주파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로서, 상기 고주파 제어기는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연성을 갖는 절연 전극부가 인체의 굴곡진 부위에 따라서 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발생되는 고주파를 효율적으로 인체 부위에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 부위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전력을 절연 전극부에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모율을 최소화시키면서도 최대의 심부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체 부위마다 다른 공진주파수에 맞춰 실시간으로 공급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인체 부위에 맞춰진 알맞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벤드부를 팔과 다리과 같이 원통형의 부위에서 감아서 절연 전극부에서 발생하는 고주파가 인체 부위의 바깥으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심부열 발생을 최대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진동자를 통해서 인체 부위에 고주파를 통한 심부열 발생과 동시에 진동 마사지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고주파 치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하부면 절연 패드부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고주파 제어부의 공진주파수 결정부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공진주파수 결정부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밴드부에 절연 전극부가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밴드부가 팔에 감긴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절연 전극부의 하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밴드부에 절연 전극부가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진동성을 갖는 절연 전극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1)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1)는 인체의 특정 부위(이하 "인체 부위(400)"라 함), 예컨대 다관절 부위에 고주파 치료를 주기 위하여 절연 전극부(100) 및 고주파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전극부(100)는 유연성을 가지는 천 전극부(103)와 상기 천 전극부의 상하부면을 절연시키는 물질로 제작된 한 쌍의 절연 패드부(101; 1011, 10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천 전극부(103)는 통상적을 널리 알려진 +,- 전극이 가해지도록 전도성 물질로 제작됨과 동시에 유연성이 있는 물질, 예컨대 전도성 천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절연 패드부(101; 1011, 1013)는 천 전극부와 마찬가지로 유연성을 가지며 천 전극부(103)로부터 절연효과를 갖고자 높이기 위하여 절연성 물질, 예컨대, 고무류, 우레탄 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질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절연 패드부(101)는 인체 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천 전극부(103)에 흐르는 전류가 인체에 흐르지 않도록 인체 부위와 상기 천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절연 패드부(101)는 인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천 전극부의 하면에 부착되는 하부면 절연 패드부(1013)와 상기 천 전극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면 절연 패드부(1011)로 구비된다.
이하, 도 1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상기 절연 전극부(100)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1)의 절연 전극부(100)는 유연성을 갖도록 전도성 천으로 제작되는 천 전극부(103) 및 상기 천 전극부(103)의 상하부면에 부착되도록 의료용 PVC 및 무독성 비전도 고무류로 제작된 절연 패드부(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천 전극부(103)는 굽힘에도 손상이 없도록 유연한 물질인 천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천은 고주파 제어기(200)에 의해 동작되어 고주파를 인체 부위로 전달하도록 하는 전도성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천 전극부(103)는 패드의 성형을 다양하게 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인체에 접촉하여도 굽힘성과 밀착성이 좋아 매우 유익하다.
반면, 상기 절연 패드부(101)는 절연성을 갖는 의료용 PVC 및/또는 무독성 비전도 고무류로 제작되면, 천 전극부(103)의 상하부면에서 천 전극부(103)를 절연시킨다.
이때, PVC와 조합되는 고무류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고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 rubber:SBR), 폴리클로로프렌고무(polychloroprene rubber:CR),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NB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IIR),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BR),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I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EPR), 다황화물계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및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과 같은 합성 고무가 비전도성의 절연 패드부(101)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천연 고무 또는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고무류는 PVC와 조합될 경우 다양한 조합 비율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PVC와 임의의 비율로 조합되어 제조되지 않고 단독으로도 절연 패드부(101)로 만들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 전극부(103)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상부면 절연 패드부(1011)는 0.3mm 내지 0.7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0.3mm이하이면 너무 얇아 손상되기 쉽고 0.7mm 이상이면 굽힙성(유연성)과 밀착성(착용성)이 떨어져 인체의 다관절 부위에 부착이 어렵기 때문에 0.3mm 내지 0.7mm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밀착성(착용성)과 굽힙성을 향상시켜 고주파 치료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천 전극부(103)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하부면 절연 패드부(1013)은 고주파수의 전파가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밀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상부면 절연 패드부(1011)의 경우 고주파의 전파가 통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하부면 절연 패드부(1013)의 경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고주파의 전파가 통과하지 못하거나 통과율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실리콘 재질을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하부면 절연 패드부(1013)의 경우 우레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 상하부면 절연 패드부(101)의 결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절연 패드부(101)는 우레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 패드부(101)는 천 전극부(103)를 중심으로 전극부의 상하부면에 부착되고, 이 때 절연 패드부(101)의 가장자리는 융착 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융착 라인에서 고주파 융착 및 열융착 방법(이하 고주파 열융착 방법)을 통해서 상부면 절연 패드부와 하부면 절연 패드부가 서로 결합(융착)된다. 이때, 우레탄 소재끼리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상부면 절연 패드부와 하부면 절연 패드부 사이에 띠 형상의 핫멜트를 개재시켜 결합시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핫멜트가 녹아 우레탄 소재의 상하부면 절연 패드가 서로 결합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주파 융착 및 열융착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우레탄 소재끼리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부면 절연패드와 하부면 절연 패드가 서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에 도시된 결합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띠 형상의 핫멜트 사이에 상기 전도성 천 전극부(103)가 위치하기 때문에 천 전극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300)과의 연결을 위해서 상기 핫멜트의 모서리 일부분을 절개하여 전력선(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고주파 제어기(200)는 앞서 설명한 절연 전극부(100)을 동작시키도록 +, - 전압을 고주파로 인가하여 전력을 유입시킴으로써 천 전극부(103)에서 고주파가 발생하도록 상기 절연 전극부(10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제어기(200)는 인체 부위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전력값을 결정하여 이 전력값을 상기 절연 전극부(100)에 공급함으로써 최소의 전력 소모율을 유지하면서도 인체 부위에 대한 최대 심부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진주파수 결정부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후술되듯이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를 사용하는 경우 인체 부위에 상기 절연 패드부가 부착되었는지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공진주파수 결정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주파 제어기(200)의 절연 전극부(100)가 인체 부위에 부착될 때 인체 부위에서의 부하값에 의하여 절연 전극부(100)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값의 변화가 발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주파 제어기는 피드백 회로(215)를 통해서 상기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값을 기초로 상기 절연 전극부(100)에 공급하는 고주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를 포함한다. 이 때 변화되는 주파수의 목적 값은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 값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는 공급되는 교류(AC) 전력을 정류 필터링 회로(220)를 통해서 정류한 전류를 공급받는다. 이후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211)를 사용하여 전류의 크기(전압)을 증폭시킨다. 이후 전원 트랜스(212)를 통해서 승압이 이루어지고 공진 및 필터링 회로(213)를 거쳐 절연 전극부(100)에 고주파 전력이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절연 전극부(100) 측에서의 전류 또는 전압 변화값을 통해서 고주파 제어기(200) 측에서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는 절연 전극부(100) 측에서의 전류 또는 전압 변화값을 피드백하는 피드백 회로(23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는 CPU 회로에 의하여, 상기 피드백 회로(230)를 통해서 피드백 받는 전류 또는 전압 변화값을 기초로 절연 전극부(100)에서 최대 전류 또는 전압값을 가지는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한다.
상기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둘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력을 순차적으로 절연 전극부에 공급시킴으로써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는 100kHz 내지 1MHz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5 ~ 50kHz)을 가지는 복수의 주파수의 전력을 순차적으로 절연 전극부(100)에 공급함으로써 이 중 최대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되는 주파수를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공진 및 필터링 회로(213)의 인덕터(L0, L)의 중간은 절연되어 있고(도 4에서 절연으로 표시됨), 절연된 인덕터의 좌우 값을 각각 L0, L로 한다. 이하, 절연된 기준의 왼쪽을 1차측이라 하고 절연된 기준의 오른쪽을 2차측이라 한다. 이 때, 인체 부분은 절연 전극부(100)와 부착(보다 정확하게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천 전극부(103)는 인체 부위(400)와 비접촉하고 있음 - 이러한 비접촉을 도 4에서 ll로 표시)되어 있지만, 인체 부분의 저항값(R)에 의하여 2차측 전체 임피던스를 하나로 묶을 수 있다(도 4의 2차측 임피던스(Z0)). 즉, 인체 부위에 절연 전극부(100)가 부착될 때 2차측에 있는 공진 및 필터링 회로(213)의 인덕터값(L), 커패시터값(C) 및 인체 저항(R)의 고유의 임피던스(Z0)가 결정된다. 이러한 2차측 임피던스(Z0)값은 고주파 제어기(200)에서 공급되는 고주파의 주파수값과 공진되는 경우, 최대 전류 또는 최대 전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피드백 회로(215)에서 고주파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2차측 임피던스(Z0)에 해당하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0kHz 내지 1MHz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5 ~ 50kHz)을 가지는 복수의 주파수의 전력을 순차적으로 절연 전극부(100)에 공급함으로써 이 중 최대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되는 주파수를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결정한다. 상기 피드백 회로(215) 및 CPU는 2차측의 임피던스값에 의하여 피드백을 받고 오실레이터(OSC) 및 펄스 폭 변조기(PWM)를 이용하여 주파수 주기(듀티 사이클)을 변경(제어)함으로써 최대 전류값 및 최대 전압값이 발생할 수 있는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러한 공진 주파수 결정 과정은 인체 부위에 절연 전극부(100)가 부착됨과 동시에 순간적, 주기적 및 자동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인체 부위에 알맞은 주파수(공진 주파수)를 제공하여 심부열 발생에 있어서 전력 소모율을 최소화하면서도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체 부위에 작용하는 열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는 온도 측정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는 천 전도부(103)와 하부면 절연 패드부(1013) 사이에 위치하여 인체 부위에 작용하는 심부열에 의해서 발생하는 인체 피부 열을 측정하여 과도한 열이 발생하여 인체에 손상을 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부는 고주파 제어기(200)에 연결되어 과도한 열(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열)이 인체에 발생하는 경우 고주파 제어기에서 고주파 발생을 멈추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제어기의 공진 주파수 결정부(210)를 응용하면, 절연 전극부(100)가 인체 부위에 부착될 경우 인체 부하의 적용 유무를 판별하여 인체 부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인체 부위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를 기본치로 설정해 최소치의 전력만 공급해 놓는다면, 인체 부위에 접촉했을 때 부하 변화에 따른 전류 또는 전압 변화가 상기 기본치와 상이한 경우, 이를 인체 부위에 접촉되었다고 판단하고, 이 때에 한해서 고주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절연 전극부(100)가 부착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고주파 제어기(200)에서 판별하여 안전하게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밴드부를 통해서 인체 부위에 부착되는 절연 전극부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주파 치료 장치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밴드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는 인체의 팔 또는 다리부에 감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인체의 팔 또는 다리부에 감긴 후 고정되도록 밴드부(500)의 양 끝단은 고정부(예를 들어, 벨크로, 후크, 버튼 등)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밴드부(500)의 내측면에는 둘 이상의 절연 전극부(10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절연 전극부(100)의 부착 방법의 경우 간단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절연 전극부(100)의 상면과 밴드부(500)의 내측면 사이에 벨크로 방식 등의 탈부착 가능한 고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부착이 가능한 모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인체 부위 중 팔에 상기 절연 전극부가 부착된 밴드부를 감은 상태를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밴드부에 부착된 두 절연 전극부가 서로 하면을 마주보면서 인체에 접하도록 팔 또는 다리부에 감기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를 통해서 인체 부위의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당수의 고주파 성분이 인체 내부에 침투하지 못하고 인체 외부로 유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두 절연 전극부의 하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경우 그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동성을 갖는 절연 전극부(100)의 단면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전극부(100)는 천 전극부(103)의 상부면과 상부면 절연 패드부(1011)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부(104)를 포함한다.
이때, 천 전극부(103)의 상부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절연 패드부(10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진동자부(104)는 인쇄회로기판(104a)와 인쇄회로기판(104a)의 상면에 형성되어 진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진동 소자(104b)와 상기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자(104d)로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104c)와 상기 모터(104c)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104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인체의 다관절 부위에 절연 전극부(100)가 밀착되면, 진동자부(104)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인체 부위(400)를 자극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 부위의 감각신경에 대한 고주파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이상에서 설명된 주식 체결 시스템은 일례에 불과할 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모든 송수신 시스템의 송수신 모듈에서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Claims (10)

  1. 유연성을 갖고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통해 인체 부위에 대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절연 전극부; 및 상기 절연 전극부에 공급되는 고주파 전력을 제어하는 고주파 제어기;를 포함하는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로서,
    상기 고주파 제어기는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공급되는 전력의 주파수를 결정하며,
    상기 절연 전극부는,
    전도성 천으로 제작되는 천 전극부, 및
    상기 천 전극부의 상하부면 중 하나 이상의 일면에 부착되어 유연성을 갖는 절연 패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연 패드부는,
    의료용 PVC 및 무독성 비전도 고무류로서, 상기 천 전극부의 상하부면에서 상기 천 전극부를 절연시키는 상면 절연 패드 및 하면 절연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제어기는,
    상기 절연 전극부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 변화값을 기초로 상기 고주파 제어기의 피드백 회로를 통해서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공진주파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둘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전력을 순차적으로 상기 절연 전극부에 공급시킴으로써 인체 부위의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주파수 결정부는,
    상기 둘 이상의 임피던스값 중 최대 전류값 또는 전압값이 되는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절연 패드와 하면 절연 패드는,
    띠 형상의 핫멜트를 개재한 상태로 가장자리를 따라 고주파 열 융착 방식을 통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드부는 우레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전극부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모터와 진동 소자에 의해 진동자를 동작시키는 진동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천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둘 이상의 절연 전극부가 상기 밴드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둘 이상의 절연 전극부가 서로 하면을 마주보면서 인체에 접하도록 팔 또는 다리부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KR1020140161903A 2014-11-19 2014-11-19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 Active KR10155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903A KR101551129B1 (ko) 2014-11-19 2014-11-19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903A KR101551129B1 (ko) 2014-11-19 2014-11-19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129B1 true KR101551129B1 (ko) 2015-09-07

Family

ID=5424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903A Active KR101551129B1 (ko) 2014-11-19 2014-11-19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48A (ko) * 2019-03-12 2020-09-22 윤대용 심부열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6421A (ja) * 2005-01-18 2008-07-24 アルマ レーザーズ エルティディ. Rfエネルギを用いた生物組織加熱のための改善された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014520A (ja) 2012-07-09 2014-01-30 Ya Man Ltd 美容器及び美容器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6421A (ja) * 2005-01-18 2008-07-24 アルマ レーザーズ エルティディ. Rfエネルギを用いた生物組織加熱のための改善された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4014520A (ja) 2012-07-09 2014-01-30 Ya Man Ltd 美容器及び美容器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148A (ko) * 2019-03-12 2020-09-22 윤대용 심부열 발생 장치
KR102231573B1 (ko) * 2019-03-12 2021-03-24 윤대용 심부열 발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208B1 (ko) 고주파 및 자기 에너지에 의한 생물학적 구조들의 심미적 치료를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EP3141225B1 (en) Therapeutic device capable of interactively cross-outputting low frequencies or ultrasound and heat
KR101233286B1 (ko) 물리치료기
US6094599A (en) RF diathermy and faradic muscle stimulation treatment
JP3192971U (ja) 美容器
US7551957B2 (en) Electromagnetic therapy device and methods
CA2518210C (en) Electromagnetic therapy device and methods
EP3446745B1 (en) Beauty apparatus
KR101048506B1 (ko) 피부미용기용 필름형 프락셔널 전극패드 및 그 제조 방법
WO2018207103A4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UMORS, ESPECIALLY INTRACRANIAL TUMORS
KR101396285B1 (ko) 저강도 초음파 관절염 치료기
AU2007221762A1 (en) Smart return electrode pad
JP2002345979A (ja) パルス健康器
KR101582352B1 (ko) 패치 전극을 이용한 다관절 고주파 치료 장치
KR20100028761A (ko) 고주파 치료 장치용 전극 유닛 및 이를 포함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551129B1 (ko) 피드백 회로 및 플랙시블 전극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 장치
CN117180625A (zh) 柔性电极片和治疗仪
KR101470377B1 (ko) 고주파 마사지 장치
CN101138519A (zh) 电热疗法设备
CN209713997U (zh) 一种理疗贴片
KR20210027725A (ko)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기
EP4066883A1 (en) System, implant unit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head and facial pain
KR20180085948A (ko) 근접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자극기
KR20020062110A (ko) 진동-저주파 마사지 장치
KR102098969B1 (ko) 자가 프로그래밍과 교차 착탈이 가능한 전기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