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1079B1 - 차량용 리어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079B1
KR101551079B1 KR1020140042721A KR20140042721A KR101551079B1 KR 101551079 B1 KR101551079 B1 KR 101551079B1 KR 1020140042721 A KR1020140042721 A KR 1020140042721A KR 20140042721 A KR20140042721 A KR 20140042721A KR 101551079 B1 KR101551079 B1 KR 101551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taillight
led light
pattern film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규
오영섭
이복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079B1/ko
Priority to US14/525,136 priority patent/US9791122B2/en
Priority to DE102014116269.2A priority patent/DE102014116269B4/de
Priority to CN201410640321.8A priority patent/CN10497656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07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9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60Q1/0058Stacked, i.e. one lamp located behind the oth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램프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점등영역(11)을 갖는 한 개의 램프하우징(10)에서 미등용 LED 광원(21)의 점등시 입체감 있는 발광이미지(3)를 구현하고, 또한 입체 발광이미지(3)가 구현될 때에 입체 발광이미지(3)가 구현되지 않는 비점등 무효영역(4)을 이용해서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점등시에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를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리어램프{LIGHT SOURCE MODULE OF REAR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점등영역에서 입체 발광이미지의 미등과 제동등의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는 차량용 리어램프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리어램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차량의 추돌을 예방하기 위해 점등되는 미등(1), 제동시 점등되는 제동등(2) 등이 있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미등(1)과 제동등(2)은 각각의 램프하우징을 통해 서로 분리된 점등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리어램프는 미등(1)과 제동등(2)이 서로 분리된 점등영역을 가짐에 따라 사이즈가 크고, 중량이 무거우며, 원가가 비싸고, 비교적 큰 설치공간을 차체에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80331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점등영역에서 미등과 제동등의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는 차량용 리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사이즈 축소를 통한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하고 보다 용이하게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등 점등시에 입체감있는 발광이미지를 구현함으로써 차량의 고급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리어램프는, 미등과 제동등의 기능을 하나의 점등영역에서 함께 구현할 수 있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모듈은 다수개의 미등용 LED 광원; 상기 미등용 LED 광원으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마다 각각 한 개씩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미등용 분할 PCB; 상기 미등용 분할 PCB위에 동시에 적층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빛을 이용해서 원하는 패턴의 입체 발광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옵틱이 형성된 미등용 패턴필름;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상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빛을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의 전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전달하는 광학레진; 및 상기 미등용 LED 광원사이에 설치되어서 제동등의 발광이미지를 구현하는 제동등용 LED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미등용 분할 PCB와 제동등용 LED 광원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적층된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과 광학레진의 측면부 및 후방부를 일체로 커버링하며,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원호형상 반사부가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과 대면하는 전면 및 상기 반사부의 내면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점등시에는 후방으로 산란되는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되반사시키고,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점등시에는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미등용 LED 광원과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비점등시에는 증착에 의한 히든(hidden)효과를 구현하는 증착 반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광학레진상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광학레진을 보호하면서 상기 광학레진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광학레진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결합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비점등시에 상기 증착 반사면과 함께 증착에 의한 베젤이미지를 구현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에서 상기 원호형상 반사부와 대면하는 부위는 커팅되고;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의 커팅부에는 제동등용 패턴필름이 설치되고;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에는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빛을 이용해서 원하는 패턴의 제동등 발광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옵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은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배광효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과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은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과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은 상기 브라켓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설치되고;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은 상기 브라켓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브라켓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사이마다 한 개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모듈은 하나의 점등영역을 갖는 램프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모듈은 곡면으로 휘어짐이 가능하게 플렉시블(flexible)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램프는, 램프하우징에 구비된 하나의 점등영역에서 미등용 LED 광원과 제동등용 LED 광원이 함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을 통해 구현되는 발광이미지는 입체 발광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을 통해 구현되는 입체 발광이미지사이에는 상기 입체 발광이미지가 구현되지 않는 비점등 무효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에서 구현되는 발광이미지는 상기 비점등 무효영역을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점등영역을 갖는 한 개의 램프하우징에서 미등용 LED 광원의 점등시 입체감 있는 발광이미지를 구현하고, 또한 입체 발광이미지가 구현될 때에 입체 발광이미지가 구현되지 않는 비점등 무효영역을 이용해서 제동등용 LED 광원의 점등시에 제동등의 발광이미지를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리어램프의 사이즈 축소를 통한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용이하게 차체에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미등과 제동등이 서로 분리된 점등영역으로 구성된 종래 차량용 리어램프의 도면,
도 2는 미등을 통해 구현되는 입체 발광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미등 점등시 입체 발광이미지가 구현되지 않는 비점등 무효영역을 이용해서 제동등의 발광이미지가 구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적용된 광원모듈의 단면도,
도 7은 도 4에 적용된 광원모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점등영역(11)을 갖는 한 개의 램프하우징(10)에 미등과 제동등의 기능이 함께 구현되는 차량용 리어램프로서, 하나의 점등영역(11)에서 미등과 제동등의 동시 구현을 통해 리어램프의 사이즈 축소 및 중량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이다.
미등 점등시 발광이미지를 구현함에 있어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감 향상 및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 2와 같이 입체감이 있는 입체 발광이미지(3)를 구현하는 기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런데, 입체 발광이미지(3)를 구현하기 되면 입체 발광이미지(3)사이에는 상기 입체 발광이미지가 구현되지 않는 비점등 무효영역(4)이 존재하게 되는 바, 상기 비점등 무효영역(4)은 광원의 빛이 충분하게 조사되지 못하는 영역으로,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와 같은 비점등 무효영역(4)을 이용해서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를 하나의 점등영역(11)에서 동시에 구현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어램프는 미등과 제동등의 기능을 하나의 점등영역에서 함께 구현할 수 있는 광원모듈(20)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모듈(20)은 다수개의 미등용 LED 광원(21);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으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마다 각각 한 개씩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미등용 분할 PCB(22); 상기 미등용 분할 PCB(22)위에 동시에 적층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의 빛을 이용해서 원하는 패턴의 입체 발광이미지(3)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옵틱(23a)이 형성된 미등용 패턴필름(23);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상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의 빛을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의 전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전달하는 광학레진(24); 및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사이에 설치되어서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를 구현하는 제동등용 LED 광원(2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의 일단은 미등용 분할 PCB(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타단은 렌즈가 있는 전방을 향해 세워진 구조로 설치되며, 특히 미등용 패턴필름(23)에 형성된 옵틱(23a)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광학레진(24)은 미등용 LED 광원(21)의 빛을 미등용 패턴필름(23)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이며, 이를 통해 미등용 LED 광원(21)에서 나온 빛을 미등용 패턴필름(23)의 옵틱(23a)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광학레진(24)으로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UV(Ultraviolet-Ray)경화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모듈(20)은 상기 미등용 분할 PCB(22)와 제동등용 LED 광원(25)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적층된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과 광학레진(24)의 측면부 및 후방부를 일체로 커버링하며,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원호형상 반사부(26a)가 형성된 브라켓(26); 및 상기 브라켓(26)에서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과 대면하는 전면 및 상기 반사부(26a)의 내면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의 점등시에는 후방으로 산란되는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되반사시키고,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점등시에는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과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비점등시에는 증착에 의한 히든(hidden)효과를 구현하는 증착 반사면(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증착 반사면(27)은 빛 반사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미등용 LED 광원(21)에서 나온 빛의 대부분은 미등용 패턴필름(23)의 옵틱(23a)에 의해 전방의 렌즈쪽으로 출력되어서 입체감 있는 이미지를 구현하게 되지만, 일부의 빛은 옵틱(23a)에 반사되지 못하고 미등용 분할 PCB(22)가 있는 후방으로 산란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증착 반사면(27)은 미등용 LED 광원(21)의 점등시에 후방으로 산란되는 광원의 빛을 다시 미등용 패턴필름(23)의 옵틱(23a)으로 되반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산란되는 빛에 의한 광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추가적으로 광량 확보가 가능해짐에 따라 리어램프의 광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라켓(26)의 반사부(26a)에 결합된 상기 증착 반사면(27)은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점등시에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서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증착 반사면(27)은 미등용 LED 광원(21)과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비점등시에는 증착에 의한 히든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램프의 고급감을 구현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 반사면(27)은 일반적으로 광학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반사필름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지만, 상기 반사필름은 광원모듈의 다른 구성품들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구성인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증착 반사면(27)은 브라켓(26)을 제작할 때에 증착에 의해 브라켓(26)과 일체로 제작되는 구성인 바, 이를 통해 구성 부품수의 감축 및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에 형성된 옵틱(23a)은 미등용 LED 광원(21)에서 출력된 빛의 출력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미등용 LED 광원(21)의 빛의 세기(휘도)는 미등용 LED 광원(21)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낮아지게 되는 바, 이러한 원리에 의해 옵틱(23a)에 의해 반사된 미등용 LED 광원(21)의 빛은 미등용 LED 광원(2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옵틱(23a)일수록 마치 아래로 내려가는 것처럼 육안상 입체적 형상으로 시인되는 바, 이를 통해 미등 점등시 입체감 있는 입체 발광이미지(3)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모듈(20)은 상기 광학레진(24)상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광학레진(24)을 보호하면서 상기 광학레진(24)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보호필름(28)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원모듈(20)은 곡면으로 휘어짐이 가능하게 플렉시블(flexible)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으로, 이때 상기 보호필름(28)은 광학레진(24)을 보호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곡면으로 휘어진 광학레진(24)의 곡면형상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보호필름(28)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입체 발광이미지(3)는 직선형태의 이미지 조합이나 또는 곡선형태의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는 바, 이 중 곡선형태의 입체 발광이미지는 곡선이 이루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옵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원모듈(20)은 상기 광학레진(24)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결합된 베젤(29)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젤(29)은 미등용 LED 광원(21)의 비점등시에 램프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증착 반사면(27)과 함께 증착에 의한 베젤이미지를 구현하게 됨으로써, 램프의 고급감 이미지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에서 상기 원호형상 반사부(26a)와 대면하는 부위는 커팅되고,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의 커팅부에는 제동등용 패턴필름(31)이 설치되는 바,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31)에는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빛을 이용해서 원하는 패턴의 제동등 발광이미지(5)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옵틱(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31)에 형성된 옵틱(31a)은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배광효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에 형성된 옵틱(23a)과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된 구조가 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31)에 형성된 옵틱(31a)은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23)에 형성된 옵틱(23a)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은 상기 브라켓(26)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상기 브라켓(26)의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설치된 구조가 되고,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25)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브라켓(26)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 4 및 도 7과 같이 상기 브라켓(26)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상기 미등용 LED 광원(21)사이마다 한 개씩 설치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제동등용 LED 광원(25)이 브라켓(26)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설치되면, 도 3과같이 미등 점등시 브라켓(26)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비점등 무효영역(4)을 통해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동등용 LED 광원(25)이 브라켓(26)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미등용 LED 광원(21)사이마다 한 개씩 설치되면, 도 4와 같이 브라켓(26)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미등용 LED 광원(21)사이에 형성되는 비점등 무효영역(4)을 통해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는 미등의 입체 발광이미지(3)와의 차별성을 위해 입체감이 없는 일반적인 이미지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원모듈(20)은 하나의 점등영역(11)을 갖는 램프하우징(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하우징(10)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되게 설치된 구조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하나의 점등영역(11)을 갖는 한 개의 램프하우징(10)에서 미등용 LED 광원(21)의 점등시 입체감 있는 발광이미지(3)를 구현하고, 또한 입체 발광이미지(3)가 구현될 때에 입체 발광이미지(3)가 구현되지 않는 비점등 무효영역(4)을 이용해서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점등시에 제동등의 발광이미지(5)를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리어램프의 사이즈 축소를 통한 중량감소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용이하게 차체에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등을 입체 발광이미지(3)로 구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램프의 고급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등용 LED 광원(21)과 제동등용 LED 광원(25)의 비점등시에는 증착 반사면(27)에 의해 증착에 의한 히든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램프의 고급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3 - 미등의 입체 발광이미지 4 - 비점등 무효영역
5 - 제동등의 발광이미지 10 - 램프하우징
11 - 점등영역 20 - 광원모듈
21 - 미등용 LED 광원 22 - 미등용 분할 PCB
23 - 미등용 패턴필름 24 - 광학레진
25 - 제동등용 LED 광원 26 - 브라켓
27 - 증착 반사면 28 - 보호필름
29 - 베젤 31 - 제동등 패턴필름

Claims (13)

  1. 미등과 제동등의 기능을 하나의 점등영역에서 함께 구현할 수 있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모듈은 다수개의 미등용 LED 광원;
    상기 미등용 LED 광원으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마다 각각 한 개씩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미등용 분할 PCB;
    상기 미등용 분할 PCB위에 동시에 적층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빛을 이용해서 원하는 패턴의 입체 발광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옵틱이 형성된 미등용 패턴필름;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상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빛을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의 전구간에 걸쳐 균일하게 전달하는 광학레진; 및
    상기 미등용 LED 광원사이에 설치되어서 제동등의 발광이미지를 구현하는 제동등용 LED 광원;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미등용 분할 PCB와 제동등용 LED 광원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적층된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과 광학레진의 측면부 및 후방부를 일체로 커버링하며,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원호형상 반사부가 형성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서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과 대면하는 전면 및 상기 반사부의 내면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점등시에는 후방으로 산란되는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되반사시키고,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점등시에는 광원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며, 상기 미등용 LED 광원과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비점등시에는 증착에 의한 히든(hidden)효과를 구현하는 증착 반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광학레진상에 적층된 것으로 상기 광학레진을 보호하면서 상기 광학레진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광학레진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결합된 것으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의 비점등시에 상기 증착 반사면과 함께 증착에 의한 베젤이미지를 구현하는 베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에서 상기 원호형상 반사부와 대면하는 부위는 커팅되고;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의 커팅부에는 제동등용 패턴필름이 설치되고;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에는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빛을 이용해서 원하는 패턴의 제동등 발광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옵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은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의 배광효율의 향상을 위해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과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은 상기 미등용 패턴필름에 형성된 옵틱과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은 상기 브라켓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상기 브라켓의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설치되고;
    상기 제동등용 LED 광원은 상기 브라켓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브라켓의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상기 미등용 LED 광원사이마다 한 개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하나의 점등영역을 갖는 램프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램프하우징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곡면으로 휘어짐이 가능하게 플렉시블(flexible)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램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42721A 2014-04-10 2014-04-10 차량용 리어램프 Active KR101551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21A KR101551079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용 리어램프
US14/525,136 US9791122B2 (en) 2014-04-10 2014-10-27 Rear lamp for vehicle
DE102014116269.2A DE102014116269B4 (de) 2014-04-10 2014-11-07 Rückleuchte für ein Fahrzeug
CN201410640321.8A CN104976560B (zh) 2014-04-10 2014-11-13 用于车辆的车尾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721A KR101551079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용 리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079B1 true KR101551079B1 (ko) 2015-09-08

Family

ID=5419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721A Active KR101551079B1 (ko) 2014-04-10 2014-04-10 차량용 리어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91122B2 (ko)
KR (1) KR101551079B1 (ko)
CN (1) CN104976560B (ko)
DE (1) DE102014116269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420A (ko) 2019-02-25 2020-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광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
WO2021149993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리어뷰 어셈블리
US12066176B2 (en) 2020-03-09 2024-08-20 Lg Innotek Co., Ltd.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866B1 (ko) * 2015-10-23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JP2019029066A (ja) * 2017-07-25 2019-02-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WO2019241101A1 (en) * 2018-06-14 2019-12-19 Magna International Inc. Vehicle light with 3-dimensional appearance
WO2020101070A1 (ko) * 2018-11-15 2020-05-22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차량용 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613A (ja) 2001-12-19 2003-07-04 Koito Mfg Co Ltd 車輌用標識灯
JP2007123028A (ja) * 2005-10-27 2007-05-1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6812B2 (ja) 1993-02-15 2000-02-0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信号灯具
US5571277A (en) * 1995-06-12 1996-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holographic signal lamp
DE19753096A1 (de) 1997-11-29 1999-06-02 Volkswagen Ag Kraftfahrzeugleuchte
DE19815963A1 (de) * 1998-04-09 1999-10-14 Reitter & Schefenacker Gmbh Leuchte, insbesondere Heckleuchte für Kraftfahrzeuge
JP3920486B2 (ja) 1999-02-23 2007-05-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4182600B2 (ja) 1999-08-23 2008-11-19 市光工業株式会社 Led光源を用いた車両用灯具
JP2005209448A (ja) 2004-01-21 2005-08-04 Sumitomo Wiring Syst Ltd 車両用灯具
KR100803310B1 (ko) 2006-12-05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US7837368B2 (en) 2007-08-02 2010-11-23 Koito Manfacturing Co., Ltd. Vehicular lamp
KR101191398B1 (ko) 2009-08-26 2012-10-1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JP5641651B2 (ja) * 2011-01-14 2014-12-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9207393B2 (en) * 2012-08-10 2015-12-08 Lg Innotek Co., Ltd. Lighting device
US9599308B2 (en) * 2012-12-28 2017-03-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brid taillight article
JP6199568B2 (ja) * 2013-01-30 2017-09-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発光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613A (ja) 2001-12-19 2003-07-04 Koito Mfg Co Ltd 車輌用標識灯
JP2007123028A (ja) * 2005-10-27 2007-05-1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420A (ko) 2019-02-25 2020-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램프용 광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램프
WO2021149993A1 (ko) * 2020-01-23 2021-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리어뷰 어셈블리
US11865969B2 (en) 2020-01-23 2024-01-09 Lg Innotek Co. Ltd. Optical assembly and rear-view mirror assembly having same
US12227127B2 (en) 2020-01-23 2025-02-18 Lg Innotek Co., Ltd. Optical assembly and rear-view mirror assembly having same
US12066176B2 (en) 2020-03-09 2024-08-20 Lg Innotek Co., Ltd.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US12326251B2 (en) 2020-03-09 2025-06-10 Lg Innotek Co., Ltd.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116269B4 (de) 2019-02-28
US9791122B2 (en) 2017-10-17
CN104976560B (zh) 2019-03-19
CN104976560A (zh) 2015-10-14
DE102014116269A1 (de) 2015-10-15
US20150292703A1 (en)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079B1 (ko) 차량용 리어램프
KR101620147B1 (ko)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EP2157363B1 (en) Optical element for vehicle lamp
US20200158309A1 (en) Lamp and vehicle having same
EP2620697A3 (en) Vehicle lighting unit with projection lens and LED
KR20170097674A (ko) 차량용 조명장치
JP2010040322A (ja) 車両用灯具
US20130027960A1 (en) Lighting and/or signa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cluding a surface light source
KR101262546B1 (ko) 차량용 램프구조
JP6975587B2 (ja) 車両用灯具
JP6655382B2 (ja) 車両用燈体および燈体付ドアミラー
JP2018142457A (ja) 車両用灯具
KR101550975B1 (ko)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KR101396869B1 (ko) 차량용 램프
JP6963934B2 (ja) 車両用灯具
KR101199068B1 (ko)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20200070865A (ko) 차량용 램프
KR101500387B1 (ko) 헤드 라이트 모듈
JP2020038777A (ja) 車両用灯具
KR101871487B1 (ko) 자동차의 미등 장치
JP2017016949A (ja) 車輌用灯具
JP2019139934A (ja) 車両用灯具
KR10180712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7364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EP3620329B1 (en) Vehicle lam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