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0379B1 -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 Google Patents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379B1
KR101550379B1 KR1020130089629A KR20130089629A KR101550379B1 KR 101550379 B1 KR101550379 B1 KR 101550379B1 KR 1020130089629 A KR1020130089629 A KR 1020130089629A KR 20130089629 A KR20130089629 A KR 20130089629A KR 101550379 B1 KR101550379 B1 KR 101550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connecting member
wire
copper
ty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230A (ko
Inventor
김인균
Original Assignee
김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균 filed Critical 김인균
Priority to KR102013008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37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3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3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urging the conductors to follow a non-straight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각각의 전선 외부를 감싸는 블록 형태로 되어 암수로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실내의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배선방향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블록식으로 간단하게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의 간편성과 함께 완충에 따른 내구성 향상과 누전 및 합선의 위험 차단, 외부의 각종 이물질 및 벌레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에 따른 배선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선 외부를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컨넥터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컨넥터 몸체의 각 단부에 돌출된 동선을 접속핀으로 한 연결부재와; 상기 접속핀을 구성하는 동선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동관의 외부를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접속부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 몸체의 각 단부측에 노출된 동관을 접속포트로 한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접속핀에 대응되는 개수 및 직경으로 핀 관통홀을 갖는 방수패킹;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The block type mold for covering electric wires}
본 발명은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각각의 전선 외부를 감싸는 블록 형태로 되어 암수로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실내의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배선방향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블록식으로 간단하게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의 간편성과 함께 완충에 따른 내구성 향상과 누전 및 합선의 위험 차단, 외부의 각종 이물질 및 벌레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에 따른 배선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선용 전선몰드는 각종 건물의 실내에 배선되는 전선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전선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외관불량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측으로 원호형을 이루는 상부덮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는 저면부에 양면접착테이프가 구비되어 상기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상기 베이스가 바닥이나 벽면에 접착 고정되게 한 후, 베이스의 상부측에 상부덮개를 결합함으로써 베이스 상의 전선들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외관 불량과 외부로부터 전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선용 전선몰드는 외부의 충격에 약해 상부덮개가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고, 작업자가 일일이 베이스를 베이스 저면부의 양면접착테이프를 이용해 바닥에 고정한 후 다시 베이스 위에 여러가닥의 가는선으로 이루어진 전선들을 올려 놓은 다음, 상부덮개를 베이스에 결합하는 과정을 실내 벽면의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배선 방향을 변경할 때마다 반복하여 작업을 수행해야만 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은 물론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이 변경되는 경계 부분에 틈새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틈새를 통해 외부의 각종 이물질이나 벌레들이 침투하여 전선의 악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외부의 힘에 의해 전선몰드 내부의 전선들이 움직이게 됨으로써 누전 및 합선의 위험을 수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각각의 전선 외부를 감싸는 블록 형태로 되어 암수로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실내의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배선방향을 달리하는 경우에도 블록식으로 간단하게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의 간편성과 함께 완충에 따른 내구성 향상과 누전 및 합선의 위험 차단, 외부의 각종 이물질 및 벌레의 침투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에 따른 배선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의 한 형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선 외부를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컨넥터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컨넥터 몸체의 각 단부에 돌출된 동선을 접속핀으로 한 연결부재와; 상기 접속핀을 구성하는 동선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동관의 외부를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 예컨대 PVC 연질 재질로 감싸 접속부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 몸체의 각 단부측에 노출된 동관을 접속포트로 한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와 연결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접속핀에 대응되는 개수 및 직경으로 핀 관통홀을 갖는 방수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넥터 몸체는, 길이가 짧은 일자형 컨넥터 몸체 또는 길이가 긴 일자형 컨넥터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넥터 몸체는, 실내의 벽면 모서리 부분을 배선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L"자형 컨넥터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넥터 몸체는 일측 단부에 대하여 타측 단부가 45도를 이루게 형성된 45도 컨넥터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넥터 몸체는, 양단이 수직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1 코너형 컨넥터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넥터 몸체는, 양단이 수직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고 일측 단부의 일측 접속핀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측방향으로 타측 접속핀이 형성된 제2 코너형 컨넥터 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넥터 몸체는, 벽면을 등에 지고 좌우측 및 중간 전방측을 배선할 수 있도록 "T"자형 컨넥터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넥터 몸체는, 전후좌우 4방향으로 배선할 수 있도록 십자형 컨넥터 몸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접속부재의 접속부 몸체는, 상기 접속부 몸체의 상하부를 관통하고 접속부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자형은 물론 배선 방향을 달리하는 실내의 조건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는 블록 형태의 컨넥터 몸체를 구비하고, 롤 형태로 되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컨넥터 몸체의 사이를 연결하는 블록 형태의 접속부 몸체를 구비하여 간단하게 서로 조립하여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전선을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블록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 향상은 물론 기존에 외부의 각종 이물질 및 벌레 등의 침투로 인한 전선의 악영향과 전선들이 외부의 힘에 의해 움직여 누전 및 합선의 요인이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어 배선을 안전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8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자형, "L"자형, 제1,2 코너형, "T"자형, 십자형, 45도 컨넥터 몸체로 구분되는 연결부재(1)와, 상기 연결부재(1)의 사이에 접속되는 접속부재(2), 및 연결부재(1)와 접속부재(2)의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패킹(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75φ, 2.25φ의 직경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선 외부를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컨넥터 몸체(11)를 구성하되, 상기 동선이 컨넥터 몸체(11)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도록 하여 접속핀(10)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그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일자형 컨넥터 몸체A,B(12)(12a), "L"자형 컨넥터 몸체(13), 45도 컨넥터 몸체(18), 제1,2 코너형 컨넥터 몸체(14)(17), "T"자형 컨넥터 몸체(15), 십자형 컨넥터 몸체(16)로 구분된다.
상기 접속부재(2)는 연결부재(1)의 동선이 삽입되어 접촉되도록 동선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동관의 외부를 역시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접속부 몸체(21)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접속부 몸체(21)는 연결부재(1)의 컨넥터 몸체(11)와 동일한 형상 및 단면으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노출된 동관으로 컨넥터 몸체(11)의 접속핀(10)에 대응되는 접속포트(22)를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접속부재(2)는 1m의 길이로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해서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길이가 짧은 일자형 컨넥터 몸체A(12)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긴 일자형 컨넥터 몸체B(12a)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일자형 컨넥터 몸체A,B(12)(12a)는 실내의 바닥 배선시 사용되고, 통상에서와 같이 양면접착테이프(미도시됨)에 의해 바닥에 고정된다. 그리고, 롤 형태로 감겨진 접속부재(2)의 접속부 몸체(21)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 후 절단된 각각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접속포트(22)를 일자형 컨넥터 몸체(12)의 양단부 접속핀(10)에 꽂아 접속 및 연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일자형 컨넥터 몸체(12)와 접속부 몸체(21)의 사이에는 방수패킹(3)이 구비되어 일자형 컨넥터 몸체(12)와 접속부 몸체(21)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방수패킹(3)은 일자형 컨넥터 몸체(12) 및 접속부 몸체(21)와 동일한 형상 및 단면을 갖는 두께가 얇은 고무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일자형 컨넥터 몸체(12)의 접속핀(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핀(10)에 상응하는 개수 및 직경으로 핀 관통홀(3a)이 형성된다.
상기 "L"자형 컨넥터 몸체(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실내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양단이 서로 수평방향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고, 양단의 접속핀(10)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된 접속부 몸체(21)의 일측 접속포트(22)를 각각 꽂아 연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L"자형 컨넥터 몸체(13)와 접속부 몸체(21)의 사이에 전술한 방수패킹(3)이 구비되어 "L"자형 컨넥터 몸체(13)와 접속부 몸체(21)의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45도 컨넥터 몸체(1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대하여 타측 단부가 45도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이며, 상기 제1 코너형 컨넥터 몸체(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단이 수직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된 것으로서, "L"자형 컨넥터 몸체(13)와 함께 모서리 부분을 배선하는데 사용되고, 콘세트(100)의 전원을 이용하여 배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이를 위해 수평의 일측 단부는 콘세트(100)의 접속구(100a)에 꽂아 연결되고, 수직의 타측 단부는 원하는 길이로 절단된 접속부 몸체(21)의 일측 접속포트(22)에 접속핀(10)을 꽂아 연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제1 코너형 컨넥터 몸체(14)와 접속부 몸체(21)의 사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밀폐 기능을 갖는 방수패킹(3)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코너형 컨넥터 몸체(1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서로 수직방향으로 직각을 이루게 형성되나, 일측 단부의 접속핀(10)에 대하여 타측 단부 접속핀(10)이 서로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게 형성하여 접속부재(2)에 의한 배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T"자형 컨넥터 몸체(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벽면을 등에 지고 좌우측과 중간 전방측을 배선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T"자 형태를 이루고, 3방향의 각 단부의 접속핀(10) 외측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된 접속부 몸체(21)의 일측 접속포트(22)가 각각 접속 및 연결되는 것이며, "T"자형 컨넥터 몸체(15)와 접속부 몸체(21)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해 상기 "T"자형 컨넥터 몸체(15)와 접속부 몸체(21)의 사이에 방수패킹(3)이 개재된다.
상기 십자형 컨넥터 몸체(1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바닥면에서 전후좌우의 4방향을 배선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4방향의 각 단부의 접속핀(10) 외측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된 접속부 몸체(21)의 일측 접속포트(22)가 각각 접속 및 연결되는 것이며, "T"자형 컨넥터 몸체(15)와 마찬가지로 십자형 컨넥터 몸체(16)와 접속부 몸체(21)의 사이에 방수패킹(3)이 구비되어 상기 십자형 컨넥터 몸체(11)와 접속부 몸체(21)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일자형은 물론 배선 방향을 달리하는 실내의 조건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는 블록 형태의 컨넥터 몸체를 구비하고, 롤 형태로 되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컨넥터 몸체의 사이를 연결하는 블록 형태의 접속부 몸체를 구비하여 간단하게 서로 조립하여 배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신속성 및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전선을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블록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 향상은 물론 기존에 외부의 각종 이물질 및 벌레 등의 침투로 인한 전선의 악영향과 전선들이 외부의 힘에 의해 움직여 누전 및 합선의 요인이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어 배선을 안전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연결부재
10: 제1 접속핀 11: 컨넥터 몸체
12,12a: 일자형 컨넥터 몸체A,B 13: "L"자형 컨넥터 몸체
14: 제1 코너형 컨넥터 몸체 15: "T"자형 컨넥터 몸체
16: 십자형 컨넥터 몸체 17: 제2 코너형 컨넥터 몸체
18: 45도 컨넥터 몸체
2: 접속부재
21: 접속부 몸체 22: 접속포트
23: 고정홀
3: 방수패킹 3a: 핀 관통홀

Claims (9)

  1. 적어도 2개 이상의 동선 외부를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컨넥터 몸체(11)를 형성하고, 상기 컨넥터 몸체(11)의 각 단부에 돌출된 동선을 접속핀(10)으로 한 연결부재(1)와;
    상기 접속핀(10)을 구성하는 동선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동관의 외부를 완충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감싸 접속부 몸체(21)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 몸체(21)의 각 단부측에 노출된 동관을 접속포트(22)로 하며, 롤 형태로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접속부재(2)와;
    상기 접속부재(2)와 연결부재(1)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1)의 접속핀(10)에 대응되는 개수 및 직경으로 핀 관통홀(3a)을 갖는 방수패킹(3);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길이가 짧은 일자형 컨넥터 몸체(12) 또는 길이가 긴 일자형 컨넥터 몸체(12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실내의 벽면 모서리 부분을 배선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L"자형 컨넥터 몸체(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일측 단부에 대하여 타측 단부가 45도를 이루게 형성된 45도 컨넥터 몸체(18)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양단이 수직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제1 코너형 컨넥터 몸체(14)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양단이 수직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고 일측 단부의 일측 접속핀(10)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측방향으로 타측 접속핀(10)이 형성된 제2 코너형 컨넥터 몸체(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벽면을 등에 지고 좌우측 및 중간 전방측을 배선할 수 있도록 "T"자형 컨넥터 몸체(15)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몸체(11)는, 전후좌우 4방향으로 배선할 수 있도록 십자형 컨넥터 몸체(16)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2)의 접속부 몸체(21)는, 상기 접속부 몸체(21)의 상하부를 관통하고 접속부 몸체(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고정홀(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KR1020130089629A 2013-07-29 2013-07-29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55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29A KR101550379B1 (ko) 2013-07-29 2013-07-29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29A KR101550379B1 (ko) 2013-07-29 2013-07-29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30A KR20150014230A (ko) 2015-02-06
KR101550379B1 true KR101550379B1 (ko) 2015-09-03

Family

ID=5257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6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0379B1 (ko) 2013-07-29 2013-07-29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9301A (zh) * 2019-11-21 2020-02-21 徐州瑞桥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电缆防护管
KR102480367B1 (ko) 2022-07-20 2022-12-22 폴텍주식회사 정전기 및 화재 방지용 호퍼-슈트 슬라이딩 라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656Y1 (ko) 2006-08-02 2006-10-1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656Y1 (ko) 2006-08-02 2006-10-1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교차되는 벽면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배선용 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30A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14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송전선 검사 로봇
KR101550379B1 (ko) 블록식 배선용 전선몰드
ITUB20159751A1 (it) Cablaggio con connettore integrato, 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US10392797B2 (en) Single leaf separating wall
KR101745579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775128B1 (ko) 모터 인출선 방수 밀봉 구조
CN204681061U (zh) 一种三通线接头
JP5431138B2 (ja) 画像表示装置
KR20120009976A (ko) 전선 연결부의 밀봉 커버
JP2012023061A5 (ko)
KR20140035550A (ko) 조립식 벽 구조체
KR101759737B1 (ko) 지중배전선로 접속대 장치구조
JP4381244B2 (ja) 箱体の入出線部構造
KR102544458B1 (ko) 밀봉 모듈 또는 전이 모듈
EP3783761A1 (en) Junction box
JP2011162356A (ja) 昇降路電線とドアインターロックスイッチの連結構造
JP4488940B2 (ja) 防水器具
US11362456B2 (en) Wiring arrangement at wall edges and corners with decorative effect
CN204081152U (zh) 一种墙面阴角节点的防水结构
CN104652650B (zh) 墙体
KR20140002098U (ko) 엘보접속재 절연 보호커버
KR200416246Y1 (ko) 조립식 케이블 절연카바
KR20190002998U (ko) 자동차 전선 보호용 패드
KR200494247Y1 (ko) 전기공사용 입선 전선관
KR20130055864A (ko) 차량용 전자기기의 어스터미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