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8898B1 - 객담 장치, 인공 호흡 장치 및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객담 장치, 인공 호흡 장치 및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898B1
KR101548898B1 KR1020147035796A KR20147035796A KR101548898B1 KR 101548898 B1 KR101548898 B1 KR 101548898B1 KR 1020147035796 A KR1020147035796 A KR 1020147035796A KR 20147035796 A KR20147035796 A KR 20147035796A KR 101548898 B1 KR101548898 B1 KR 101548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putum
suction
unit
pati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194A (ko
Inventor
야스히로 하시모토
신고 타케사와
Original Assignee
울박 키코 인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메디컬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박 키코 인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메디컬시드 filed Critical 울박 키코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8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sub-atmospheric pressure, e.g. during ex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61M16/024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75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 A61M16/0477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with incorporated means for delivering or remov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61M16/0833T- or Y-type connectors, e.g. Y-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5Filters
    • A61M16/1055Filters 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8Non-controlled one-way valves, e.g. exhalation, check, pop-off non-rebreath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14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removed from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과제]안전하게 자동으로 가래의 흡인이 가능한 객담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는, 흡인 라인과, 전환부와, 측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흡인 라인은, 환자의 기도 내에 발생한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구와, 흡인된 상기 가래를 수용하여 부압으로 유지되는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Description

객담 장치, 인공 호흡 장치 및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SPUTUM DEVICE, ARTIFICIAL RESPI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PUTUM DEVICE}
본 발명은, 객담 장치, 인공 호흡 장치 및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 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정기적으로 기관에 생기는 가래를 흡인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객담 조작은 번잡하고, 밤낮을 불문하고 실시할 필요가 있어서, 간호사나 간병인 등의 부담이 매우 컸다.
여기서, 자동으로 객담 조작을 실시하는 흡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는, 기관절개에 의해 인공 호흡이 실시되고 있는 환자의 가래를 흡인하기 위한 가래 흡인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해당 가래 흡인 장치는, 가래 흡인을 위한 부압력을 연속적으로 발생시켜서, 가래의 흡인로의 부압이 높아졌을 때 흡인 튜브에 가래가 차면, 부압력을 높이도록 구성된다.
국제공개 제2006/009283호 특개2007-117273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 및 2 기재의 가래 흡인 장치의 흡인 캐뉼라(cannula)는, 환기를 위한 기관 캐뉼라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인할 수 없었던 가래가 기관 캐뉼라의 내부에 저장됐을 경우에는 환기를 방해할 수 있을 우려가 있었다. 또 부압력을 높였을 때에 환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었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게 자동으로 가래의 흡인이 가능한 객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는, 흡인 라인과, 전환부와, 측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흡인 라인은, 환자의 기도 내에 발생한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구와, 흡인된 상기 가래를 수용하여 부압으로 유지되는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 장치는, 인공 호흡부와, 흡인 라인과, 전환부와, 측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인공 호흡부는, 환자에 대해 환기를 실시한다.
상기 흡인 라인은, 인공 호흡부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한 제1 통로와 환자의 가래가 흡인되는 흡인구가 배치된 제2 통로를 포함하여 환자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환자의 가래를 수용하여 부압으로 유지되는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은, 환자의 가래가 흡인되는 흡인구와, 환자의 가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흡인 라인과,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해 가능한 전환부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제어부를 갖는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인지 판정된다.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일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환부가 상기 제1 상태로 유지된다.
[도 1]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도 1에 나타내는 객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도 1에 나타내는 객담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4]도 2에 나타내는 용기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5]도 3에 나타내는 검출부의 압력 센서에 의해서 측정되는 기도 내압의 변동의 전형예에 대한 그래프이며, 세로축은 기도 내압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6]도 3에 나타내는 제어부(객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7]도 2에 나타내는 삽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8]도 7의 A-A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도 7에 나타내는 삽관 튜브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설명을 위해 도 7의 L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낸다.
[도 10]도 7에 나타내는 삽관 튜브 및 벌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1]도 10의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도 10의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참고예에 따른 삽관 튜브 및 벌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4]도 13의 D-D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6]도 15에 나타내는 기관 튜브(삽관 튜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는, 흡인 라인과, 전환부와, 측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흡인 라인은, 환자의 기도 내에 발생한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구와, 흡인된 상기 가래를 수용하여 부압으로 유지되는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상기 객담 장치는, 제1 상태로 흡인되는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의 경우에, 흡인구 부근이 가래로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는 제1 상태를 유지하여 가래의 흡인을 실시한다. 즉 환자의 호기를 이용하여 가래 흡인의 필요성의 확인과 흡인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의 호흡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동으로 가래의 흡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빈번히 가래의 흡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기 전에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안전하고 자동으로 가래의 흡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인 라인은,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삽입부를 더 갖고,
상기 삽입부는, 인공 호흡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한 제1 통로와, 상기 흡인구와 연락하는 제2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객담 장치가 삽입부를 개입시켜 인공 호흡기와 접속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공 호흡기를 장착하고 있는 환자에 대해서 자동으로 가래의 흡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호사 등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인공 호흡기의 환기를 방해하지 않고 흡인 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기관 튜브와,
상기 기관 튜브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환자의 기도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한 벌룬과,
상기 기관 튜브 내에 형성되어 상기 벌룬에 대해 공기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한 제3 통로를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관 튜브는, 인공 호흡에 의한 환기를 위한 제1 통로, 흡인되는 가래를 위한 제2 통로, 및 벌룬의 확장을 위한 제3 통로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독립한 라인 등을 갖는 구성보다, 확장된 벌룬이 기관 튜브의 외주면에 밀접하기 쉽고, 인공 호흡기에 의한 환기 가스의 누설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독립한 라인 등을 갖는 구성과 비교하여, 환자에 대한 감염 리스크나 침습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흡인구는, 상기 기관 튜브의 지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벌룬은, 상기 흡인구에 임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가 기도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기관 내벽에 쌓이는 가래를 흡인하기 쉬운 배치로 할 수 있다. 또 구조부에 의해, 흡인구에 임하는 공간부에 가래가 유입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흡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래가 적을 때 안전하게 흡인 가능해진다.
또, 상기 객담 장치는, 환자의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환자의 호기시를 판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가, 객담 장치 자체에 구비할 수 있는 검출부의 출력에 근거하고, 전환부를 적절히 제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검출부는, 압력 센서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기관 튜브 내에 상기 제1 통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4 통로를 더 갖고,
상기 제4 통로는, 상기 압력 센서와 접속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검출부의 압력 센서가 제4 통로를 개입시켜 제1 통로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압력 센서가 기도 내압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환자의 호기시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제4 통로도 삽관 튜브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관 튜브 내의 기체의 유회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환자가 자발 호흡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에서도, 환자의 호흡 상태를 적절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공 호흡기에 의존하는 중증시부터 인공 호흡기를 이탈할 때까지의 일련의 치료 과정에서, 상기 객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용부는, 부압원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고 교환 가능한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래를 수용하는 용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 내의 세정 등의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호사 등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상기 흡인 라인은, 상기 흡인구와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변형 가능한 흡인 튜브를 더 갖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흡인 튜브의 개방 및 폐색이 가능한 클램프를 더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흡인 튜브를 외부로부터 클램프에 의해 개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1 및 제2 상태의 변환을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제1 시간 유지하여 흡입된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인지 아닌지 판정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래 흡인의 필요성의 확인을 위한 시간을 가래의 흡인을 위한 시간보다 짧게 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로 할 시간을 단축해, 수용부 내의 압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 내를 부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부압원 등의 소비 전력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 장치는, 인공 호흡부와, 흡인 라인과, 전환부와, 측정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인공 호흡부는, 환자에 대해 환기를 실시한다.
상기 흡인 라인은, 인공 호흡부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한 제1 통로와 환자의 가래가 흡인되는 흡인구가 배치된 제2 통로를 포함해 환자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환자의 가래를 수용하여 부압에 유지되는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된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은, 환자의 가래가 흡인되는 흡인구와, 환자의 가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흡인 라인과,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한 전환부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제어부를 갖는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인지 판정된다.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일 때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환부가 상기 제1 상태로 유지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인공 호흡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 장치(1)는, 인공 호흡기(인공 호흡부)(2)와, 객담 장치(3)를 갖는다. 인공 호흡 장치(1)는, 예를 들면 똑바로 누운 자세의 환자(P)에 대해서, 인공 호흡기(2)에 의해 인공 호흡 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공 호흡기(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기(2)는, 예를 들면 기관삽관에 적용된다. 이하, 인공 호흡기(2)의 일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인공 호흡기(2)는, 본체(21)와, 흡기 회로(22)와, 호기 회로(23)와, 접속부(24)를 갖는다. 인공 호흡기(2)는, 본체(21)로부터 소정의 산소 농도의 흡기 가스가 흡기 회로(22)를 개입시켜 환자(P)에 공급되고, 환자(P)로부터의 호기 가스가 호기 회로(23)를 개입시켜 배출됨으로써, 환자(P)에 대해 환기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21)는, 내부에 블로어(blower)를 가질 수 있다. 해당 블로어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산소원으로부터의 산소와 공기를 도입하고, 흡입기 밸브 등을 개입시켜 소정 농도 및 소정 압력의 산소 가스를 흡기 회로(22)에 송출한다. 한편, 호기 회로(23)로부터 배출된 호기 가스는, 호기 밸브 등을 개입시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혹은, 본체(21)는, 리저버 탱크(Reservoir tank) 등을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블로어 등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산소 가스를 리저버 탱크 내에 저장해 두는 것이 가능하고, 산소 가스의 송출을 보다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접속부(24)는, 이른바 Y 피스로서 구성되는 관 모양 구조를 갖는다. 즉 접속부(24)는,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는 삽입부(44)에 접속되는 일단부와, 각각 흡기 회로(22) 및 호기 회로(23)에 접속되는 2개의 분기된 타단부를 갖는다. 접속부(24)의 흡기 회로(22)와 접속되는 관로 내에는, 예를 들면 감염 방지용의 필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공 호흡기(2)는, 흡기 회로(22) 및 호기 회로(23)를 묶어 소정 위치에 지지하는 지지도구(25)를 가질 수 있다. 또 인공 호흡기(2)는, 본체(2)와 접속되는 표시부(26)를 가질 수 있다. 표시부(26)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환자(P)의 호흡 상태 등의 표시나, 환기 모드의 선택 등의 입력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인공 호흡기(2)는, 환자(P)의 호흡 상태의 이상을 통보하는 경보 장치나, 환자(P)의 기도를 가습 등 하는 네블라이저(Nebulizer) 등을 적당하게 가질 수 있다.
인공 호흡기(2)를 장착하고 있는 환자(P)는, 자력으로 가래를 기도 밖으로 배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가래가 기도 내에 저장되고, 인공 호흡기(2)에 의한 환기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빈번히 가래의 흡인 처치를 실시할 필요가 있어서, 간호사나 간병인 등의 부담이 컸다.
거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 장치(1)는, 객담 장치(3)를 갖고, 자발 호흡이 불가능한 중증의 환자(P)에 대해서 자동으로 가래의 흡인 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객담 장치(3)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객담 장치]
도 2,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3)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개략 구성도, 도 3은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객담 장치(3)는, 흡인 라인(4)과, 전환부(5)와, 검출부(6)와, 측정부(7)와, 제어부(8)를 갖고, 제어부(8)가 흡인 라인(4)에 의한 가래의 흡인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전환부(5)와, 측정부(7)와, 제어부(8)와, 흡인 라인(4) 및 검출부(6)의 일부는, 객담 장치(3)의 케이스(30) 내부에 배치된다.
(흡인 라인)
흡인 라인(4)은, 흡인구(41)와, 흡인 튜브(42)와, 수용부(43)와, 삽입부(44)를 갖는다. 즉 흡인 라인(4)은, 흡인구(41)로부터 환자의 기도 내에 발생한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해당 가래를 흡인 튜브(42)로부터 수용부(43)에 흡인하도록 구성된다.
삽입부(44)는, 후술하듯이, 구강을 개입시켜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는 삽관 튜브(기관 튜브)(440)를 갖는다. 흡인구(41)는, 삽관 튜브(440)의 외주면에 개구되고, 삽관 튜브(440)가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었을 때에 환자의 기도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흡인 튜브(42)는, 흡인구(41)와 수용부(43)의 사이에 접속되어, 케이스(30)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흡인 튜브(42)는, 삽입부(44)에 접속됨으로써 흡인구(41)와 연락하도록 구성된다. 흡인 튜브(42)의 내부에는, 흡인로가 형성된다(도시하지 않음). 해당 흡인로는, 가래 흡인 시에서의 가래의 통로를 구성한다. 즉 흡인로는, 일단부가 삽관 튜브(440)를 개입시켜 흡인구(41)와 접속하고, 타단부가 수용부(43)에 접속된다.
흡인 튜브(42)는,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제의 카테터 튜브 등으로 구성된다. 흡인 튜브(42)는, 흡인로만이 형성된 싱글 루멘 튜브(single lumen tube)일 수도 있고, 혹은 더블 루멘 튜브(double lumen tube)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블 루멘 튜브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흡인로 외에, 검출부(6)의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도 내압 측정로가 형성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흡인 튜브(42)는, 예를 들면 분기부(421)를 포함하고, 삽입부(44)로부터 분기부(421)까지는 흡인로와 기도 내압 측정로가 나란히 배치되고, 분기부(421)로부터 앞선 흡인로와 기도 내압 측정로가 분기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 경우, 분기부(421)와 수용부(43)의 사이에는 흡인로만이 배치된다. 또한 분기부(421) 는, 도 2와 같이 케이스(30) 밖에 배치되거나, 혹은 케이스(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인 튜브(42)는, 교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된 흡인 튜브(42)가 삽관 튜브(440)와 수용부(43)로부터 떼어내져서, 새로운 흡인 튜브(42)를 삽관 튜브(440)와 수용부(43)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흡인 튜브(42)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위생적으로 객담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수용부(43)는, 용기(431)와, 부압원(432)을 갖는다.
용기(431)는, 흡인 튜브(42)를 개입시켜 흡인된 가래를 수용하고, 부압으로 유지된다. 용기(431)는, 본 실시 형태에서, 흡인 튜브(42)와 부압원(432)에 접속되는 뚜껑부(433)를 포함한다. 부압원(432)은,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형의 진공 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흡기구가 용기(431)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431)는, 내부를 소정의 부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해당 소정의 부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약 -400mmHg(약 -53.3kPa, 게이지압)로 한다. 또, 부압원(432)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진공 펌프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용기(431)는, 본 실시 형태에서 교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용기(431) 내에 가래가 소정량 이상 수용되었을 경우에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 등을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용기(431) 내를 세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간호사 등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용기(431)는, 예를 들면 유연성이 있는 소프트 가방으로 구성된다. 해당 소프트 가방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나일론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제 등의 용기와 비교해 용기(431)를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교환에 의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교환시에는, 용기(431)를 외부로부터 압압 등 함으로써 용기(431) 내의 공기를 뽑아 폐기하는 것이 가능하고, 폐기물의 소량화에 공헌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431)의 뚜껑부(433)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뚜껑부(433)는, 흡인 튜브(42)에 접속되는 가래 제거 포트(434)와, 부압원(432)의 흡기구에 접속되는 흡기 포트(435)를 갖는다.
가래 제거 포트(434)에는, 예를 들면 역지 밸브(436)가 배치된다. 역지 밸브(436)는, 흡인 튜브(42)로부터 용기(431)로의 가래의 유입을 허용하고, 용기(431)로부터 흡인 튜브(42)로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역지 밸브(436)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윙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역지 밸브(436)는, 흡인 튜브(42)로부터 용기(431) 내에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에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객담 장치(3)의 운전시에는, 흡인구(41)가 대기압 정도이며, 용기(431) 내가 부압으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41)측으로부터 용기(431) 내에 압력이 인가되어, 역지 밸브(436)는 개방된다. 한편 폐기시에는, 용기(431)와 부압원(432)의 접속이 해제되고, 또한 공기 제거를 위한 압압 등에 의해 용기(431)의 내부에서 외부로 압력이 인가된다. 이것에 의해, 역지 밸브(436)는 폐쇄되고, 용기(431) 내로의 공기의 재유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역지 밸브(436)의 개변압은, 상기의 개폐가 가능해지도록 적당하게 설정 가능하다.
흡기 포트(435)에는, 예를 들면 필터(437)가 배치된다. 필터(437)로서는, 예를 들면 구멍 지름이 0.45~0.8μm정도의 멘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등이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제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437)는, 예를 들면 액체의 부착이 없는 경우에는 공기가 연통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액체가 부착했을 경우에는 공기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객담 장치(3)의 운전시에는, 부압원(432)이 필터(437)를 개입시켜 용기(431) 내의 공기를 흡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폐기시에는, 용기(431)의 압압 등에 의해, 필터(437)를 개입시켜 용기(431) 내의 공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431) 내의 공기가 제거되어 필터(437)에 가래가 부착했을 때에는 공기의 연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용기(431) 내로의 공기의 재유입을 방지하고, 공기가 제거되어 용적이 저감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환부)
전환부(5)는, 흡인구(41) 및 수용부(43)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흡인구(41) 및 수용부(43)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환부(5)는, 본 실시 형태에서, 흡인 튜브(42)의 개방 및 폐색이 가능한 클램프(51)를 갖는다.
클램프(51)는, 예를 들면 흡인 튜브(42)를 사이에 두어서 배치되는 고정 부재(51a)와 가동 부재(51b)를 갖는다. 제1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51a) 및 가동 부재(51b)는 흡인 튜브(42)의 관으로서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대향해서 배치되고, 흡인 튜브(42) 내의 흡인로가 개방된다. 한편 제2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51b)가 고정 부재(51a)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흡인 튜브(42)가 지름 방향으로 눌러 부수어지도록 변형된다. 이것에 의해 흡인 튜브(42) 내의 대향하는 면끼리가 접촉하여, 흡인로가 폐색된다.
또, 가동 부재(51b)의 구동에는,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8)의 출력에 근거해 신속히 제1 및 제2 상태의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또 가동 부재(51b)의 구동에는, 실린더 등의 다른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클램프(51)는, 흡인 튜브(42)에 기도 내압 측정로가 형성되는 경우, 분기부(421)와 수용부(43)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흡인로만이 클램프(51)에 의해 개폐되어, 기도 내압 측정로를 항상 개방해 두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상태에서, 클램프(51)와 용기(431) 사이의 흡인로는, 용기(431) 내와 같은 부압으로 유지된다.
(검출부)
검출부(6)는, 본 실시 형태에서, 압력 센서(61)와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을 갖고, 기도 내압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호흡 상태를 검출한다.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은, 삽입부(44)와 압력 센서(61)를 접속하는 통로이며, 기도와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술한 대로,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의 일부는, 흡인 튜브(42) 내에 형성되는 기도 내압 측정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은, 분기부(421)와 흡인로와 분기하여 케이스(30) 내의 압력 센서(61)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력 센서(61)는, 예를 들면 케이스(30) 내에 배치되어,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을 개입시켜 기도 내압을 측정한다. 압력 센서(61)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 게이지 등으로 구성된다.
도 5는, 압력 센서(61)에 의해서 측정되는 기도 내압의 변동의 전형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세로축은 기도 내압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5의 A로 나타내 보이는 기간은, 기도 내압이 상승하고 있어, 흡기시인 것으로 나타난다. 또 도 5의 B로 나타내 보이는 기간은, 기도 내압이 저하하고 있어, 호기시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에 의해, 기도 내압을 측정함으로써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측정부)
측정부(7)는, 제1 상태로 수용부(43)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한다. 이것에 의해 측정부(7)는, 기도 내의 가래의 발생 상황을 모니터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상태에서는, 부압으로 유지되는 수용부(43)와 기도를 향해 개구되는 흡인구(41) 사이가 연통하기 때문에, 흡인구(41)가 가래로 막혀 있지 않은 경우는 수용부(43)에 호기가 흡입된다. 한편, 흡인구(41)가 가래로 막혀 있는 경우에는, 수용부(43)에 흡입되는 호기의 양이 저하되거나, 혹은 거의 흡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측정부(7)는, 제1 상태에서 수용부(43)에 흡입되는 호기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기도 내의 가래의 발생 상황을 모니터 할 수 있다.
측정부(7)는, 수용부(43)에 배치된 압력 센서(71)를 갖는다. 압력 센서(71)는, 용기(431)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예를 들면 용기(431) 내와 같은 부압이 유지되는 용기(431)와 부압원(43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흡인구(41)와 용기(431)의 사이가 개방되는 제1 상태에서는, 수용부(43)에 흡입되는 호기의 양에 따라 용기(431) 내의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흡입되는 호기의 양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압력 센서(71)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 게이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압력 센서(71)는, 제2 상태에서 용기(431) 내의 압력을 모니터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흡인 등에 의해 용기(431) 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 부압원(432)를 구동해 용기(431) 내의 압력을 소정치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3)는, 가래의 발생 상황과 용기(431) 내의 압력의 모니터를 1개의 압력 센서(71)에 의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치의 저비용화 및 장치 구성의 단순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8)는, 전형적으로는, CPU(CentralProcessingUnit) 혹은 MPU(Micro-ProcessingUnit)로 구성된다. 제어부(8)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된 프로그램 등을 실행함으로써,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8)는, 환자의 호기시에 전환부(5)를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측정부(7)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일 때에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6은, 제어부(8)(객담 장치(3))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제어부(8)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객담 장치(3)를 기동해, 부압원(432)을 구동한다. 이 때 전환부(5)는, 클램프(51)에 의해 흡인 튜브(42)가 폐색된 제2 상태이며, 흡인구(41)와 수용부(43) 사이의 공기의 연통이 차단되고 있다.
제어부(8)는, 검출부(6) 의 압력 센서(71)의 출력에 근거하여, 용기(431) 내의 압력이 소정치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1). 본 실시 형태에서, 용기(431) 내의 압력의 「소정치」, 즉, 「기설정된 기준값」은, 예를 들면 -400mmHg(약 -53.3kPa, 게이지압)로 한다. 용기(431) 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스텝 ST1에서 No), 또한 부압원(432)을 구동하여 다시 동일하게 판정을 한다(스텝 ST1).
용기(431) 내의 압력이 소정치 미만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스텝 ST1에서 Yes), 제어부(8)는 부압원(432)의 구동을 일시정지시킨다(스텝 ST2). 이 때, 전환부(5)가 제2 상태이기 때문에, 부압원(432)의 구동을 정지해도 용기(431) 내의 압력은 예를 들면 소정치 미만으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제어부(8)는, 검출부(6)의 압력 센서(61)의 출력에 근거하고, 호기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3). 즉, 압력 센서(61)에 의해 계측되는 기도 내압이 저하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압력 센서(61)에 의해 계측되는 기도 내압의 압력치가 저하되지 않고, 호기시가 아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스텝 ST3에서 No), 재차 호기시인지 아닌지 판정을 한다(스텝 ST3).
호기시라고 판정했을 경우는(스텝 ST3에서 Yes), 제어부(8)는, 클램프(51)에 의해 흡인 튜브(42)를 개방하고,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전환한다(스텝 ST4). 이것에 의해, 용기(431)가 흡인구(41)와 연통한다. 제어부(8)는,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제1 시간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부(8)는,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상태로 전환하고, 수용부(43)에 흡입된 호기의 양이 소정치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5). 즉 측정부(7)의 압력 센서(71)의 출력에 근거하고, 용기(431) 내의 압력이 소정치 미만인지 아닌지 판정한다.
예를 들면, 흡인구(41)를 막을 정도의 가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흡인구(41)를 개입시켜 환자의 기도와 수용부(43)의 연통이 확보되어, 환자의 호기가 수용부(43)에 흡입된다. 한편 흡인구(41)가 가래로 막혀 있는 경우에는, 제1 상태여도 환자의 기도와 수용부(43)가 차단되어, 환자의 호기는 흡입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43)에 흡입된 호기의 양, 즉 용기(431) 내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가래의 흡인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제1 시간은, 흡인구(41)를 개입시켜 환자의 기도와 수용부(43)의 연통이 확보되고 있는 경우에, 호기가 용기(431) 내에 흡입되어, 해당 호기의 흡입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시간은, 해당 호기의 흡입에 의해 용기(431) 내의 압력 상승을 측정할 수 있는 시간일 수 있고, 예를 들면 0.1초~3.0초로 할 수 있다. 또, 제1 시간의 경과후에는 전환부(5)를 제2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흡인 라인(4)의 개방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용기(431) 내의 압력 상승을 제한해 부압원(432)의 구동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력의 소비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압력 센서(71)에 의해 계측된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스텝 ST5에서 No), 제어부(8)는, 가래의 발생이 적어 가래를 흡인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이 경우는 가래의 흡인을 하지 않고, 다시 용기(431) 내의 압력이 소정치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1).
압력 센서(71)에 의해 계측된 압력이 소정치 미만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스텝 ST4에서 Yes), 흡인구(41)가 가래로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8)는,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전환하여, 제1 상태를 유지하고, 흡인구(41)를 막고 있는 가래를 흡인한다(스텝 ST6).
여기서, 흡인구(41)의 압력은 거의 대기압으로 동일하지만, 수용부(43)의 용기(431) 내의 압력은 소정치 미만의 부압이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41) 및 수용부(43) 간의 개방에 의해서 흡인 라인(4) 내에 압력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유지하고, 흡인구(41)로부터 흡인 튜브(42)를 개입시켜 수용부(43)에 가래를 급격하게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동안, 제어부(8)는, 용기(431) 내의 압력치가 소정치 이상인가 아닌가, 즉 수용부(43)에 흡입된 호기의 양이 소정치 이상인가 아닌가 판정하고 있다(스텝 ST7). 이것에 의해, 흡인구(41)를 막는 가래를 제거할 수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용기(431) 내의 압력치가 소정치 미만이라고 판정되고 있는 동안은(스텝 ST7에서 No), 흡인구(41)가 아직 가래로 막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유지하고 흡인을 계속한다(스텝 ST6).
용기(431) 내의 압력이 소정치 이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스텝 ST7에서 Yes), 흡인구(41)를 막는 가래가 제거되어 용기(431) 내에 호기가 흡인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환부(5)를 제2 상태로 전환한다(스텝 ST8). 이와 같이 제어부(8)는, 흡인구(41)를 막는 가래를 흡인할 때까지 제1 상태로 유지하고, 흡인 라인(4)에 흡인을 계속시킨다. 결과적으로 제어부(8)는,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유지한다. 제2 시간은, 가래의 발생 상황에서 보다, 0.3초~3.0초로 할 수 있다.
흡인 종료 후, 용기(431) 내의 압력을 소정치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해, 다시 용기(431)의 압력이 소정치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T1).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8)는, 호기시에 가래 흡인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필요성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는 가래를 급격하게 흡인한다. 이것에 의해, 필요에 따라서 자동으로 흡인이 가능해져, 간호사 등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또, 빈번히 흡인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가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상태를 회피하고, 인공 호흡기(2)에 의한 환기가 저해되는 위험성을 저감 할 수 있다.
또 호기시에 흡인을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헛기침과 같이, 환기 흡인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상태를 회피해 1회의 흡인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흡인을 실시하는 시간을 0.3초~3.0초로 할 수 있다. 즉 호기시는 약2~3초간인 것부터, 환자의 흡기시까지 흡인을 계속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이와 같이 호기시에 흡인을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헛기침과 같이, 환기의 방해가 되지 않게 흡인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객담 장치(3)는, 안전하게 흡인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는, 가래의 흡인 후에 흡인구(41) 및 수용부(43) 사이를 차단하고, 수용부(43)의 용기(431) 내의 압력 상승을 억제한다. 또, 흡인의 필요성의 확인 후, 혹은 가래의 흡인 후에 측정부(7)의 출력 결과를 모니터 하여, 용기(431)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경우에만 부압원(432)을 구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한 경우에만 부압원(432)을 구동하기 때문에, 부압원(432)의 구동에 의한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정숙성을 확보함으로써 환자의 부담을 경감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여기서 객담 장치(3)는, 상술한 대로, 삽입부(44)를 개입시켜 인공 호흡기(2)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삽입부(4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삽입부)
도 7은, 삽입부(44)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삽입부(44)는, 삽관 튜브(440)와, 제1 통로(441)와, 제2 통로(442)와, 제3 통로(443)와, 제4 통로(444)와, 벌룬(445)을 갖는다. 제1 통로(441)는, 인공 호흡기(2)에 접속되어 환자의 호기 및 흡기의 통로를 구성한다. 제2 통로(442)는, 흡인시의 가래의 통로를 구성한다. 제3 통로(443)는, 벌룬(445)에서 공기를 송출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제4 통로(444)는, 검출부(6)의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과 접속된다.
또 삽관 튜브(440)는, 인공 호흡기(2) 및 흡인 튜브(42)에 접속되는 접속부(446)와,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는 튜브 본체(447)를 갖는다. 삽관 튜브(440)는, 접속부(446)와 튜브 본체(447)가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만곡한 관 모양으로 구성된다. 즉 접속부(446)는 제1 단부(440a)를 포함하고, 튜브 본체(447)는 제2 단부(440b)를 포함한다.
도 8은, 접속부(446)의 제1 단부(440a)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의 A-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접속부(446)는, 흡인 튜브 연결부(448)와, 벌룬 확장 포트(449)를 포함한다. 흡인 튜브 연결부(448) 및 벌룬 확장 포트(449)는, 접속부(446)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접속부(446)에는, 도 8과 같이 튜브 본체(447)의 일단이 내부에 감합하고 있다.
흡인 튜브 연결부(448)는, 흡인 튜브(42)에 접속되고, 흡인 튜브 연결부(448) 내에는, 제2 통로(442)와 제4 통로(444)가 형성된다. 제2 통로(442)는 흡인 튜브(42)의 흡인로와 접속되고, 흡인 튜브 연결부(448)로부터 튜브 본체(447)를 개입시켜 흡인구(41)까지 형성된다. 제4 통로(444)는 흡인 튜브(42)의 기도 내압 측정로와 접속되어, 흡인 튜브 연결부(448)로부터 제1 통로(441)에 개구된다.
벌룬 확장 포트(449) 내에는, 제3 통로(443)가 형성된다. 벌룬 확장 포트(449)는, 첨단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주사통을 삽입하기 위한 밸브(449a)를 포함한다(도 7 참조). 또 제3 통로(443)는, 후술하는 벌룬(445)의 송출구(443a)에 접속되어, 송출구(443a)로부터 튜브 본체(447)를 개입시켜 벌룬 확장 포트(449)까지 연속하여 형성된다.
제1 통로(441)는, 접속부(446) 및 튜브 본체(447)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단부(440a, 440b) 간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통로(441)는, 접속부(446)를 개입시켜 인공 호흡기(2)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고, 환자의 기도와 연통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통로(441) 내의 압력은 기도 내압과 동일해진다.
제4 통로(444)는,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을 개입시켜 압력 센서(61)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압력 센서(61)는, 기도 내압 측정 라인(62) 및 제4 통로(444)를 개입시켜 기도 내압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압력 센서(61)를 삽관 튜브(440) 내에 배치하지 않고, 또 제4 통로(444)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 구성을 간단하고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용적으로도 유리하게 된다.
도 9는, 튜브 본체(447)의 사시도이며, 설명을 위해 도 7의 L로 절단한 모양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튜브 본체(447)에는, 제1 통로(441), 제2 통로(442) 및 제3 통로(443)가 병행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튜브 본체(447)는, 압출 성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0~12은, 튜브 본체(447)의 제2 단부(440b)를 포함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흡인구(41)는, 삽관 튜브(440)의 지름 방향으로 개구된다. 또한 흡인구(41)는, 삽관 튜브(44)가 똑바로 누운 자세의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었을 때, 환자의 등쪽의 기도 내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흡인구(41)는, 기도 내의 하부에 저장하는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통로(442)는, 제2 단부(440b)에는 개구되지 않고, 흡인구(41)만으로부터 가래를 흡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벌룬(445)은, 삽관 튜브(44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환자의 기도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벌룬(445)은, 환자의 기도 내에서 확장함으로써, 삽관 튜브(440)를 기도 내의 소정 위치에 유치한다. 벌룬(445)은, 제3 통로(443)와 연락하는 공기의 송출구(443a)를 포함하고, 제3 통로(443)로부터 송출구(443a)를 개입시켜 벌룬(445) 내에 공기가 송출됨으로써 확장된다. 벌룬(445)이 삽관 튜브(440)(튜브 본체(447))와 기도와의 사이의 틈새를 채움으로써, 인공 호흡기(2)에 의해 기도 내에 이송된 공기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3, 14는, 참고예에 따른 삽관 튜브(440A)(튜브 본체(447A)) 및 벌룬(445A)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D-D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참고예에 따른 삽관 튜브(440A) 및 벌룬(445A)은, 일반적인 기관삽관용 튜브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즉 삽관 튜브(440A)에는, 인공 호흡기와 접속되는 제1 통로(441A)가 형성되고 있다.
벌룬(445A)은, 삽관 튜브(440A)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환형으로 구성된다. 또, 벌룬(445A)으로의 공기의 송출은, 공기의 송출구(443Aa)를 개입시켜 벌룬 확장 라인(446A)에 의해 행해진다. 벌룬 확장 라인(446A)은, 벌룬(445A)과 삽관 튜브(440A)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벌룬(445A)이어도, 삽관 튜브(440A)를 기도 내의 소정 위치에 유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환자의 기도 내에서 발생한 가래는, 벌룬(445A)에 막혀서, 기도 내면과, 벌룬(445A)과, 삽관 튜브(440A)에 둘러싸인 공간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벌룬(445)은, 삽관 튜브(44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배치된 환상부(445a)와, 구조부(445b)를 포함한다. 환상부(445a)는, 참고예에 따른 벌룬(445A)과 같은 구성이며, 예를 들면 흡인구(41)의 제1 단부(440a)측에 배치된다. 또 구조부(445b)는, 예를 들면 환상부(445a)로부터 흡인 튜브(42) 의 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 쌍의 구조체이며, 흡인구(41)를 사이에 두도록 대향해서 배치된다. 구조부(445b)는, 흡인구(41)에 임하는 공간부(S)를 형성한다.
공간부(S)는, 삽관 튜브(440)가 환자의 기도 내에 배치되었을 때, 기도 내면과, 환상부(445a)와, 구조부(445b)와, 삽관 튜브(440)에 둘러싸인 공간을 구성한다. 즉 공간부(S)는, 구조부(445b)가 측벽이 되고, 참고예에 대해 가래가 저장하는 공간보다 좁게 구성되어, 가래가 집중적으로 유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공간부(S)에 접하는 흡인구(41)는, 참고예보다 효율적으로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흡인구(41)는, 공간부(S)에 가래가 집중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해당 가래에 의해서 막히기 쉬운 구성이 된다. 따라서 객담 장치(3)는, 측정부(7)에 의한 가래의 검출 감도가 높고, 가래가 다량으로 발생하기 전에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벌룬(445) 및 삽관 튜브(440)의 사이의 공간과 공간부(S)에 가래가 저장되기 때문에, 가래가 제2 단부(440b)에 개구되는 제1 통로(441)에 도달이 어렵고, 환자의 환기를 방해하는 위험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통로(443)는, 삽관 튜브(440) 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벌룬 확장 라인 등을 별개로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벌룬(445)을 확장했을 때에, 벌룬(445)이 삽관 튜브(440)의 외주면에 밀접해서 배치되어, 인공 호흡기(2)에 의한 환기 가스의 누락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제3 통로(443)뿐만 아니라, 삽관 튜브(440) 내에는 제1~제4 통로(441~444)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삽관 튜브(440)는, 복수의 독립한 라인 등을 갖는 구성과 비교해 환자에 대한 감염 리스크나 침습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삽관 튜브(440)는, 기관삽관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인공 호흡기(2)에 접속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공 호흡 장치(1)는, 전용의 인공 호흡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미 의료 기관 등에 도입되고 있는 인공 호흡기(2)에 객담 장치(3)를 접속하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인공 호흡 장치(1)의 도입 시에 코스트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삽관 튜브(440)는, 일반적인 기관삽관용 튜브와 같이 삽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별한 손재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인공 호흡 장치(1)를 원활하고 안전하게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2에 대응하는 개략 구성도, 도 16은 도 8에 대응하는 삽관 튜브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하며, 상술의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3A)를 포함한 인공 호흡 장치는, 자발 호흡이 불가능한 중증시뿐만 아니라, 환자를 인공 호흡기로부터 이탈시키는 조작(위닝, weaning) 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위닝(weaning)이란, 완전한 인공 호흡으로부터 서서히 자발 호흡을 늘려 가, 최종적으로 인공 호흡기를 벗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위닝의 과정에서 환자가 자발 호흡을 시작하면, 흡기 시에, 삽입부(44)의 제1 통로(441) 내의 공기는 환자의 폐에 직접 흡입된다. 이 때문에, 인공 호흡 시와 비교해 제1 통로(441) 내의 압력의 상승은 작아지고, 삽관 튜브(440) 내에서 도 5에 나타내 보이는 명확한 압력의 변동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위닝 시에, 압력 센서(61)로만 환자의 호흡 상태를 판정하는 것은 어렵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3A)의 검출부(6A)는, 유회 방향 센서(센서)(63)를 갖는다. 도 16을 참조하여, 유회 방향 센서(63)는, 삽관 튜브(기관 튜브)(440) 내의 기체의 유회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삽관 튜브(440) 내의 기체의 흐름은, 환자의 호흡 상태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상기 구성에 의해, 검출부(6A)가 자발 호흡의 유무에 의하지 않고 환자의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회 방향 센서(63)는, 삽관 튜브(440) 내의 기체의 흐름을 검출할 수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회 방향 센서(63)로서, 예를 들면, 유회 방향을 검출 가능한 유량 센서(플로우 센서, flow sensor)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격막 등의 변형에 의해 유회 방향을 검출하는 구성 등도 적당하게 채용할 수 있다.
유회 방향 센서(63)는, 본 실시 형태에서, 센서 헤드(631)와, 케이블(632)과, 콘트롤러(633)를 갖는다. 센서 헤드(631)는, 도 1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접속부(446) 내의 제1 통로(441)에 배치되어, 기체의 흐름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콘트롤러(633)는, 케이스(30) 내에 배치되어, 센서 헤드(63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8A)로 출력한다. 케이블(632)은, 센서 헤드(631)와 콘트롤러(63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센서 헤드(631)로부터 제4 통로(444)를 거쳐 케이스(30) 내의 콘트롤러(633)까지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8A)는, 본 실시 형태에서, 검출부(6A)의 유회 방향 센서(63)(콘트롤러(633))의 출력에 근거하고, 호기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8A)는, 유회 방향 센서(63)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삽관 튜브(440)의 환자측의 제2 단부(440b)(도 7 참조)로부터 제1 단부(440a)를 향하는 기체의 흐름(도 16의 화살표 참조)을 검출했을 경우에, 호기시라고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호기시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제어부(8A)는, 전환부(5)를 제1 상태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객담 장치(3A)에 의한 객담 조작을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인공 호흡 시뿐만 아니라, 환자의 자발 호흡을 수반하는 위닝 시에도, 환자의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자발 호흡이 없는 중증 시부터 서서히 자발 호흡을 회복하여, 인공 호흡기(2)를 이탈할 수 있을 때까지의 일련의 치료 과정에서, 객담 장치(3A)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비교적 장기에 걸쳐 자동으로 가래의 흡인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간호사 등의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다. 또, 유회 방향 센서(63)에 의해, 자발 호흡의 유무에 의하지 않고 환자의 호흡 상태를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래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상태를 회피하여, 보다 안전하게 흡인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객담 장치는, 기관 삽입에 적용되는 인공 호흡기에 접속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객담 장치는, 기도 절개에 적용되는 인공 호흡기에 접속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의 기관 튜브는, 기관 캐뉼라(cannula)에 대응하는 구성을 갖고, 이상의 실시 형태와 같이, 제1~제4 통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삽관 튜브에는 제1~제4 통로가 일체로 형성된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통로, 혹은 이 중 일부의 통로를 별개의 튜브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객담 장치는, 흡인 상태의 이상을 통지하는 경보부를 가질 수 있다. 해당 경보부는, 예를 들면 3초간 이상 흡인을 계속했지만 호기의 유입을 확인하지 못하고 흡인을 종료할 수 없는 경우 등에, 간호사 등에 그 취지를 경보하는 스피커 등을 가질 수 있다. 또 경보부는, 예를 들면 점등에 의해 경고하는 LED 램프나, 디스플레이 등을 갖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객담 장치는, 용기의 교환 시기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가질 수 있다. 해당 통지부는, 예를 들면 LED 램프 등으로 구성되고, 용기(431) 내에 소정량 이상의 가래가 수용되었을 경우에 점등하여 교환 시기인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혹은 통지부는, 교환 시기라는 취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이나, 음성으로 통지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경보부를 갖는 경우에는, 경보부와 동일한 스피커, LED 램프,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측정부는, 압력 센서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호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등을 가질 수 있다. 또, 압력 센서의 배치는 용기와 부압원과의 사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기 내나 용기의 뚜껑부(lid)에 배치될 수 있다. 혹은 압력 센서는, 전환부와 용기와의 사이의 흡인 튜브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환부와 용기와의 사이는, 용기 내와 같은 압력이기 때문에, 이 구성에 의해서도 압력 센서가 수용부(용기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회 방향 센서(63)는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센서 헤드 및 콘트롤러가 일체로 구성되어, 삽관 튜브(440) 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케이블(632)의 주행 경로는, 제4 통로(444) 내를 지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흡인 튜브(42)와는 별개로 주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흡인 라인(4)이 제4 통로(444)를 갖지 않을 수 있다.
검출부는, 압력 센서 및 유회 방향 센서의 어느 쪽이든 한쪽을 갖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압력 센서 및 유회 방향 센서의 쌍방을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환자의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검출부는, 압력 센서 또는 유회 방향 센서를 갖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산화탄소 농도 센서 등을 갖고, 호기와 흡기의 이산화탄소량의 차이에 의해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객담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인공 호흡기와 접속되는 통신부를 가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부가 인공 호흡기 자체의 모니터 하는 환기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검출부의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전환부는, 클램프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환밸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밸브는, 밸브 본체가 흡인 라인의 가래 흡인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흡인구 및 수용부 간의 연통 및 차단을 바꾸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전환밸브는, 유체식이나 전자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 경우의 흡인 라인은, 변형 가능한 흡인 튜브를 갖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변형하기 어려운 관 모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호기시에 제1 상태로 전환하여 가래의 흡인의 필요성을 확인한다고 설명했지만, 매 호기시에 상기 확인을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된 호기시 중 2회에 1회 상기 확인을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제1 시간 제1 상태로 한 후, 제2 상태로 하지 않고 제1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호기시의 판정과 흡인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가 교환 가능한 소프트 가방이라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용기가 교환 가능하지 않고, 유리병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유리병 등의 내부에 소프트 가방이 수용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인공 호흡 장치
2…인공 호흡기(인공 호흡부)
3…객담 장치
4…흡인 라인
5…전환부
6…검출부
7…측정부
8…제어부
41…흡인구
42…흡인 튜브
43…수용부
44…삽입부
51…클램프
61…압력 센서
63…유회 방향 센서(센서)
440…삽관 튜브
431…용기
432…부압원
441…제1 통로
442…제2 통로
443…제3 통로
444…제4 통로
445…벌룬
445b…구조부
S…공간부

Claims (13)

  1. 환자의 기도 내에 발생한 가래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구와, 흡인된 상기 가래를 수용하여 부압으로 유지되는 수용부를 갖는 흡인 라인과,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된 전환부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한 제어부
    를 구비하는 객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라인은, 환자의 기도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 삽입부를 더 갖고,
    상기 삽입부는, 인공 호흡기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한 제1 통로와, 상기 흡인구와 연결되는 제2 통로를 포함하는
    객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기관 튜브와,
    상기 기관 튜브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환자의 기도에 밀착하는 것이 가능한 벌룬과,
    상기 기관 튜브 내에 형성되어 상기 벌룬에 대해 공기를 송출하는 것이 가능한 제3 통로를 갖는
    객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는, 상기 기관 튜브의 지름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벌룬은, 상기 흡인구에 임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구조부를 포함하는
    객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환자의 호흡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근거하여 환자의 호기시를 판정하는
    객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압력 센서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기관 튜브 내에 상기 제1 통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제4 통로를 더 갖고,
    상기 제4 통로는, 상기 압력 센서와 접속되는
    객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관 튜브 내의 기체의 흐름 방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를 갖는
    객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부압원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고 교환 가능한 용기를 포함하는
    객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라인은, 상기 흡인구와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변형 가능한 흡인 튜브를 더 갖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흡인 튜브의 개방 및 폐색이 가능한 클램프를 더 갖는
    객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제1 시간 유지하여 흡입된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하는
    객담 장치.
  11. 환자에 대해 환기를 실시하는 인공 호흡부와,
    인공 호흡부에 접속되는 것이 가능한 제1 통로와 환자의 가래가 흡인되는 흡인구가 배치된 제2 통로를 포함하여 환자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환자의 가래를 수용하여 부압으로 유지되는 수용부를 갖는 흡인 라인과,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하고,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된 전환부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 가능하고,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때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 가능한 제어부
    를 구비하는 인공 호흡 장치.
  12. 환자의 가래가 흡인되는 흡인구와, 환자의 가래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흡인 라인과,
    상기 흡인 라인에 배치되어,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흡인구 및 상기 수용부의 사이를 차단하는 제2 상태를 전환 가능한 전환부와,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수용부에 흡입되는 호기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제어부를 갖는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환자의 호기시에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인지 판정하고,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일 때에,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하는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의 양을 판정하는 공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제1 시간 유지하여 상기 수용부에 호기를 흡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상태로, 상기 흡입된 호기의 양이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인지 아닌지 판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은, 상기 객담 장치가 상기 전환부를 상기 제1 상태로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유지하는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147035796A 2012-09-26 2013-09-17 객담 장치, 인공 호흡 장치 및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 Active KR101548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2886 2012-09-26
JPJP-P-2012-212886 2012-09-26
PCT/JP2013/005478 WO2014050013A1 (ja) 2012-09-26 2013-09-17 喀痰装置、人工呼吸システム及び喀痰装置の作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194A KR20150008194A (ko) 2015-01-21
KR101548898B1 true KR101548898B1 (ko) 2015-08-31

Family

ID=5038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796A Active KR101548898B1 (ko) 2012-09-26 2013-09-17 객담 장치, 인공 호흡 장치 및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02969B2 (ko)
EP (1) EP2845617B1 (ko)
JP (1) JP5503094B1 (ko)
KR (1) KR101548898B1 (ko)
CN (1) CN104703646B (ko)
CA (1) CA2871922C (ko)
WO (1) WO20140500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46A1 (ko) * 2016-03-29 2017-10-05 (주)엘메카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4794B (zh) * 2015-05-08 2017-03-29 濡新(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咳痰管路
CN105343944B (zh) * 2015-10-12 2017-08-25 濡新(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咳痰系统
JPWO2017072812A1 (ja) * 2015-10-27 2017-11-02 株式会社メディカルシード 挿管チューブ
CN106215253A (zh) * 2016-08-11 2016-12-14 重庆医科大学附属永川医院 一种微型电动吸痰器
CN106310405A (zh) * 2016-08-25 2017-01-11 管存忠 一种遥控医疗废液收集装置
CN107456614A (zh) * 2017-08-08 2017-12-12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自动报警吸痰装置
JP2019063447A (ja) * 2017-10-05 2019-04-25 株式会社モリタ東京製作所 痰検出方法、吸引カテーテルおよび自動痰吸引システム
GB201718647D0 (en) * 2017-11-10 2017-12-27 Teleflex Life Sciences Unlimited Co Medical container
CN108578797A (zh) * 2018-05-21 2018-09-28 赵田田 一种便捷式小儿应急用吸痰装置
WO2020081981A1 (en) * 2018-10-18 2020-04-23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aspirating airways
KR102215835B1 (ko) * 2018-11-09 2021-02-16 (주)리젠케어 자기청소기능을 가지는 기도삽관튜브
CN111437484A (zh) * 2020-05-08 2020-07-24 绵竹市人民医院 一种呼吸机模块式气管插管导管
CN111588921A (zh) * 2020-05-29 2020-08-28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便于观察与计量痰液的吸痰系统、控制方法、吸痰器
US12251530B2 (en) * 2020-06-09 2025-03-18 Pham & Rodriquez Innovations Llc Synchronized automated bronchial lavage aspiration apparatus
CN111658850A (zh) * 2020-07-10 2020-09-15 杨光霞 一种用于人工呼吸器的吸痰装置
US20220062574A1 (en) * 2020-08-31 2022-03-03 Av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arbon Dioxide and Pressure Sensing to Verify Placement of Tube in Airway or Esophagus
CN112451821B (zh) * 2020-11-30 2021-10-15 卢雯 一种气道自动化管理系统
KR102583550B1 (ko) * 2020-12-23 2023-09-27 오혁근 트라키오스토미 환자용 객담 용기
WO2022139137A1 (ko) * 2020-12-23 2022-06-30 오혁근 트라키오스토미 환자용 객담 용기
CN112807537A (zh) * 2021-02-09 2021-05-18 武汉君安友联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供氧及吸痰管及具有其的节律性供氧及吸痰系统
CN113018525B (zh) * 2021-03-01 2022-05-27 南方医科大学南方医院 一种可计量多功能安全型密闭式吸痰装置
CN113209430A (zh) * 2021-04-15 2021-08-06 深圳市安保科技有限公司 具有排痰功能的呼吸机控制方法及呼吸机
CN113101479A (zh) * 2021-04-15 2021-07-13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潞河医院 一种便携式新生儿呼吸辅助系统
KR102759980B1 (ko) * 2022-06-16 2025-01-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관절개관 환자의 기관절개관, 기관 및 기관지 막힘 측정 장치
CN115738017A (zh) * 2022-09-07 2023-03-0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呼吸机管路结构及带吸痰功能的呼吸机
CN119950922B (zh) * 2025-04-10 2025-07-08 杭州市老年病医院 一种用于重症医学患者呼吸康复辅助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9122A (ja) 1998-06-28 2002-07-02 エンツィンガー・アルフレート 気管カテーテルから痰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
JP2005027879A (ja) 2003-07-14 2005-02-03 Chest M I Inc 排痰装置
WO2006035769A1 (ja) 2004-09-27 2006-04-06 Koken Co., Ltd. 気管カニューレ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1290B (ko) * 1953-10-23
US5125893A (en) * 1990-04-16 1992-06-30 Dryden Gale E Suction catheter with wall lumen for irrigation
US5419769A (en) * 1992-10-23 1995-05-30 Smiths Industries Medical Systems, Inc. Suction systems
US5492109A (en) * 1993-11-03 1996-02-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Liquid ventilator with venturi-inducing patient connector
GB9520234D0 (en) * 1995-10-04 1995-12-06 Smiths Industries Plc Tracheal tubes and systems
US20020014238A1 (en) * 1999-02-12 2002-02-07 Robert F. Kotme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llected secretions from cuffed ventilation tube in a patient's trachea
US6575944B1 (en) * 2000-06-19 2003-06-10 Portex, Inc. Adapter for localized treatment through a tracheal tube and method for use thereof
AU2005234774B2 (en) * 2004-04-20 2011-01-20 Novartis Ag Aerosol delivery apparatus for pressure assisted breathing
JP4889491B2 (ja) * 2004-07-16 2012-03-07 株式会社徳永装器研究所 気管内痰の吸引装置
CN101065160A (zh) * 2004-09-27 2007-10-31 株式会社高研 气管插管
US7503328B2 (en) * 2005-03-15 2009-03-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ucus slurping endotracheal tube
JP4302090B2 (ja) 2005-10-26 2009-07-22 株式会社徳永装器研究所 気管内痰の吸引装置
US7654264B2 (en) * 2006-07-18 2010-02-02 Nellcor Puritan Bennett Llc Medical tube including an inflatable cuff having a notched collar
GB0621608D0 (en) * 2006-10-31 2006-12-06 Smiths Group Plc Tracheal tube apparatus
DE102009013205A1 (de) * 2009-03-17 2010-09-23 Dolphys Technologies B.V. Jet-Ventilationskatheter, insbesondere zur Beatmung eines Patienten
US9248249B2 (en) * 2009-06-08 2016-02-02 Covidien Lp Point-of-care pathogen monitoring devices and systems
US20110048427A1 (en) * 2009-06-24 2011-03-03 Oron Zachar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fluid flow in an intubated trachea
US10537700B2 (en) * 2009-10-16 2020-01-21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 and method for suctioning for secretion removal from the airway of a mechanically ventilated subject
US8783255B2 (en) * 2010-07-30 2014-07-22 Covidien Lp Medical device tube having suction lumen and an associated suc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9122A (ja) 1998-06-28 2002-07-02 エンツィンガー・アルフレート 気管カテーテルから痰を除去するための装置
JP2005027879A (ja) 2003-07-14 2005-02-03 Chest M I Inc 排痰装置
WO2006035769A1 (ja) 2004-09-27 2006-04-06 Koken Co., Ltd. 気管カニュー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46A1 (ko) * 2016-03-29 2017-10-05 (주)엘메카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0598A1 (en) 2015-07-09
KR20150008194A (ko) 2015-01-21
WO2014050013A1 (ja) 2014-04-03
EP2845617B1 (en) 2017-07-19
EP2845617A4 (en) 2015-10-21
US9402969B2 (en) 2016-08-02
CA2871922A1 (en) 2014-04-03
EP2845617A1 (en) 2015-03-11
CN104703646A (zh) 2015-06-10
CN104703646B (zh) 2016-11-23
JP5503094B1 (ja) 2014-05-28
CA2871922C (en) 2015-07-07
JPWO2014050013A1 (ja)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898B1 (ko) 객담 장치, 인공 호흡 장치 및 객담 장치의 작동 방법
JP7055174B2 (ja) 呼吸管の複数の領域から流体を自動的に取り除く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889491B2 (ja) 気管内痰の吸引装置
JP4302090B2 (ja) 気管内痰の吸引装置
EP3111970B1 (en) Suctioning device hav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17072812A1 (ja) 挿管チューブ
JP2008264212A (ja) 痰吸引装置
CN1964756A (zh) 病人通气和抽吸系统
CN105455817A (zh) 鼻腔通道直径探测管
JP3652356B2 (ja) 人工呼吸システムおよび気管カニューレ
US20110030680A1 (en) Tracheal tube with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7072811A1 (ja) 喀痰装置及び人工呼吸システム
CN109718400B (zh) 智能自动吸痰器械
JP6892056B2 (ja) カフ圧制御装置及びカフ圧制御方法、並びに洗浄吸引システム
JP2023553536A (ja) かん流管腔内吸引インナーカニューレシステム
JP6013114B2 (ja) 吸引システム
JP2021074270A (ja) 医療生体液切替コ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挿管チューブ、痰唾液吸引装置、生体液吸引装置
CN216258642U (zh) 一种吸痰型气管插管
JP2003079718A (ja) 体液吸引システム
KR101635140B1 (ko) 인공지능형 석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