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46B1 -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8646B1 KR101548646B1 KR1020140007189A KR20140007189A KR101548646B1 KR 101548646 B1 KR101548646 B1 KR 101548646B1 KR 1020140007189 A KR1020140007189 A KR 1020140007189A KR 20140007189 A KR20140007189 A KR 20140007189A KR 101548646 B1 KR101548646 B1 KR 101548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form
- trans
- main platform
- spin shaft
- work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24 minimally invasive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74 endoscopic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 formaldehyd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2843 H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0 biocompati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22 fluor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1—Manufacturing of endoscop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46/27—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tubular, e.g. for arms or le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12—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 body cavities or body tracts, e.g. by using cathet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62—Packages or dispensers for MIS instru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73—Distal part, e.g. tip o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ipulato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트랜스-플랫폼 장치’의 메인플랫폼(main platform)의 외경과 ‘3차원 내시경 수술장치’의 메인튜브(main tube)의 외경이 같다면, 각각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의 ‘트랜스-플랫폼 장치’의 메인플랫폼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의 반지름은 메인플랫폼의 반지름과 같으나, (2) 종래 ‘3차원 내시경 수술 장치’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의 반지름은 메인튜브의 반지름에서 아우터 튜브(outer tube)와 이너 튜브(inner tube)의 두께 및 스핀 샤프트 홀의 지름을 제외한 길이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메인플랫폼과 작업 디바이스의 직경이 같으므로, 본 발명의 트랜스-플랫폼 장치의 메인플랫폼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의 직경이 ‘3차원 내시경 수술 장치’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의 직경보다 크다.
도 2는 본 발명의 트랜스-플랫폼 장치의 메인플랫폼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의 단면 및 입체도를 나타낸 것이다. 황색 도형은 작업 디바이스의 밑면이고, 황색 도형 안의 보라색 원은 스핀 샤프트(spine shaft)이다. 입체도는 각각 작업 디바이스를 아래에서 본 입체도 및 위에서 본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랜스-플랫폼 장치의 메인플랫폼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 및 메인플랫폼의 입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플랫폼 장치의 구성 및 각 구성의 결합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른 이동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작업 디바이스(1st device)의 스핀 샤프트(spine shaft)와 제 2 작업 디바이스(2nd device)의 회전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작업 디바이스 및 스핀 샤프트의 후진 운동으로써 제 1 작업 디바이스가 메인플랫폼에 장착될 때, 제 2 작업 디바이스와 중첩되지 않아야 하므로. 제 1 작업 디바이스 및 제 1 작업 디바이스에 장착된 스핀 샤프트가 회전 및 상하 운동 가능한 일정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제 2 작업 디바이스를 위한 공간이 할당된다. 각 작업 디바이스와 메인플랫폼을 기계적으로 연결 고정하는 장치로서 스핀 샤프트 뿐 아니라, 다른 보조적인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른 이동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제 1 작업 디바이스가 후진하여 메인 플랫폼에 장착하지 않고, 제 2 작업디바이스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작업 디바이스의 스핀 샤프트에 의한 회전을 방해 받지 않을 공간을 제하여 제 2 작업 디바이스의 횡단면을 설계한다.
도 9는 모든 작업 디바이스가 후진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한 후, 후진하여 메인 플랫폼에 장착하는 경우의 작업 디바이스의 횡단면과 스핀 샤프트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은 제 1 작업 디바이스(1st device)에 스핀 샤프트가 장착된 때의 평면도; 및 이전 작업 디바이스의 스핀 샤프트의 공간과 그의 회전 공간을 제외한 공간에 제 2 작업 디바이스(2nd device) 내지 제 5 작업 디바이스(5st device)의 스핀 샤프트가 장착된 때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각각의 작업 디바이스에 스핀 샤프트가 장착된 경우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메인플랫폼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작업 디바이스는 장착되는 순서 즉 번호에 따라 순서대로 회전하여 장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메인플랫폼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모든 작업 디바이스의 스핀 샤프트의 크기는 각 작업 디바이스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작업 디바이스와 제 2 작업 디바이스의 스핀 샤프트는 크고, 제 3 작업 디바이스 내지 제 5 작업 디바이스의 스핀 샤프트는 작으며, 회전하여 장착되는 순서가 제 2 작업 디바이스, 제 3 작업 디바이스, 제 4 작업 디바이스, 제 5 작업 디바이스 및 제 1 작업 디바이스인 경우, 각 작업 디바이스의 하부 평면도는 도 10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트랜스-플랫폼 장치의 (a) 메인플랫폼 사시도, (b) 메인플랫폼의 상부 평면도 및 (c) 메인플랫폼의 상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 c )의 함몰된 부분에 직업 디바이스가 장착된다. 메인플랫폼의 선단부에 장착된 작업 디바이스를 스핀 샤프트를 통하여 스핀 샤프트 홀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2는 인플랫폼의 내측에 장착된 작업 디바이스가 고정되는 홀이 추가로 설치된 메인플랫폼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각각 (a) 메인플랫폼 사시도, (b) 메인플랫폼의 상부 평면도 및 (c) 작업 디바이스 장착부위를 일부 제외한 메인플랫폼의 상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메인플랫폼의 선단부에 장착된 작업 디바이스를 스핀 샤프트를 통하여 스핀 샤프트 홀(a)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메인플랫폼의 내부에 장착된 작업 디바이스는 스핀 샤프트 홀(b)에 결합시킬 수 있다. 스핀 샤프트 홀의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작업 디바이스의 형태에 따라 장착 부위의 크기와 형태가 달라 질 수 있다. 그림에서는 메인 플랫폼의 선단부에 위치하다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장착부위는 함몰되어 있고, 메인 플랫폼 내부에 위치하다 장착되는 디바이스의 장착되는 부위는 함몰이 없고, 이 경우는 미도시하였지만 디바이스에 함몰이 있다. 스핀 샤프트가 없는 디바이스인 경우가 장착될 때는 스핀 샤프트 홀이 생략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메인 플랫폼을 확대 한 것이다.
도 14는 메인플랫폼의 선단부에 결합된 작업 디바이스 및 메인플랫폼의 내측에 포함된 작업 디바이스를 모두 장착한 경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청색은 메인플랫폼, 노란색은 메인플랫폼의 선단부에 장착된 작업 디바이스 및 녹색은 메인플랫폼의 내부에 포함된 작업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노란색 및 녹색의 작업 디바이스는 각각 구동하거나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함께 구동 가능하며, 이 경우 보다 복잡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형태가 완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7의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지셔너(a) - 작업 디바이스 1(b: 노란색) - 작업 디바이스 2(c: 보라색) - 메인플랫폼(d)”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트랜스 플랫폼 장치이다.
(2)(3)(4) 1번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 돌기(g)와 포지셔너 내의 이송유닛(f ; 캡처유닛과 T 스핀 샤프트 캡처의 그림은 생략함)이 결합하여 작업 디바이스가 180˚회전하였다.
(5)(6) 포지셔너의 이송유닛과 디바이스가 캡처 유닛(g)과 스핀 샤프트(f: T-스핀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로 후진하여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작업 디바이스가 결합되고 장착된다. 작업 디바이스의 장착 후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 돌기와 캡처 유닛의 결합은 해체된다(캡처 유닛(g), T-스핀 샤프트(f)).
(7) 캡처 유닛과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 돌기가 분리되고, T-스핀 샤프트가 포지셔너 내부로 회수된다. 이후 2번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돌기와 2번 캡처 유닛이 결합한다.
(8)(9)(10) 2번 작업 디바이스가 2번 T-스핀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한다.
(11) 2번 T-스핀 샤프트가 후진하여 2번 작업 디바이스를 후진시킨다.
(12) (11)의 동작으로 메인플랫폼의 원하는 위치에 2번 작업 디바이스를 장착하지 못하는 경우, 추가적으로 P 스핀 샤프트의 회전으로 포지셔너 자체를 후진하여 2번 작업 디바이스를 더 이동 시킬 수 있다. 이후 캡처 유닛과 2번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 돌기가 분리된다.
(13) 2번 작업 디바이스와 결합한 T-스핀 샤프트가 포지셔너 내부로 회수된다.
(14)(15)(16) 메인플랫폼의 내부를 통하여 3번 작업 디바이스(h: 분홍색)를 이동시켜 포지셔너 하부에 위치시킨다. 3번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돌기와 포지셔너 하부의 캡처 유닛을 결합시킨다.
(17)(18)(19) 3번 캡처 유닛과 3번 작업 디바이스가 결합한 상태로 T-스핀 샤프트가 회전하여 3번 작업 디바이스를 180˚ 회전시킨다. 이때 3번 작업 디바이스는 메인플랫폼 내부를 통과하여 나왔으므로, 작업 디바이스의 돌기와 캡처 유닛이 결합된 중심축으로 회전하면,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3번 작업 디바이스를 장착하기가 어렵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3번 캡처 유닛과 3번 T-스핀 샤프트의 연결은 크랭크(crank) 타입으로 연결되어, 3번 T-스핀 샤프트가 180˚ 회전하면, 3번 작업 디바이스는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20);P-스핀 샤프트(e)의 나사운동을 통하여 포지셔너를 후진하여, 3번 작업 디바이스를 후진시키고, 메인플랫폼에 장착한다.
(21) 내지 (27) 상기 (14) 내지 (20)과 동일한 과정에 의해 4번 작업 디바이스(i: 녹색)가 메인플랫폼에 장착된다.
(28) 4번 캡처 유닛과 4번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돌기의 결합이 풀린다.
(29)(30)(31) P-스핀 샤프트의 회전으로 포지셔너가 180˚회전한다.
(32) P-스핀 샤프트의 나사운동을 통하여, 포지셔너가 후진하여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도 18은 스핀 샤프트의 나사운동을 위한 구성 중 스핀 샤프트 및 너트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스핀 샤프트(1)에는 수나사 산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딩 튜브에서 사용되는 유도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스핀 샤프트의 말단에는 필요 따라 동력 전달용 기어나 캡처 유닛 등이 결합될 수 있다. (2) 및 (3)은 너트의 입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너트의 내면은 암나사 산이 형성되고, 외면은 필요에 따라 기어가 설치되거나 다른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기어가 설치되었다. (4)는 너트와 스핀 샤프트가 결합된 입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가이딩 튜브(guiding tube)로서, 유도 돌기가 이동 가능한 가이딩 그루브(guiding groove)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딩 그루브는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형태를 만들 수 있다.
도 20은 이동장치(moving system)가 메인플랫폼 내에 형성되는 경우이며, 나사운동을 하는 스핀 샤프트와 너트 및 가이딩 튜브를 도시하였다. 스핀 샤프트의 상단은 작업 디바이스(미도시)나 포지셔너(미도시)가 결합되고, 너트와 가이딩 튜브는 메인 플랫폼에 위치하고, 너트는 메인 플랫폼에 위치하는 모터와 기어(미도시)를 통하여 구동된다. 구동형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핀 샤프트의 나사운동을 발생시키고, 스핀 샤프트의 회전 및 상하직선 운동은 가이딩 튜브에 의하여 결정된다. ( 1 )은 가이딩 튜브를 도시한 것이고, 적색(전면부)과 분홍색(후면부)으로 표시된 부분은 도형은 가이딩 그루브를 나타낸다. (2)는 초기 작업 디바이스나 포지셔너의 위치의 스핀 샤프트와 가이딩 튜브의 위치이고, 구동형 너트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핀 샤프트가 위로 올라간다(3). 구동형 너트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핀 샤프트는 다시 (2)의 위치에 도달하고, 계속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4)의 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작업 디바이스나 포지셔너가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후 구동형 너트가 계속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핀 샤프트는 아래로 내려가 ( 5 )으 위치로 가게 되어 메인 플랫폼에 장착되게 된다. 위의 과정이 역순으로도 성립하여, 스핀 샤프트 및 스핀 샤프트에 결합된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딩 글루브에 따라 회전과 전진과 후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가이딩 바(guiding bar)의 입체도를 나타낸다. 가이딩 바는 대략 실린더 형태의 상부(a)와 하부(b)를 갖고 있고, 이 두 실린더를 연결하여 주는 두 개의 기둥(c)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딩 바는 메인플랫폼에 형성된 함몰 영역에 장착되어 사용되므로 함몰 영역의 형상에 맞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가이딩 바는 완전한 실린더 형상이 아닌, 도 21에서와 같이 양 쪽 단부가 뾰족한 타원형 형상의 밑면을 가지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다. 이러한 설계는 작업 디바이스와 메인플랫폼이 밀착되는 형태에서 빈 공간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한 것이다.
상부 실린더는 스핀 샤프트가 통과하는 홀과 연결 쐐기(connection wedge)의 결합 부위가 형성된다. 하부 실린더에는 스핀 샤프트가 통과하는 홈이 있으며, 내부에는 스핀 샤프트 팁(spine shaft tip)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로써, 가이딩 바는 스핀 샤프트와 결합되어 상하운동은 같이 하나, 스핀 샤프트의 회전 운동은 저해하지 않는다.
도 22는 가이딩 바의 하부 실린더 내부를 나타낸 것이다. 하부 실린더와 스핀 샤프트는 스핀 샤프트 팁을 하부 실린더가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 직선 상하 운동은 맞물려 같이 움직이고, 스핀 샤프트의 회전운동은 하부실린더 내부에서 미끄러져 이루어지도록 설계한다.
도 23은 작업 디바이스에 스핀 샤프트, 연결 쐐기(connecting wedge) 및 회전 쐐기(rotation wedge)가 형성된 모식도이다. 연결 쐐기는 가이딩 바와 작업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핀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 또는 기어를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모터 또는 기어는 스핀 샤프트 또는 스핀 샤프트와 결합한 구동형 너트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작업 디바이스에 형성된 함몰 영역은 가이딩 바와 맞물려 메인플랫폼에 결합하게 된다. 함몰영역에는 가이딩 바와 작업 디바이스를 기계적으로 연결해 주는 연결 쐐기가 형성될 수 있다. 스핀샤프트 팁은 가이딩 바의 하부 실린더와 결합한다.
도 24의 (1)은 가이딩 바와 스핀 샤프트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된 경우의 메인플랫폼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도 24의 (1) 참조). 도 24의 (2)는 가이딩 바 이외에 너트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경우, 메인플랫폼의 내부를 나타낸다. 스핀 샤프트와 맞물리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가 메인플랫폼의 함몰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도 25 내지 도 26은 이동장치가 메인플랫폼 및 작업 디바이스에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메인플랫폼의 함몰영역에는 고정형 너트가 형성되고, 가이딩 바와 스핀 샤프트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 디바이스에는 회전쐐기 및 연결쐐기가 형성되어 있고, 작업 디바이스에 결합된 스핀 샤프트의 말단에는 스핀 샤프트 팁이 형성되어 있다. 도 25는 각각 (1) 메인플랫폼의 외형, (2) 가이딩 바(Guiding bar), (3) 작업 디바이스(회전 쐐기, 연결 쐐기, 스핀 샤프트, 스핀 샤프트 팁이 형성됨), 및 (4) 상기 (1),(2) 및 (3)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26은 도 25 (4)의 측면도이다. 스핀 샤프트는 스핀샤프트 기어와 결합되어 있고, 회전 가능하게 작업 디바이스에 고정 설치되고, 작업 디바이스에 설치된 구동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스핀 샤프트는 회전하게 된다.
도 27은 상기 작업 디바이스 이동장치가 메인플랫폼 및 작업 디바이스에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작업 디바이스의 구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A-1) 내지 (A-2)는 스핀 샤프트가 회전함으로써 메인 플랫폼 선단에서 작업 디바이스가 전진과 후진하는 그림으로, 작업 디바이스, 스핀 샤프트, 가이딩 바, 연결쐐기가 결합되어 함께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다. 가이딩 바는 스핀 샤프트의 회전력을 방해하여 직선 운동을 하게 하며, 연결쐐기는 작업 디바이스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가이딩 바와 작업 디바이스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작업 디바이스는 회전운동 없이 전진과 후진 운동을 할 수 있다. (A-3)은 작업 디바이스를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장착하기 위해, 연결쐐기를 가이딩 바이서 분리한 것을 나타낸다. 이로써 스핀 샤프트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A-4)는 작업 디바이스가 180도 회전하게 되면, 회전쐐기가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닿게 되어 회전이 멈춘다. 스핀 샤프트의 나사운동은 다시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작업 디바이스는 180도 회전한 채로 메인플랫폼의 장착부를 따라 후진하게 된다. 작업 디바이스가 후진하여 (A-5)의 위치에 이르는 경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완전히 장착된다. 이후 작업 디바이스를 회수하는 것은 (A-1) 내지 (A-5)가 역순으로 진행된다.
도 28은 회전 쐐기가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메카니즘을 평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메인플랫폼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포지셔너의 일 측에 회전 쐐기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쐐기의 높이는 최소한으로 하여 포지셔너의 회전 시 다른 구조에 영향을 주거나,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2)는 회전하기 전의 상태이고, (3) 내지 (8)은 포지셔너(파란색)의 위치변화를 위에서 본 그림을 나타낸다. 포지셔너는 스핀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포지셔너가 180도 회전 하였을 때 메인 플랫폼의 외벽에 회전 쐐기가 걸려 회전을 멈추게 된다(8). 위 메카니즘은 작업 디바이스에서도 적용된다.
도 29는 본 발명의 포지셔너의 입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포지셔너에 P 스핀 샤프트, 연결 쐐기(connecting wedge), 회전 쐐기(rotation wedge) 및 캡처(capture)가 결합되어 있다. 캡처는 일반적으로 실린더 형상일 수 있지만, 도 29에 나타난 것처럼 회전 운동 가능한 링크(link) 또는 크랭크(crank) 타입일 수 있다. 캡처는 작업 디바이스의 상부 면에 형성된 결합 돌기와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캡처의 상부에는 T-스핀 샤프트가 결합되어 있다.
도 30은 캡처 유닛의 작동 순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스핀 샤프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 또는 기어를 추가적으로 장착한 경우의 각각의 기어의 위치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며, 이들은 스핀 샤프트 또는 스핀 샤프트와 결합한 구동형 너트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연결 기어(CG; connecting gear)는 청색 곡선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구동하려는 장치의 구동 기어(N-T1 또는 N-T2; 각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제어를 위한 이동장치의 구동형 너트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원하는 장치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다양한 기어의 조합으로 각각의 작업 디바이스에 모터를 장착하지 않고, 최소한의 모터만 사용함으로써 작업 디바이스, 포지셔터 또는 스핀 샤프트 등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스핀 샤프트의 기어는 구동 모터의 기어(connecting gear, CG)와 연결되거나(도 31b 참조) 또는 너트 자체의 구동에 의하여 나사운동이 가능하다(도 31a 그림 참조). 각각의 기어는 한 평면에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각 기어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감속 기어와 모터기어는 같은 높이에 위하고, 포지셔너 기어나 이송장치 기어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가 감속기어와 같은 높이에 위하게 되면 서로 맞물려 동력을 전달 받게 된다. PG (positioner gear): 포지셔너 스핀 샤프트의 기어, MG (motor gear): 모터 기어, RG (reducing gear): 감속 기어, CG (connecting gear): 연결 기어, N-T1 및 N-T2 (Nut-transfer 1, Nut-transfer 2): 1번 및 2번 작업 디바이스의 이송용 장치의 구동 너트.
도 32는 2번 작업 디바이스 및 포지셔너의 2번 캡처 유닛이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작업 디바이스가 캡처 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은 작업 디바이스의 결합 돌기와 캡처 유닛의 위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33a, 33b 및 33c는 전기적 접촉 단자가 형성된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노란색 선은 메인플랫폼의 외벽의 내부로서 함몰 또는 절연체로 코팅될 수 있으며, 적색선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메인플랫폼의 외측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체를 형성하여 외부에 전기적 신호를 작업 디바이스 등에 전달하게 하고, 작업 디바이스와 밀착 결합하는 부위에도 전기적 접촉 단자를 형성하여 작업 디바이스에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3a는 스핀 샤프트가 있는 작업 디바이스가 메인 플랫폼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전기적 접촉단자를 나타낸다. 메인플랫폼의 외측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도체를 삽입하여 외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하고, 작업 디바이스와 밀착 결합하는 부위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33b는 스핀 샤프트가 없는 작업 디바이스가 메인 플랫폼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3c는 스핀 샤프트가 있는 작업 디바이스가 메인 플랫폼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4는 수동형 디바이스를 이송하는 이송 유닛(transfer unit) 및 이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송 유닛은 가이딩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가이딩 튜브, 유도 돌기가 형성된 수동형 디바이스 이송용 스핀 샤프트(T 스핀 샤프트), 구동형 너트 및 캡처로 이루어져 있다.
도 35는 내부에 고정형 이송 유닛(도 34의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위치 제어 장치(200)의 예를 나타낸다. 이는 스핀 샤프트가 있는 수동형 작업 디바이스의 이송을 하는 장치이다.
도 36은 내부에 이동형 이송 유닛(도 34의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위치 제어 장치의 예를 나타낸다. 이송 유닛은 본체에 형성된 회전축에 연결 결합되어 있어, 이송 유닛은 원호(청색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각각의 위치에서 작업 디바이스와 캡처를 결합시켜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7은 위치 제어 장치(200)의 내부에서 (1) 나사가 설치된 횡샤프트(a) 및 횡샤프트에 맞물려 있는 이송너트(b)가 설치된 모습; 횡샤프트(a)는 구동 장치(미도시)와 연결 되어 있고, 또한 위치 제어 장치에 설치된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청색의 원호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횡샤프트가 지날 수 있는 원호를 표시한 것이다. 대략적으로 위치제어 장치에 있는 함몰된 부분이 원에서 제한 원호상이다. (2) 연결부재(c)가 설치된 모습; 연결 부재의 말단의 하늘색의 원형의 위치에 이송 유닛과 결합하고, 다른 말단의 반대 면에는 이송너트와 결합한다. 및 (3) 이송 유닛(d)이 설치된 모습; 이송유닛은 연결부재의 말단에 결합하고, 횡샤프트의 종축방향과 이송유닛의 종축 방향이 수직이 되게 결합 한다.
도 38은 도 37의 (3)의 확대된 그림이고, 도 37과 38의 캡처의 형태는 도 36의 형태와 다른 것은 디바이스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캡처의 형태를 갖는 것을 보여 준다.
도 39는 횡샤프트가 설치된 이동형 이송 유닛이 장착된 위치제어 장치의 입체도와 상기 위치 제어장치가 설치된 트랜스 플랫폼 장치에서 작업 디바이스, 위치제어 장치의 이송 너트에 설치되는 연결 부재와 메인 플랫폼을 종축에서 바라보는 위치를 오버랩하여 표현 하였다. 연결부재에 이송유닛이 결합되는 위치와 이송너트가 결합되는 위치를 표시하여 입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1)은 위치제어장치와 작업 디바이스가 결합된 초기 상태로, 이 상태로 메인플랫폼 내부의 작업 디바이스를 상승시켜 메인플랫폼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연결부재의 이송 너트의 결합부위는 위치제어장치의 일측에 치우쳐 있고, 이송유닛의 결합부위는 좀 더 안쪽에 위치하여 위치제어장치의 가이딩바의 위치와 겹치지 않게 된다. (2)는 그림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너트가 이동하여 이송너트가 횡샤프트의 말단까지 도달한 모습이다. 이송너트에 연결된 연결부재의 이송유닛의 결합부위가 메인플랫폼의 횡단면 밖으로 나가게 된다. 즉 이송유닛이 위치제어장치의 밖으로 이동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경우 위치제어장치에 걸리지 않게 된다. (3)는 그림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유닛이 회전한 결과이다. 이송유닛의 회전은 횡샤프트에 연결된 회전축이 메인플랫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어 일어난다. 회전의 결과로 작업디바이스가 메인플랫폼에 장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이송유닛의 하향 직선 운동을 통하여 작업디바이스를 메인플랫폼에 장착하게 된다. 작업디바이스를 메인플랫폼에서 제거할 경우는 역순으로 진행하여 제거가 가능하다.
도 40은 메인플랫폼 내에 위치제어장치와 스핀 샤프트가 없는 작업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경우, 위치제어 장치가 작업 디바이스 하방에서 위치제어를 하는 것을 종축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상기 위치제어장치는 일측에 회전이나 상하운동이 가능한 이송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유닛은 위치제어장치에 설치된 회전축에 연결결합 되어 있다. (a) 작업 디바이스와 이송 유닛이 결합한 상태로, 위치제어장치의 본체는 작업 디바이스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이 상태로 전진하여 메인플랫폼 밖으로 작업 디바이스를 이동시키고(청색 원: 메인플랫폼, 적색 도형: 작업 디바이스, 황색 원: 이송 유닛, 청색 도형: 캡처); (b) 이송 유닛을 180도 회전한 상태로 작업 디바이스의 장착면이 메인 플랫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킬 경우 항상 메인플랫폼의 장착면이 서로 밀착할 수 있는 위치가 된다.; 및 (c) 이송 유닛이 연결된 회전축을 일정 각도(90도) 회전한 상태로, 작업디바이스의 장착면과 메인플랫폼의 장착면이 동일 종축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회전의 중심은 메인플랫폼의 중심축이다. 이후 이송유닛을 후진하여 작업 디바이스를 메인플랫폼에 장착한다. 90도 뿐 아니라 어떤 각도로 회전 하여도 메인 플랫폼에 후진하여 장착 가능한 위치가 되어 작업 디바이스를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110: 메인플랫폼
120: 작업 디바이스
130: 스핀 샤프트
140: 스핀 샤프트 홀
150: 추가적인 작업 디바이스가 장착 가능한 스핀 샤프트 홀
200: 위치제어장치
210: 본체
220: 캡처(capturer)
230: P-스핀 샤프트(P-spin shaft)
240: 홈
250: T-스핀 샤프트(T-spin shaft)
260: 횡샤프트
300: 트랜스-플랫폼 장치
310: 메인플랫폼
320: 작업 디바이스
330: 스핀 샤프트
340: 전기적 접촉 단자
Claims (49)
- 다음을 포함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Trans-Platform Apparatus)(100):
(a) 작업 공간 내에 삽입되는 실린더 형상의 메인플랫폼(110);
(b)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측 선단부 또는 중간부에 장착된 실린더 형상의 작업 디바이스(120)로서, 상기 작업 디바이스는 회전 운동 또는 직선운동을 통하여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장착 가능하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랫폼 및 상기 작업 디바이스는 횡단면(cross-section)의 윤곽(outline)이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하나 이상의 작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디바이스는 상기 메인플랫폼과 종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ⅰ) 메인 플랫폼의 외주면에 상기 작업 디바이스가 장착 가능한 함몰 영역을 포함하거나, (ⅱ) 메인 플랫폼의 외주면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작업 디바이스의 외주면에 함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상기 메인 플랫폼 및 작업 디바이스의 접촉면에 전기적 접촉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디바이스는 회전 쐐기(rotation wedge) 또는 연결 쐐기(connection wedg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디바이스는 카메라, 광원, 초음파 프로브(probe), 로봇 암, 위치 조절 장치, 수술 장치 또는 수술 보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메인플랫폼의 선단부 또는 작업 디바이스를 커버(cover)하기 위한 실린더 형상의 덮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상기 메인플랫폼의 내부에 장착되어 작업 공간 내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장착 가능한 작업 디바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상기 메인플랫폼의 선단부에 상기 추가적인 작업 디바이스가 장착 가능한 스핀 샤프트 홀(1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어하는 포지셔너(position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메인플랫폼의 선단부 또는 중간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스핀 샤프트 및 연결 쐐기(connection wedg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너는 회전 쐐기(rotation wedge)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작업 디바이스 이동장치(moving system)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ⅰ) 상기 메인플랫폼 또는 작업 디바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고, 작업 디바이스의 회전 및 직선 운동을 조절하며, 작업 디바이스의 연동축으로 작동하는 스핀 샤프트(spin shaft)(130), (ⅱ) 메인플랫폼 또는 작업 디바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고, 작업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캡처(capturer), (ⅲ) 상기 메인플랫폼 또는 작업 디바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작업 디바이스의 메인플랫폼 중심축의 횡 방향 직선운동을 조절하는 직선운동 유닛 또는 직선운동 가이딩(guiding) 유닛 및 (ⅳ)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 샤프트는 상기 메인플랫폼에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 샤프트는 연질부 및 경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 샤프트는 전력전달장치, 유체 전달관 또는 동력전달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메인 플랫폼의 외측에 스핀 샤프트의 회전 운동이 가능한 공간 및 스핀 샤프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a) 구동형 또는 고정형 너트, (b) 실린더 형상의 튜브로서 스핀 샤프트의 직선 및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가이딩 튜브(guiding tube), (c) 상부 실린더, 하부 실린더 및 상부 실린더 및 하부 실린더를 연결하는 본체로 구성되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형성된 함몰 영역에 장착되며, 작업 디바이스의 직선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 바(guiding bar), (d) 스핀 샤프트 및 (e)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튜브는 가이딩 그루브(guiding groov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바는 양 쪽 단부가 뾰족한 타원형 형상의 밑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바의 상부 실린더는 작업 디바이스에 결합된 스핀 샤프트가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실린더는 스핀 샤프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바의 본체는 상하부 실린더를 연결하는 두 개의 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상기 작업 디바이스의 조작을 가능케 하는 구동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motor) 또는 기어(g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메인플랫폼의 선단이나 내부에 종렬 연결된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장치(200)로서,
(a) 종렬 연결된 작업 디바이스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 가능한 실린더 형상의 본체(210); 및
(b)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되며 상기 작업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작업 디바이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송 유닛(transfer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 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 a ) 상기 작업 디바이스와 이송유닛을 연결하는 캡처(220), ( b ) 캡처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 ( c ) 캡처의 상하 운동을 위한 구동축, ( d ) 구동형 또는 고정형 너트, ( e ) 실린더 형상의 튜브로서 T-스핀 샤프트의 직선 및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가이딩 튜브(guiding tube), ( f ) 상부 실린더, 하부 실린더 및 상부 실린더 및 하부 실린더를 연결하는 본체로 구성되며, 포지셔너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작업 디바이스의 직선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 바(guiding bar), ( e ) 회전 및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한 T-스핀 샤프트(T-spin shaft)(250), 및 ( g )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는 상기 작업 디바이스에 끼움 결합, 나사 결합, 래칫(ratchet) 방식 결합, 레크-피니언(rack-pinion) 방식 결합 또는 자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처는 왕복 또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크랭크(cran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메인플랫폼의 횡축 방향 직선운동을 조절하는 직선운동 유닛 또는 직선운동 가이딩(guiding) 유닛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장치는 상기 본체(210)의 이동장치(moving system)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a) 구동형 또는 고정형 너트, (b) 실린더 형상의 튜브로서 스핀 샤프트의 직선 및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가이딩 튜브(guiding tube), (c) 상부 실린더, 하부 실린더 및 상부 실린더 및 하부 실린더를 연결하는 본체로 구성되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형성된 함몰 영역에 장착되며, 작업 디바이스의 직선운동을 가이딩하는 가이딩 바(guiding bar), (d) 상기 본체(210)에 장착되고, 본체의 회전 및 직선 운동을 조절하며, 상기 본체의 연동축으로 작동하는 P-스핀 샤프트(P-spin shaft)(230) 및 (e)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튜브는 가이딩 그루브(guiding groov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바는 양 쪽 단부가 뾰족한 타원형 형상의 밑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바의 상부 실린더는 작업 디바이스에 결합된 스핀 샤프트가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실린더는 스핀 샤프트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바의 본체는 상하부 실린더를 연결하는 두 개의 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1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 샤프트는 연질부 및 경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디바이스는 카메라, 광원, 초음파 프로브(probe), 로봇 암, 위치 조절 장치, 수술 장치 또는 수술 보조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장치는 상기 이송 유닛 또는 이동 장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제어장치.
- 다음을 포함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Trans-Platform Apparatus)(300):
(a) 작업 공간 내에 삽입되는 실린더 형상의 메인플랫폼(310)으로서,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전기적 접촉 단자(340)가 형성되고; 및
(b)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장착 가능한 실린더 형상의 작업 디바이스(320)로서,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작업 디바이스의 접촉면에 전기적 접촉 단자(340)가 형성된다.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ⅰ) 상기 메인플랫폼 또는 작업 디바이스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작업 디바이스의 회전 및 직선 운동을 조절하며, 작업 디바이스의 연동축(linkage axis)으로 작동하는 스핀 샤프트(spin shaft)(330), 또는 (ⅱ) 상기 작업 디바이스의 메인플랫폼 중심축의 횡 방향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직선운동 유닛 또는 직선운동 가이딩(guiding) 유닛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접촉 단자(340)는 (ⅰ) ‘ㄱ' 또는 ‘ㄴ’ 모양, (ⅱ) 점 모양, (ⅲ) 직사각형 모양, 또는 (ⅳ) 상기 모양들의 조합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랫폼은 외주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발수 코팅(Water repellent coa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플랫폼 장치는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에 형성된 전기적 접촉 단자(340)의 주위가 발수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랫폼의 외주면은 불소 수지, 실리콘(silicone), 젤라틴 또는 고무로 발수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플랫폼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7189A KR101548646B1 (ko) | 2014-01-21 | 2014-01-21 |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
US15/112,873 US10602915B2 (en) | 2014-01-21 | 2015-01-21 | Trans-platform apparatus and use thereof |
CN201811412556.6A CN109521801B (zh) | 2014-01-21 | 2015-01-21 | 一种位置控制装置 |
CN201580005273.8A CN106413618B (zh) | 2014-01-21 | 2015-01-21 | 跨平台装置及其用途 |
PCT/KR2015/000644 WO2015111921A1 (ko) | 2014-01-21 | 2015-01-21 |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7189A KR101548646B1 (ko) | 2014-01-21 | 2014-01-21 |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6942A KR20150086942A (ko) | 2015-07-29 |
KR101548646B1 true KR101548646B1 (ko) | 2015-09-01 |
Family
ID=5368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7189A Active KR101548646B1 (ko) | 2014-01-21 | 2014-01-21 |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602915B2 (ko) |
KR (1) | KR101548646B1 (ko) |
CN (2) | CN106413618B (ko) |
WO (1) | WO201511192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18456B2 (en) * | 2017-02-03 | 2021-02-16 | Sony Olympus Medical Solutions Inc. | Protective cover and medical observation apparatus |
JP7184928B2 (ja) * | 2019-01-22 | 2022-12-06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超音波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05121A (en) | 1992-06-08 | 1994-04-19 | Origin Medsystems, Inc. | Stereoscopic endoscope system |
JP2007007092A (ja) | 2005-06-29 | 2007-01-18 | Olympus Corp | 内視鏡 |
KR101070695B1 (ko) | 2010-03-16 | 2011-10-07 | 송광석 |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내시경 |
KR101150350B1 (ko) * | 2011-12-26 | 2012-06-08 | 윤치순 | 삼차원 내시경 수술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6724Y2 (ko) * | 1988-02-22 | 1991-10-03 | ||
US20040199052A1 (en) * | 2003-04-01 | 2004-10-07 | Scimed Life Systems, Inc. | Endoscopic imaging system |
CA2527188A1 (en) | 2003-05-26 | 2004-12-02 | Family Co., Ltd. | Chair-type massage machine with expandable leg massager |
JP4137740B2 (ja) * | 2003-08-06 | 2008-08-2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カプセル型医療装置及びカプセル型医療装置誘導システム |
JP4665262B2 (ja) * | 2005-08-31 | 2011-04-0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用フード |
US8864790B2 (en) * | 2006-04-17 | 2014-10-21 | Covidien Lp |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positioning intravascular implants |
US20070255289A1 (en) * | 2006-04-27 | 2007-11-01 | Granit Medical Innovation, Inc. | Endoscopic instrument with rotational and axial motion control |
CN100500107C (zh) * | 2006-05-18 | 2009-06-17 | 张毓笠 | 一种外科手术用可拆卸切割多用剪 |
BRPI0711615A2 (pt) * | 2006-05-18 | 2011-12-06 | Aponos Medical Corp | introdutor para acessar um local no corpo de um mamìfero, e método de elaboração de um introdutor tubular dobrável e com alta força de torção |
US20080027464A1 (en) * | 2006-07-26 | 2008-01-31 | Moll Frederic H |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surgical operations |
US7950560B2 (en) * | 2007-04-13 | 2011-05-31 | Tyco Healthcare Group Lp | Powered surgical instrument |
US8864652B2 (en) * | 2008-06-27 | 2014-10-21 |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 Medical robotic system providing computer generated auxiliary views of a camera instrument for controlling the positioning and orienting of its tip |
JP5656313B2 (ja) * | 2008-09-05 | 2015-01-21 | カーネギー メロン ユニバーシティ | 球形遠位アセンブリを伴う多関節内視鏡装置 |
EP2324789B1 (en) * | 2008-11-14 | 2017-06-21 | Olympus Corporation | Medical system |
JP5441465B2 (ja) * | 2009-03-24 | 2014-03-12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カプセル型内視鏡 |
KR100974464B1 (ko) * | 2009-04-21 | 2010-08-10 | 주식회사 래보 | 수술용 인스트루먼트의 커플링 구조 |
KR101030371B1 (ko) * | 2009-04-27 | 2011-04-20 | 국립암센터 | 최소 침습 수술을 위한 내시경 조정 장치 |
CN102138813B (zh) * | 2010-01-29 | 2014-11-19 |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 缝合器 |
US9730690B2 (en) * | 2010-09-20 | 2017-08-15 | Entourage Medical Technologies, Inc. | Method for providing surgical access |
KR101598773B1 (ko) * | 2010-10-21 | 2016-03-15 | (주)미래컴퍼니 | 수술용 로봇의 움직임 제어/보상 방법 및 장치 |
EP3659491A1 (en) * | 2011-12-13 | 2020-06-03 |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 Removable tip endoscope |
AU2014100259A4 (en) * | 2014-03-18 | 2014-04-17 | Multigate Medical Products Pty Ltd | Medical Device |
CN104224325B (zh) * | 2014-10-11 | 2016-08-24 | 天津工业大学 | 一种用于微创手术机器人的钢丝绳传动直线伸缩机构 |
-
2014
- 2014-01-21 KR KR1020140007189A patent/KR101548646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01-21 CN CN201580005273.8A patent/CN106413618B/zh active Active
- 2015-01-21 CN CN201811412556.6A patent/CN109521801B/zh active Active
- 2015-01-21 WO PCT/KR2015/000644 patent/WO201511192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1-21 US US15/112,873 patent/US1060291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05121A (en) | 1992-06-08 | 1994-04-19 | Origin Medsystems, Inc. | Stereoscopic endoscope system |
JP2007007092A (ja) | 2005-06-29 | 2007-01-18 | Olympus Corp | 内視鏡 |
KR101070695B1 (ko) | 2010-03-16 | 2011-10-07 | 송광석 | 3차원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 내시경 |
KR101150350B1 (ko) * | 2011-12-26 | 2012-06-08 | 윤치순 | 삼차원 내시경 수술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60331476A1 (en) | 2016-11-17 |
US10602915B2 (en) | 2020-03-31 |
KR20150086942A (ko) | 2015-07-29 |
CN106413618B (zh) | 2021-03-16 |
CN109521801A (zh) | 2019-03-26 |
CN109521801B (zh) | 2021-10-22 |
CN106413618A (zh) | 2017-02-15 |
WO2015111921A1 (ko) | 2015-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47035B2 (en) | Instrument for endoscope having pivotable offset portions | |
US11712313B2 (en) | Dual manipulation for robotic catheter system | |
US9821477B2 (en) | Stabilizing apparatus for highly articulated probes with link arrangement,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CN106175849B (zh) | 一种基于柔性手术工具的单孔腔镜手术系统 | |
US9993614B2 (en) | Components for multiple axis control of a catheter in a catheter positioning system | |
EP2883491B1 (en) | Endoscope | |
US11622673B2 (en) | Endoscope | |
WO2019065580A1 (ja) | 内視鏡 | |
US20140243742A1 (en) | Components and methods for accomodating guidewire catheters on a catheter controller system | |
KR20180038417A (ko) | 가요성 내시경용 제어 유닛 | |
CN108601601B (zh) | 外科工具 | |
KR101548646B1 (ko) | 트랜스-플랫폼 장치 및 그의 용도 | |
CN219629572U (zh) | 小型机器人内窥镜及小型机器人内窥镜组 | |
JP3557936B2 (ja) | 対物レンズ移動機構付き内視鏡 | |
KR20130121585A (ko) | 굴곡이 있는 수동식 수술도구 | |
CN110624171A (zh) | 一种导丝导管输送装置 | |
US902304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having bone | |
CN115137486A (zh) | 吸引器及其头部装置 | |
JP2005218624A (ja) | 内視鏡処置システム及び内視鏡用処置具 | |
CN120114208A (zh) | 一种根管开髓与预备一体化机器人 | |
CN119454076A (zh) | 一种口内放射影像传感器的定位装置 | |
KR101234523B1 (ko) | 수술용 의료 기기 | |
JP2021049269A (ja) | 内視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1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