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7485B1 - 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485B1
KR101547485B1 KR1020130117771A KR20130117771A KR101547485B1 KR 101547485 B1 KR101547485 B1 KR 101547485B1 KR 1020130117771 A KR1020130117771 A KR 1020130117771A KR 20130117771 A KR20130117771 A KR 20130117771A KR 101547485 B1 KR101547485 B1 KR 101547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ertebral disc
locking
support body
hole
disc imp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39328A (en
Inventor
김경학
Original Assignee
(주) 서한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서한케어 filed Critical (주) 서한케어
Priority to KR1020130117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485B1/en
Publication of KR2015003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8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78Means for protecting prostheses or for attaching them to the body, e.g. bandages, harnesses, straps, or stockings for the limb st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간판 임플란트의 삽입 및 정위치 배치를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추간판 임플란트 및 그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추간판 임플란트는, 척추 간(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에 회동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몸체의 후방단 일측에는 회동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일단이 개방됨과 더불어 타단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의 내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의 내경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내부에는 회동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벽에 의해 회동부재의 회동각이 일정 범위로 규제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규제벽의 내면은 수직방향으로 평탄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규제벽의 내면은 회동부재의 원통형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nd its inserting device capable of inserting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nd positioning the same in a very simple and stable manner.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body formed to be fitted in a 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 and a pivot member pivotally mounted on the support body via a pivot shaft, Wherein a tapered por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ivotable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the pivot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end thereof being opened and the other end thereof being closed, a tie hole is formed in the pivoting member, Wherein a first and a second restrictive walls are formed in the cutout portion so as to restrict rotation of the tiltable member,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tiltable member is regul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ulating wall is formed as a flat flat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ulating wal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Description

추간판 임플란트 및 그 삽입장치{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본 발명은 추간판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간판 임플란트의 삽입 및 정위치 배치를 매우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추간판 임플란트 및 그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nd its inserting device capable of inserting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nd positioning the same in a very simple and stable manner.

추간판은 척추(등뼈)의 추골 사이에 끼어 있는 연골(軟骨)의 원판으로, 경추의 일부를 제외한 각 척추 사이에서 몸의 하중과 충격을 흡수시켜 주고, 스프링처럼 충격을 분산시키는 완충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추간판은 척추가 이탈되지 않도록 붙잡아 주고, 척추신경이 압축 당하지 않도록 두 척추를 분리시켜 척추 관절공의 범위를 원만히 해주며, 척추 각각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c is a disc of cartilage embedded between the vertebrae of the vertebrae and absorbs the body's load and impact between each vertebrae except the part of the cervical vertebrae, . At this time, the intervertebral discs hold the spine untouched, and smooth the range of the spinal joint ball by separating the two spines so that the spinal nerve is not compressed, and smooth the movement of each of the vertebrae.

이러한 추간판은 보통 섬유륜과 수핵의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섬유륜은 척추 조각의 움직임을 조절하며, 내부의 수핵은 70~80%의 수분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을 완충하거나 전달하는데, 퇴행성 디스크 질병에서, 섬유륜은 움직임이나 수핵을 담는 능력이 약해지게 되며, 수분 함유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적인 결과로 인해 척추 협착증, 골증식체(osteophyte) 형성, 디스크 탈출증 및 신경 루트 압박 등의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These intervertebral discs are composed of a fibrous ring and a nucleus pulposus. The fibrous ring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vertebral fragments, and the inner nucleus consists of 70 ~ 80% of water. It cushions and transmits the loads and shocks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egenerative disc disease, the fibroids become weaker in their ability to move or accept the nucleus, and their moisture content decreases. Therefore, these complex results lead to diseases such as spinal stenosis, osteophyte formation, disc prolapse and nerve root compression.

이렇게 추간판으로 인해 수반되는 질병 치료의 한 방법으로, 손상된 인체의 척추 사이의 디스크를 제거한 후,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공간(이하, '척추 간(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이라 한다)에 추간판 임플란트로 대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이식하여 가능한 자연스러운 상태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척추 간 디스크의 원래의 높이인 두 개의 인접한 척추 사이의 원래 거리가 회복되도록 하여 척추의 기능을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One method of treating the disease that accompanies the disc is to remove the disc between the vertebrae of the damaged human body and then remove the disc space between two adjacent vertebrae And replacement with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In other words, it is intended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spine by restoring the original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vertebrae, the original height of the intervertebral disc, in order to make the implant as natural as possible.

이러한 추간판 임플란트는 대체로 추간판의 원래 높이를 복원시킬 수 있도록 적당한 두께와 인체적합적인 형상(anatomic type)을 가지며, 홀이 형성되어 사후에 뼈의 생장을 용이하게 하고, 삽입장치의 단부에 견고하게 홀딩되는 홀딩부가 형성되어 있다. These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are usually of appropriate thickness and anatomic type to restore the original height of the disc and holes are formed to facilitate the growth of the bone after the implantation,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추간판 임플란트를 척추 간에 삽입하는 수술방법 중 하나인 TLIF(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Fusion)는 척추체 융합술의 하나로서, 후방으로 접근해서 추간판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수술방법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척추근육 양 옆을 따라 작게 절개를 하고 나사못을 고정할 수 있도록 최소한으로 노출시킨 후에, 척추관절부위를 신경공이 나오는 방향으로 제거하면서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추간판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수술로서, 출혈도 적고 수술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TLIF가 주로 시술된다.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is one of the surgical methods to insert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nto the spinal column. It is a method of inserting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by approaching posteriorly. Specifically, a small incision is made along the sides of the spinal muscles, a minimum exposure is made to fix the screw, and then the vertebral joint is re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nerve ball, whil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inserted using the insertion device Because it can reduce bleeding and shorten the operation time, TLIF is mainly performed in recent years.

이러한 TLIF는 최소한의 절개와 인체 내에서의 간섭의 최소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추간판 임플란트의 일 측면이 먼저 인체의 후면(등 쪽)을 통해 삽입되도록 시술되어 척추 간에 위치된 후 추간판 임플란트의 전면이 척추 간의 전면(인체의 배 쪽)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추간판 임플란트의 삽입을 완료시킨다. 즉, 삽입된 추간판 임플란트의 전면이 척추 간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보조기구인 임팩터(Impactor)를 필요로 하는데, 임팩터를 이용해서 추간판 임플란트의 다른 측면에 힘을 가함으로써 추간판 임플란트를 회전시켜 추간판 임플란트를 배치할 수 있지만, 이는 수술을 어렵게 만들거나 시술자에 의해 좌우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minimize the incision and minimize interference in the body, such a TLIF is generally placed so that one side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first inserted through the back of the human body (back side), placed between the vertebrae, And the inser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completed by arranging the implant on the front side (the side of the human body). That is, an impactor, which is an auxiliary device for mak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serted intervertebral disc implantation face the front of the vertebrae, is required. By applying force to the other side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using the impactor, But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make the operation difficult or it is dependent on the operator.

이러한 추간판 임플란트의 위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13029호 등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척추 간에 대응되게 굽은 형태의 추간판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해서 그와 같이 굽은 국자 형태(spatula type)의 연결부를 갖고, 튜브가 일정 각도로 꺽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추간판 임플란트를 후면(등 쪽)으로부터 삽입하되 추간판 임플란트를 척추 간의 전면(배 쪽)에 정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As a method for facilitating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113029 is known. This prior art is configured to have such a spatula type of connection in order to insert correspondingly curved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between the vertebrae so that the tube can be bent at a certain angle. Therefor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can be inserted precisely from the back (back) side of the intervertebral disc to the front (back side) of the vertebrae.

하지만, 상술한 선행기술은 굽은 국자 형태의 연결부에 의해 추간판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절개의 폭이 커지고, 또한 추간판 임플란트를 척추 간의 전면에 배치시키기 위해 튜브를 일정각도로 꺽을 수 있지만, 그 폭이 크지 않아 추간판 임플란트의 삽입 후에 그 배치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nserts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by a connecting part in the form of a curved dipper, the width of the incision becomes large and the tube can be bent at a certain angle in order to plac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vertebra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adjust the placement of the intervertebral disc after insertion of the disc implant.

이에 따라, 최근에는 추간판 임플란트를 척추 간에 삽입한 후에 추간판 임플란트를 회동시킴으로써 추간판 임플란트를 척추 간의 정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Recently, a variety of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on insertion devices for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that can accurately position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in correct positions between vertebrae by intervening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and then rotating disc impla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추간판 임플란트를 매우 견고하게 홀딩함으로써 추간판 임플란트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추간판 임플란트를 척추 간에 매우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이렇게 척추 간에 삽입된 이후에는 추간판 임플란트의 회동을 매우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추간판 임플란트의 정위치에 정확하고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간판 임플란트의 삽입수술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and developed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stably between the vertebrae in a state wher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prevented from rocking or departing by holding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very firmly, Sinc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can be rotated very easily and precisely after inser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and reliably plac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n the correct position, and thus,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nser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척추 간(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에 회동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추간판 임플란트로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vertebral disc comprising a support body formed to be fitted in a disc space between two vertebrae, and a pivotable member pivotably mounted on the support body via a pivot shaft, As an implant,

상기 지지몸체의 후방단 일측에는 회동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일단이 개방됨과 더불어 타단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의 내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의 내경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The support body has a cutout portion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upport body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pivot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end opened and the other end closed,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pivoting member , A fe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상기 절개부의 내부에는 회동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벽에 의해 회동부재의 회동각이 일정 범위로 규제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ar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each other such that a rotation angle of the tiltable member is regul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And,

상기 제1규제벽의 내면은 수직방향으로 평탄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규제벽의 내면은 회동부재의 원통형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ulating wall is formed as a flat flat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ulating wall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outer surface of the tiltable member.

상기 회동부재의 타단은 곡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1규제벽 및 제2규제벽에는 삽입장치의 로킹돌기가 이격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로킹홈 및 제2로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member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the first locking wall and the second locking wall are formed with a first locking groove and a second locking groove, through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insertion device can be separated.

상기 지지몸체의 전방단에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톱니형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ody,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is formed, and serrated concave-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상기 지지몸체에는 골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골분수용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골분수용공은 슬롯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제1골분수용공 및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골분수용공으로 이루어지며, Wherein the support body is formed with at least one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 through which bone fragments are receiv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 comprises a first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 formed in a long slot shape and a second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제1골분수용공은 지지몸체의 전방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의 측면에는 제1골분수용공과 소통하는 제1측면관통공이 형성되며, Wherein the first bone-containing hole is formed adjacent to a front end of the support body, a first side through-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bone orifice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상기 제2골분수용공은 지지몸체의 후방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의 측면에는 제2골분수용공과 소통하는 제2측면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cond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 is formed adjacent to a rear end of the support body, and a second side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척추 간(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11)에 회동축(16)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를 가진 추간판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로서,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serting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having a support body formed to fit in a disc space between two vertebrae and a pivotable member pivotally mounted on the support body 11 via a pivot shaft An insertion device for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 관체;A hollow tubular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having both open ends;

상기 중공형 관체의 내주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 로드; 및 An inner rod movably inserted into an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ular body; And

상기 중공형 관체의 외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로킹 튜브를 포함하고, And a locking tube movably fitt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ular body,

상기 중공형 관체의 전방단부에는 추간판 임플란트의 후방단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은 추간판 임플란트의 후방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되고, A contact surface contacting the rear end surface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llow tubular body and the contact surface is curv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상기 내측 로드의 전방단부에는 체결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부는 추간판 임플란트의 회동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A fastening en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rod, the fastening end is releasably coupled to a pivoting member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상기 로킹 튜브의 전방단부에는 상기 추간판 임플란트의 지지몸체에 이격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및 제2 로킹돌기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tube has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symmetrical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tub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ing body of the disc implant.

상기 추간판 임플란트의 지지몸체는 그 후방단 일측에 회동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일단이 개방됨과 더불어 타단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의 내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의 내경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The support body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has a cut-out portion on one side of the rear end thereof, on which a pivoting member is rotatably installed. The pivot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one end opened and the other end close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n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상기 내측 로드의 체결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공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A male screw portion that is screwed 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of the inner rod,

상기 절개부의 내부에는 회동부재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벽에 의해 회동부재의 회동각이 일정 범위로 규제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ar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each other such that a rotation angle of the tiltable member is regul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And,

상기 제1규제벽의 내면은 수직방향으로 평탄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규제벽의 내면은 회동부재의 원통형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strictive wall is formed as a flat flat surfa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strictive wall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cylindrical outer surface of the tiltable member,

상기 제1규제벽의 평탄면에는 제1로킹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규제벽의 외측면에는 제2로킹홈이 형성되며, A first locking groove is formed on a flat surface of the first regulating wall, a second lock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regulating wall,

상기 로킹 튜브의 제1 및 제2 로킹돌기는 추간판 임플란트의 제1 및 제2 로킹홈에 개별적으로 이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of the locking tube are separately and separately engageable with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상기 내측로드의 후방단부에는 회전노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노브를 돌림으로써 내측로드의 체결단부는 회동부재의 체결공에 나사결합되고, A rotary knob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inner rod. By turning the rotary knob, the fastening end of the inner rod is screwed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pivoting member,

상기 중공형 관체의 후방단부에는 손잡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중공형 관체의 중간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Wherein the hollow tubular body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at a rear end thereof,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i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ollow tubular body,

상기 로킹 튜브의 후방단부에는 결합링이 설치되며, 상기 로킹 튜브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결합링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upling ring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ing tube, and the coupling ring is selectively releas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ocking tube.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 구조로 형성되고,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in an engaging groove structu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결합링은 케이싱 및 이 케이싱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의 누름에 의해 결합링은 중공형 관체의 제1 및 제2 결합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ring includes a casing and a push button movably installed in the casing, and the coupling ring is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of the hollow tubular body by depressing the push button .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누름버튼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싱의 내부공간에서 누름버튼이 결합방향 및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며, Wherein a space in which the push button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casing, the push button moves in the coupling direction and the release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상기 케이싱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에 의해 로킹 튜브에 결합되고, The casing is coupled to the locking tube by one or more fasteners,

상기 누름버튼은 그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는 중공형 관체가 통과하며, Wherein the push button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he hollow tubular bod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는 걸림돌기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부에는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의 내부에는 가이드핀이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케이싱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슬롯의 높이는 가이드핀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고, A guide pin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on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a guide slot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hole, a guide pin is disposed in the guide slot, the guide pin is fixed to the casing, The height of the slo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guide pin,

상기 누름버튼의 하단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 구조로 형성되고,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are formed in an engaging groove structure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결합링은 원통형의 케이싱을 포함하고, 케이싱의 전방단 내주면에는 환형의 회전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 튜브의 후방단부에는 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의 회전지지홈은 상기 로킹 튜브의 걸림턱에 걸려져 회전지지되며, Wherein the engaging ring includes a cylindrical casing, an annular rotating support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front end of the casing, an annular engaging step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locking tube, And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of the locking tube and is rotatably supported,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링의 암나사부가 제1 및 제2 결합부의 수나사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a female screw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ring, and a female screw portion of the engaging ring is selectively removably coupled to a male screw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

상기 로킹 튜브의 단부와 케이싱 사이에는 가압스프링이 개재되고, 상기 가압스프링은 로킹 튜브를 추간판 임플란트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ressing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 of the locking tube and the casing, and the pressing spring is configured to press the locking tube toward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본 발명에 의하면, 로킹튜브의 로킹돌기 및 추간판 임플란트의 로킹홈들 사이의 기밀한 결합에 의해 추간판 임플란트를 견고하게 홀딩함으로써 추간판 임플란트의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한 상태에서 추간판 임플란트를 척추 간에 매우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로킹튜브의 안정적인 결합 및 용이한 해제 작동을 통해 척추 간에 삽입된 이후에는 추간판 임플란트의 회동을 매우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추간판 임플란트의 정위치에 정확하게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추간판 임플란트의 삽입수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are rigidly held by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locking tube and the locking grooves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can be stably held between the vertebrae After the insertion of the locking tube and the easy release of the locking tub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can be rotated very easily and accurately after the intervertebral disc insertion, so that the disc implant can be positively and precisely positioned The insertion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에 추간판 임플란트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에서 추간판 임플란트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에 추간판 임플란트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화살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추간판 임플란트의 후방단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로킹 튜브가 후진하여 로킹 튜브의 로킹돌기들이 추간판 임플란트의 로킹홈들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화살표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 튜브의 결합링 및 중공형 관체의 결합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is a plan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view of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rea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connected to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separated in an insertion device for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insertion device for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connected to an insertion device for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n arrow B portion in Fig. 12,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is partially cut.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tube of the locking tube is retracted in FIG. 13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locking tube are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grooves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n arrow D in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FF line of Fig.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art of a locking tube and a coupling part of a hollow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somewhat.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추간판 임플란트(10)는 척추 간(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몸체(11)와, 이 지지몸체(11)에 회동축(16)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15)를 포함한다. 1 to 8,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ody 11 formed to be fitted in a disc space between two vertebrae, And a pivoting member 15 pivotally mounted via the coaxial shaft 16. [

지지몸체(11)의 전방단에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11a)이 형성되고, 특히 지지몸체(11)의 전방단에는 한 쌍의 경사면(11a)이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추간판 임플라트(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At least one sloped surface 11a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ody 11 and a pair of inclined surfaces 11a are vertically symmetrical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ody 11 to form an intervertebral disc 10, Thereby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the screw.

지지몸체(1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톱니형 요철부(11b)가 형성되어 척추체와의 접촉 시에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척추체와의 융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support body 11 are formed with serrated protrusions and recesses 11b to prevent slippage when they contact the vertebral body, thereby making the fusion with the vertebral body more robust.

지지몸체(11)에는 골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골분수용공(13, 1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특히, 골분수용공(13, 14)은 복수개가 지지몸체(11)에서 구획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골분수용공(13, 14)은 슬롯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제1골분수용공(13)과,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골분수용공(1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분수용공(13, 14)은 제1 및 제2 골분수용공(13, 14)으로 분할되어 구성됨에 따라 골분의 수용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body 11 is formed with one or more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s 13 and 14 through which the bone fragments are receiv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bone-containing holes 13 and 14 are formed in the support body 11 so as to be partitioned. Preferably, the bone-receiving openings 13 and 14 include a first bone-receiving hole 13 formed in a slot-like shape and a second bone-receiving hole 14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bone-receiving openings 13 and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bone-receiving holes 13 and 14 so that the accommodating density of the bone fragments can be further improved.

제1골분수용공(13)은 지지몸체(11)의 전방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지지몸체(11)의 측면에는 제1골분수용공(13)과 소통하는 제1측면관통공(13a)이 형성된다. 제2골분수용공(14)은 지지몸체(11)의 후방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지지몸체(11)의 측면에는 제2골분수용공(14)과 소통하는 제2측면관통공(1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측면관통공(13a, 14a)을 통해 골분의 수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수용된 골분의 밀도를 높여 공극(빈공간)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irst bone receiving space 13 is form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ing body 11 and has a first side through hole 13a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bone receiving space 13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11, . The second bone inflow hole 14 is form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ody 11.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1 has a second side through hole 14a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one inflow hole 14, . Bone fractions can be smoothly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ide through holes (13a, 14a), and the density of the bone fragments can be increased to effectively prevent voids (empty spaces) from being generated.

지지몸체(11)의 후방단 일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12)가 형성된다. 특히, 도 2와 같이 절개부(12)의 상면 및 하면에는 회동축(16)이 끼워지는 끼움공(12a)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회동축(16)은 절개부(12)의 끼움공(12a)을 관통하여 회동부재(15)의 타단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a cutout 12 i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support body 11, to which the pivoting member 15 is rotatably mounted. 2, an insertion hole 12a through which the rotary shaft 16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cutout 12, and the rotary shaft 1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 of the cutout 12 12a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tiltable member 15. [

회동부재(15)는 일단이 개방됨과 더불어 타단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회동부재(15)의 내부에는 체결공(15a)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15a)의 내경면에는 후술하는 삽입장치(50)의 체결단부(81)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The pivoting member 15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A screw hole 15a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rotating member 15 and a female screw thread 15b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hole 15a is screwed on a fastening end portion 81 of the insertion device 50 Respectively.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5)의 타단은 반구형 등과 같은 곡면부(15d)가 형성되고, 이에 회동부재(15)는 지지몸체(11)의 절개부(12) 내에서 간섭없이 보다 유연하고 원활하게 회동작동할 수 있다. 2,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member 15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portion 15d such as a hemispherical shape, and the pivoting member 15 is disposed in the cutout portion 12 of the support body 11 as interference So that it is possible to operate more smoothly and smoothly.

절개부(12)의 내부에는 회동부재(15)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벽(17a, 17b)이 형성되고, 이러한 제1 및 제2 규제벽(17a, 17b)에 의해 회동부재(15)의 회동각이 일정범위(대략 90°범위)로 규제될 수 있도록 서로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17a and 17b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tiltable member 15 are formed in the incision 12 and are pivoted by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17a and 17b. (Orthogonal) to each other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member 15 can be regulated in a certain range (approximately 90 degrees range).

제1규제벽(17a)의 내면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평탄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제2규제벽(17b)의 내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5)의 원통형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진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ulating wall 17a is a flat flat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2 and 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ulating wall 17b is made of a pivoting member 15) having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outer surface.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규제벽(17a)의 평탄면에는 제1로킹홈(19a)이 형성되고,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규제벽(17b)의 외측면에는 제2로킹홈(19b)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로킹홈(19a, 19b)에는 후술하는 삽입장치(50)의 로킹돌기(71, 72)들이 개별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추간판 임플란트(10)는 삽입장치(50)에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first locking groove 19a is form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first regulating wall 17a,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19a is form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second regulating wall 17b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9b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The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of the insertion device 5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dividually fitted 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9a and 19b so that the intervertebral disc 10 can be fixed to the insertion device 50 have.

지지몸체(11)는 피크(PEEK: Polyetheretherketone) 등과 같이 인체에 대한 생체적합성 및 골과 가까운 물성치를 갖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 재질의 지지몸체(10)에는 수술시 방사선에 의한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마커(18a, 18b, 18c)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마커(18a, 18b, 18c)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몸체(11)의 전방단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제1마커(18a), 지지몸체(11)의 중간부에 측벽에 인접하여 설치된 제2 및 제3 마커(18b, 18c)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3개의 마커(18a, 18b, 18c)가 삼각형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방사선에 의한 위치 파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support body 11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having biocompatibility with the human body and properties close to the bone such as PEEK (Polyetheretherketone). One or more markers 18a, 18b and 18c are installed in the support body 10 so as to penetrate the support body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as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by radiation during the operation. Preferably, the markers 18a, 18b and 18c include a first marker 18a provid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body 11 as shown in Figures 1 to 6, Second and third markers 18b and 18c provided adjacent to the side wall,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ee markers 18a, 18b, and 18c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triangula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grasp the position by the radiation.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9 to 17 are views showing an insertion device for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삽입장치(50)는 중공형 관체(51)와, 이 중공형 관체(51)의 내주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 로드(52)와, 중공형 관체(51)의 외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로킹 튜브(53)를 포함한다. The insertion device 50 includes a hollow tubular body 51, an inner rod 52 movably inserted i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nd an inner rod 52 movably fit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nd a locking tube 53.

중공형 관체(51)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형 관체(51)의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중공형 관체(51)의 전방단부에는 추간판 임플란트(10)의 후방단면과 접촉하는 접촉면(61)이 형성되고, 이 접촉면(61)은 추간판 임플란트(10)의 후방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다. 중공형 관체(51)의 후방에는 손잡이부(62)가 설치되고, 중공형 관체(51)의 후방단부에는 플랜지부(66)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66)에 의해 손잡이부(62)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A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hollow tubular body 51,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re open. A contact surface 61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surface of the intervertebral disc 10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The contact surface 6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Respectively. A flange portion 66 is forme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The flange portion 66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portion 62, Is stably installed.

그리고, 중공형 관체(51)의 중간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이 형성되고, 각 결합부(63, 64)에는 결합링(75)이 로킹 튜브(53)의 전후진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결합된다.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63 and 64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middle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 coupling ring 75 is fitted to each engaging portion 63 and 64, (Not shown).

한편, 중공형 관체(5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형 관체(51)는 도 12 및 도 15와 같이 제1중공형 관체(51a) 및 제2중공형 관체(51b)가 나사결합부(65)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삽입장치(50)의 조립 및 분해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llow tubular body 51 has a structur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2 and 15, the first hollow tube body 51a and the second hollow tube body 51b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crews 65, So that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operation of the inserting device 50 can be further facilitated.

도 11,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결합부(63, 64)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63a, 64a) 구조로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홈(63a, 64a)에는 후술하는 결합링(75)의 누름버튼(76)이 선택적으로 걸려져 결합될 수 있다. 11, 12 and 15,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63 and 64 are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engagement grooves 63a and 64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ngagement grooves 63a and 64a The push button 76 of the coupling ring 75 described later can be selectively engaged and coupled.

내측 로드(52)는 중공형 관체(51)의 내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내측 로드(52)의 전방단부에는 체결단부(81)가 형성되고, 이 체결단부(81)는 추간판 임플란트(10)의 회동부재(1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체결단부(8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81a)가 형성되고, 체결단부(81)의 수나사부(81a)는 회동부재(15)의 암나사부(15b)가 형성된 체결공(15a)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내측로드(52)의 후방단부에는 회전노브(82)가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노브(82)를 돌림으로써 내측로드(52)의 체결단부(81)는 회동부재(15)의 체결공(15a)에 나사결합된다. 내측로드(52)의 회전노브(82)는 중공형 관체(51)의 플랜지부(66)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inner rod 52 is movably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 fastening end 8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rod 52 and the fastening end 8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ing member 15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A male threaded portion 81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portion 81 and a male threaded portion 81a of the fastening end portion 8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astening hole 15a in whic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5b of the pivoting member 15 is formed Respectively. A rotary knob 82 is integrally forme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inner rod 52. By turning the rotary knob 82, the fastening end portion 81 of the inner rod 52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5a . The rotary knob 82 of the inner rod 52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66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로킹 튜브(53)는 중공형 관체(51)의 외주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로킹 튜브(53)의 전방단부에는 제1 및 제2 로킹돌기(71, 72)가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로킹돌기(71, 72)는 추간판 임플란트(10)의 제1 및 제2 로킹홈(19a, 19b)에 개별적으로 이격가능하게 끼워진다. 각 로킹돌기(71, 72)는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고, 원호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The locking tube 53 is fit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e 51 so as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are symmetrical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tube 53 an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ar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And are separately and separately fitted to the second locking grooves 19a, 19b. Each of the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has a narrower width as it goes forward and has an arc-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한편, 로킹돌기(71, 72)가 끼워지는 제1 및 제2 로킹홈(19a, 19b)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로킹홈(19a)은 제1로킹돌기(71)의 전방단부가 끼워지는 홈구조로 형성되고, 제2로킹홈(19b)은 제2로킹돌기(72)의 내측면이 끼워지는 홈구조로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9a and 19b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are fitted will be described concretely. The first locking groove 19a has a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71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9b is formed in a groov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72 is fitted.

로킹 튜브(53)의 후방단부에는 결합링(75)이 설치되고, 이 결합링(75)은 로킹 튜브(53)의 전후진에 따라 중공형 관체(51)의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에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1결합부(63)는 로킹 튜브(53)의 로킹돌기(71, 72)들이 추간판 임플란트(10)의 로킹홈(19a, 19b)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2결합부(64)는 로킹 튜브(53)의 로킹돌기(71, 72)들이 추간판 임플란트(10)의 로킹홈(19a, 19b)에서 완전히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위치에 형성된다. A coupling ring 75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ing tube 53. The coupling ring 75 is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63, and 64, respective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63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of the locking tube 53 are held in the locking grooves 19a and 19b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2 engaging portion 64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locking projections 71 and 72 of the locking tube 53 are kep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ocking grooves 19a and 19b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링(75)은 케이싱(75a) 및 이 케이싱(75a)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버튼(76)을 포함하고, 누름버튼(76)의 누름에 의해 결합링(75)은 중공형 관체(51)의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ngagement ring 75 includes a casing 75a and a push button 76 movably provided in the casing 75a, and the engagement ring 75 Are selectively remov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63 and 64 of the hollow tube 51. [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75a)의 내부에는 누름버튼(76)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싱(75a)의 내부공간에서 누름버튼(76)이 결합방향(도 16의 화살표 K 참조) 및 해제방향(도 16의 화살표 L 참조)으로 이동할 수 있다.16, a space in which the push button 76 is provided is formed inside the casing 75a.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75a, the push button 76 is inserted in the coupling direction (See arrow L in Fig. 16).

케이싱(75a)은 하나 이상의 연결핀(79a, 79b)을 통해 로킹 튜브(53)에 연결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6 및 도 18과 같이, 로킹 튜브(53)의 단부에는 연결슬롯(54)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슬롯(54)에는 연결핀(79a, 79b)의 몸통부가 삽입되며, 이에 의해 케이싱(75a)은 연결핀(79a, 79b)을 매개로 로킹 튜브(53)에 대해 연결될 수 있다. The casing 75a is connected to the locking tube 53 through one or more connecting pins 79a and 79b. 16 and 18, a connecting slot 5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cking tube 53, and the body of the connecting pin 79a and 79b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slot 54 , Whereby the casing 75a can be connected to the locking tube 53 via the connecting pins 79a and 79b.

그리고,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연결핀(79a)의 하단에는 가이드돌기(79c)가 돌출되어 있고, 중공형 관체(51)의 일측 외주면에는 가이드홈(51a)이 일정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51a)과 가이드돌기(79c)는 상호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핀(79a)의 가이드돌기(79c) 및 중공형 관체(51)의 가이드홈(51a)에 의해 로킹 튜브(53) 및 결합링(75)의 케이싱(75a)은 중공형 관체(51)의 가이드홈(51a)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됨과 더불어 원주방향으로의 공회전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16 and 18, a guide protrusion 79c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one of the connecting pins 79a, and a guide groove 51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nd the guide groove 51a and the guide protrusion 79c are configur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guide projection 79c of the connecting pin 79a and the guide groove 51a of the hollow tube 51 allow the casing 75a of the locking tube 53 and the coupling ring 75 to be inserted into the hollow tube 51, And the idle rota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surely prevented.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튜브(53)의 단부와 케이싱(75a) 사이에는 가압스프링(85)이 개재되고, 이러한 가압스프링(85)은 케이싱(75a)에 대해 로킹 튜브(53)을 추간판 임플란트(10)측으로 가압(밀어줌)으로써 로킹 튜브(53)의 로킹돌기(71, 72)들이 추간판 임플란트(10)를 보다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가압스프링(85)에 의한 로킹 튜브(53)의 가압 거리는 로킹 튜브(53)의 연결슬롯(54)의 길이에 대응하여 규제될 수 있다. 16, a pressing spring 85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locking tube 53 and the casing 75a. The pressing spring 85 presses the locking tube 53 against the casing 75a The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of the locking tube 53 can hold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more firmly by pushing the intervertebral disc 10 toward the intervertebral disc 10 side. Here, the pressing distance of the locking tube 53 by the pressing spring 85 may be regulat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slot 54 of the locking tube 53.

누름버튼(76)은 그 내측에 관통공(76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76a)에는 중공형 관체(51)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관통공(76a)의 일측 특히, 관통공(76a)의 하부에는 걸림돌기(76b)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돌기(76b)의 중심은 관통공(76a)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게 형성된다. The push button 76 has a through hole 76a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tubular body 51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76a. A locking projection 76b is formed in an arc shape on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76a and in particular on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76a and the center of the locking projection 76b is form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76a .

그리고, 관통공(76a)의 상부에는 가이드슬롯(76d)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슬롯(76d)의 내부에는 가이드핀(77)이 위치한다. 가이드핀(77)은 케이싱(75a)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가이드슬롯(76d)의 높이(h1)는 가이드핀(77)의 높이(h2)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누름버튼(76)은 가이드슬롯(76b) 및 가이드핀(77)에 의해 그 이동이 정밀하게 안내됨과 더불어 이동거리가 규제될 수 있다. A guide slot 76d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76a and a guide pin 77 is disposed in the guide slot 76d. The guide pin 77 is fixed to the casing 75a and the height h1 of the guide slot 76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guide pin 77, The movement thereof is precisely guided by the guide slot 76b and the guide pin 77, and the moving distance can be regulated.

누름버튼(76)의 하단은 스프링(78)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이 스프링(78)에 의해 누름버튼(76)의 누름이 해제될 때 누름버튼(76)은 원위치로 복귀하며, 이에 따라 누름버튼(76)의 걸림돌기(76b)은 중공형 관체(51)의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의 걸림홈(63a, 64a)에 선택적으로 걸려져 결합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76 is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78. When the push button 76 is released by the spring 78, the push button 76 returns to the home position, The engaging protrusions 76b of the button 76 can be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s 63a and 64a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63 and 64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

그리고, 누름버튼(76)의 하단에는 리테이너돌기(76c)가 하향 돌출되어 있고, 이 리테이너돌기(76c)에 의해 스프링(78)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 retainer projection 76c project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76. The position of the spring 78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retainer projection 76c.

이러한 결합링(75)의 구성을 통해, 누름버튼(76)을 누르면 누름버튼(76)은 해제방향(도 16의 화살표 L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러한 누름작동에 의해 누름버튼(76)의 하단에 위치한 스프링(77)이 압축되면서 누름버튼(76)의 걸림돌기(76b)가 제1결합부(63) 또는 제2결합부(64)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결합링(75)은 중공형 관체(51)의 제1 결합부(63) 또는 제2결합부(64)에 대해 그 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로킹 튜브(5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제1결합부(63) 또는 제2결합부(64)에서 누름버튼(76)의 누름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77)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76)은 결합방향(도 16의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하여 누름버튼(76)의 걸림돌기(76b)가 제1결합부(63)의 걸림홈(63a) 또는 제2결합부(64)의 걸림홈(64a)에 선택적으로 걸려져 결합되고, 이에 결합링(75)은 중공형 관체(51)의 제1결합부(63) 또는 제2결합부(64)에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When the push button 76 is press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ring 75, the push button 76 moves along the release direction (the direction of arrow L in FIG. 16), and by this pushing operation, The spring 77 located at the lower end is compressed and the engaging projection 76b of the push button 76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63 or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4, The first engaging portion 63 or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4 of the engaging portion 51 is disengaged. In this state, when the pressing state of the push button 76 is released from the first engaging part 63 or the second engaging part 64 by advancing or retracting the locking tube 5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77 The push button 76 moves in the engaging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in FIG. 16)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76b of the push button 76 engages with the engaging groove 63a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63 or the engaging groove 63b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4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ring 75 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63 or the second engaging portion 64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is fixed do.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50)의 결합링(95)에 대한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8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to the coupling ring 95 of the insertion device 50 for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링(95)은 원통형의 케이싱(96)을 포함하고, 케이싱(96)의 전방단 내주면에는 환형의 회전지지홈(96a)이 형성되며, 로킹 튜브(53)의 후방단부에는 환형의 걸림턱(53a)이 형성된다. 이에, 결합링(95)은 로킹 튜브(53)의 걸림턱(53a)에 걸려져 회전지지되도록 구성된다. 18, the coupling ring 95 includes a cylindrical casing 96, an annular rotation support groove 96a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casing 96, a locking tube 53, And an annular stopping hook 53a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topper 53a. Thus, the coupling ring 95 is configured to be hung on the locking projection 53a of the locking tube 53 and rotatably supported.

중공형 관체(51)의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63b, 64b)가 형성되고, 결합링(95)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96b)가 형성된다. 이에, 결합링(95)의 암나사부(96b)가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의 수나사부(63b, 64b)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Male threaded portions 63b and 64b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63 and 64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96b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ing ring 95. [ The female threaded portion 96b of the coupling ring 95 is selectively detachably coupl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s 63b and 64b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63 and 64. [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50)를 이용하여 추간판 임플란트(10)를 척추 간에 삽입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between the vertebrae using the insertion device 50 for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중공형 관체(51)의 접촉면(61)에 추간판 임플란트(10)의 후방단면을 접촉시킨 후에, 내측로드(52)의 회전노브(82)를 돌림으로써 내측로드(52)의 체결단부(81)를 회동부재(15)의 체결공(15a)에 나사결합시킨다. First, the rear end surface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61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nd then the rotary knob 82 of the inner rod 52 is turned, 81 are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s 15a of the tiltable member 15. [

그런 다음에, 결합링(75)을 중공형 관체(51)의 제1결합부(63)에 고정시키면, 도 13과 같이 로킹 튜브(53)의 제1 및 제2 로킹돌기(71, 72)들은 추간판 임플란트(10)의 로킹홈(19a, 19b)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추간판 임플란트(10)는 삽입장치(50)의 선단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Then, when the coupling ring 75 is fix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63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71 and 72 of the locking tube 53, as shown in Fig. 13,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19a and 19b of the intervertebral disc 10 so that the intervertebral disc 10 is firmly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device 50. [

이렇게 삽입장치(50)의 선단에 추간판 임플란트(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척추 간에 추간판 임플란트(10)를 삽입한다. In this state,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is inserted between the vertebrae 10 in a state where the disc implant 10 is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device 50.

그 후에, 결합링(75)의 누름버튼(76)을 누름으로써, 결합링(75)을 중공형 관체(51)의 제1결합부(63)에서 해제시키고, 그 이후에 로킹 튜브(53)를 후방으로 서서히 후진시키면, 로킹 튜브(53)의 제1 및 제2 로킹돌기(71, 72)들은 추간판 임플란트(10)의 로킹홈(19a, 19b)에서 서서히 이격되고, 이에 추간판 임플란트(10)는 회동부재(15)의 회동축(16)을 중심으로 회동방향(도 14의 화살표 R 참조)으로 서서히 회동하여 도 14의 점선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Thereafter, by depressing the push button 76 of the coupling ring 75, the coupling ring 75 is released from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63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of the locking tube 53 are gradually spaced from the locking grooves 19a and 19b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See arrow R in Fig. 14) around the pivotal axis 16 of the tiltable member 15 and is located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이와 같은 조작을 통해 추간판 임플란트(10)가 척추 간에서 정위치로 배치되면 내측로드(52)의 회전노브(82)를 반대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내측로드(52)의 체결단부(81)를 회동부재(15)의 체결공(15a)에서 분리시킨다.
By rotating the rotary knob 82 of the inner rod 52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intervertebral disc 10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between the vertebrae by the above operation, (15a) of the base plate (15).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 추간판 임플란트 11: 지지몸체
12: 절개부 13: 제1골분수용공
14: 제2골분수용공 15: 회동부재
16: 회동축 17a, 17b: 규제벽
19a, 19b: 로킹홈 50: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51: 중공형 관체 52: 내측 로드
53: 로킹 튜브 61: 접촉면
71, 72: 로킹돌기 75, 95: 결합링
81: 체결단부
10: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1: support body
12: incision part 13: first bone fragrance receptacle
14: second bone receiving hole 15: pivot member
16: Pivot shaft 17a, 17b:
19a, 19b: locking grooves 50: insertion device for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51: hollow tube 52: inner rod
53: locking tube 61: contact surface
71, 72: locking protrusion 75, 95: engaging ring
81: fastening end

Claims (11)

척추 간(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몸체(11) 및 상기 지지몸체(11)에 회동축(16)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몸체(11)의 후방단 일측에는 회동부재(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5)는 일단이 개방됨과 더불어 타단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형 회동부재(15)의 타단이 상기 회동축(16)을 매개로 상기 절개부(12) 내 측에 연결되고, 개방된 일단을 통해 접속 가능한 상기 회동부재(15)의 내부에는 체결공(15a)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공(15a)의 내경면에는 암나사부(15b)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2)의 내부에는 회동부재(15)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벽(17a, 17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벽(17a, 17b)에 의해 회동부재(15)의 회동각이 일정 범위로 규제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규제벽(17b)의 내면은 회동부재(15)의 원통형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
A support body 11 formed to fit into a 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 and a pivoting member 15 pivotally mounted on the support body 11 via a pivot 16,
A cutout 1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ar end of the support body 11 to allow the pivoting member 15 to pivot,
The other end of the cylindrical pivoting member 15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utout 12 via the pivot shaft 16, and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member 15 is connected to the cut- A fastening hole 15a is formed in the pivoting member 15 which is connected through an open end and a female screw 15b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15a,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17a and 17b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tiltable member 15 are formed in the cutout 12 and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17a and 17b Are form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each other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pivoting member (15) is regulated in a certain rang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striction wall (17b)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cylindrical outer surface of the tiltable member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5)의 타단은 곡면부(15d)로 형성되고,
상기 제1규제벽(17a) 및 제2규제벽(17b)에는 삽입장치의 로킹돌기가 이격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로킹홈(19a) 및 제2로킹홈(19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end of the tiltable member 15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portion 15d,
The first locking groove (19a)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19b) are formed in the first regulating wall (17a) and the second regulating wall (17b)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inserting device is removably inserted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1)의 전방단에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11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11)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는 톱니형 요철부(1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sloped surface 11a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upport body 11 and serration-lik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11b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body 11,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11)에는 골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골분수용공(13, 1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골분수용공(13, 14)은 슬롯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제1골분수용공(13) 및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골분수용공(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골분수용공(13)은 지지몸체(11)의 전방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11)의 측면에는 제1골분수용공(13)과 소통하는 제1측면관통공(13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골분수용공(14)은 지지몸체(11)의 후방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몸체(11)의 측면에는 제2골분수용공(14)과 소통하는 제2측면관통공(1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ody 11 is formed with one or more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s 13 and 14 through which the bone fragments are receiv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s 13 and 14 are formed in a slot- (13) and a second bone fragrance receiving hole (14)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first bone contaminant receiving hole 13 is formed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ing body 11 and the side face of the supporting body 11 is provided with a first side through hole 13a are formed,
The second bone inflow hole 14 is formed adjacent to a rear end of the support body 11 and a second side through hole 14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one inflow hole 14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1 (14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lant plate.
척추 간(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지지몸체(11) 및 상기 지지몸체(11)에 회동축(16)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15)를 가진 추간판 임플란트(10)를 삽입하기 위한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 관체(51);
상기 중공형 관체(51)의 내주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 로드(52); 및
상기 중공형 관체(51)의 외주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로킹 튜브(53)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형 관체(51)의 전방단부에는 추간판 임플란트(10)의 후방단면과 접촉하는 접촉면(61)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61)은 추간판 임플란트(10)의 후방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곡률지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로드(52)의 전방단부에는 체결단부(8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단부(81)는 추간판 임플란트(10)의 회동부재(1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킹 튜브(53)의 전방단부에는 상기 추간판 임플란트(10)의 지지몸체(11)에 이격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및 제2 로킹돌기(71, 72)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A support body 11 formed to fit into a disc space in between two vertebrae and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having a pivoting member 15 pivotally mounted on the support body 11 via a pivot 16 An insertion device for an intervertebral disc implant,
A hollow tube body 51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having both ends opened;
An inner rod (52) movably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And
And a locking tube (53) movably fitt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tube (51)
A contact surface 61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hollow tubular body 51 to contact a rear end surface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The contact surface 6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Respectively,
A fastening end 81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rod 52 and the fastening end 8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ivoting member 15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trusions 71 and 72 are symmetrically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tube 5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body 11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Insertion device for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간판 임플란트(10)의 지지몸체(11)는 그 후방단 일측에 회동부재(1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절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15)는 일단이 개방됨과 더불어 타단은 폐쇄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재(15)의 내부에는 체결공(15a)이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15a)의 내경면에는 암나사부(15b)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 로드(52)의 체결단부(81)의 외주면에는 상기 체결공(15a)의 암나사부(15b)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81a)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2)의 내부에는 회동부재(15)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1 및 제2 규제벽(17a, 17b)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규제벽(17a, 17b)에 의해 회동부재(15)의 회동각이 일정 범위로 규제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규제벽(17a)의 내면은 수직방향으로 평탄한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규제벽(17b)의 내면은 회동부재(15)의 원통형 외면에 대응하는 곡률진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규제벽(17a)의 평탄면에는 제1로킹홈(19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규제벽(17b)의 외측면에는 제2로킹홈(19b)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 튜브(53)의 제1 및 제2 로킹돌기(71, 72)는 추간판 임플란트(10)의 제1 및 제2 로킹홈(19a, 19b)에 개별적으로 이격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body 11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is formed with a cutout 12 in which a pivotal member 15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a rear end thereof. The pivotal member 15 has one end open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 closed cylindrical structure. A fastening hole 15a is formed in the pivoting member 15 and a female screw 15b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15a.
A male threaded portion 81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end portion 81 of the inner rod 52 to be screwed in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5b of the fastening hole 15a,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17a and 17b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tiltable member 15 are formed in the cutout 12 and the first and second restrictive walls 17a and 17b Are formed in directions intersecting each other such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pivoting member (15) is regulated in a certain range,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regulating wall 17a is a flat flat surf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ulating wall 17b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outer surface of the tilt member 15,
A first locking groove 19a is formed on a flat surface of the first regulating wall 17a and a second locking groove 19b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egulating wall 17b.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71,72) of the locking tube (53) are spaced apart separately in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grooves (19a, 19b) of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Insertion device for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측로드(52)의 후방단부에는 회전노브(82)가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노브(82)를 돌림으로써 내측로드(52)의 체결단부(81)는 회동부재(15)의 체결공(15a)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중공형 관체(51)의 후방단부에는 손잡이부(62)가 설치되며, 상기 중공형 관체(51)의 중간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이 형성되고,
상기 로킹 튜브(53)의 후방단부에는 결합링(75, 95)이 설치되며, 상기 로킹 튜브(53)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결합링(75, 95)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에 선택적으로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rotary knob 82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inner rod 52. By turning the rotary knob 82, the fastening end portion 81 of the inner rod 5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5a,
A grip portion 62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hollow tube 51 and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63 and 64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hollow tube 51 And,
At the rear end of the locking tube 53, coupling rings 75 and 95 are provided and the coupling rings 75 and 95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75 and 95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 63, 64). ≪ RTI ID = 0.0 > 8. < / RTI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3, 64)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63a, 64a)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75)은 케이싱(75a) 및 이 케이싱(75a)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버튼(76)을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76)의 누름에 의해 결합링(75)은 중공형 관체(51)의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63 and 64 are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engagement grooves 63a and 64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upling ring 75 includes a casing 75a and a push button 76 movably provided in the casing 75a. By pressing the push button 76, the coupling ring 75 is hollow Is selectively remov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63, 64) of the tubular body (5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75a)의 내부에는 누름버튼(76)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싱(75a)의 내부공간에서 누름버튼(76)이 결합방향 및 해제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케이싱(75a)은 하나 이상의 체결구(79)에 의해 로킹 튜브(53)에 결합되고,
상기 누름버튼(76)은 그 내측에 관통공(76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76a)에는 중공형 관체(51)가 통과하며,
상기 관통공(76a)의 일측에는 걸림돌기(76b)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76a)의 상부에는 가이드슬롯(76b)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롯(76b)의 내부에는 가이드핀(77)이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핀(77)은 케이싱(75a)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슬롯(76b)의 높이(h1)는 가이드핀(77)의 높이(h2)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76)의 하단은 스프링(7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space in which the push button 76 is provided is formed inside the casing 75a and the push button 76 moves in the coupling direction and the release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75a,
The casing 75a is coupled to the locking tube 53 by one or more fasteners 79,
A through hole 76a is formed inside the push button 76. A hollow tubular body 5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76a,
A guide recess 76b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on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76a and a guide slot 76b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76a. The guide pin 77 is fixed to the casing 75a and the height h1 of the guide slot 76b is lar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guide pin 77,
And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76) is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7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3, 64)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63a, 64a)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95)은 원통형의 케이싱(96)을 포함하고, 케이싱(96)의 전방단 내주면에는 환형의 회전지지홈(96a)이 형성되며, 상기 로킹 튜브(53)의 후방단부에는 환형의 걸림턱(5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95)의 회전지지홈(96a)은 상기 로킹 튜브(53)의 걸림턱(53a)에 걸려져 회전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63b, 64b)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95)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96b)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링(95)의 암나사부(96b)가 제1 및 제2 결합부(63, 64)의 수나사부(63b, 64b)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63 and 64 are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engagement grooves 63a and 64a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oupling ring 95 includes a cylindrical casing 96. An annular rotation support groove 96a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casing 96. An annular And the rotation support groove 96a of the coupling ring 95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53a of the locking tube 53 and rotatably supported,
A male screw portion 63b and a female screw portion 64b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63 and 64. A female screw portion 96b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gagement ring 95, Is inserted into the male threaded portions (63b, 64b)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portions (63, 64) so as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로킹 튜브(53)의 단부와 케이싱(75a) 사이에는 가압스프링(85)이 개재되고, 상기 가압스프링(85)은 로킹 튜브(53)을 추간판 임플란트(10)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간판 임플란트용 삽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 pressing spring 85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 of the locking tube 53 and the casing 75a and the pressing spring 85 presses the locking tube 53 toward the intervertebral disc implant 10. [ Insertion device for intervertebral disc implants.
KR1020130117771A 2013-10-02 2013-10-02 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 Active KR1015474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71A KR101547485B1 (en) 2013-10-02 2013-10-02 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71A KR101547485B1 (en) 2013-10-02 2013-10-02 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28A KR20150039328A (en) 2015-04-10
KR101547485B1 true KR101547485B1 (en) 2015-08-26

Family

ID=53029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71A Active KR101547485B1 (en) 2013-10-02 2013-10-02 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4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731B1 (en) * 2017-01-31 2018-07-13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Cage for disc space between vertebrae
KR101852973B1 (en) * 2017-01-31 2018-05-02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Inserting device of cage for disc space between vertebrae
TWI677327B (en) * 2018-10-09 2019-11-21 台灣微創醫療器材股份有限公司 Spinal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6891316B1 (en) * 2020-03-12 2021-06-18 グローバ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Intervertebral spine implant
RU209243U1 (en) * 2021-04-30 2022-02-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Эндокарбон" Intervertebral disc cage
KR102719099B1 (en) * 2022-01-18 2024-10-18 (주)스파인닥터스 Spine inser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6049A1 (en) 2005-01-28 2009-11-05 Peter Weiland Implant for Transforaminal Intracorporeal Fusion
US20120035730A1 (en) 2008-12-26 2012-02-09 Scott Spann Minimally-invasive retroperitoneal lateral approach for spinal surgery
KR101194219B1 (en) * 2012-04-09 2012-10-29 (주)비엠코리아 The cage for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and the insertion assembly thereof
US20130023937A1 (en) * 2011-06-14 2013-01-24 Lutz Biedermann Intervertebral im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6049A1 (en) 2005-01-28 2009-11-05 Peter Weiland Implant for Transforaminal Intracorporeal Fusion
US20120035730A1 (en) 2008-12-26 2012-02-09 Scott Spann Minimally-invasive retroperitoneal lateral approach for spinal surgery
US20130023937A1 (en) * 2011-06-14 2013-01-24 Lutz Biedermann Intervertebral implant
KR101194219B1 (en) * 2012-04-09 2012-10-29 (주)비엠코리아 The cage for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and the insertion assembl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28A (en)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485B1 (en) Intervertebral implant and instrumentation for inserting the same
KR101877731B1 (en) Cage for disc space between vertebrae
US11648131B2 (en) Expandable implant
US20180256363A1 (en) Cage for disc space between vertebrae
US9814594B2 (en) Intervertebral disc prosthesis and method
US12239551B2 (en) Sagittal balance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066714B2 (en) Instrumentation for distraction and insertion of implants in a spinal disc space
KR101194219B1 (en) The cage for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and the insertion assembly thereof
US8349017B2 (en) Instruments and method for inserting an intervertebral implant
US9386999B2 (en) Tibial orthopaedic surgical instruments for setting offset
CA254910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a damaged spinal disc
US20090306672A1 (en) Alif inserter/distractor
JP2009509662A (en) Modular intervertebral implants and instruments
US9216089B2 (en) Method of surgically preparing a patient's tibia
US20050192671A1 (en) Artificial disc device
JP6588551B2 (en) Spine implant and method of embedding the same
US20110288645A1 (en) Intervertebral prosthetic systems,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JP2011518603A (en) Movable distractor
CN113662717B (en) Surgical instrument for preparing a patient's tibia to receive an implant
KR20200106613A (en) Cage and cage holder
KR102106023B1 (en) Cage for verteb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