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6867B1 -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867B1
KR101546867B1 KR1020150083593A KR20150083593A KR101546867B1 KR 101546867 B1 KR101546867 B1 KR 101546867B1 KR 1020150083593 A KR1020150083593 A KR 1020150083593A KR 20150083593 A KR20150083593 A KR 20150083593A KR 101546867 B1 KR101546867 B1 KR 10154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front case
display panel
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통신
Priority to KR102015008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8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을 보호하도록 투명 연질 재질로 정면 케이스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일정 패턴의 도트를 음각 형성하여 정면 케이스의 외측면에서도 디스플레이패널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JELLY TYPE SURFACE PROTECTION CAS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을 보호하도록 투명 연질 재질로 정면 케이스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일정 패턴의 도트를 음각 형성하여 정면 케이스의 외측면에서도 디스플레이패널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용자가 휴대하면서 손안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화통신 단말기로서 현대인은 거의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내비게이션, 카메라, 디지털 음원 MP3(MPEG Audio Layer-3)와 디지털 동영상을 재생하는 멀티미디어플레이어(Multi media player)등 많은 부가기능이 탑재되고 있고, 앱(APP : Application)이라 불리는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더 많은 디지털기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근래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데이터통신망과 WiFi(wireless fidelity)를 통해 무선인터넷을 할 수 있음을 물론 더 많은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이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다수의 스마트폰은 화면이 보이는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바 타입(bar type)으로 전면의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고 있다.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패널이 강화유리로 제작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스마트폰이 지면으로 낙하된 경우,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패널, 또는 디스플레이패널 자체가 지면과의 충격에 의해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비교적 고가이며 미려한 자신의 휴대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 보호 케이스를 이용하여 휴대폰을 보호하고 있고,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 보호 케이스가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폰 보호 케이스는 다이어리 타입, 플립 타입, 범퍼 타입, 뷰 타입, 젤리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중 젤리 타입의 경우 연질 재질로 휴대폰이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젤리 타입의 경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충격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1075호에서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가 개발되어 출원되었다.
상기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10)와 커버(2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보호케이스(10)는 휴대폰과의 탈장착시 용이함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신축성은 물론이고 장착시 휴대폰의 외관 즉 색상이나 디자인은 물론 각각의 기능키 부분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 우수하고도 선명한 투영도 역시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특히 시각적인 조형미를 위하여 일정 패턴의 문양을 표면부에 형성시킴도 필요한데, 표면부를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한 요철부로 배열 정렬시킬 경우 빛의 난반사 효과를 발현하여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러버 재질의 보호케이스(10)는 각 기종별/모델별 휴대폰의 외형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써 통상의 휴대폰 외형을 따라 그 대부분이 직사각형태로 제공되는데, 오직 전면만을 개방시킨 박스형태의 수납형으로 단일 사출과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이때 장착되는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나 충전단자 등 필연적으로 외부의 간섭이 없어야 하는 곳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사이즈로 소정의 공간부(12)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호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으로는 이와 대응하는 크기의 박판형태로 판 상의 러버재 커버(2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데, 개방된 보호케이스(10) 전면의 내측 테두리(11)를 다소 경질로 가공하면서 내측을 향해 절곡되도록 하고, 이러한 내측 테두리(11)와 맞물려져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커버(20)의 외주면으로는 소정의 단턱(21)을 형성시켜 외부에서의 결합 및 이탈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호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이와 대응하는 기종과 모델의 휴대폰을 역시 그 전면이 개방된 보호케이스(10)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긴밀하게 내삽 장착시키고, 판 상의 러버재 커버(20)를 내측 테두리(11)에 끼워 결합해 줌으로써 커버(20)는 장착된 휴대폰의 외표면 전면부인 액정디스플레이패널과 기능키 부분에 밀착되게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윈도우 기능의 커버(20)를 포함한 보호케이스(10)에 밀폐형태로 휴대폰이 장착된 상태에서 휴대폰의 사용이 필요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패널과 기능키 부분에 밀착된 커버(20)의 외표면을 통해 터치되는 동작만으로 각종 정보의 입력이 가능해짐은 물론 우수한 투영도를 갖는 박판의 러버재 커버(20)로 인해 액정디스플레이판독이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박판의 러버재 커버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패널과 면접되어 보호하나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 외부 충격시 디스플레이패널이 파손될 수 있고, 커버를 디스플레이패널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커버에 압력을 가하여서 디스플레이패널을 조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패널을 드래그하는 등의 조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현재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 측면에 에지가 형성된 경우 박판 형태의 커버를 디스플레이패널에 밀착시키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10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을 보호하도록 투명 연질 재질로 정면 케이스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일정 패턴의 도트를 음각 형성하여 정면 케이스의 외측면에서도 디스플레이패널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배면에 정면 케이스보다 경질 재질로 판 형태의 배면 케이스를 형성하여 정면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정면 케이스가 외부 작은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을 보호하도록 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휴대폰이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이 밀착되고, 배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조작하도록 내측면에 일정 패턴의 도트가 음각 형성되는 정면 케이스와; 상기 정면 케이스보다 경질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가 상기 정면 케이스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배면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정면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된 단자, 버튼 및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도트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되, 상하좌우로 각각 4~6㎜ 이격되고, 0.2㎜의 깊이로 음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정면 케이스는 측면 테두리 내측에 결합턱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배면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홀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상기 정면 케이스의 결합턱과 체결되는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에 따르면,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을 보호하도록 투명 연질 재질로 정면 케이스를 형성하되, 내측면에 일정 패턴의 도트를 음각 형성하여 정면 케이스의 외측면에서도 디스플레이패널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의 전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패널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배면에 정면 케이스보다 경질 재질로 판 형태의 배면 케이스를 형성하여 정면 케이스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정면 케이스가 외부 작은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가 스마트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가 스마트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100)는, 정면 케이스(110)와, 배면 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정면 케이스(110)는 휴대폰(1)의 정면과 측면을 보호하도록 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실리콘 등)로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휴대폰(1)이 내부에 수납되어 휴대폰(1)의 정면과 측면이 밀착되고, 배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패널(1a)을 조작하도록 내측면에 일정 패턴의 도트(111)가 음각 형성된다.
이때, 정면 케이스(110)는 휴대폰(1)의 정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된 단자, 버튼 및 홀(스피커, 마이크, 카메라 등)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휴대폰(1)을 정면과 측면을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0.5㎜ 이상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트(111)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되, 상하좌우로 각각 4~6㎜ 이격되고, 0.2㎜의 깊이로 음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도트(111)는 금형을 부식시켜 양각을 형성하여 사출시 정면 케이스(110)에 음각이 형성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정면 케이스(110)는 측면 테두리 내측에 하기에서 설명할 배면 케이스(120)가 결합되도록 결합턱(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 케이스(120)는 정면 케이스(110)보다 경질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PVC, PET 등)로 형성되고, 휴대폰(1)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가 정면 케이스(110)의 내측면과 결합된다.
여기에서, 배면 케이스(120)는 휴대폰(1)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홀(121)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정면 케이스(110)의 결합턱(115)과 체결되는 단턱(123)이 형성된다. 이때, 카메라가 미형성되는 경우 카메라홀(121)이 미형성되고, 다른 구성품이 구비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면 케이스(120)는 외력에 의해 손쉽게 휘거나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경도로 형성되어 외력 발생시 정면 케이스(110)를 지지하여 정면 케이스(110)의 결합턱(115)과 단턱(123)이 손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의 조립 과정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면 케이스(110)에 휴대폰(1)을 삽입하는 데,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패널(1a)이 정면 케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된 도트(111)와 면접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면 케이스(120)를 휴대폰(1)의 배면에 면접시킨 상태에서 정면 케이스(110)의 결합턱(115)에 배면 케이스(120)의 단턱(123)을 결합시킨다.
계속해서, 정면 케이스(110)와 배면 케이스(120)의 위치를 조정하고, 정면 케이스(110)를 손으로 밀어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패널(1a)과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정면 케이스(110)의 관통홀(113)을 이용하여 휴대폰(1)을 조작하고, 특히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패널(1a)을 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정면 케이스(110)의 외측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드래그하면 도트(111)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도트(111)가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패널(1a)을 터치하여 동작시킨다.
또한, 정면 케이스(110)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1)의 디스플레이패널(1a)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그대를 왜곡없이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면 케이스(110)가 실리콘과 같은 젤리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폰(1)의 정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정면과 측면에 일부 형성된 디스플레이패널(1a)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에 휴대폰(1)을 정면이나 측면으로 떨어트리는 경우에도 휴대폰(1), 특히 디스플레이패널(1a)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휴대폰 110 : 정면 케이스
111 : 도트 113 : 관통홀
115 : 결합턱 120 : 배면 케이스
121 : 카메라홀 123 : 단턱

Claims (5)

  1.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을 보호하도록 투명한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휴대폰이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이 밀착되고, 배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상기 휴대폰의 디스플레이패널을 조작하도록 내측면에 일정 패턴의 도트가 음각 형성되는 정면 케이스와;
    상기 정면 케이스보다 경질로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가 상기 정면 케이스의 내측면과 결합되는 배면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정면과 측면에 각각 형성된 단자, 버튼 및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되, 상하좌우로 각각 4~6㎜ 이격되고, 0.2㎜의 깊이로 음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케이스는,
    측면 테두리 내측에 결합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케이스는,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와 대응되는 위치에 카메라홀이 형성되고, 테두리에 상기 정면 케이스의 결합턱과 체결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KR1020150083593A 2015-06-12 2015-06-12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Active KR10154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93A KR101546867B1 (ko) 2015-06-12 2015-06-12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593A KR101546867B1 (ko) 2015-06-12 2015-06-12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867B1 true KR101546867B1 (ko) 2015-08-25

Family

ID=5406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593A Active KR101546867B1 (ko) 2015-06-12 2015-06-12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780B1 (ko) * 2021-01-07 2021-09-03 주식회사 스피드샵 배달대행 모바일단말용 실리콘 방수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22B1 (ko) 2012-12-11 2014-04-29 김휘곤 휴대폰 케이스
KR101409865B1 (ko) 2013-04-01 2014-06-20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휴대폰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22B1 (ko) 2012-12-11 2014-04-29 김휘곤 휴대폰 케이스
KR101409865B1 (ko) 2013-04-01 2014-06-20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휴대폰 보호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780B1 (ko) * 2021-01-07 2021-09-03 주식회사 스피드샵 배달대행 모바일단말용 실리콘 방수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1959B (zh) 電子裝置以及其隱藏物體使物體不被看見的方法
US8326383B1 (en)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60088067A (ko) 휴대전자기기용 프로텍터
US20140364178A1 (en) Rigid frame with protective film
CN106843388B (zh) 显示屏组件及其组装方法与电子装置
JP2020507109A (ja) 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ディスプレイ画面組立品の組立て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230011224A (ko) 휴대폰 케이스
KR101197173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케이스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46867B1 (ko) 휴대폰용 젤리 타입 전면 보호 케이스
TWM547790U (zh) 可攜式電子設備保護套構造
KR101050250B1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커버체
US20180254791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6790877B (zh) 一种三防手机保护套
CN206481355U (zh) 一种全包型手机保护套
KR101364493B1 (ko) 액정 투시창이 형성된 덮개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CN210380944U (zh) 电子设备
KR101085472B1 (ko) 바타입 휴대기기의 보호스킨
KR101255559B1 (ko)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
US20170079392A1 (en)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7017734B2 (ja) 携帯端末用保護ケース
CN205051742U (zh) 手机用冻胶型表面保护壳
CN206933628U (zh) 一种手机保护套的复合成型结构
KR101636059B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KR200454659Y1 (ko) 휴대폰 lcd 모듈의 윈도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