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5112B1 - 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 - Google Patents

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112B1
KR101545112B1 KR1020150024889A KR20150024889A KR101545112B1 KR 101545112 B1 KR101545112 B1 KR 101545112B1 KR 1020150024889 A KR1020150024889 A KR 1020150024889A KR 20150024889 A KR20150024889 A KR 20150024889A KR 101545112 B1 KR101545112 B1 KR 10154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smart watch
cradle
mounting
connecting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센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센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센콤
Priority to KR1020150024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11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11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unit for a body of a smart watch (wrist wearable smartphone) displayed in a showroom,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unting device for a smart watch having a theft prevention function which detects damage to the mounting unit and an escape of the body from the mounting unit to deliver a warning sound, and brings convenience regarding installation such as elastic mounting when mounting the body on a body strap or the like.

Description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device for a smart watch,

본 발명은 전시장에 전시되는 스마트워치(손목 착용형 스마트폰)의 바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워치의 바디를 거치 전시함에 있어 거치대의 파손을 감지하여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stand of a smart watch (wrist wearing smart phone) displayed on an exhibition h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theft function for detecting the breakage of a stand, To a smart watch mounting device.

통상적으로, 휴대용 소형 단말기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등의 휴대장치를 칭한다.Typically, portable handheld terminals refer to portable devices such as HHP, CT-2, cellular phones, digital phones, PCS phones, and the like.

현재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제1세대로 바타입(BarType)의 휴대폰이 보편화 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 타입(Flip Type)의 휴대폰이 일반화 되었으며, 현재에는 플립 타입과 제3세대의 폴더 타입(Folder Type)의 휴대폰이 공존하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At presen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increasingly smaller and lighter in the sense of high sensitivity of electronic parts. The first generation of BarType mobile phones has become popular, the second generation of flip type mobile phones have become common, There is a tendency that flip type and third generation folder type mobile phones coexist and become common.

또한, 근자에 들어 휴대폰들은 음성 통신 또는 영상 통신 기능을 넘어 카메라나 동영상촬영, 인터넷 등의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이 보급되며 휴대폰 기능의 첨단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Also, in recent years, mobile phones have become more sophisticated with the spread of smart phones capable of using cameras, moving pictures, the Internet, etc. beyond voice communication or video communication function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은 그 휴대시 사용자가 들고 다니거나 주머니나 가방 등에 휴대하여야 하는 등 그 휴대가 매우 불편하였으며, 근자에 들어 웰빙 문화의 활성화에 따른 조깅이나 자전거 하이킹, 낚시, 캠핑 등 여가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반해 이러한 휴대폰은 활동의 제한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is very inconvenient to carry, such as carrying a portable device such as a carrying bag or carrying it in a pocket or a bag, so that it can be used for jogging, bicycle hiking, fishing, camping While the leisure activities are being activated, these mobile phones have problems that limit their activities.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19820호, 특허등록출원 제10-2003-0023102호와 같이 활동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휴대폰의 사용이 가능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의 출시와 이러한 손목 착용형 휴대폰과 스마트폰이 접목된 스마트워치가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recent years, the use of a mobile phone has been advantageously us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ctivities such as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0-0019820 and the Patent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0-2003-0023102 There is a launch of a smart watch that incorporates such a wrist-wearing mobile phone and a smartphone.

이에, 상기와 같이 새롭게 출시되는 휴대폰은 전시회를 통해 전시하여 여러사람에게 알리고 평가를 받게 된다.Accordingly, the newly introduced mobile phone is exhibited through an exhibition, and is informed and evaluated by various people.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스마트워치는 손목의 착용이 가능한 러버밴드와 바디로 구성된 것으로, 러버밴드의 중앙에는 바디를 감싸는 띠 형태의 스트랩부가 형성되고, 바디의 둘레에는 결착홈이 형성되어 바디가 스트랩부에 탄력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Meanwhile, the smart watch us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rubber band and a body that can be wrist-worn. In the center of the rubber band, a band-shaped strap portion for wrapping the body is formed. A binding groove is formed around the body, And can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strap portion.

이에, 스마트워치의 전시를 위한 거치시에는 러버밴드로부터 바디를 분리한 상태에서 거치 전시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mart watch is mounted for display, the body is separated from the rubber band and displayed.

이때, 바디는 별도의 거치대를 이용하되, 통상의 거치대 상부에 거치 및 별도의 도난 방지용 와이어 등을 연결하여 전시하였다.At this time, the body wa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a usual stand using a separate stand, and a separate anti-theft wire was connected and display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거치방식은 외로부로터 쉽게 노출되고 와이어 등이 절단기에 의해 쉽게 절단되어 도난이 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mounting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outer rotor is easily exposed and the wire or the like is easily cut by the cutter, resulting in frequent theft.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0019820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0-0019820. 대한민국특허등록출원 제10-2003-0023102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3-00231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거치대의 파손 및 바디가 거치대로 부터 이탈시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의 송출이 가능하게 하는 등 바디의 도난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게 하기 위한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theft function for effectively preventing theft of the body, such as breakage of the cradle and detection of release of the body from the crad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watch mounting device.

또한, 바디를 바디 스트랩에 장착시에도 탄력 장착이 가능하게 하는 등 설치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 device for a smart watch having a security function for providing convenience in installation, such as enabling elastic mounting even when the body is attached to the body stra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중앙에 스트랩부가 형성된 손목 착용형 러버밴드와 스트랩부에 결합을 위해 외둘레에 결착홈이 형성된 바디(10)로 된 스마트워치의 바디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re are provided a wrist wearable rubber band having a strap portion at the center thereof and a body 10 having a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for engagement with the strap portion, In the apparatus,

상부에 스마트워치의 바디 외둘레의 결착 고정이 가능한 띠 형태의 바디 스트랩과, 바디 스트랩의 일단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는 컨넥팅바로 구성되며, 전기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된 거치대; A body strap in the form of a strip capable of fix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of the smart watch to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onnecting bar which protrude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strap, and which is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older;

하나 이상의 거치대와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며, 신호의 차단시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를 갖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having a speak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with at least one cradle, detecting a signal when the signal is interrupted, and transmitting a warning sound; And

컨넥팅바와 제어부를 연결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컨넥팅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And a connecting cable connecting the connecting bar and the control unit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는, 거치대의 바디 스트랩이 전기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되고, 그 바디 스트랩에는 바디의 감지가 가능한 감지센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바디 스트랩은 케이블을 통해 경고음의 발생이 가능한 컨트롤기와 연결되어 있어, 도난을 위해 바디 스트랩을 절단시 컨트롤기에서는 전기 신호의 차단을 감지하여 경고음을 송출시키고, 바디가 이탈시 감지센서에서는 이탈 신호를 감지 및 컨트롤기에서 경고음을 송출시키는 등 도난 시도시 신속한 감지 대응이 가능하여 도난이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mart watch mounting device comprising a body strap of a cradle configured by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and a body sensor And the body strap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capable of generating a warning sound through a cable. When the body strap is cut for theft, the controller detects an interruption of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s a warning sound. In the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eparting signal and send a warning sound through the control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ptly respond to a detection attempt, thereby preventing theft.

또한, 바디 스트랩에는 탄력 조절홈이 형성되어 있어, 바디를 착탈시 탄력 결합이 가능하여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strap is formed in the body strap, the elastic strap is elastically coupled when the body is detached and attached, thereby facilita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도 1은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거치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스마트워치 바디 고정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스마트워치 바디 스트랩 절단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스마트워치 바디 이탈시 작동도.
1 is a whole view of a smart watch mounting device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table of a mounting device for a smart watch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mart watch body fixed in a smart watch mounting device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mart watch body strap of a smart watch mounting device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mart watch body detachment device for a smart watch having a theft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mart watch body is detached.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전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거치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스마트워치 바디 고정 상태도이다.FIG. 1 is a whole view of a smart watch mounting apparatus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stand of a smart watch mounting apparatus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state of the smart watch body fixing of the smart watch mounting device.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1)는, 중앙에 스트랩부가 형성된 손목 착용용 러버밴드(도면중 미도시함)와 상기 스트랩부에 결합을 위해 외둘레에 결착홈(11)이 형성된 바디(10)로 된 스마트워치(도면중 미도시함)의 그 바디(10)를 전시장 등에서 거치 전시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대(100)와, 제어부(200)와, 컨넥팅 케이블(3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mart watch mounting device 1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ubber band for wrist wearing (not shown) having a strap portion in the center, The body 10 of the smart watch (not shown) having a body 10 on which an adhesive groove 11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10 is mounted on the floor or the like. And a connecting cable 30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거치대(10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내부에 전기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패턴(도면중 미도시함)이 형성된 통상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 구조를 이루는 바디 스트랩(110)과, 하부 구조를 이루는 컨넥팅바(120)로 구성된다.Here, the cradle 100 is formed of a conventional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pattern (not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an electric signal can be transmitted therein as shown in FIG. 2, A body strap 110, and a connecting bar 120. The body strap 11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이때, 상기 바디 스트랩(110)은, 스마트워치의 바디(10) 둘레의 결착이 가능하도록 소정 폭을 이루는 띠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스마트워치의 바디(10) 둘레에 형성된 결착홈(11)을 통해 바디(10)를 결착 고정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body strap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be able to be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body 10 of the smart watch. The body strap 110 is inserted through a fastening groove 11 formed around the body 10 of the smart watch So that the body 10 is fixedly attached.

그리고, 상기 컨넥팅바(120)는, 상기 바디 스트랩(1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전기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바디 스트랩(110)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ㄴ" 형으로 절곡 형성되게 구성된다.The connecting strap 120 extends from the body strap 110 and transmits an electric signal to the outside. The connecting strap 120 protrudes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strap 110 and is bent in a " .

또한, 상기 바디 스트랩(110)과 컨넥팅바(120)의 연결부에는 탄력홈(130)이 더 형성된 것으로, 탄력홈(130)은 연결부의 중앙이 절개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바디 스트랩(110)은 양측으로 이격된 형태를 이루게 하고, 컨넥팅바(120)에는 그 상부 중앙이 수직 절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The elastic straps 130 are formed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ody strap 110 and the connecting bar 120. The elastic straps 130 are formed by cutting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straps, And the upper center of the connecting bar 120 is vertically cut.

즉, 상기 탄력홈(130)에 의해 바디 스트랩(110)에 소정 탄력이 부여되어 스마트워치의 바디(10)를 끼울시 용이하게 된다.That is, the resilient groove 130 imparts a predetermined resilience to the body strap 110 to facilitate fitting the body 10 of the smart watch.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거치대(100)와 분리된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거치대(100)와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며 컨트롤박스 형태로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200 ha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cradle 1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electrical signals to and from at least one cradle 100, and is configured as a control box.

그리고, 제어부(200)에는 스피커(21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거치대(1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가 차단시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200 is formed with a speaker 21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radle 100 and send a warning sound.

상기 컨넥팅 케이블(300)은, 상기 거치대(100)와 제어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넥팅 케이블(300)의 일단은 거치대(100)의 컨넥팅바(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다.The connecting cable 300 is for connecting the cradle 100 and the control unit 200. One end of the connecting cable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r 120 of the cradle 100,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즉, 컨넥팅 케이블(300)은 거치대(100)와 제어부(200)의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connecting cable 300 serves as an intermediary for transferring electrical signals between the cradle 100 and the controller 200.

한편, 거치대(100)의 바디 스트랩(110)에는, 스마트워치의 바디(1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0)가 더 형성된 것으로, 그 감지센서(150)의 감지방법에 있어서는, 바디(10)의 형상을 감지하거나 바디(10)의 중량을 감지하는 등 다양한 감지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body strap 110 of the cradle 100 further includes a sensing sensor 150 for sensing the body 10 of the smart watch. In the sensing method of the sensing sensor 150, Sensing the shape of the body 10 or sensing the weight of the body 10 may be applied.

이때, 상기 감지센서(15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된 거치대(100)를 통해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제어부(200)에서 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제어부(200)에서는 감지센서(150)에 의해 이상이 감지시 스피커(21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the sensing sensor 1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rough a cradle 100 made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nd is controllable by the control unit 200. In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ler 150 transmit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210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mart watch fix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1)는, 바디 스트랩(110)에 스마트워치의 바디(10) 고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바디 스트랩(110)의 사이에 바디(10)를 끼워 고정하되, 탄력홈(130)을 통해 바디 스트랩(110)에 일정한 외력을 가해 벌린 상태에서 바디(10)를 끼움 및 바디 스트랩(110)을 바디(10)의 결착홈(11)에 내재시키면 된다.3, the smart-watch mounting device 1 having the anti-thef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fixing the body 10 of the smart watch to the body strap 110, The body 10 is inserted and held between the body straps 110 by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body straps 110 through the elastic grooves 130 and the body straps 110 are inserted into the body straps 110, It can be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11 of the body 10.

즉, 바디 스트랩(110)은, 바디(10)의 외둘레를 가압 고정함으로 바디(10)의 긴밀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the body strap 110 presses and fixe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10, so that the body 10 can be tightly fixed.

한편, 본 발명 거치장치(1)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하나의 제어부(200)에 다수의 거치대(100)를 연결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바디 스트랩(110)에는 스마트워치의 바디(10)가 각각 고정되고, 각각의 컨넥팅바(120)는 컨넥팅 케이블(300)을 통해 제어부(200)와 각각 연결되며, 제어부(200)에서는 각각의 거치대(100)에 해당하는 점등 등의 구분 표시가 나타날 것이다.4 and 5, a plurality of cradles 100 can be connected to one control unit 200, and each of the body straps 110 is provided with a smart watch And each of the connecting bars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rough a connecting cable 300.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respective lighting units 100, Etc. will be displayed.

이에, 바디(10)의 도난 감지상태를 살펴보면, 바디의 도난 방법으로는 바디 스트랩(110)의 절단과, 바디(10)의 탈거가 가능하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ut the body strap 110 and detach the body 10 as a method of theft of the body.

먼저, 바디 스트랩(110)의 절단 도난 시도시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바디(10)의 도난을 위해 바디 스트랩(110) 또는 컨넥팅바(120)를 절단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거치대(10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특성상 전기 신호의 전달이 차단되어 거치대(100)와 제어부(200)의 전기 신호의 전달이 차단되게 되고, 이에, 제어부(20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21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게 되어 도난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4, when the body strap 110 is cut and stolen, the body strap 110 or the connecting bar 120 is cut for theft of the body 10, The transmission of the electric signal is interrupte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transmission of the electric signal between the cradle 100 and the control unit 200 is interrupted. ) So that a quick response can be made in case of theft.

또한, 바디(10)의 탈거 도난시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바디(10)를 바디 스트랩(110)으로 부터 강제 탈거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바디(10)가 탈거되면 감지센서(150)에서는 바디(10)의 형상 또는 중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200)로 전송하게 되고, 이에, 제어부(20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210)를 통해 경고음을 송출하게 되어 도난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body 10 is detached, the body 10 is forcibly removed from the body strap 110 as shown in FIG. 5. At this time, when the body 10 is detached, the detection sensor 150 The control unit 200 senses a change in shape or weight of the body 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00. The control unit 200 senses the change and sends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210, Lt; / RTI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는, 전시장 등에서 스마트워치를 전시시 바디를 거치함에 있어, 거치대의 훼손이나 바디의 이탈 도난을 시도시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신호를 송출함으로 바디 도난에 따른 빠른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mart watch is displayed at an exhibition hall or the like, when a user tries to steal the body of the body or deteriorate the body,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to body theft.

10 : 바디 11 : 결착홈
100 : 거치대 110 : 바디 스트랩
120 : 컨넥팅바 130 : 탄력홈
150 : 감지센서 200 : 제어부
210 : 스피커 300 : 컨넥팅 케이블
10: Body 11: Fitting groove
100: cradle 110: body strap
120: Connecting bar 130: Elastic groove
150: Detection sensor 200:
210: Speaker 300: Connecting cable

Claims (3)

중앙에 스트랩부가 형성된 손목 착용형 러버밴드와 스트랩부에 결합을 위해 외둘레에 결착홈(11)이 형성된 바디(10)로 된 스마트워치의 바디(1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스마트워치의 바디 외둘레의 결착 고정이 가능한 띠 형태의 바디 스트랩(110)과, 바디 스트랩(110)의 일단에서 하방 돌출 형성되는 컨넥팅바(120)로 구성되며, 전기 신호의 전달이 가능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된 거치대(100),
하나 이상의 거치대(100)와 전기 신호를 송수신하며, 신호의 차단시 이를 감지하여 경고음을 송출하는 스피커(210)를 갖는 제어부(200) 및
컨넥팅바(120)와 제어부(200)를 연결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컨넥팅 케이블(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바디 스트랩(110)과 컨넥팅바(120)의 연결부에 대하여, 바디 스트랩(110)의 분리와 컨넥팅바(120) 상부로 연결되는 절개형 탄력홈(130)을 더 형성하되,
탄력홈(130)은 연결부의 중앙이 절개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바디 스트랩(110)은 양측으로 이격된 형태를 이루게 하고, 컨넥팅바(120)에는 그 상부 중앙이 수직 절개된 형성되며;
상기 컨넥팅바(120)는, 상기 바디 스트랩(1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전기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게 바디 스트랩(110)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며, "ㄴ" 형으로 절곡 형성되게 구성되고;
바디 스트랩(110)에,
중량을 감지를 통하여 바디(1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감지센서(150)의 감지상태는 제어부(200)에서 제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용 거치장치.

A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 smart watch body (10) comprising a body (10) having a wrist wearable rubber band formed with a strap at the center and a fastening groove (1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for engagement with the strap,
A body strap 110 in the form of a strip capable of fix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dy of the smart watch on the upper portion and a connecting bar 120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strap 110, A cradle 100 made of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controller (200) having a speaker (21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to / from one or more cradle (100)
And a connecting cable (300) connecting the connecting bar (120) and the control unit (200)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The body strap 110 and the connecting bar 120 may be further separated from the body strap 110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ar 120,
The resilient groove 130 is formed by cutting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body strap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both sides and the upper center of the connecting strap 120 is vertically cut.
The connector 1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strap 110 and protrude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strap 110 so as to transmit an electric signal to the outside,
In the body strap 110,
And a detection sensor 150 for sensing the body 10 through sensing the weight of the body 10. The detection state of the detection sensor 150 is controllable by the controller 200. [ For a smart watch.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24889A 2015-02-23 2015-02-23 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 Expired - Fee Related KR1015451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89A KR101545112B1 (en) 2015-02-23 2015-02-23 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889A KR101545112B1 (en) 2015-02-23 2015-02-23 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112B1 true KR101545112B1 (en) 2015-08-17

Family

ID=5406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8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545112B1 (en) 2015-02-23 2015-02-23 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1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313U (en) 2023-01-26 2024-08-05 주식회사 신지모루 Smart watch cradle module
KR20240001472U (en) 2023-02-23 2024-09-02 주식회사 신지모루 Smart watch and wireless earphone charge case cradle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313U (en) 2023-01-26 2024-08-05 주식회사 신지모루 Smart watch cradle module
KR20240001472U (en) 2023-02-23 2024-09-02 주식회사 신지모루 Smart watch and wireless earphone charge case cradle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84191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686205B1 (en) Neckband type bluetooth earset for moibile phone
JP2015092039A (en) Mounting panel with elongated tongue
US20150271582A1 (en) Wireless bottle cap speaker
KR101629434B1 (en) Magic strap
GB2454731A (en) Smoke detector able to call a mobile telephone
US8737666B2 (en) Apparatus for audio communication
US8665106B2 (en) Personal audio cable alarm device
EP2941185A1 (en) Additive equipment to basic equipment with advantage in form of multimedial, health, sport or another equipment convenient for adding by additive equipment
KR101545112B1 (en) Mounted device for smart watch
JP2003218989A (en) Incoming device
KR20170047771A (en) Wearable terminal
US20170318145A1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JP6994088B2 (en) Protected display stand for watches
KR101534302B1 (en) A smart watch
CN206041982U (en) Children's instant searching equipment of wandering away
KR20160070998A (en) Wearable terminal
US20190208050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control
TWM524643U (en) Helmet with Bluetooth module
KR20170047770A (en) Wearable terminal
CN204861521U (en) Waistband discount and waistband
KR20110138967A (en) Mobile Device Loss Prevention Device
JP6410780B2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KR200482913Y1 (en) Neck band type bluetooth hands-free device equipped with a portable terminal cradle
KR101436939B1 (en) Ear-micr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21